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100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100A
KR20110059100A KR1020090115734A KR20090115734A KR20110059100A KR 20110059100 A KR20110059100 A KR 20110059100A KR 1020090115734 A KR1020090115734 A KR 1020090115734A KR 20090115734 A KR20090115734 A KR 20090115734A KR 20110059100 A KR20110059100 A KR 2011005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formwork
shap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795B1 (ko
Inventor
김선국
홍원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로 구성되고, 상기 유니트 부재 각각은,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36)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합부, 거푸집, 기둥, 보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Mold used for connection area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의 접합부에도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동시에 슬래브용 거푸집이나 데크 플레이트 등과도 연결성 및 시공성도 우수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소위 '라멘조'라고 불리우는 건축물의 구조 형태는 기둥과 보 그리고 슬래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라멘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둥과 보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과 함께 슬래브 거푸집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건축에 있어서, 기둥, 보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든 공정은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단계와 인력 및 시간을 요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97194호는 건축 시공 현장에서 작업량을 최대한 줄이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H형강과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은, 철골과 철근 및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복합보와 함께 시공됨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발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을 먼저 설치하고 여기에 프리캐스트 복합보를 연결 브라켓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접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복합보 상면에 슬래브용 거푸집이나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복합보와 기둥의 접합 부위는 별도로 거푸집을 설치하여 커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거푸집의 설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먼저, 보와 기둥의 접합부는 대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다는 특성이 있어서 여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또한, 해체된 거푸집을 재사용하기가 곤란하여 다량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기둥 단면이 변하는 등 접합부의 실질적인 크기 변화가 수반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거푸집을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 외에도,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접합부에 집중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효과적으로 견뎌야 하며, 시공시 사용되는 슬래브용 거푸집, 데크 플레이트 등과도 연결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푸집의 각 부분을 유니트 부재들로 분리 구성하고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용이하게 해체가 가능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PC형 기둥과 PC형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네 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니트 부재 각각은,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인접하는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PC형 기둥과 PC형 보의 접합 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두 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니트 부재 각각은,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및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부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제2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PC형 기둥과 PC형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한 개의 제1 유니트 부재와 두 개의 제2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및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 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인접하는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부재의 제2 날개부는 인접하는 제2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PC형 기둥과 PC형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한 개의 폐쇄형 유니트 부재와 두 개의 개방형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 각각은,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인접하는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 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폐쇄형 및 개방형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PC형 기둥과 PC형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 및 개방형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일측면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 상기 일측면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측벽부; 상기 제3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일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일측면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는, 상기 PC형 기둥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의 인접하는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제1 측벽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제3 측벽부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의 측벽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제2 측벽부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의 측벽부와 상호 결합되고,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의 날개부들이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복수개의 유니트 부재들을 간단히 조립하여 구성되므로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거푸집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거푸집을 각각의 유니트 부재들로 간단하게 분리함으로써 해체할 수 있고, 또한 해체된 유니트 부재들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원 활용에 따른 경제성도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접합부의 크기가 변동하더라도 이음 플레이트와 같은 매개체를 사용하여 거푸집의 폭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프로젝트에 유연성있게 전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특징적인 구조와 형상은 슬래브용 거푸집이나 데크 플레이트 등과의 구조적 연결성 및 시공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기둥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접합부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은 철골과 콘크리트 그리고 철근을 사용하여 제작된 RC(Reinforced Concrete) 또는 SRC(Steel Reinforced Concrete)를 포괄하는 것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 공 현장으로 운반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현장에서 타설하여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를 포괄하여 각각 'PC형 기둥' 및 'PC형 보'라고 약칭한다.
