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590A -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590A
KR20110057590A KR1020090114053A KR20090114053A KR20110057590A KR 20110057590 A KR20110057590 A KR 20110057590A KR 1020090114053 A KR1020090114053 A KR 1020090114053A KR 20090114053 A KR20090114053 A KR 20090114053A KR 20110057590 A KR20110057590 A KR 2011005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attery pack
terminal
large capacity
capacit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180B1 (ko
Inventor
한정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180B1/ko
Priority to JP2010163110A priority patent/JP5295183B2/ja
Priority to US12/903,739 priority patent/US20110123848A1/en
Priority to EP10190124A priority patent/EP2333872B1/en
Priority to CN201010563577.5A priority patent/CN102074673B/zh
Publication of KR2011005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셀들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셀들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과, 일측 단부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탭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Battery pack and assembly of battery pack for large capacity power}
본 발명은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버스바와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는 확대부를 구비하므로 배터리 팩들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정전이 존재하지 않는 전원공급 장치를 말한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공급전원(commercially supplied power)과 중단 없는 전원공급이 요구되는 전기적 부하(electrical load)의 사이에 완충장비(buffer)로 사용된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상용시에는 전원을 축전지에 저장하고, 정전이나 설비의 전원공급 입력단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축전지에 저장해 둔 양질의 안전한 전원을 설비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정류기(rectifier), 인버터(inverter), 그리고 배터리 시스템(battery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UPS에 구비되는 배터리 시 스템의 용량은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받는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생산 설비나 컴퓨터 시스템 등을 지원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배터리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UPS 용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대용량 배터리 팩들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2차 전지 셀들을 구비한다. 설비가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팩들의 대전류 단자들은 금속 재질의 버스바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팩에서 인출된 대전류 단자가 배터리팩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취약하므로, 버스바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배터리팩의 케이스나 대전류 단자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전기적 연결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 팩들을 연결할 때에 전기적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배터리 팩들을 서로 연결하는 조립 작업 중에도 배터리 팩의 대전류용 단자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버스바 와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는 확대부를 구비하므로 배터리 팩들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셀들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셀들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과, 일측 단부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탭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의 일측 단부는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되어 케이싱에 대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는 케이싱에 형성된 수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케이싱은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유동 방지부는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나사홈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에 의해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은 일측 단부에 나사와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 연결부는 나사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은 일측 단부에 수용홈과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의 타측 단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 나사 면이 형성될 수 있고, 확대부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는, 복수 개의 셀들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셀들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과, 일측 단부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탭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표면에 나사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단자의 타측 단부는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과, 단자가 통과하는 두 개 이상의 통공들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대용량 배터리 팩들의 단자들을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금속재의 버스바와, 단자의 타측 단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버스바가 확대부와 접촉하도록 버스바를 단자에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용량 배터리 팩은,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고, 이 확대부가 버스바와 면 접촉을 이루므로 배터리 팩들을 서로 연결할 때에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단자의 일측 단부는 단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구비하므로, 배터리 팩에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버스바를 연결하는 조립 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단자의 기계적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탭의 단부가 유동 방지부와 나사의 사이에 삽입되거나 유동 방지부와 케이싱의 수용홈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케이싱 내의 셀들과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구성 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셀들(20)을 수용하는 케이싱(10)과, 셀들(20)에 연결되며 케이싱(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30)과, 탭(30)에 연결되어 케이싱(1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자(40)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셀들(20)은 원통형 이차전지가 사용되었다.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캔과, 원통형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대용량 배터리 팩은, 연이어 배치되며 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셀들(2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 사용되는 셀들은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형 이차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형으로 제조된 이차전지도 사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들(20)은 탭(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서 셀들(20)은 탭(30)에 의해 병렬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셀들(20)의 연결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셀들(20)은 직렬로 연결되거나 직렬과 병렬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연결될 수도 있다.
케이싱(10)은 수용되는 셀들(20)의 크기와 수량에 적절한 크기의 장착공 간(11)을 구비하므로, 복수 개의 셀들(20)을 수용할 수 있다.
