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26B1 -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26B1
KR102562726B1 KR1020230015344A KR20230015344A KR102562726B1 KR 102562726 B1 KR102562726 B1 KR 102562726B1 KR 1020230015344 A KR1020230015344 A KR 1020230015344A KR 20230015344 A KR20230015344 A KR 20230015344A KR 102562726 B1 KR102562726 B1 KR 10256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idewall
sealing cover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욱
이재준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4Saw chains; rod-like saw blades; saw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에 재난이 발생 할 경우 이를 철거토록 하여 재난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어쏘에 의해 절단되는 구조물의 절단부위를 덮는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와 연결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와이어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내장되도록 상기 개구를 덮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STRUCTURE CUTTING DEVICE FOR DISASTER RELIEF}
본 발명은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 및 수중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에 재난이 발생 할 경우 이를 철거토록 하여 재난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은 사용에 따라 어느 한 쪽이 무너지거나 또는 기울어지거나 금이 가는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건축물을 유지보수 하거나 철거함으로써 인명, 재산 피해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와이어쏘는 경도가 큰 다이아몬드 재질로 형성된 톱으로서, 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쏘는 건물 밀집지역에 있는 건물의 유지보수 및 해체, 시설을 전면 중단 시 손실이 큰 산업체의 유지보수, 장소가 협소하거나 깨끗한 절단면을 요구하는 건물의 증축과 유지보수, 교통장애 등 일반 시민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도로, 교량 해체 등을 위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절단공법에서는 절단 시 절단부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물을 주입하여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濕式) 절단의 경우 절단 능률은 좋으나 시간당 600ℓ 이상 사용되는 물과 콘크리트 및 절단 자재의 가루가 섞여 만들어지는 슬러지(Sludge)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여 공기 중으로 비산되거나 현장에 버려지고, 수중(水中) 절단의 경우에는 바다나 강, 하천으로 슬러지가 버려져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공개특허 제10-2021-0006058호(이하 종래기술) 참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육상(陸上) 작업시 물을 주입하지 않고 절단할 수 있는 건식(乾式) 와이어쏘 절단방법이 개발되어 기대를 받고 있으나 냉각능력이 떨어져 전반적인 작업능률 저하를 불러 실효성 있는 공법으로 검증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건식 와이어쏘 공법도 수중 공사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바다나 강, 하천이 많은 국내 실정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중 절단에 사용이 가능하며 육상에서처럼 작업능률도 떨어지지 않는 친환경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환휠(풀리)을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와이어쏘가 파단될 경우 주변에 위험을 초래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육상에서 와이어쏘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절단할 경우 큰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상 및 수중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에 재난이 발생 할 경우 이를 철거토록 하여 재난 발생을 방지하고, 냉각수 유출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여 생산되는 가루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와 같은 구동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와 같은 구동부를 효과적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쏘가 파단될 경우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안전성을 제공하여 구조물 절단 공정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와이어쏘에 의해 절단되는 구조물의 절단부위를 덮는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와 연결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와이어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내장되도록 상기 개구를 덮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착결합수단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클; 상기 버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 및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가 걸림 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상부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 한 쌍의 제1측벽 일단을 연결하는 제2측벽, 한 쌍의 제1측벽 타단보다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되 상기 제2측벽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3측벽, 상기 제1측벽의 타단과 상기 제3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제1측벽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판, 상기 제2측벽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2판, 상기 제3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3판, 상기 경사벽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4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제2판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돌기, 상기 제3판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 및 상기 제3돌기는 패킹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육상 및 수중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고,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에 재난이 발생 할 경우 이를 철거토록 하여 재난 발생을 방지하고, 냉각수 유출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여 생산되는 가루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와 같은 구동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와 같은 구동부를 효과적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쏘가 파단될 경우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안전성을 제공하여 구조물 절단 공정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우징 및 밀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관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볼트공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우징 및 밀폐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관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절단장치(C)(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는 육상(건식) 및 수중(습식)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1)을 절단하여 재난 발생을 억제하고 재난 구조를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밀폐커버(200), 하우징(100), 및 탈착결합수단(7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와이어쏘(10), 구동부(20), 슬러지 배출부(300), 정수조(4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쏘(10)는 구동부(20)에 일부분이 연결되고, 다른 부분이 절단대상이 되는 구조물(1)의 절단부분(부위)을 감싸도록 밴드 형태를 이룬다.
