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449A - 기판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449A
KR20110056449A KR1020100046372A KR20100046372A KR20110056449A KR 20110056449 A KR20110056449 A KR 20110056449A KR 1020100046372 A KR1020100046372 A KR 1020100046372A KR 20100046372 A KR20100046372 A KR 20100046372A KR 20110056449 A KR20110056449 A KR 2011005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iece
housing
connec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야스 이시다
후미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기판에 작용하는 비교적 큰 제거력에 대항하게 할 수 있는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셀(12)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편부(40)에 일체로 형성되고 셀(12)이 하우징(10)과 포개어진 상태에 있어서 기판삽입부(20) 내에 하우징 상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기판 결합폴(42)을 구비하고,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a)가 기판삽입부(20)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내 삽입편부(a)에 구비된 빠짐 방지용 결합부(46) 내에 기판 결합폴(42)이 결합되도록 하고, 스프링편부를 절곡하여 기판 결합폴(42)이 일체로 형성되고, 기판 결합폴(42)은,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기판의 선단 테두리가 하면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밀어 올려지는 경사편부와, 이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시키고 기판의 결합폴 결합부(46)의 테두리부가 접촉하여 상기 기판의 빠짐을 제한하는 상향 결합편부(42b)로 구성되고, 상향 결합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하여 기판 결합폴의 하방을 향하는 동작을 제한하는 하측이동 제한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기판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본 발명은 주로 FPC 또는 FFC 등의 기판을 이와는 다른 기판이나 기기에 접속시키기 위한 기판접속용 커넥터(基板接續用 connector)로서, 삽입된 기판의 제거력을 크게 하기 위한 빠짐 방지기구를 개량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ZIF식 및 NONZIF식의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의 상면에 포개어서 결합되고 기립방향(起立方向)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셀(shell)에, 이것을 절단가공하여 스프링편부(spring片部)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것에 기판 결합폴(基板 結合pawl)을 일체로 형성하고, 커넥터 내로 기판을 삽입할 때에는, 상기 기판 결합폴이 기판에 의하여 밀림으로써 기판 결합폴이 상측으로 대피하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기판의 결합부에 기판 결합폴이 결합된 상태가 되면, 기판에 대하여 일정한 제거저항력이 발휘되도록 한 빠짐 방지기구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것은 이들 FPC 빠짐 방지장치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몰드 성형품(mold 成形品)인 하우징(1)의 표면에 포갠 도전성 금속판(導電性 金屬板)으로 이루어지는 실드(shield)를 겸한 셀(2)의 일부를 펀칭(punching)하여 형성된 탄성편(彈性片)(3)을 형성하고, 선단의 일방 테두리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절곡(折曲)함으로써 선단이 삼각형 모양의 체크식의 기판 결합폴(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하려고 하는 기판(5)을 하우징(1) 내에 삽입함으로써, 기판(5)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모양 또는 홈 모양의 빠짐 방지 결합부(6) 내에 상기 기판 결합폴(4)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92574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기판접속용 커넥터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자기기의 고기능화 및 소형화의 요청으로부터 현저한 소형화가 실현되고 있다. 또한 실드재(shield材)를 겸한 셀(shell)을 펀칭가공(punching加工), 절곡가공(折曲加工)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빠짐 방지기구는,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가 용이한 점에 있어서는 유리하지만, 모두 삽입된 기판에 빠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기판 결합폴이 기판이 빠지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자(操作子)에 포갠 셀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기판 결합폴이, 기판에 작용하는 비교적 큰 제거력에 대항하게 할 수 있는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connector內 揷入片部)가 삽입되는 가늘고 길고 편평한 기판삽입부(基板揷入部)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기판삽입부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나란하게 지지되고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킨 접속단자부(接續端子部)와 상기 기판삽입부 내로 돌출된 기판접속용 접촉스프링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기립(起立)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셀(shell)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판접속용 커넥터(基板接續用 connector)로서,