상기 PC형 기둥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PC형 기둥(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1)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1)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연결 철근(2)과, 상기 콘크리트 몸체(1)의 상단에 설치된 접합 철골(3)과, 상기 접합 철골(3)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수납 플레이트(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철근(2)은 상기 수납 플레이트(4)를 관통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몸체(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접합 철골(3)은, 한 쌍의 플랜지부와 웨브부로 구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1)의 상단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매립판(5)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철골(3)의 플랜지부와 웨브부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T형 브라켓(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납 플레이트(4)에는 복수개의 패싱홀(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 PC형 기둥의 연결 철근이 관통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PC형 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PC형 보(20)는 단면이 T형인 철골(21)과, 상기 T형 철골(21)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STIRRUP) 철근(22)과, 상기 T형 철골(21)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T형 철골(2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웨브(24)와, 상기 웨브(24)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채로 연장되는 하부 플랜지(25)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23)는 상기 T형 철골(21)의 웨브(24)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25)를 매립하도록 일체로 타설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PC형 보(20)는 콘크리트 부재(23)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는 복수개의 매립 철근(2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매립 철근(26)은 보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PC형 보의 콘크리트 부재(23)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에 또는 전체에 걸쳐서 공동부(27)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공동부()는 단면이 역사다리꼴 또는 사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으며, 콘크리트 부재(23) 제조시 공동부가 형성될 영역에 메탈래스(metal lath)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형 철골(21)의 양단부는 PC형 보(20)를 PC형 기둥(10)에 연결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부재(23)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노출된 T형 철골(21)의 단부에는 복수의 체결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PC형 보와 기둥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 적용될 수 있는 보와 기둥은 단순히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 적용되기 위한 PC형 기둥(10)과 보(20)는 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소정 크기의 콘크리트 몸체(1)와 부재(23)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거푸집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복수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는데, 여기서는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로 구성된 거푸집을 보여준다.
상기 유니트 부재(31)의 구체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는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유니트 부재(31)는,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도 1의 1a 및 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도 3의 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36)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보-거푸집-개구부(4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과 하면은 PC형 보(20)에 구비된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35)와 날개부(36)의 상단 높이는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형 기둥(10)에 접합된 PC형 보(20)의 상면(도 3의 23c)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 하도록 설정된다. 즉,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35)와 날개부(36)의 상단은 시공되는 슬래브의 하측면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로 구성되는데, 각각에 구비된 날개부(36)들이 서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결합하여 모두 네 개의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거푸집-개구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PC형 기둥과 보 접합부에 설치할 때, 하부에서 상부로 거푸집을 상승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 유니트 부재(31)(32)(33)(34)의 측벽부(35)와 날개부(36)는 스틸,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이나, 코팅 처리된 합판 또는 FRP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부(35)와 날개부(36)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지그재그 굴곡을 형성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리브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부(35)와 날개부(36)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또는 후술하는 이음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유니트 부재(31)(32)(33)(34)에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와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37)은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31)(32)(33)(34)의 측벽부(35)와 날개부(36)를 상호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버클, 매미 고리 또는 크리센트와 같은 다양한 체결도구 들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수단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니트 부재(31)의 측벽부(35)에는, 바람직하게는 측벽부의 코너부에는, 청소구(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구(38)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압축 공기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먼지 제거 후 상기 청소구(38)는 다시 폐쇄되는데 이를 위해, 래치와 같은 잠금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니트 부재(31)(32)(33)(34)를 상호 조립한 다음 거푸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벨트를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고리(39)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벨트 고리(39)의 다양한 예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벨트 고리(39)는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도 8 및 도 9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벨트 고리(39a)(39b)의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10은 벨트 고리(39c)의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도 11은 측벽부(35)가 만나는 코너 부분에 벨트 고리(39d)가 형성된 구성을 보여준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한정된 도면을 통해 벨트 고리들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진 벨트 고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로 구성된 거푸집을 도시하였으나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채용가능한 유니트 부재(41)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유니트 부재(41)는,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43)와,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와,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벽부(42)에 구비된 제1 날개부(44)는 그 자체로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유니트 부재(4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니트 부재(31) 한 쌍을 서로 조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두 개의 유니트 부재(41)를 조립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부재(41)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부재(31) 한 쌍(즉, 세 개의 유니트 부재)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거푸 집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그 구성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거푸집은 한 개의 제1 유니트 부재(41)와 두 개의 제2 유니트 부재(3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1 유니트 부재(4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43)와,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와,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유니트 부재(3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니트 부재(41)의 제2 날개부(45)는 인접하는 제2 유니트 부재(31)의 날개부(36)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게 될 것이 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PC형 기둥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한다. 상기 PC형 기둥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다양한 시공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PC형 기둥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부 PC형 기둥을 연결한다. 즉, 상부 PC형 기둥은 수납 플레이트(4)를 향해 상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부 PC형 기둥의 하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 철근(2')은 상기 수납 플레이트(4)에 형성된 패싱홀(4a)을 관통하게 된다.
