KR20110062696A -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696A
KR20110062696A KR1020090119493A KR20090119493A KR20110062696A KR 20110062696 A KR20110062696 A KR 20110062696A KR 1020090119493 A KR1020090119493 A KR 1020090119493A KR 20090119493 A KR20090119493 A KR 20090119493A KR 20110062696 A KR20110062696 A KR 20110062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wing
line
region
state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텍 filed Critical (주)파인텍
Priority to KR102009011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696A/ko
Publication of KR2011006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상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상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 결합된 상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하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하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결합된 하날개부를 갖는 호흡보호구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상기 상날개부 및 상기 하날개부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덮개부의 폭만큼 이격되고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 및 하측접이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을 갖는 전개상태모형을 형성하는 전개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을 형성하는 겹침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상날개분리 연부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의 사이영역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상날개부와 상기 하날개부를 형성하는 날개부형성부와; 상기 겹침상태모형을 절단하여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덮개부를 형성하는 덮개부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치구조가 간단해지고 원단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119493
호흡보호구몸체, 덮개부, 날개부, 초음파, 롤러금형

Description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body of Respirator}
본 발명은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와 덮개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 상날개부 및 하날개부를 포함하는 호흡보호구몸체를 갖는 구조의 호흡보호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의 찬 공기, 분진, 냄새, 세균, 황사 등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면에 호흡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다.
호흡보호구는 호흡보호구몸체와, 호흡보호구몸체에 결합된 한 쌍의 걸이끈을 갖고 있다.
종래 호흡보호구몸체는 여러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흡보호구몸체(21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1)와 덮개부(2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 상날개부(212) 및 하날개부(213)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흡보호구몸체는 완성품은 물론 호흡보호구몸체의 중간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상날개부(212)는 덮개부(211)의 전면에 겹쳐지고 덮개부(211)에 연결된 상날개연결연부(212a)와 덮개부(211)로부터 분리된 상날개분리연부(212b)를 갖고 있다.
하날개부(213)는 덮개부(211)의 전면에 겹쳐지고 덮개부(211)에 연결된 하날개연결연부(213a)와 덮개부(211)로부터 분리된 하날개분리연부(213b)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호흡보호구몸체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2는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01)이 감겨있는 제1원단롤러(111a) 및 제2원단롤러(111b)와, 제1원단롤러(111a)의 후방에 배치된 날개부절단롤러금형(113)과, 날개부절단롤러금형(113)의 후방에 배치된 날개부정렬롤러(114)와, 날개부정렬롤러(114)와 제2원단롤러(111b)의 후방에 배치된 안내롤러(115)와, 안내롤러(115)의 후방에 배치된 몸체절단롤러금형(116)을 갖고 있다.
제1원단롤러(111a)에는 상날개부(212) 및 하날개부(213)를 제작하기 위한 원단이 감겨있고, 제2원단롤러(111b)에는 덮개부(211)를 제작하기 위한 원단이 감겨있다.
제1원단롤러(111a)과 제2원단롤러(111b)에 감겨진 원단은 낱장의 부직포 또는 합지된 부직포(스폰본드, 멜트브라운 등)가 될 수도 있다.
날개부절단롤러금형(113)은 제1원단롤러(111a)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초음파가공방식으로 상날개 부분과 하날개 부분으로 절단하게 된다.
날개부정렬롤러(114)는 날개부절단롤러금형(113)에서 절단된 상날개부분과 하날개부분을 중첩상태로 정렬한다.
안내롤러(115)는 날개부정렬롤러(114)를 통과한 상날개부분, 하날개부분 및 제2원단롤러(111b)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정렬상태로 몸체절단롤러금형(116)으로 공급한다.