상기 셀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편부(spring片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셀이 상기 하우징과 포개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삽입부 내에 하우징 상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기판 결합폴(基板 結合pawl)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가 기판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 삽입편부에 구비된 빠짐 방지용 결합부 내에 상기 기판 결합폴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부를 절곡(折曲)하여 상기 기판 결합폴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결합폴은, 상기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기판의 선단 테두리가 하면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밀어 올려지는 경사편부(傾斜片部)와, 상기 경사편부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시키고 상기 기판의 결합폴 결합부의 테두리부가 접촉하여 상기 기판의 빠짐을 제한하는 상향 결합편부(上向 結合片部)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 결합편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결합폴이 하방을 향하는 동작을 제한하는 하측이동 제한편(下側移動 制限片)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제2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스프링편부, 기판 결합폴 및 하측이동 제한편은, 상기 셀의 성형 시에 이것과 일체(一體)로 형성된 띠 모양의 스프링편부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제3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셀에는, 상기 하측이동 제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것이 상하로 출입할 수 있는 대피용 창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제4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셀에는, 상기 기판 결합폴의 상향 결합편부의 배면에 하측으로 늘어져 있고, 상기 상향 결합편부의 기판 빠짐 방향측의 동작을 제한하는 전측이동 제한편(前側移動 制限片)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제5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4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대피용 창구멍은, 상기 전측이동 제한편을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된 빠짐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셀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편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셀이 상기 하우징과 포개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삽입부 내에 하우징 상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기판 결합폴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가 기판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 삽입편부에 구비된 빠짐 방지용 결합부 내에 상기 기판 결합폴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부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기판 결합폴을, 상기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기판의 선단 테두리가 하면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밀어 올려지는 경사편부와, 상기 경사편부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시키고 상기 기판의 결합폴 결합부의 테두리부가 접촉하여 상기 기판의 빠짐을 제한하는 상향 결합편부로 구성하고, 상기 상향 결합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 결합폴의 하방을 향하는 동작을 제한하는 하측이동 제한편을 구비함으로써, 기판을 삽입한 후에 제거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향 결합편부에 대하여 하측 방향의 힘이 증가하지만, 하측이동 제한편이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되어 하방을 향하는 동작이 저지됨으로써 하측으로의 선회동작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더 큰 제거력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편부, 기판 결합폴 및 하측이동 제한편은, 상기 셀의 성형 시에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띠 모양의 스프링편부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즉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들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셀에, 상기 하측이동 제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것이 상하로 출입할 수 있는 대피용 창구멍을 구비함으로써, 하측이동 제한편의 상하 이동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어 두께가 두껍고 큰 기판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셀에, 상기 기판 결합폴의 상향 결합편부의 배면에 하측으로 늘어져 있고 상기 상향 결합편부의 기판 빠짐 방향측의 동작을 제한하는 전측이동 제한편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제거력이 기판에 작용하여 기판 결합폴이 기판이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향 결합편부의 배면측이 전측이동 제한편에 접촉되어 기판이 빠지는 방향으로의 힘에 대항하고, 상기한 하측이동 제한편의 작용과 더불어 더 큰 제거력에 대항하는 구조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대피용 창구멍을, 상기 전측이동 제한편을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한 빠짐구멍을 구비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재료의 준비(즉 재료에 필요한 부재의 할당작업을 하는 것 또는 재료에 필요한 치수에 따라 모양을 만드는 것)가 좋아질 뿐만 아니라 가공의 공수도 적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동 정면도이다.
도3은 동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나 있는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기판빠짐 방지기구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동 콘택트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6은 동 셀을 나타내는 전방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동 셀의 전방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동 셀을 결합하는 맞물림쇠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9는 도1에 나타나 있는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는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9(a)는 부분 저면도, 도9(b)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10은 종래의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0(a)는 