동시에, 상부 및 하부 PC형 기둥의 연결 철근(2)(2')들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PC형 기둥의 연결 철근(2)(2')들을 커플러(C)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부 및 하부 PC형 기둥의 연결 부위에 예컨대, 도 15와 같이 PC형 보(20)의 단부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C형 보(20)의 웨브(24)와 하부 플랜지(25)가 상기 T형 브라켓(6)의 웨브부 및 플랜지부와 각각 대응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46)를 체결공(28)과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후 체결볼트(47)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PC형 보(20)의 단부는 용접 또는 다양한 구조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상기 접합 철골(3)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이 완료되면, 이어서 슬래브 철 근과 거푸집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C형 보(20)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래브 철근(48)(49)은 상기 PC형 기둥(10)의 접합 철골(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배근된다. 이때, 접합 철골(3)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은 웨브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서로 다른 높이에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 2 슬래브 철근(48)(49)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래브 철근(48)(49)은 보조 삽입 도구를 사용하여 관통공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복수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를 상기 접합부 하부에서 조립한다. 즉,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를 들어올려 PC형 기둥(10)에 기대어 놓고 체결수단(37)으로 상호 조립하여 임시로 고정한다.
이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거푸집은 인양수단 위에 임시로 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양수단은 스크류 회전 운동에 의해 물체를 들어올리는 시저잭(Scissor jack)(50)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저잭(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PC형 기둥(10)의 외측면에 임시로 고정된 스캐폴드(5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이 조립되어 인양수단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유니트 부재(31)(32)(33)(34)들이 상호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 부(40)는 PC형 기둥(10)에 연결되어 있는 PC형 보(2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저잭(50)의 레버를 회전시켜 거푸집을 서서히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거푸집이 PC형 기둥(10)의 측면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PC형 보(20)는 상기 보-거푸집-개구부(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거푸집이 완전히 상승되어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 거푸집의 날개부(36)는 PC형 보(20)의 콘크리트 부재(23)의 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제자리에 위치한 거푸집의 벨트 고리(39)에 벨트(52)를 걸어서 인장시킴으로써 거푸집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로써,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에 대한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푸집의 강성을 보강하고 더욱 단단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턴버클(turnbuckle)(53)을 구비한 보강바(5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54)는 유니트 부재의 양측에 있는 날개부(3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턴버클(53)을 회전시킴으로써 날개부(36)를 가압하여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측벽부(35)에 복수개의 보강 앵글(55)을 직접 형성하거나 부착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상기 PC 형 보(20) 위에 예컨대,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PC형 기둥(10)을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에 PC형 보(20)를 접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거푸집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즉, 임의의 구성을 가진 PC형 기둥을 설치하고 그 단부에 PC형 보를 연결한 접합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벨트(52)를 풀고 상기 시저잭(50)의 레버를 회전시켜 거푸집을 하강시키면 거푸집이 이탈되고, 체결수단(37)을 풀어서 유니트 부재(31)(32)(33)(34)들을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유니트 부재(31)(32)(33)(34)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에 재사용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1은 거푸집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세 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와 두 개의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가 그것이다.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는 보-거푸집-개구부가 없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할 수 있도 록 날개부가 형성된 측벽부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는 세 개의 보-거푸집-개구부(40)가 형성되므로, 세 개의 PC형 보(20)가 연결되는 건물의 외벽 부분 시공에 주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65)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65)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66)와, 상기 제2 측벽부(6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6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는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유니트 부재(3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의 제2 측벽부(66)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의 측벽부(35)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조립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36)는 인접하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 유니트 부재(61)(62)(63)의 날개부(36)(67)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 는데, 이러한 보-거푸집-개구부(4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과 하면은 PC형 보(20)에 구비된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의 제1 측벽부(65) 및 제2 측벽부(66) 그리고 날개부(67)의 상단은,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의 측벽부(35) 및 날개부(36)의 상단보다 '시공되는 슬래브의 두께(T) 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의 측벽부(35)와 날개부(36)의 상단은 PC형 기둥(10)에 접합된 PC형 보(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정도로 설정된다는 점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의 상단 높이를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은, 시공시에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가 위치한 부분에는 PC형 보(20)가 결합되지 않고 슬래브의 단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는 또 다시 두 개의 부분으로 등분되어 구성될 수 있고, 등분된 두 부분을 조립함으로써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2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 설치된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 는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접합되어 있는 PC형 보(20)의 상면으로부터 슬래브 두께만큼 상부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에서 PC형 보(20)의 상면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슬래브용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래브를 축조하게 된다.