와이어쏘(10)는 구동부(20)에 연결되어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조물(1)을 절단하게 된다.
구동부(20)는 예시적으로 와이어쏘(10)를 감거나 와이어쏘(10)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하는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와이어쏘(10)의 방향을 전환하는 풀리(30)(방향전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풀리(30)는 후술하는 하우징(100)에 다수가 구비되어 와이어쏘(10)가 구조물(10)의 절단부분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감싸도록 하여 고속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쏘(10)를 상기 풀리(30)에 걸어 연결한 후, 구동부(20)의 모터 등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상태로, 와이어쏘(10)에 의해 구조물(1)이 절단되게 된다.
상기 구조물(1)의 절단부분과 상기 구동부(20) 모터가 높이 차가 있는 경우, 일예로 상기 절단부분은 수심이 낮은 곳에 위치되고, 상기 모터는 수면상에 위치될 때, 유압장치(340), 침전조(350) 및 정수조(400)는 수면상에 위치되게 되는데, 풀리(30)에 의해 상기 와이어쏘(10)의 진행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쏘(10)가 구조물(1)을 절단하는 방식은 공지된 기술(예시적으로 등록특허 제10-0898151로 참조)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밀폐커버(200)는 와이어쏘(10)에 의해 절단되는 구조물(1)의 절단부위를 덮는 것이다. 밀폐커버(200)는 단면상에서 구조물(1)을 향하는 측이 개구된 형태로 개구된 부분을 구조물(1)에 의해 덮어지도록 밀폐커버(200)를 볼팅 등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구조물(1)을 감싸는 와이어쏘(10) 부분을 덮고 구조물(1)의 절단부위를 덮는다.
이를 통해 와이어쏘(10)에 의해 구조물(1)이 절단되어 생기는 가루 등과 후술하는 상기한 정수조(400)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밀폐커버(200)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밀폐커버(200)와 연결되고 상측에 개구(101h)가 형성된 제1바디(101), 및 상기 와이어쏘(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0)의 풀리(30)가 내장되도록 개구(101h)를 덮는 제2바디(102)를 포함한다.
이때 탈착결합수단(700)은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도 5는 제1바디의 평면도이인데, 제1바디(101)를 상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이하에서 하우징(100)을 설명할 때, 상기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은 도 5를 기준으로 평면측(평면부, 평면측단, 평면 등)(도 2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은 도 5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도 2를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바디(101)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101a), 한 쌍의 제1측벽(101a) 일단을 연결하는 제2측벽(101b), 한 쌍의 제1측벽(101a) 타단보다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101b)과 마주보되 상기 제2측벽(101b)보다 짧은 길이(도 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제3측벽(101c), 상기 제1측벽(101a)의 타단과 상기 제3측벽(101c)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벽(10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제1측벽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해지는 하중을 경사벽(101d)을 통해 제3측벽(101c)이 제1측벽(101a)에 대하여 멀어지도록 분산시켜, 하우징(1010)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일단 등)은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우측단 등)을 의미하고, 타 측(타단 등)은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좌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개구(101h)는 제1측벽(101a), 제2측벽(101b), 제3측벽(101c), 및 경사벽(101d)의 상단이 형성하는 구멍을 의미하고, 제1바디(101)는 제1측벽(101a), 제2측벽(101b), 제3측벽(101c), 및 경사벽(101d)의 하단이 형성하는 바닥구멍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한 제1바디(101)는 상기한 바닥구멍이 구조물(1)에 덮어지도록 구조물(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제1바디(101)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댐판(106)을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맞댐판(106)은 볼트공(106h)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공(106h)(도 7 참조)은 상기 맏댐판(106)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볼트공(1066)에 구조물(1)에 삽입 체결되는 볼트부재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0)과 구조물(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수평 방향이란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바디(102)는 탈착결합수단(700)에 의해 제1바디(101)의 개구(101h)를 덮도록 제1바디(10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20)의 풀리(30)가 내장되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과 달리 풀리(30)와 같은 장비들을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바디(102)를 제1바디(101)와 분리하여 풀리(30)와 풀리(30)에 의해 이동되는 와이어쏘(10)를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탈착결합수단(7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착결합수단(700)은 상기 제1바디(101)에 결합된 베이스(701), 상기 베이스(7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702), 상기 