커넥터 전체의 평면도, 도10(b)는 기판빠짐 방지기구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도8은, 본 발명에 관한 기판접속용 커넥터(基板接續用 connector)를 실시한 FPC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넥터는, 하우징(housing)(10), 하우징에 지지시킨 다수의 콘택트(contact)(11, 11 …… ) 및 하우징의 상면에 포개어지고 실드재(shield材)를 겸한 셀(shell)(1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絶緣性 合成樹脂材)를 구비하여 몰드 성형(mold 成形)되어 있고, 그 두께 내에 가늘고 길고 편평한 기판삽입부(基板揷入部)(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開口部)가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본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하려고 하는 기판(A)의 커넥터내 삽입편부(connector內 揷入片部)(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콘택트(11)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있어서 상기 기판삽입부(20)의 하측의 콘택트 고정홈(21)에 압입(壓入)되는 지지편부(支持片部)(22)와, 그 선단측을 상측으로 접어서 되돌린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탄성접촉편부(彈性接觸片部)(23)와, 지지편부(22)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납땜용의 접속단자부(接續端子部)(24)를 구비하고 있고, 탄성접촉편부(23)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호 모양의 접점부(接點部)(25)가 하우징의 기판삽입부(20) 내로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a)가 기판삽입부(20) 내에 삽입됨으로써 접점부(25)가 삽입편부(a)에 밀려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기판의 접속단자(接續端子)(26)에 접점부(25)가 상기 삽입편부(a)의 삽입완료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셀(12)은, 도전성 금속판재(導電性 金屬板材)를 펀칭절곡가공(punching 折曲加工)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그 상면을 덮는 평판 모양의 셀 본체부(shell 本體部)(28)와, 그 양단부를 직각으로 절곡(折曲)한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된 한 쌍의 측판부(側板部)(29, 29)로 구성되어 있고, 측판부(29)에는 베어링 구멍(30)과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구멍(30) 내에 하우징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지축(支軸)(32)이 결합되어, 셀(12)은 이 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10)의 상면에 포개어지는 위치로부터 하우징의 상면에 기립(起立)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셀(12)의 빠짐방지와 하우징의 상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이것을 결합시키기 위한 맞물림쇠(33)가 고정되어 있다. 이 맞물림쇠(33)는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된 어스기구(34)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어스기구(34)의 선단에 이것을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한 하향편부(下向片部)(35)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하향편부(35)의 하단을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한 지지편부(支持片部)(36)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부(36)의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맞물림쇠(33)를 형성하고 있다.
셀 양단의 측판부(29)가 하향편부(35)와 맞물림쇠(33)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어, 맞물림쇠(33)에 의하여 측판부(29)가 지축(3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맞물림쇠(33)에는 결합창(結合窓)(37)이 펀칭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것에 상기한 셀(12)의 양 측판부(29, 29)에 일체로 절단되어 세워서 형성된 결합돌기(31)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셀(12)을 하우징의 상면에 포갠 상태에서 결합돌기(31)가 결합창(37)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셀(12)이 용이하게 기립방향(起立方向)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결합창(37)을 형성함으로써 절단되어 세워진 설편(舌片)이, 본 커넥터를 실장하는 기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대하여 납땜하는 어스단자(earth 端子)(39)로 되어 있다.
어스기구(34)에는 어스 콘택트(earth contact)(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이 하우징(10)의 기판삽입부(20) 내에 삽입되어 있어 기판(A)의 어스단자(26a)에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셀(12)에는, 그 양단부에 기판빠짐 방지기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기구에는, 하우징의 정면측 즉 기판삽입부 개구측의 테두리부로부터 셀 본체부(28)의 전방측으로 연장시킨 띠 모양의 스프링편부(spring片部)(40)를 하측으로 U자 모양으로 접어서 되돌린 탄성편부(彈性片部)(41)와, 상기 탄성편부의 선단측을 절곡하여 형성한 기판 결합폴(基板 結合pawl)(42)과, 상기 기판 결합폴(42)을 구성하고 있는 스프링편의 선단부를 구비하여 구성시킨 하측이동 제한편(下側移動 制限片)(43)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 결합폴(42)은, 탄성편부(41)의 선단을 비스듬히 하측으로 연장시킨 경사편부(傾斜片部)(42a)와, 상기 경사편부(42a)의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시킨 상향 결합편부(上向 結合片部)(42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셀 본체(28)에는, 상기 하측이동 제한편(43)이 상하로 출입할 수 있는 넓이의 대피용 창구멍(44)이 하측이동 제한편(43)의 상방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기판 결합폴(42)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상면에 개구시킨 슬릿(slit)(45)을 통하여 기판삽입부(2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릿(45)은 그 전방측 즉 하우징(10) 전면측이 하우징의 전면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하우징(10)의 상면으로 개구시킨 창 구멍 모양이어도 좋다.