셀들(20)은 케이싱(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3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탭(30)은 니켈과 같이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며 판상으로 제조된다. 니켈 이외에도 전기 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탭(30)에 사용될 수 있다. 탭(30)은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셀들(20)의 전극들과 접촉하도록, 케이싱(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탭(30)은 용접에 의해 각각의 셀(20)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셀들(20)의 전류를 케이싱(10)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충전 전류를 셀들(20)로 흐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40)가 배치된다. 단자(40)의 일측 단부는 케이싱(10)의 내부에서 탭(30)에 연결되고, 단자(40)의 타측 단부(41)는 케이싱(10)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단자(40)의 일측 단부는 케이싱(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케이싱(10)에 대한 단자(4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42)를 구비한다. 단자(40)의 타측 단부(4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 나사면(44)을 구비한다. 단자(40)의 나사면(44)은 배터리 팩들을 연결하는 버스바(60)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71)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버스바(60)는 단자(40)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61)을 구비한다.
단자(40)의 유동 방지부(42)는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제조되며, 관통 구멍(43)을 구비한다. 케이싱(10)에는 관통 구멍(43)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홈(19)이 형성된다. 유동 방지부(42)는 관통 구멍(43)을 통과하여 케이싱(10)의 나사홈(19)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50)에 의해 케이싱(10)에 고정될 수 있다.
단자(40)의 타측 단부(41)는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확대부(45)를 구비한다. 확대부(45)는 타측 단부(41)에 일체로 형성된다. 확대부(45)는 링 형상을 가지므로 버스바(60)와 면 접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들을 서로 연결할 때에 배터리 팩들의 전기적 연결이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탭(30)은 유동 방지부(42)와 나사(50)의 사이에 삽입되는 단자 연결부(31)를 구비한다. 탭(30)의 일측 단부가 유동 방지부(42)와 나사(50)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절곡됨으로써 단자 연결부(31)가 형성된다. 단자 연결부(31)는 충분한 접촉 면적을 가지며 유동 방지부(42)와 접하도록 유동 방지부(4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확대된다.
단자 연결부(31)에는 나사(50)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32)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50)가 탭(30)의 단자 연결부(31)의 관통 구멍(32)과 유동 방지부(42)의 관통 구멍(43)을 차례로 통과하여 케이싱(10)의 나사홈(19)에 나사 결합하면, 유동 방지부(42)가 케이싱(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탭(30)과 유동 방지부(42)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단자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케이싱(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셀들(20)과 탭(30)과 단자(40)를 조립한 후 케이싱(10)에 커버(13)를 결합하면, 도 4과 같이 배터리 팩(3)의 조립이 완료된 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싱(10)의 내부에는 보호회로가 추가적으로 내장될 수도 있다. 보호회로는 셀들(20)의 충전시 또는 방전시의 과전류와 단락(short circuit)과 같은 안전하지 않은 조건들을 검출하고, 셀들(20)의 손상을 방지하고, 과열, 발화, 폭발 등의 위험한 사고들로부터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팩(3)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단자(40)의 타측 단부(41)가 케이싱(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케이싱(10)의 외부에 돌출된 단자(40)를 버스바(60)의 관통 구멍(61)을 삽입한 후 와셔(72)를 개재하여 너트(71)를 단자(40)에 나사 결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조립된 배터리 팩들(3)은 단자들(40)을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금속재의 버스바(60)에 의해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6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것 같이 와셔(72)와 너트(71)에 의해 배터리 팩(3)의 단자(40)에 결합된다.
버스바(60)와 너트(71)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 팩들(3)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4)가 완성된다.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4)에 포함되는 배터리 팩들(3)의 개수는 요구되는 축전 및 방전 용량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60)가 케이싱(10)의 단자(40)에 결합될 때에는 너트(71)의 작용으로 인해 유동 방지부(42)가 도 3에서 상측 방향으로 강한 힘으로 당기어진다. 그러나 유동 방지부(42)는 나사(50)에 의해 케이싱(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버스바(60)를 조립할 때의 너트(71)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 단자(40)의 확대부(45)는 버스바(60)와 면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탭(30)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 연결부(31)가 나사(50)와 유동 방지부(4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버스바(60)를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여도 탭(30)과 단자(4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단자 연결부(31)과 유동 방지부(42)와 넓은 접촉 면적을 이루고 있으므로 접촉 부위에서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에 있어서, 대용량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셀들(120)을 수용하는 케이싱(110)과, 셀들(120)에 연결되며 케이싱(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130)과, 탭(130)에 연결되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자(140)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셀들(120)은 탭(1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싱(110)은 복수 개의 셀들(120)을 수용할 수 있다. 셀들(120)은 케이싱(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13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탭(130)은 니켈과 같이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며 판상으로 제조된다. 탭(130)은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셀들(120)의 전극들과 접촉하도록, 케이싱(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탭(130)은 용접에 의해 각각의 셀(120)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10)에는 셀들(120)의 전류를 케이싱(110)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충 전 전류를 셀들(120)로 흐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140)가 배치된다. 단자(140)의 일측 단부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탭(130)에 연결되고, 단자(140)의 타측 단부(141)는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단자(140)의 일측 단부는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케이싱(110)에 대한 단자(14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142)를 구비한다. 단자(140)의 타측 단부(14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 나사면(144)을 구비한다. 단자(140)의 나사면(144)은 배터리 팩들을 연결하는 버스바(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미도시)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단자(140)의 유동 방지부(142)는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제조된다. 케이싱(110)에는 유동 방지부(142)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15)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유동 방지부(142)는 케이싱(110)의 수용홈(115)에 삽입되므로, 단자(140)에 버스바를 연결하는 조립 작업을 실시하는 동안에도 수용홈(115)에 의해 회전하거나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않는다.
