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298A -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298A
KR20110055298A KR1020090112253A KR20090112253A KR20110055298A KR 20110055298 A KR20110055298 A KR 20110055298A KR 1020090112253 A KR1020090112253 A KR 1020090112253A KR 20090112253 A KR20090112253 A KR 20090112253A KR 20110055298 A KR20110055298 A KR 2011005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andlestick
candle
powd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397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김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식 filed Critical 김은식
Priority to KR102009011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3Special means for attaching the candle to the candle hol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초핀을 포함한 촛대를 일체형의 도자기로 구워서 제작함으로써, 촛농의 누수 및 불완전한 초핀의 결합을 해결할 수 있는 도자기 촛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는 도자기 점토로 받침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도자기 점토에 카우링 분말 및 장석 분말을 혼합하여 초핀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초핀을 받침부와 부착시킨 후,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방식으로 구워서 제작된다. 이때, 혼합된 분말은 일반적인 도자기 점토보다 더 곱게 분쇄하여 사용되며, 혼합된 분말은 물을 넣어 흙물로 만든 후, 석고로 제작된 초핀 성형틀내에 흙물을 부어 흙물의 앙금으로 초핀을 성형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A ceramics candlesti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촛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 및 초핀을 모두 도자기로 구워서 일체화시킨 도자기 촛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자연산 밀랍을 주원료로 제조한 황초와, 석유계 원료인 파라핀을 주원료로 한 양초가 있으며, 이러한 양초의 구조는 종축 방향으로 길게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심지를 삽입한 원기둥 모양으로써, 가운데 부분은 촛대에 꽂아서 사용하기 위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양초를 거의 장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미려한 구조의 촛대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촛대는 목재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나아가 도자기를 이용하여 촛대를 제작하고 있다.
도자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종래의 촛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대부분이 받침(10) 부분에 초를 꽂을 수 있는 초핀(20)을 설치할 때, 초핀(20)의 일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받침(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반대편 에서 너트(30)로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초핀을 도자기 촛대의 본체에 결합할 때 너무 강하게 결합하면 도자기로 이루어진 본체가 파손되므로 완전하게 결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렇게 이루어진 종래의 촛대는 초핀과 도자기로 이루어진 본체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결합 부분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은 물론, 결합 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용융된 초가 밑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촛농의 누수를 막기 위해 너트(30)위에 패킹(40)을 더 삽입하여 결합을 도모하기도 하였으나, 촛농의 열기에 의해 패킹이 녹아 촛농의 누수를 막을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초핀을 포함한 촛대를 일체형의 도자기로 구워서 제작함으로써, 촛농의 누수 및 불완전한 초핀의 결합을 해결할 수 있는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는,
초핀을 일반적인 도자기 점토에 카우링과 장석을 더 혼합하여 성형한 후, 받침부와 일체로 구워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제조방법은,
도자기 점토로 받침부를 성형하는 단계;
도자기 점토 100중량부에 카우링 분말 4~6중량부와, 카우링 분말 대비 55~65중량%의 장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분말로 초핀을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초핀을 받침부에 부착시킨 후,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방식으로 구워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혼합된 분말은 150~180목의 굵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며, 혼합된 분말은 물을 넣어 흙물로 만든 후, 석고로 제작된 초핀 성형틀내에 흙물을 부어 흙물의 앙금으로 초핀을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핀을 도자기 일체형으로 구워서 제작함으로써, 촛농의 누수를 막을 수 있고, 초핀의 불완전한 결합을 해결하여 촛대에 꽂혀진 양초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가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촛대 제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그리고 도 5는 초핀 성형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100)는 받침부(110)와 초핀(120)이 일체로 된 것으로 통상의 도자기 굽는 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100)는 본 발명자가 초핀(120)을 받침부(110)와 일체형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것이다.
즉, 촛대를 제작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가 초핀을 받침부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싶어 하였으나, 일반 점토로는 받침부와 초핀을 성형한 후에 도자기를 굽는 가마 안에서 약 1,200℃를 넘나드는 고온에서 가느다란 초핀이 버티지를 못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점토로 촛대를 성형한 후에 초벌구이만으로 제작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초벌구이된 촛대는 유약을 바르지 않았기 때문에 촛농이 흡수되거나 촛대 가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대로는 사용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초핀의 하부를 넓게 하여 제작되면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양초가 초핀에 깊숙이 삽입되지가 않아 양초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초핀(120)의 주재료를 변화시켜 강력한 초핀을 얻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제작방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자기에 사용되는 점토로 받침부를 성형한 후에, 특별한 성능을 갖는 세가지의 분말을 점토에 혼합시킨 강력분말로 초핀을 성형한 후, 받침부의 중앙에 붙여서 가마에서 구워내어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세가지의 분말은 돌에서 채취한 것으로, 카우링과, 장석과, 도석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도자기 점토는 약 14가지의 흙으로 혼합된 것을 말하며, 이 점토에 세가지의 분말을 더 혼합하여 사용됨을 말한다.
카우링 및 장석은 불연성으로 화도가 높은 것으로, 초핀의 강도를 높게 해주어 고온에서도 초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도자기로 구워낸 후에도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석은 도자기의 색을 맞추기 위해 받침부의 색깔과 일치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카우링은 점토 100중량부에 대해 4~6중량부가 첨가된다.
카우링은 그 혼합양에 따라 4중량부보다 작은양이 첨가될때에는 초핀의 불심 이 약해져 별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고, 6중량부보다 많은양이 첨가될때에는 너무 단단하여 유약이 잘 입혀지지 않게 된다.
장석은 카우링처럼 불심을 높이는 원료이지만, 카우링의 강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함께한다. 즉, 카우링은 장석과 함께 어우러져 너무 강해 부러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장석의 혼합량은 카우링대비 55~60중량%가 적당함을 반복 실험을 통해 알아 내었다.
이렇게 준비된 카우링분말 및 장석분말은 점토와 함께 혼합되어 분말로 준비된다.
이때, 혼합 분말은 일반적인 도자기의 점토보다 더 고운 분말로 재분쇄된다.
즉,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점토는 약 100~120목의 굵기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합 분말은 이보다 더 고운 150~180목으로 사용된다.
분말이 더 고울수록 초핀의 강도는 높게 되지만 너무 고우면 유약이 입혀지지 않기 때문에 위의 150~180목이 가장 적절함을 알았다.
이와 같이 분쇄된 혼합 분말은 물에 넣어 흙물로 만든다.
흙물은 다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초핀 성형틀(130)에 넣어 수분을 날린 후, 앙금만으로 초핀을 성형하게 된다.
즉, 초핀 성형틀(130)은 초핀의 모양이 담기게 되는 틀로서, 석고로 제작된다. 이러한 석고틀은 흙물을 붓게 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물기가 석고 속으로 스며들어 앙금만이 틀내에 남게 되고, 이 앙금이 굳게 되면 탈형하여 초핀을 성형 하게 된다.
이처럼 초핀을 흙물을 이용해 제작하는 이유는 분말이 고운데에 따른 반죽의 어려움도 있지만, 분말들간의 밀집력을 증대시켜 강도를 높이기 위함도 있다.
성형된 초핀은 받침부의 중앙부에 사용되고 남은 흙물을 이용하여 붙인다음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방식으로 초벌구이공정, 유약바르는 공정 및 재벌구이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초핀부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제조 공정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핀 성형틀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4)