몸체절단롤러금형(116)은 안내롤러(115)로부터 공급되는 상날개부분, 하날개부분 및 원단(덮개부용)을 초음파방식으로 결합하고 결합영역의 둘레를 초음파방식으로 절단한다. 몸체절단롤러금형(116)의 절단동작에 의해 호흡보호구몸체가 완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는 2004년 특허출원 제700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에 따르면, 상날개부(212)와 하날개부(213)를 덮개부(211)와 분리된 상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장치구조가 복잡해지고(원단을 이중으로 공급하는 구성, 덮개부와 분리하여 상날개부분과 하날개부분을 절단하는 구성 및 상날개부분과 하날개부분을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함) 원단손실이 증가한다(원단을 이중으로 공급해야 하고 상날개부분과 하날개부분을 절단할 때와 덮개부를 절단할 때 각각 원단자투리가 발생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구조가 간단해지고 원단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상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상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 결합된 상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하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하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결합된 하날개부를 갖는 호흡보호구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상기 상날개부 및 상기 하날개부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덮개부의 폭만큼 이격되고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 및 하측접이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을 갖는 전개상태모형을 형성하는 전개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을 형성하는 겹침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의 사이영역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상날개부와 상기 하날개부를 형성하는 날개부형성부와; 상기 겹침상태모형을 절단하여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덮개부를 형성하는 덮개부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또는 상기 덮개부, 상기 상날개부 및 상기 하날개부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단계와; 상기 원단공급단계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덮개부의 폭만큼 이격되고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 및 하측접이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을 갖는 전개상태모형을 형성하는 전개상태모형형성단계와;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을 형성하는 겹침상태모형형성단계와;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의 사이영역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상날개부와 상기 하날개부를 형성하는 날개형성단계와; 상기 겹침상태모형을 절단하여 상기 겹침상 태모형에 상기 덮개부를 형성하는 덮개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겹침상태모형형성부는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직선상의 상방향가압판과, 상기 상방향가압판의 일 측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 상영역기립부와, 상기 상방향가압판의 타 측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 하영역기립부와, 상기 상영역기립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가압판과의 사이에 상측가압슬릿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상영역하방향가압판과, 상기 하영역기립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가압판과의 사이에 하측가압슬릿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영역하방향가압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겹침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날개부형성부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날개연결선과 상기 하날개연결선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유지시키는 겹침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원단을 사용하여 덮개부와 결합된 상태로상날개부와 하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구조가 간단해지고 원단손실이 감소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겹침상태모형형성부 영역의 상세도이며, 도3, 도4, 도5, 도6,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구몸체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01)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1)와, 원단공급부(11)의 후방에 배치된 전개상태모형형성부(12) 및 원단자투리권취부(13)와, 전개상태모형형성부(12)의 후방에 배치된 겹침상태모형형성부(14)와, 겹침상태모형형성부(14)의 후방에 배치된 겹침상태유지부(15) 및 날개부형성부(16)와, 날개부형성부(16)의 후방에 배치된 덮개부형성부(17)를 갖고 있다.
원단공급부(11)는 원단권출롤러(11a)와, 원단권출롤러(11a)를 회전구동하는 권출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원단권출롤러(11a)에 감겨진 원단(201)은 덮개부(211), 상날개부(212) 및 하날개부(213)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도록 선택된다. 여기서 원단(201)은 낱장의 부직포 또는 합지된 부직포(스폰본드, 멜트브라운 등)가 될 수도 있다.
권출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스위치의 온오프조작상태에 따라 원단권출롤러(11a)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전개상태모형형성부(12)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착돌부(12b)와 절단돌부(12c)가 외표면에 형성된 전개상태모형롤러금형(12a)과 전개상태모형롤러금형(12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전개상태모형초음파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초음파절단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개상태모형형성부(12)에 의해 원단공급부(11)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이 절단되면, 덮개부(211)의 폭만큼 이격되고 원단(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202a) 및 하측접이선(202b)과, 상측접이선(202a)을 기준으로 상날개분리연부(212b)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연부선(202c)과, 하측접이선(202b)을 기준으로 하날개분리연부(213b)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202d)과, 상날개분리연부선(202c)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202e)과, 하날개분리연부선(202d)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202f)을 갖는 전개상태모형(202)이 형성된다(도3 참조).
그리고 전개상태모형(202)이 형성될 때 원단(201)으로부터 한 쌍의 원단자투 리가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한편 전개상태모형형성부(12)는 전개상태모형롤러금형(12a)의 외표면에 칼날을 설치하는 톰슨금형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원단자투리권취부(13)는 지지체(18)에 설치된 자투리권취롤러(13a)와, 자투리권취롤러(13a)의 전방에 설치된 자투리안내롤러(13b)와, 자투리권취롤러(13a)를 회전구동하는 권취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겹침상태모형형성부(14)는 전개상태모형롤러금형(12a)의 후방영역에서 지지체(18)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직선상의 상방향가압판(14a)과, 상방향가압판(14a)의 좌 측에서 지지체(18)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영역기립부(14b) 및 상영역하방향가압판(14c)과, 상방향가압판(14a)의 우 측에서 지지체(18)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영역기립부(14e) 및 하영역하방향가압판(14f)을 갖고 있다.