버스바가 케이싱(110)의 단자(140)에 결합될 때에는 단자(140)의 나사면(144)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미도시)의 작용으로 인해 유동 방지부(142)가 강한 힘으로 당기어진다. 그러나 유동 방지부(142)는 케이싱(10)의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버스바를 조립할 때의 너트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는다.
단자(140)의 타측 단부(141)는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확대부(145)를 구비한다. 확대부(145)는 타측 단부(141)에 일체로 형성된다. 확대 부(145)는 링 형상을 가지므로 버스바(미도시)와 면 접촉을 할 수 있다. 즉 너트를 사용하여 버스바를 단자(140)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자(140)의 확대부(145)는 버스바와 면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탭(130)은 일측 단부에 유동 방지부(142)와 수용홈(115)의 사이에 삽입되는 단자 연결부(131)를 구비한다. 단자 연결부(131)는 탭(130)의 일측 단부에서 수용홈(115)에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유동 방지부(142)가 케이싱(110)의 수용홈(115)에 수용될 때에, 수용홈(115)과 유동 방지부(142)의 사이에 단자 연결부(131)가 삽입되면 셀들(120)이 탭(130)의 단자 연결부(131)를 통해 단자(140)의 유동 방지부(142)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유동 방지부(142)의 크기와 수용홈(115)의 크기를 거의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써 유동 방지부(142)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동 방지부(142)가 케이싱(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탭(130)과 유동 방지부(142)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구성 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단자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대용량 배터리 팩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대용량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케이싱 4: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1: 장착공간 40, 140: 단자
115: 수용홈 41, 141: 타측 단부
13: 커버 42, 142: 유동 방지부
130: 탭 44, 144: 나사면
19: 나사홈 45, 145: 확대부
20, 120: 셀 50: 나사
3: 배터리 팩 60: 버스바
30, 130: 탭 71: 너트
31, 131: 단자 연결부 72: 와셔
32, 43, 61: 관통 구멍

Claims (16)

  1. 복수 개의 셀들을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탭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단자;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에 대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수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대용량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홈을 구비하며,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홈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대용량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일측 단부에 상기 나사와 상기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일측 단부에 상기 수용홈과 상기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타측 단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는 링 형상을 갖는, 대용량 배터리 팩.
  9. 복수 개의 셀들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탭과, 일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탭에 연결되 고 타측 단부는 표면에 나사면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타측 단부는 표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상기 단자가 통과하는 두 개 이상의 통공들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상기 대용량 배터리 팩들의 상기 단자들을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금속재의 버스바; 및
    상기 단자의 상기 타측 단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버스바가 상기 확대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버스바를 상기 단자에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에 대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수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홈을 구비하며,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 과하여 상기 나사홈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일측 단부에 상기 나사와 상기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일측 단부에 상기 수용홈과 상기 유동 방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단자 연결부를 구비하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타측 단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는 링 형상을 갖는, 대용량 배터리 팩 조립체.
