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906B1 -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06B1
KR102516906B1 KR1020220081994A KR20220081994A KR102516906B1 KR 102516906 B1 KR102516906 B1 KR 102516906B1 KR 1020220081994 A KR1020220081994 A KR 1020220081994A KR 20220081994 A KR20220081994 A KR 20220081994A KR 102516906 B1 KR102516906 B1 KR 10251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olgolbo
pair
formwork
unit
joi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8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는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하가 관통된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제1 철골보가 배치되는 제1 철골보 배치부; 및 상기 유닛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되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Pre-fabricated beam-column junction formwork}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공사 등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에 필요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제거해 버리는 가설재이나,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중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특히, 강성이 크고 가격은 저렴한 거푸집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자중에 상당하고, 무거운 재료를 높은 곳에서 조립하고 해체하는 작업에는 위험성이 수반되기도 한다.
종래 거푸집 재료로는 합판이나 철판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고 있으며, 보통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막음널과 이를 지지하는 버팀보, 띠장, 긴결재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철제 거푸집은 상대적으로 무거워 크레인 등 이동 장비로 조립 및 해체를 해야 하고, 초기 투자비가 비싸며, 띠장으로 앵글 등을 이용하는 등 부피 및 자중이 상당한 부담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거푸집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 및 시공량 증가는 공기 증가 및 공사비 증가의 주원인으로 작용한다.
보나 슬래브 등 수평 부재용 거푸집 시공은 그나마 용이한 작업에 속한다. 반면, 기둥이나 벽체 등 수직 부재용 거푸집 시공시에는 일시에 부어 넣는 콘크리트의 깊이가 3m에서부터 때로는 6-10m까지 이르므로 거푸집에 매우 큰 압력이 작용하며, 이러한 큰 압력으로부터 거푸집의 변형 또는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수직 부재용 거푸집은 해당 거푸집의 소요 내력이 영구구조물의 설계내력을 초과하도록 시공되는 경우도 많으며, 거푸집과 영구구조물의 형상 불일치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공사현장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어떠한 이유일지라도 건축물을 시공할 때는 기둥과 보를 세워야 하고 이들을 연결해야 한다. 특히, 기둥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판넬과 각재를 제작한 다음에 이들을 이용해서 기둥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다소 억지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러면 판넬과 각재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그 설치작업 역시 쉽지 않아 불필요하게 공기만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특히, 기존 조인트기구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740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1923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5816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06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하가 관통된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제1 철골보가 배치되는 제1 철골보 배치부; 및 상기 유닛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되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기 제1 철골보 배치부가 형성된 면에 교차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철골보와 교차되는 제2 철골보가 배치되는 제2 철골보 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이 한 몸체로 연결될 때,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들에 형성되는 제2 철골보 배치부가 하나의 공간을 이루어 상기 제2 철골보가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철골보 배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 막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기 유닛 바디의 측부에 마련되는 덧살 브래킷; 상기 덧살 브래킷 내에서 상기 유닛 바디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으로 삽입되고 체결 가능한 체결볼트; 및 상기 덧살 브래킷의 바닥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기둥에 체결되는 웨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가 설치될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를 여러 각도로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5는 코너 연결부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가 설치될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를 여러 각도로 도시한 이미지들, 도 5는 코너 연결부의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0)는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영역인 A 영역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는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은 구조가 동일하며, 현장에서 서로 맞대어 배치되고 연결된 후, 한 몸체로 사용된다. 따라서, 운반, 핸들링이 쉽고,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영역인 A 영역에 설치하기가 쉽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부여했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은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면판체(20)와, 한 쌍의 전면판체(20)의 배후에 배치되는 후면판체(30)로 연결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 한 쌍의 전면판체(20) 및 후면판체(30)의 연결을 위해 이들의 코너에 코너 연결부(40)가 마련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 한 쌍의 전면판체(20) 및 후면판체(30)는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판체 구조를 이룬다.