도 25 및 도 2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5는 거푸집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평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도 세 개의 유니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 및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와 다른 한 개의 개방형 유니트 부재(73)가 그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1)(72)는 보-거푸집-개구부가 없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날개부가 형성된 측벽부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는 두 개의 보-거푸집-개구부(40)가 형성되므로, 두 개의 PC형 보(20)가 연결되는 건물의 외벽 코너 부분의 시공에 주로 사용된다.
도 2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는,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74)와, 상기 일측 면(1a)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5)와, 상기 일측면(1a)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타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측벽부(76)와, 상기 제3 측벽부(7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7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23)의 일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1 측벽부(78)와, 상기 일측면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8)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9)와, 상기 제2 측벽부(79)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8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는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유니트 부재(3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한다.
거푸집을 조립할 경우,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2 측벽부(75)는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1 측벽부(78)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3 측벽부(76)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와 결합된다. 동시에,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2 측벽부(79)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조립된다.
이때, 인접하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 유니트 부재(71)(72)(73)의 날개부(77)(80)(36)들이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보-거푸집-개구부(40)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과 하면은 PC형 보(20)에 구비된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 및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은 전술한 실시예의 거푸집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1, 제2, 제3 측벽부(74)(75)(76) 및 날개부(77)와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1, 제2 측벽부(78)(79) 및 날개부(80)의 상단은,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 및 날개부(36)의 상단보다 '시공되는 슬래브의 두께(T) 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와 날개부(36)의 상단은 PC형 기둥(10)에 접합된 PC형 보(20)의 상면(23c)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정도로 설정된다는 점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폐쇄형 유니트 부재(71)(72)의 상단 높이를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은, 시공시에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71)(72)가 위치한 부분에는 PC형 보(20)가 결합되지 않고 슬래브의 단 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PC형 보(20)가 거푸집의 보-거푸집-개구부(40)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1)(72)는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접합된 PC형 보(20)의 상면으로부터 슬래브 두께만큼 상부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을 사용한 건축 시공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니트 부재들을 PC형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에 조립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때, 상기 거푸집과 PC형 보(20) 사이의 틈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기밀처리를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형 보(20)가 안착되는 유니트 부재(31)의 날개부(36) 내측면에 스폰지 테이프(81)를 미리 부착하여 PC형 보(20)와 밀착시킴으로써 페이스트 상태의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거푸집은 접합부의 크기가 다소 변동되더라도 그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유니트 부재(31)의 측벽부 크기는 설치되는 PC형 기둥(10)과 보(20)의 크기에 따라서 유연성있게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는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은 유니트 부재(31)의 측벽부(35a)(35b) 사이에 이음 플레이트(82)를 개재시킴으로써 측벽부(35)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즉,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측벽부(35a)(35b) 사이에 이음 플레이트(82)를 삽입하고 접착제 또는 기타 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측벽부의 폭을 늘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니트 부재(31) 자체가 복수개의 이음 플레이트(82)로 구성되고, 조립되는 이음 플레이트(82)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거푸집 측벽부의 폭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이음 플레이트(82)에 도 32에 도시된 주먹장 이음홈(82a)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33에 도시된 거멀접기 이음홈(82b)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도 있다. 그러한 이음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결합 방식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이음수단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 기둥의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보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유니트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있어서 유니트 부재에 구비되는 벨트 고리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유니트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를 접합하여 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인양수단을 사용하여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설치된 거푸집에 보강바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설치된 거푸집에 보강 앵글을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구비되는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형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구비되는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구비되는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PC형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유니트 부재에 스폰지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측벽부에 설치되는 이음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측벽부에 설치되는 이음 플레이트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25)

  1.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로 구성되고,
    상기 유니트 부재 각각은,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36)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2.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두 개의 유니트 부재(41)로 구성되고,