  1. 양초가 꽂히는 초핀과, 상기 초핀이 부착되는 받침부를 갖는 도자기 촛대에 있어서,
    상기 초핀은 일반적인 도자기 점토에 카우링과 장석을 더 혼합하여 성형한 후,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구워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
  2. 도자기 점토로 받침부를 성형하는 단계;
    도자기 점토 100중량부에 카우링 분말 4~6중량부와, 상기 카우링 분말 대비 55~65중량%의 장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분말로 초핀을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상기 초핀을 상기 받침부에 부착시킨 후,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방식으로 구워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150~180목의 굵기로 분쇄하여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물을 넣어 흙물로 만든 후, 석고로 제작된 초핀 성형틀내에 상기 흙물을 부어 상기 흙물의 앙금으로 상기 초핀을 성형함 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제조방법.
KR1020090112253A 2009-11-19 2009-11-19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53A KR101088397B1 (ko) 2009-11-19 2009-11-19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53A KR101088397B1 (ko) 2009-11-19 2009-11-19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298A true KR20110055298A (ko) 2011-05-25
KR101088397B1 KR101088397B1 (ko) 2011-12-01

Family

ID=4436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253A KR101088397B1 (ko) 2009-11-19 2009-11-19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7B1 (ko) * 2013-10-23 2014-12-26 이연휴 촛농 수거접시가 구비된 촛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25A (ko) 2015-01-08 2016-07-18 김지연 세라믹 촛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47B1 (ko) 2004-09-24 2005-03-29 김용호 자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기 성형물
KR100757276B1 (ko) * 2005-02-03 2007-09-11 박국남 감람석분을 함유하는 도기그릇의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7B1 (ko) * 2013-10-23 2014-12-26 이연휴 촛농 수거접시가 구비된 촛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397B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5926B (zh) 一种骨质瓷轻便汤勺的制备方法
CA2984659C (en) Glaze resistant to wax block bonding, ceramic resistant to wax block bonding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WO2006017676A3 (en) Method for fabricating ceramic articles and ceramic articles produced thereby
WO2007036579A3 (en) Precursor compositions for ceramic products
KR101088397B1 (ko) 도자기 촛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17957B (zh) 一种龙泉青瓷无胎釉璧及其制作方法和应用
CN104230347A (zh) 一种玻璃、陶瓷结合制作的瓷器及方法
KR101687646B1 (ko) 유동성 유약이 시유된 도자기의 소성용 받침대
CN105732067A (zh) 一种保温瓷砖及其制备方法
JP2002068825A (ja) 陶磁器
JP2007099558A (ja) 宝石を装着した陶磁器又は陶器の製造方法
CN108275977A (zh) 一种抛光砖的制备方法
CN106145884A (zh) 一种陶瓷的生产工艺
WO2010114994A3 (en) Ceramics manufacture using rapidly hydratable cellulosic binder
JP5244057B2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KR101359390B1 (ko) 한지소지를 이용한 컬러 타일의 제조방법
RU276318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установки декоративного ил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аэрирующего объемного элемента в полость чаши стеклянного сосуда для питья
JP2020111667A (ja) 蝋細工物の製造方法及び蝋細工物
JP2005280286A (ja) 陶磁器類の製造方法
JP5296573B2 (ja) 多孔質焼結体
KR101453546B1 (ko) 부조타일용 도예블록 제조방법
KR101068745B1 (ko) 성형틀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조 방법
JP3209046U (ja) キャンドルシェード
CN104829215B (zh) 彩陶制作粘贴工艺
CN204729931U (zh) 供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