버클(70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703), 및 상기 제2바디(102)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703)가 걸어져 결합되는 후크(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버클(702)은 상기한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도록 베이스(701)와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자(703)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한 버클(702)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는, 고정자(703)가 상기한 후크(704)에 걸어지도록 버클(702)을 제2바디(102) 측으로 회동 시키고, 이후에 고정자(703)를 회동시켜 상기 후크(704)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후에 다시 버클(702)이 베이스(701) 측으로 가도록 회동 시켜 고정자(703)를 후크(704)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클(702)을 다시 제2바디(102) 측으로 회동시키고, 후크(704)에서 고정자(703)를 빼낸 다면,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는 탈착결합수단(7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에서 풀리(30)가 내장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어 풀리(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풀리(30)를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기 제1바디(1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103)은 한 쌍의 제1측벽(101a)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판(103a), 상기 제2측벽(101b)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2판(103b), 상기 제3측벽(101c)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3판(103c), 상기 경사벽(101d)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4판(103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제1바디(101)를 평면상에서 봤을 때(도 5 참조) 상기 중심측을 의미한다.
이때 하우징(100)은 상기 지지판(103)의 둘레를 따라 상부(상면 상)에 구비되는 패킹(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패킹(104)은 예시적으로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한 패킹(104)은 상기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재1바디(101)와 제2바디(102) 사이로 물질 및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와 가루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하우징(100) 외부의 물 등이 하우징(10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판(103)은 상기한 제2바디(102)의 접촉 면적을 증가 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기 지지판(103)의 상부(상면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돌기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재(105)는 제1바디(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03)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102)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탈착결합수단(700)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탈착결합수단(700)이 손상 변형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재(105)는 상기 제2판(103b) 상부(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돌기(105a) 및 제3판(103c) 상부(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돌기(10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105a) 및 제3돌기(105b)는 패킹(104)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돌기부재(105)는 강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돌기부재(105)가 패킹(104)보다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돌기부재(105)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특히 하우징(100) 외부의 물에 의해 돌기부재(105)가 부식되어 열화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101)에서 돌출 구비되는 연결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제1바디(101)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연결홈(108)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연결홈(108)이 상기 밀폐커버(200)의 후술하는 홈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한 연결부(107)는 상기 연결홈(108)을 형성하는 제1바디(101)의 두께면이나 또는 제1바디(101)의 외부 표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연결부(107) 및 밀폐커버(200)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07)와 밀폐커버(200)는 상기 연결부(107)가 상기 밀폐커버(200)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밀폐커버(200)의 단부가 상기 연결부(107)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커버(200)가 상기 연결부(107)에 지지되거나 상기 연결부(107)가 구비되는 하우징(100)이 상기 밀폐커버(2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부(107)와 밀폐커버(20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하중의 집중이 분산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밀폐커버(200)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후술하는 관측부재(800)에 의해 관통공이 덮어져 도시되지 않았다.