    상기 유니트 부재(41) 각각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43);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부(45)는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제2 날개부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한 개의 제1 유니트 부재(41)와 두 개의 제2 유니트 부재(3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유니트 부재(4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 벽부(43);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니트 부재(3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부재(41)의 제2 날개부(45)는 인접하는 제2 유니트 부재(31)의 날개부(36)와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날개부의 상단 높이는 접합된 상기 PC형 보(20)의 상면(23c)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5.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한 개의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와 두 개의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로 구성되고,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65);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65)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66);
    상기 제2 측벽부(6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67);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 각각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폐쇄형 및 개방형 유니트 부재(61)(62)(63)의 날개부(67)(36)들이 상호 결합되어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의 제1 측벽부(65) 및 제2 측벽부(66) 그리고 날개부(67)의 상단은,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의 측벽부(35) 및 날개부(36)의 상단보다 '시공되는 슬래브의 두께(T) 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유니트 부재(61)는 두 개의 부분으로 등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8. PC형 기둥(10)과 PC형 보(20)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 및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74);
    상기 일측면(1a)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5);
    상기 일측면(1a)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타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측벽부(76);
    상기 제3 측벽부(7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77);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23)의 일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1 측벽부(78);
    상기 일측면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8)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9);
    상기 제2 측벽부(79)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 성된 날개부(80);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는,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 및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2 측벽부(75)는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1 측벽부(78)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3 측벽부(76)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2 측벽부(79)는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와 상호 결합되고,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들의 날개부(77)(80)(36)들이 상호 결합하여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의 제1, 제2, 제3 측벽부(74)(75)(76) 및 날개부(77)와 상기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의 제1, 제2 측벽부(78)(79) 및 날 개부(80)의 상단은, 상기 개방형 유니트 부재(73)의 측벽부(35) 및 날개부(36)의 상단보다 '시공되는 슬래브의 두께(T) 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거푸집-개구부(4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과 하면은 상기 PC형 보(20)에 구비된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부재의 측벽부에는 청소구(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유니트 부재들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벨트를 결합할 수 있는 벨트 고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부재는 측벽부의 폭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부재는 측벽부(35a)(35b) 사이에 이음 플레이트(82)를 개재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플레이트(82)에는 주먹장 이음홈(82a) 또는 거멀접기 이음홈(82b)을 형성하고 이들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6. PC형 기둥(10)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에 PC형 보(20)의 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하는 네 개의 유니트 부재(31)(32)(33)(34)를 체결수단으로 조립한 거푸집을 상기 PC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 하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에 상기 PC형 보(20)가 삽입된 채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C형 보(20) 위에 슬래브용 철근과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17. PC형 기둥(10)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에 PC형 보(20)의 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43)와,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와,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를 포함하는 두 개의 유니트 부재(41)들을 체결수단으로 조립한 거푸집을 상기 PC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 하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에 상기 PC형 보(20)가 삽입된 채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C형 보(20) 위에 슬래브용 철근과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18. PC형 기둥(10)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에 PC형 보(20)의 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42)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42)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43)와, 상기 제1 측벽부(42)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양측면(23a) 및 하면(23b)과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를 형성하는 제1 날개부(44)와, 상기 제2 측벽부(43)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날개부(45)를 포함하는 한 개의 제1 유니트 부재(41)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제2 유니트 부재(31)들을 체결수단으로 조립한 거푸집을 상기 PC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 하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에 상기 PC형 보(20)가 삽입된 채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C형 보(20) 위에 슬래브용 철근과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19. PC형 기둥(10)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에 PC형 보(20)의 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65)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두 측면(1b)(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65)의 양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66)와, 