상방향가압판(14a)은 전개상태모형롤러금형(12a)을 통과한 전개상태모형(202)의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도4 참조).
상영역기립부(14b)는 전개상태모형(202)의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다(도5 참조).
상영역하방향가압판(14c)은 상영역기립부(14b)의 후방영역에서 전개상태모형(202)의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방향가압판(14a)과의 사이에 상측가압슬릿(14d)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도5 참조)..
하영역기립부(14e)는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다(도5 참조).
하영역하방향가압판(14f)은 하영역기립부(14e)의 후방영역에서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방향가압판(14a)과의 사이에 하측가압슬릿(14g)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도5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겹침상태모형형성부(14)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개상태모형(202)이 하영역기립부(14e)를 통과할 때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이 상방향가압판(14a)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된다(도6 참조).
다음에 전개상태모형(202)이 상영역기립부(14b)를 통과할 때 전개상태모형(202)의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이 상방향가압판(14a)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된다(도6 참조).
다음에 전개상태모형(202)이 하측가압슬릿(14g)을 통과할 때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된다.
다음에 전개상태모형(202)이 상측가압슬릿(14d)을 통과할 때 전개상태모형(202)의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된다.
이와 같이 전개상태모형(202)이 겹침상태모형형성부(14)를 거치게 되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과 하 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203)이 형성된다(도7 참조).
겹침상태유지부(15)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일자형태의 융착돌부가 대향하도록 외표면에 형성된 겹침상태유지롤러금형(15a)과 겹침상태유지롤러금형(15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겹침상태유지초음파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초음파가공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겹침상태유지부(15)에 의해 상측연결선(202e)과 하측연결선(202f)의 사이 영역에서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과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과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도7 참조).
날개부형성부(16)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착돌부(16b)가 대향하도록 외표면에 형성된 날개부형성롤러금형(16a)과 날개부형성롤러금형(16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날개부형성초음파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초음파가공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날개부형성부(16)에 의해 상날개분리연부선(202c)과 상측접이선(202a)의 사이영역과 하날개분리연부선(202d)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이에 따라 겹침상태모형(203)에 상날개부(212)와 하날개부(213)가 추가된다(도8 참조).
덮개부형성부(17)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 단돌부가 대향하도록 외표면에 형성된 덮개부형성롤러금형(17a)과 덮개부형성롤러금형(17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덮개부형성초음파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초음파가공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덮개부형성부(17)에 의해 겹침상태모형(203)은 절단되고, 이에 따라 겹침상태모형(203)에 덮개부(211)가 형성된다(도10 참조).
한편 덮개부형성부(17)는 덮개부형성롤러금형(17a)의 외표면에 칼날을 설치하는 톰슨금형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원단을 사용하여 덮개부(211)와 결합된 상태로 상날개부(212)와 하날개부(21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구조가 간단해지고 원단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과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이 기립되는 과정을 거쳐 전개상태모형(202)의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과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이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과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겹침상태유지부(15)를 추가함으로써, 상측접이선(202a)과 하측접이선(202b)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측접이선(202a)의 상측영역과 하측접이선(202b)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겹침상태모형형성부 영역의 상세도,
도3, 도4, 도5, 도6,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구몸체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흡보호구몸체의 사시도,
도12는 종래의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원단공급부 12 : 전개상태모형형성부
13 : 원단자투리권취부 14 : 겹침상태모형형성부
15 : 겹침상태유지부 16 : 날개부형성부
17 : 덮개부형성부 113 : 날개부절단롤러금형
114 : 날개부정렬롤러 116 : 몸체절단롤러금형
201 : 원단 202 : 전개상태모형
203 : 겹침상태모형 210 : 호흡보호구몸체
211 : 덮개부 212 : 상날개부
213 : 하날개부

Claims (4)

  1.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상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상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 결합된 상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하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하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결합된 하날개부를 갖는 호흡보호구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상기 상날개부 및 상기 하날개부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덮개부의 폭만큼 이격되고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 및 하측접이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을 갖는 전개상태모형을 형성하는 전개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 접이선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을 형성하는 겹침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의 사이영역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상날개부와 상기 하날개부를 형성하는 날개부형성부와;