한편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a)의 좌우 양쪽 테두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결합폴 결합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내 삽입편부(a)가 커넥터 내의 소정의 깊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결합폴 결합부(46)의 위치에 상기 기판 결합폴(42)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측이동 제한편(43)은, 상기 상향 결합편부(42b)의 선단을 하우징의 배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절곡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하측이동 제한편(43)은, 그 하면이 하우징(10) 상면의 제한편 접촉부(47)에 접촉됨으로써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셀(12)에는, 상향 결합편부(42b)의 배면측 즉 하우징의 전면측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시킨 전측이동 제한편(前側移動 制限片)(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이동 제한편(50)은, 셀(12)을 ㄷ자 모양으로 오려내서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설편을 하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고, 이 예에서는 상기한 대피용 창구멍(44)을 펀칭으로 형성할 때에 절단하여 세운 설편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이 전측이동 제한편(50)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하측이동 제한편(43)과 병용함으로써 기판(A)의 내제거력(耐除去力)을 증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FPC 커넥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A)의 삽입 전에 있어서, 셀(12)은 하우징(10)의 상면에 포개어지고, 콘택트(11)의 탄성접촉편부(23)가 기판삽입부(20) 내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셀(12)은 맞물림쇠(33)에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기립방향의 동작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의 기판삽입부(20) 내로 기판(A)의 커넥터내 삽입편부(a)를 삽입한다. 이 때에 삽입편부(a)에 의하여 콘택트(11)의 탄성접촉편부(23)가 밀림으로써 대피방향으로 이동하고, 삽입편부(a)가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접촉편부(23)의 탄성에 의하여 접점부(25)가 삽입편부(a)의 접속단자(26)에 가압접촉(加壓接觸)된다. 마찬가지로 어스 콘택트(38)가 삽입편부(a)의 어스단자에 가압접촉된다.
이 삽입편부(a)를 삽입할 때에 기판 결합폴(42)은, 그 경사편부(42a)의 하면측으로 상기 삽입편부(a)의 선단 테두리가 슬라이딩(sliding)함으로써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 때에 하측이동 제한편(43)은 셀 본체(28)의 대피용 창구멍(44) 내를 상승하기 때문에, 기판 결합폴(42)은 지장없이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편부(a)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삽입편부(a)의 결합폴 결합부(46) 내에 기판 결합폴(42)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삽입편부(a)가 기판삽입부(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판(A)에 대하여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제거력(除去力)이 작용하면, 기판 결합폴(42)의 상향 결합편부(42b)에 결합폴 결합부(46)의 전단 가장자리부(46a)가 접촉되어 제거가 저지된다.
상기한 제거력이 작용하면 기판 결합폴(42)은 탄성편부(41)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제거력에 저항하는 것이 되지만, 그 저항력보다 큰 제거력이 작용하면 기판 결합폴(42)은 탄성편부(41)측이 부상(浮上)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향 결합편부(42b)가 하측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이 되지만, 이 때에 기판 결합폴(42)과 일체인 하측이동 제한편(43)이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되어 하방을 향하는 동작이 저지됨으로써 기판 결합폴(42)이 하측으로 선회하는 동작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더 큰 제거력에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상향 결합편부(42b)의 배면에는 전측이동 제한편(50)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거력이 작용하여 기판 결합폴(42)이 기판이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측이동 제한편(50)에 상향 결합편부(42b)의 배면측이 접촉하여 기판이 빠지는 방향으로의 힘에 대항하고, 상기한 하측이동 제한편(43)의 작용과 더불어 더 큰 제거력에 대항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더 소형화의 요청으로부터, 두께를 0.1mm 이하로 한 매우 얇은 셀의 펀칭에 의한 형성에 의하여 기판 결합폴을 일체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더 큰 제거력에 대항하게 할 수 있어 소형화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더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기판(A)을 빼낼 때에는, 맞물림쇠(33)를 열리는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셀(12)의 양 측판부(29)에 대한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셀(12)을 하우징 상면에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기판 결합폴(42)이 하우징(10)의 기판삽입부(20)로부터 빠져서, 기판(A)이 빠지는 방향의 구속이 해제되어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A : 기판
a : 커넥터내 삽입편부
10 : 하우징 11 : 콘택트
12 : 셀 20 : 기판삽입부
21 : 콘택트 고정홈 22 : 지지편부
23 : 탄성접촉편부 24 : 접속단자부
25 : 접점부 26 : 접속단자
26a : 어스단자 28 : 셀 본체부
29 : 측판부 30 : 베어링 구멍
31 : 결합돌기 32 : 지축
33 : 맞물림쇠 34 : 어스기구
35 : 하향편부 36 : 지지편부
37 : 결합창 38 : 어스 콘택트
40 : 띠 모양의 스프링편부 41 : 탄성편부
42 : 기판 결합폴 42a : 경사편부
42b : 상향 결합편부 43 : 하측이동 제한편
44 : 대피용 창구멍 45 : 슬릿
46 : 결합폴 결합부 50 : 전측이동 제한편

Claims (5)

  1.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connector內 揷入片部)가 삽입되는 가늘고 길고 편평한 기판삽입부(基板揷入部)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기판삽입부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나란하게 지지되고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킨 접속단자부(接續端子部)와 상기 기판삽입부 내로 돌출된 기판접속용 접촉스프링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기립(起立)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셀(shell)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판접속용 커넥터(基板接續用 connector)로서,