이때 본 장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200)와 결합되는 결합부(801), 및 상기 결합부(801)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을 덮는 투명창(802)을 포함하는 관측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공에는 볼트(B)가 관통되어 밀폐커버(200)와 결합부(801)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관측부재(800)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쏘(10)의 상태와 와이어쏘(10)에 의해 절단되는 구조물(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관통공을 통해 가루, 냉각수 등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하우징(100)과 밀폐커버(200)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쏘(10)가 파단됨에 따라 튕겨 나가 인부 들이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하우징(100)과 밀폐커버(200)를 포함하여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장치는 하우징(100)과 밀폐커버(200)를 포함함으로써, 육상 및 수중 작업 시 와이어쏘(10)가 동작하여도 작업자가 위험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제공하고, 본 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 시에 작업자가 본 장치의 와이어쏘(10)에서 떨어져 있을 필요가 없어 신속히 절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슬러지 배출부(300)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 및 밀폐커버(200)에서 포집된 상기 슬러지 및 분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 배출부(300)는 유압장치(340)에 의해 슬러지 및 분진이 배출관을 통해 침전조(350)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정수조(400)에는 상기 침전조(350) 내부로 배출된 슬러지가 침전되어,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 상층수가 걸러져서 정수조(400)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 정수조(400)에 정수된 상층수는 급수용 펌프나 자연압을 이용하여, 급수배관(410)을 통해 상기 밀폐커버(200)의 내부로 급수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부(300)는 실린더펌프(310), 유압모터(320), 유압동력라인 (330), 유압장치(340) 및 침전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펌프(310)는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상기 지그케이스(1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펌프(310)의 하단과 상기 침전조(350)를 연결하는 배출관이 구비된다.
동력원인 유압장치(340)에 유압동력라인(330)으로 연결되는 상기 유압모터(320)에 의해 상기 실린더펌프(310)내부의 피스톤(312)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및 밀폐커버(200)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관을 통해 상기 침전조(35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실린더펌프(310) 사이에는 체크밸브(Check Valve: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연결부(107)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맏댐판(106)과 연결되는 맞댐플레이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맞댐플레이트(108)는 다수의 볼트공(108h)(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공(108)은 맞댐플레이트(108)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바디(102)는 상후 마주보되 한 TKd의 제1측벽(101a) 각각의 상단에 하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제1측면(102a), 한 쌍의 제1측면(102a)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2측벽(101b) 상단에 하단이 지지되는 제2측면(102b), 한 쌍의 제1측면(102a)보다 타 측에 배치되고 제2측면(102b)과 마주보되 제2측면(102b)보다 짧은 폭(도 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을 갖고 제3측벽(101c) 상단에 하단이 지지되는 제3측면(102c), 한 쌍의 제1측면(101a) 각각의 타단과 제3측면(102c) 단부를 연결하는 두개의 경사면(102d), 및 상기 제1측면(101a), 상기 제2측면(102b), 제3측면(102c), 경사면(102d)의 상단을 연결하는 6각형 형상의 마감면(102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경사면(102d)은 한 쌍의 제1측면(102a)이 가까워지도록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제3측면(102c)이 제1측면(102a)과 멀어지도록 하여 분산시킬 수 있어, 제2바디(102)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경사면(102d)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측면(102a)과 제3측면(103)이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지기 때문에 제2바디(102)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내부공간이 증가하게 되는데, 하우징(100)의 하측은 구조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풀리와 같은 장비들이 지지되는 데, 풀리와 같은 장비들이 수용되는 제2바디(102)의 하부측은 그 내부공간을 크게하여 수용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102d)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상측으로 갈수록 제1측면(102a)과 제3측면(102c)이 가까워져 제2바디(102)의 내부공간이 감소하게 되고, 측면의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변형 및 변형이 지속됨에 따라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와이어쏘: 10 구동부: 20
풀리: 30 하우징: 100
제1바디: 101 개구: 101h
제1측벽: 101a 제2측벽: 101b
제3측벽: 101c 경사벽: 101d
제2바디: 102 지지판: 103
제1판: 103a 제2판: 103b
제3판: 103c 제4판: 103d
패킹: 104 돌기부재: 105
제2돌기: 105a 제3돌기: 105b
맞댐판: 106 연결부: 107
연결홈: 108 밀폐커버: 200
탈착결합수단: 700 베이스: 701
버클: 702 고정자: 703
후크: 704 관측부재: 800
결합부: 801 투명창: 802

Claims (2)

  1. 와이어쏘에 의해 절단되는 구조물의 절단부위를 덮는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와 연결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와이어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내장되도록 상기 개구를 덮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상부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돌기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 한 쌍의 제1측벽 일단을 연결하는 제2측벽, 한 쌍의 제1측벽 타단보다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되 상기 제2측벽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3측벽, 상기 제1측벽의 타단과 상기 제3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제1측벽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판, 상기 제2측벽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2판, 상기 제3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3판, 상기 경사벽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4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제2판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돌기, 상기 제3판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 및 상기 제3돌기는 패킹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커버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을 덮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관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결합수단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클;
    상기 버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 및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가 걸림 되는 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맞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상기 제3측벽, 및 경사벽의 상단이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 하단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한 연결홈과 연통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밀폐커버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연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맞댐판은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맞댐판과 연결되는 맞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적 안정성
    상기 맞댐플레이트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호 마주보되 한 쌍의 제1측벽 각각의 상단에 하단이 지지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한 쌍의 제1측면 일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2측벽 상단에 하단이 지지지되는 제2측면, 한 쌍의 제1측면보다 타 측에 배치되고 제2측면과 마주보되 상기 제2측면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3측벽 상단에 하단이 지지되는 제3측면, 한 쌍의 제1측면 각각의 타단과 상기 제3측면 단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경사면, 및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경사면의 상단을 연결하는 6각형 형상의 마감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절단장치.