또한, 코너 연결부(40)를 통해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 한 쌍의 전면판체(20) 및 후면판체(30)가 사각의 덕트 구조로 연결되어 시공될 수 있으며, 필요 시 하나 혹은 두 개 이상의 구성이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코너 연결부(40)의 세부 구성은 아래 실시예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은 판상체의 구조물이며, 상단부에 홈부(11)가 형성되며, 철골 등의 구조체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한 쌍의 전면판체(20)는 갭(G)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0), 한 쌍의 전면판체(20) 및 후면판체(30)를 적절히 배치하는 한편, 코너 연결부(40)로 이들은 선택적으로 연결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를 쉽게 제작,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도 1의 A 영역에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참고로, 특정 기둥면에 철골보가 없다면 그에 맞게 그 중간에 갭(gap)이 없을 뿐, 전면판체(20) 및 후면판체(30)는 같은 부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의 이미지 붉은 색으로 표기한 코너 연결부에 있는 장공의 길이만큼 전면판체(20)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실제 현장에서 시공시 도면과 적게는 10mm 많게는 50mm 차이가 발생하기에 결합뿐만 아니라 위치 조정을 역할도 필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 좀 더 부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00)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보-기둥 접합부의 거푸집 설치작업을 진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콘크리트에 대한 분리 타설 또는 한 번에 타설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임에도 보-기둥 접합부의 거푸집 설치작업이 매우 쉬운데, 이러한 경우, 종전과 같은 후작업, 즉 종전처럼 기둥 거푸집(101)과 보 거푸집(103)을 연결하기 위한 판넬이나 각재를 별도로 만들고 설치하는 일련의 후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그대로 얹어 사용하면 된다. 또한, 설치 후 해체하지 않는 무탈형 거푸집이기에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해체 공정이 생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코너 연결부(40)는 설치 후에 해체된다. 하지만 고정 볼트만 풀면 쉽게 해체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도 좋거니와 작업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도 6의 측면도, 도 10은 도 6의 평면도, 도 11은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00) 역시,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영역인 A 영역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00)는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은 구조가 동일하며, 현장에서 서로 맞대어 배치되고 연결된 후, 한 몸체로 사용된다. 따라서, 운반, 핸들링이 쉽고,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영역인 A 영역에 설치하기가 쉽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부여했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은 각각은 유닛 바디(120)를 포함하며, 유닛 바디(120)의 각 위치에 아래 구조, 구성들이 형성, 마련되는 형태를 취한다.
유닛 바디(120)는 상하가 관통된 덕트 구조의 금속 구조물이다. 이러한 유닛 바디(120)의 일측면에 제1 철골보 배치부(131)가 배치된다.
제1 철골보 배치부(131)는 사각의 홈(또는 홀) 형태를 취하며, 도 1에 도시된 제1 철골보가 배치되게끔 한다. 제1 철골보 배치부(131)가 유닛 바디(120)의 정중앙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제1 철골보 배치부(131)와 함께 제2 철골보가 배치될 수 있게 유닛 바디(120)에 제2 철골보 배치부(132)가 더 형성된다.
제2 철골보 배치부(132)는 제1 철골보 배치부(131)가 형성된 면에 교차되는 위치의 유닛 바디(120)에 형성되고 제1 철골보와 교차되는 제2 철골보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때, 제1 철골보 배치부(131)는 독립적으로 제1 철골보가 배치될 수 있게끔 한다. 이에 반해, 제2 철골보 배치부(132)의 작용은 다르다. 즉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이 한 몸체로 연결될 때,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들에 형성되는 제2 철골보 배치부(132)가 하나의 공간을 이루어 제2 철골보가 배치되게끔 한다.
이러한 제2 철골보 배치부(132)는 측면 막음판(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측면 막음판(150)은 볼트 또는 타카 방식으로 해당 위치에 고정되면서 제2 철골보 배치부(132)를 차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막음판(150)이 효과적으로 제자리 배치될 수 있도록 측면 막음판(150)들에는 맞대기 플랜지(151)가 형성된다.