    상기 셀과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편부(spring片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셀이 상기 하우징과 포개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삽입부 내에 하우징 상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기판 결합폴(基板 結合pawl)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커넥터내 삽입편부가 기판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내 삽입편부에 구비된 빠짐 방지용 결합부 내에 상기 기판 결합폴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부를 절곡(折曲)하여 상기 기판 결합폴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결합폴은, 상기 기판삽입부에 삽입되는 기판의 선단 테두리가 하면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밀어 올려지는 경사편부(傾斜片部)와, 상기 경사편부 선단을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시키고 상기 기판의 결합폴 결합부의 테두리부가 접촉하여 상기 기판의 빠짐을 제한하는 상향 결합편부(上向 結合片部)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 결합편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결합폴이 하방을 향하는 동작을 제한하는 하측이동 제한편(下側移動 制限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부, 기판 결합폴 및 하측이동 제한편은, 상기 셀의 성형 시에 이것과 일체(一體)로 형성된 띠 모양의 스프링편부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는, 상기 하측이동 제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것이 상하로 출입할 수 있는 대피용 창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는, 상기 기판 결합폴의 상향 결합편부의 배면에 하측으로 늘어져 있고, 상기 상향 결합편부의 기판 빠짐 방향측의 동작을 제한하는 전측이동 제한편(前側移動 制限片)을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용 창구멍은, 상기 전측이동 제한편을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된 빠짐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접속용 커넥터.
KR1020100046372A 2009-11-18 2010-05-18 기판접속용 커넥터 KR20110056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2561A JP4840711B2 (ja) 2009-11-18 2009-11-18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JP-P-2009-262561 2009-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449A true KR20110056449A (ko) 2011-05-30

Family

ID=4403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372A KR20110056449A (ko) 2009-11-18 2010-05-18 기판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40711B2 (ko)
KR (1) KR20110056449A (ko)
CN (1) CN102074821B (ko)
TW (1) TWI420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2257B2 (ja) * 2011-06-08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62858B2 (ja) * 2011-08-05 2016-02-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959282B2 (ja) * 2012-04-11 2016-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549821B2 (ja) 2012-04-17 2014-07-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67359B2 (ja) * 2012-05-14 2016-08-1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90681B2 (ja) 2013-03-13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09203B2 (ja) 2013-07-04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7514272A (ja) * 2014-04-10 2017-06-01 ジェンサ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電気的接続装置及び電気的接触装置
JP6119721B2 (ja) * 2014-11-20 2017-04-26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004631A (ja) * 2015-06-05 2017-01-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516208B2 (ja) * 2017-04-27 2019-05-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DE102017219437A1 (de) * 2017-10-30 2019-05-02 Airbus Operations Gmbh Gehäuse zum Verbinden von auf einer Folie gedruckten elektrischen Leitungen mit einer Spannungsversorg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902B2 (ja) * 2003-12-26 2009-09-09 大宏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82706B2 (ja) * 2005-05-31 2011-05-1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220631A (ja) * 2006-02-20 2007-08-30 Fujikura Ltd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4353436B2 (ja) * 2007-02-08 2009-10-28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20762B (zh) 2013-12-21
JP2011108500A (ja) 2011-06-02
TW201119157A (en) 2011-06-01
CN102074821B (zh) 2013-12-04
JP4840711B2 (ja) 2011-12-21
CN102074821A (zh)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6449A (ko) 기판접속용 커넥터
KR20110056450A (ko) 기판접속용 커넥터
US763527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784783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110230072A1 (en) Push-push card connector
JP2005332749A (ja) 電気コネクタ
US20170250480A1 (en)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EP3591766A1 (en) Metal leaf spring prot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4591855B2 (ja) 電子部品取付け用ソケット
JP618737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SG188682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20110151695A1 (en) Card Connector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7042398A (ja) リセプタクル、プラグ及びコネクタ
JP626785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1181471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110159716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6613129B2 (ja) 金属端子
JP4766338B2 (ja) カード検出スイッチを有する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9295432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167237B2 (ja) トレイタイプのカードコネクタ
JP2010020928A (ja) Fpcコネクタ
TWI527314B (zh) Card connector
TWI479745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