    상기 겹침상태모형을 절단하여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덮개부를 형성하는 덮개부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상태모형형성부는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직선상의 상방향가압판과, 상기 상방향가압판의 일 측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 상영역기립부와, 상기 상방향가압판의 타 측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된 하영역기립부와, 상기 상영역기립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가압판과의 사이에 상측가압슬릿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상영역하방향가압판과, 상기 하영역기립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 영역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가압판과의 사이에 하측가압슬릿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영역하방향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상태모형형성부와 상기 날개부형성부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날개연결선과 상기 하날개연결선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대한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의 겹친상태를 유지시키는 겹침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4.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상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상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 결합된 상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전면에 겹쳐지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하날개연결연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된 하날개분리연부를 갖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결합된 하날개부를 갖는 호흡보호구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호흡보호구몸체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상기 상날개부 및 상기 하날개부의 폭을 모두 더한 값보다 작지 않은 폭을 갖는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단계와;
    상기 원단공급단계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덮개부의 폭만큼 이격되고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측접이선 및 하측접이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상날개분리 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는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측연결선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측연결선을 갖는 전개상태모형을 형성하는 전개상태모형형성단계와;
    상기 전개상태모형의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상기 상측접이선의 상측영역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하측영역이 겹쳐진 겹침상태모형을 형성하는 겹침상태모형형성단계와;
    상기 상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상측접이선의 사이영역과 상기 하날개분리연부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을 상기 상측접이선과 상기 하측접이선의 사이영역에 각각 결합시켜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상날개부와 상기 하날개부를 형성하는 날개형성단계와;
    상기 겹침상태모형을 절단하여 상기 겹침상태모형에 상기 덮개부를 형성하는 덮개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보호구몸체제조방법.
KR1020090119493A 2009-12-04 2009-12-04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2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93A KR20110062696A (ko) 2009-12-04 2009-12-04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93A KR20110062696A (ko) 2009-12-04 2009-12-04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696A true KR20110062696A (ko) 2011-06-10

Family

ID=443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493A KR20110062696A (ko) 2009-12-04 2009-12-04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26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603A (ko) * 2020-07-21 2022-01-28 신왕수 속셔츠 또는 방호복 또는 의료용가운이나 방호용 덧신을 연속공정라인으로 제조하는 방법
KR102443638B1 (ko) * 2021-06-25 2022-09-16 크린킵 주식회사 마스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603A (ko) * 2020-07-21 2022-01-28 신왕수 속셔츠 또는 방호복 또는 의료용가운이나 방호용 덧신을 연속공정라인으로 제조하는 방법
KR102443638B1 (ko) * 2021-06-25 2022-09-16 크린킵 주식회사 마스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005B1 (ko)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KR102020114B1 (ko) 마스크 제조방법
KR101597735B1 (ko) 합지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CN207444320U (zh) 具有展翼的口罩
JP4429379B2 (ja) 製袋機
EP253637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pant
JP5762802B2 (ja) マスク
WO2021208822A1 (zh) 一种口罩机
US20080035153A1 (en) Facemask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48701B (zh) 具有表情視窗之立體口罩及其製作方法和所生產使用之設備
JP2012217649A5 (ko)
NO339236B1 (no) Filterpose for en støvsuger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derav
KR20110062696A (ko) 호흡보호구몸체제조장치 및 그 방법
EP1588950B1 (en) A method for forming a handle on film used to produce packs of rolls of products
CN111466664A (zh) 一种立体口罩高速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KR102254640B1 (ko) 마스크 제조장치
CN212414853U (zh) 一种口罩机
CN112056658A (zh) 一种口罩的制造方法及口罩机
CN216782696U (zh) 鸭嘴口罩机
CN211532855U (zh) 口罩
JP2008013214A (ja) プラスチック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261132U (zh) 打片机
KR20230068285A (ko) 마스크 제조장치 및 마스크 제조방법
TW201318666A (zh) 碟翼形口罩及其製作方法
US2913966A (en) Manufacture of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