유닛 바디(120)의 단부에는 천장 고정용 플랜지(140)가 형성된다. 천장 고정용 플랜지(140)는 유닛 바디(120)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절곡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천장 고정용 플랜지(140)는 유닛 바디(120)의 단부에 마련되되 천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고정 방식은 타카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에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을 콘크리트 기둥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아래 구성, 구조들이 더 포함된다. 즉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110)은 유닛 바디(120)의 측부에 마련되는 덧살 브래킷(161)과, 덧살 브래킷(161) 내에서 유닛 바디(12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장공(162)과, 장공(162)으로 삽입되고 체결 가능한 체결볼트(163)와, 덧살 브래킷(161)의 바닥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기둥에 체결되는 웨지핀(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들, 즉 덧살 브래킷(161), 장공(162), 체결볼트(163) 및 웨지핀(164)이 기구 단위유닛(110)에 더 적용되고 활용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100)를 도 1의 A 영역에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장공(162)의 높이만큼 거푸집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을 철골보에 더 치밀하게 밀착시켜 조인트 부위의 거푸집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200) 역시,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21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210)는 구조가 동일하며, 현장에서 서로 맞대어 배치되고 연결된 후, 한 몸체로 사용된다. 따라서, 운반, 핸들링이 쉽고,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영역인 A 영역에 설치하기가 쉽다.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210)는 각각은 유닛 바디(22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유닛 바디(220)에 복수 개, 예컨대 제1 및 제2 제1 철골보 배치부(231a,231b)가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 예컨대 제1 및 제2 제1 철골보 배치부(231a,231b)가 마련되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맞게 제1 및 제2 제1 철골보 배치부(231a,231b) 중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대신 제1 및 제2 제1 철골보 배치부(231a,231b)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에는 차폐판(270)으로 막아두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른 효율적인 구조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종래보다 월등히 단축시키면서도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조인트기구 110 : 기구 단위유닛
120 : 유닛 바디 131 : 제1 철골보 배치부
132 : 제2 철골보 배치부 140 : 천장 고정용 플랜지
150 : 측면 막음판 161 : 덧살 브래킷
162 : 장공 163 : 체결볼트
164 : 웨지핀

Claims (5)

  1.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하가 관통된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제1 철골보가 배치되는 제1 철골보 배치부;
    상기 유닛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되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 고정용 플랜지;
    상기 유닛 바디의 측부에 마련되는 덧살 브래킷;
    상기 덧살 브래킷 내에서 상기 유닛 바디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으로 삽입되고 체결 가능한 체결볼트; 및
    상기 덧살 브래킷의 바닥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기둥 거푸집 상부에 체결되는 웨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 각각은,
    상기 제1 철골보 배치부가 형성된 면에 교차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철골보와 교차되는 제2 철골보가 배치되는 제2 철골보 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이 한 몸체로 연결될 때, 상기 한 쌍의 기구 단위유닛들에 형성되는 제2 철골보 배치부가 하나의 공간을 이루어 상기 제2 철골보가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철골보 배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 막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5. 삭제
KR1020220081994A 2022-07-04 2022-07-04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KR10251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94A KR102516906B1 (ko) 2022-07-04 2022-07-04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94A KR102516906B1 (ko) 2022-07-04 2022-07-04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906B1 true KR102516906B1 (ko) 2023-04-04

Family

ID=8592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94A KR102516906B1 (ko) 2022-07-04 2022-07-04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97U (ko) * 1995-03-28 1996-10-24 박재수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JPH0988180A (ja) * 1995-09-28 1997-03-31 Ohbayashi Corp 薄肉pc型枠における柱仕口部の補助型枠構造
KR20090074038A (ko) 2006-10-10 2009-07-0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경화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20100000605U (ko) 2008-07-10 2010-01-22 백수영 가정용 청소기 전선 감기는 부분을 응용한 가전제품 응용
KR20110059100A (ko) * 2009-11-27 2011-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20120019239A (ko) 2010-08-25 2012-03-06 이출성 어류 동면 장치
KR20130011408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영구보거푸집 설치용 기둥캡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97U (ko) * 1995-03-28 1996-10-24 박재수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JPH0988180A (ja) * 1995-09-28 1997-03-31 Ohbayashi Corp 薄肉pc型枠における柱仕口部の補助型枠構造
KR20090074038A (ko) 2006-10-10 2009-07-0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경화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20100000605U (ko) 2008-07-10 2010-01-22 백수영 가정용 청소기 전선 감기는 부분을 응용한 가전제품 응용
KR20110059100A (ko) * 2009-11-27 2011-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20120019239A (ko) 2010-08-25 2012-03-06 이출성 어류 동면 장치
KR20130011408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영구보거푸집 설치용 기둥캡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2274029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CN110337519B (zh) 永久性混凝土模壳及使用这种模壳制造金属混凝土复合结构的方法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516906B1 (ko)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1016453B1 (ko) 대각가새의 접합구조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KR102011838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보 구조물
CN1329589C (zh) 地下梁结构框架和使用该结构框架的地下梁构造方法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JP691010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CN205444453U (zh) 装配式预应力双t板框架结构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JP7010709B2 (ja) プレハブ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100885662B1 (ko) 중간 지지대의 최소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20200124891A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CN218265122U (zh) 一种消防连廊底部支撑装置
CN213204965U (zh) 一种梁的铝合金角模板结构
KR101139762B1 (ko) 건축물용 보강 벽의 시공 방법
CN217631278U (zh) 一种预制柱接头结构
KR102646851B1 (ko) 현장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둥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