상기 제2 측벽부(6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67)를 포함하는 한 개의 폐쇄형 유니트 부재(61)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하는 두 개의 개방형 유니트 부재(62)(63)들을 체결수단으로 조 립한 거푸집을 상기 PC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 하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에 상기 PC형 보(20)가 삽입된 채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C형 보(20) 위에 슬래브용 철근과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0. PC형 기둥(10)을 공사 현장의 기초판 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에 PC형 보(20)의 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일측면(1a)과 접촉하는 제1 측벽부(74)와, 상기 일측면(1a)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5)와, 상기 일측면(1a)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몸체(1)의 측면(1c)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4)의 타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3 측벽부(76)와, 상기 제3 측벽부(76)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77)를 포함하는 제1 폐쇄형 유니트 부재(71)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23)의 일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 하는 제1 측벽부(78)와, 상기 일측면의 한쪽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측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측벽부(78)의 일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벽부(79)와, 상기 제2 측벽부(79)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 및 하면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80)를 포함하는 제2 폐쇄형 유니트 부재(72)와,
    상기 PC형 기둥(10)에 있는 콘크리트 몸체(1)의 인접하는 두 측면(1a)(1b)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35)와, 상기 측벽부(35)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PC형 보(20)에 있는 콘크리트 부재(23)의 일측면(23a) 및 하면(23b)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36)를 포함하는 개방형 유니트 부재(73)들을 체결수단으로 조립한 거푸집을 상기 PC 기둥(10)과 보(20)의 접합부 하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켜 인접하는 유니트 부재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거푸집-개구부(40)에 상기 PC형 보(20)가 삽입된 채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PC형 보(20) 위에 슬래브용 철근과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C형 기둥(10)의 외측면에 스캐폴드(51)를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폴드 상에 설치된 인양수단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부재의 양측 날개부 사이에 보강바(54)를 더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부를 가압하는 턴버클(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측벽부에 복수개의 보강 앵글(55)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과 PC형 보(20) 사이의 틈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기밀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KR1020090115734A 2009-11-27 2009-11-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07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34A KR101078795B1 (ko) 2009-11-27 2009-11-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34A KR101078795B1 (ko) 2009-11-27 2009-11-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100A true KR20110059100A (ko) 2011-06-02
KR101078795B1 KR101078795B1 (ko) 2011-11-01

Family

ID=4439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734A KR101078795B1 (ko) 2009-11-27 2009-11-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7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626A1 (es) * 2011-06-29 2013-01-03 Lopez Colinas Bruno Sistema constructivo de nodos de acero y columnas y trabes de concreto reforzado
CN103174291A (zh) * 2013-03-05 2013-06-2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大截面混凝土框架节点预制凹型模板制作法
CN104481141A (zh) * 2014-12-11 2015-04-01 吴士传 立柱横梁整体式现场浇灌建筑模板
CN106869321A (zh) * 2017-03-16 2017-06-20 南昌大学 一种加强的预制再生混凝土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102516906B1 (ko) * 2022-07-04 2023-04-04 주식회사 테솔루션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KR102562726B1 (ko) * 2022-05-30 2023-08-02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575B1 (ko) 2015-01-13 2016-10-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식 접합부 및 소성힌지 위치 조정이 가능한 pc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274A (ja) 2007-10-18 2009-05-07 Ohbayashi Corp 柱の構築工法及び柱型枠ユニッ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626A1 (es) * 2011-06-29 2013-01-03 Lopez Colinas Bruno Sistema constructivo de nodos de acero y columnas y trabes de concreto reforzado
CN103174291A (zh) * 2013-03-05 2013-06-2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大截面混凝土框架节点预制凹型模板制作法
CN104481141A (zh) * 2014-12-11 2015-04-01 吴士传 立柱横梁整体式现场浇灌建筑模板
CN106869321A (zh) * 2017-03-16 2017-06-20 南昌大学 一种加强的预制再生混凝土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102562726B1 (ko) * 2022-05-30 2023-08-02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KR102516906B1 (ko) * 2022-07-04 2023-04-04 주식회사 테솔루션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795B1 (ko)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79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JP3899366B1 (ja) 箱抜き用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箱抜き工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68685A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20010092471A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JP6512431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0701197B1 (ko) 해체 및 층고 절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시스템
KR20060117158A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2002294959A (ja) 鉄骨階段の取付金物及び鉄骨階段の取付け装置並びに取付け方法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H084196A (ja) 建物用パネル
JPH0657710A (ja) コンクリート主塔の築造方法
JPH113622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JP7389634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102237740B1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JPH048305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階段の施工法とこれに用いる階段手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階段段型枠
KR101179723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0235168A (ja) パネルゾーンの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