KR1020090114053A 2009-11-24 2009-11-24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KR10110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53A KR101108180B1 (ko) 2009-11-24 2009-11-24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JP2010163110A JP5295183B2 (ja) 2009-11-24 2010-07-20 大容量バッテリパック及び大容量バッテリパックの組立体
US12/903,739 US20110123848A1 (en) 2009-11-24 2010-10-13 Large capacity battery pack and assembly of large capacity battery packs
EP10190124A EP2333872B1 (en) 2009-11-24 2010-11-05 Large capacity battery pack
CN201010563577.5A CN102074673B (zh) 2009-11-24 2010-11-24 大容量电池组和大容量电池组的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53A KR101108180B1 (ko) 2009-11-24 2009-11-24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90A true KR20110057590A (ko) 2011-06-01
KR101108180B1 KR101108180B1 (ko) 2012-02-06

Family

ID=4364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53A KR101108180B1 (ko) 2009-11-24 2009-11-24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23848A1 (ko)
EP (1) EP2333872B1 (ko)
JP (1) JP5295183B2 (ko)
KR (1) KR101108180B1 (ko)
CN (1) CN1020746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69U (ko) 2019-02-14 2020-08-24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배터리용 단자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대용량 배터리
WO2021178196A3 (en) * 2020-03-02 2021-11-25 The Toro Company Modular battery system for power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5452B1 (ja) * 2011-09-16 2013-02-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083211B2 (ja) * 2011-12-28 2017-02-2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装置
KR101337436B1 (ko) 2012-03-09 2013-12-05 강정욱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셀 카트리지
KR101337435B1 (ko) 2012-03-09 2013-12-05 강정욱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KR101428331B1 (ko) * 2012-12-27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안전장치
CN103311490B (zh) * 2013-04-28 2015-08-26 潘珊 动力型锂离子电池组及其制造方法
JP5786891B2 (ja) * 2013-05-09 2015-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基板
DE102014206903A1 (de) * 2014-04-10 2015-10-15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einheit umfassend eine Mehrzahl von Energiespeichersubeinheiten sowie Energiespeicher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Energiespeichereinheiten
USD782409S1 (en) * 2015-03-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terminal washers
KR102125715B1 (ko) 2018-09-10 2020-06-23 (주)에너담 복수의 배터리셀 전극 배선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5516B2 (ja) * 2003-01-23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ド端子及び電源装置
JP4123517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2008039571A (ja) * 2006-08-04 2008-02-21 Denso Corp 電流センサ
KR100778511B1 (ko) * 2006-09-11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WO2008084883A2 (ja) * 2007-01-12 2008-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電極構造およ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JP2008192595A (ja) * 2007-01-12 2008-08-21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装置
JP5332110B2 (ja) * 2007-02-07 2013-11-06 富士通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その稼働方法
JP5115696B2 (ja) * 2007-05-1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2009087721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二次電池の端子構造及び組電池
CN201156553Y (zh) * 2007-12-26 2008-11-26 刘向军 组合式电池
CN101521269B (zh) * 2008-02-25 2011-07-06 安耐信(北京)储能技术有限公司 车用动力电池模块及其制作方法
JP5146065B2 (ja) * 2008-04-11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組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JP4710954B2 (ja) * 2008-10-14 2011-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子部材および端子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69U (ko) 2019-02-14 2020-08-24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배터리용 단자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대용량 배터리
WO2021178196A3 (en) * 2020-03-02 2021-11-25 The Toro Company Modular battery system for pow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3872A1 (en) 2011-06-15
KR101108180B1 (ko) 2012-02-06
US20110123848A1 (en) 2011-05-26
JP2011113964A (ja) 2011-06-09
JP5295183B2 (ja) 2013-09-18
CN102074673A (zh) 2011-05-25
CN102074673B (zh) 2014-12-24
EP2333872B1 (en)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180B1 (ko)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KR101084213B1 (ko) 전지 팩
CN107710450B (zh) 电池模块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KR101359710B1 (ko) 전지 장착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
KR101205331B1 (ko)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및 이를 위한 케이스 구조
KR20180091446A (ko) 배터리팩 및 이에 적용되는 버스바
CN105190937A (zh) 电池组
US9178206B2 (en) Battery module
US20160172653A1 (en) Battery containment
EP3696904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usbar plate
KR1017156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인터 버스 바
EP3032555B1 (en) Ultra capacitor module
KR20200020565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모듈
EP3518260A1 (en) Energy storage device module
KR20100136107A (ko) 배터리 팩
KR20160090160A (ko) 에너지 저장 장치
EP3432331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module
KR10148692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단자 어셈블리
CN209822717U (zh) 一种适用于双备份磷酸铁锂电池组系统的电池开关盒
KR20170125629A (ko) 에너지 저장 모듈
KR101917903B1 (ko)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US20170229254A1 (en) Ultra capacitor module
JP7289862B2 (ja) 蓄電パック
WO2017161480A1 (zh) 二次电池封装盒结构
KR101613496B1 (ko) 단위 ups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