KR1020230015344A 2022-05-30 2023-02-06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KR102562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38 2022-05-30
KR20220065938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26B1 true KR102562726B1 (ko) 2023-08-02

Family

ID=8756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344A KR102562726B1 (ko) 2022-05-30 2023-02-06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042A (ja) * 2004-10-01 2006-04-20 Wakai & Co Ltd 壁面穿孔に用いる集塵容器
KR20110059100A (ko) * 2009-11-27 2011-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2284384B1 (ko) * 2021-01-21 2021-07-30 이재준 친환경 와이어 쏘 절단 장치에 사용되는 방향 전환용 지그와 절단 대상물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 및 상기 밀폐 커버를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042A (ja) * 2004-10-01 2006-04-20 Wakai & Co Ltd 壁面穿孔に用いる集塵容器
KR20110059100A (ko) * 2009-11-27 2011-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접합부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2284384B1 (ko) * 2021-01-21 2021-07-30 이재준 친환경 와이어 쏘 절단 장치에 사용되는 방향 전환용 지그와 절단 대상물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 및 상기 밀폐 커버를 설치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384B1 (ko) 친환경 와이어 쏘 절단 장치에 사용되는 방향 전환용 지그와 절단 대상물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 및 상기 밀폐 커버를 설치하는 방법
JP5984090B2 (ja) 仮締切用函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締切工法
KR102562726B1 (ko) 재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절단장치
CN111042203A (zh) 一种井盖更换机
KR200404280Y1 (ko) 수밀성 맨홀 뚜껑 조립체
KR100898152B1 (ko) 차수부재를 구비한 와이어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방법
KR102595690B1 (ko) 와이어 쏘 절단장치의 모서리부 안내겸내부점검유닛
US11773550B2 (en) Rotational deck with shock-reducing front block of emergency vehicle return apparatus for median strip
JP4887100B2 (ja) 法面等の作業機械の牽吊り装置
KR101938216B1 (ko) 스키드로더 설치용 파쇄기
JP3707370B2 (ja) 止水シェルタおよび止水工事方法
CN113638377B (zh) 一种围挡装配式水下混凝土破损干地修复方法
JP6635636B1 (ja) 切断方法
KR20050120016A (ko)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19980066770U (ko) 하수박스 내부 유지관리용 장비
KR100689835B1 (ko) 건식 가물막이 구조, 및 건식 가물막이 공법
KR100708627B1 (ko) 회전식 지면 평삭기
CN209959535U (zh) 一种污水处理用的内回流泵
CN211922906U (zh) 一种市政工程的给排水管安装结构
KR100995058B1 (ko) 진동 저감형 분리형 철도 교량받침 및 그의 보수 방법
CN213981931U (zh) 一种减速机防进浆密封结构
CN215946787U (zh) 一种隔挡装置和流体隔挡流通设备
KR100499072B1 (ko) 수압 또는 자중을 이용한 임시 물막이 구조물 및 이를이용한 수리구조물 신설 또는 보수방법
JP6948278B2 (ja) 点検用の歩廊を備えたポンプシステム
JP4206897B2 (ja) 排水ポン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