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901A -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901A
KR20110052901A KR1020090109632A KR20090109632A KR20110052901A KR 20110052901 A KR20110052901 A KR 20110052901A KR 1020090109632 A KR1020090109632 A KR 1020090109632A KR 20090109632 A KR20090109632 A KR 20090109632A KR 20110052901 A KR20110052901 A KR 2011005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ink
hole
protrus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575B1 (ko
Inventor
서익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0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5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패드(30)의 작동시 페달암(50)과 페달링크(60)의 결합부위가 상기 페달암(50)에 형성된 슬롯홀(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속페달의 반복 작동하더라도 상기 페달링크(60)의 내구성 감소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페달링크(6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가속페달 장치의 작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가속페달, 기계식, 펜던트, 오르간

Description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본 발명은 부품의 내구성 향상을 통해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작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는 가솔린 엔진에서는 혼합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디젤 엔진에서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셀케이블을 통해 기화기내의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는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와, 엔진 및 주변장치에 가해지는 각종 제어를 전자식으로 변환시킨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가 있다.
상기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중에는 도 1과 같이 페달패드(13)는 플로어패널(1)에 설치하고 페달암(15)은 대시패널(3)에 설치하여, 상기 페달패드(13)와 상기 페달암(15)을 결합시킨 펜던트 오르간 타입(pendant organ type) 가속페달 장치가 있다.
즉,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1)에는 패드브라켓(11)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패드브라켓(11)에는 패드힌지(12)를 매개로 페달패드(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3)에는 페달암브라켓(1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 달암브라켓(14)에는 대략 페달암(15)의 중간 부위가 힌지핀(16)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페달패드(13)와 상기 페달암(15)은 페달링크(17)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페달암(15)의 끝에는 액셀케이블(18)의 일단이 결합된 구성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속페달 장치는 패드힌지(12)를 중심으로 페달암(15)과 페달링크(17)의 결합점(P1)에 대한 페달패드(13)의 회전 반경 궤적(R1)과, 힌지핀(16)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점(P1)에 대한 페달암(15)의 회전 반경 궤적(R2)은 서로 다른 궤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페달패드(13)가 회전하고 페달암(15)이 회전하여 동작하였을 때 상기 페달암(15)과 페달링크(17)의 결합점(P1)은 플로어패널(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F1)을 받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속페달 장치는 상기 페달암(15)과 페달링크(17)의 결합점(P1)이 이동을 할 수 없는 고정점에 해당하는 것이기에, 가속페달의 반복 작동시 상기 페달링크(17)의 내구성 감소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속페달의 작동 성능이 저하되거나 심할 경우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페달패드의 회전에 따라 페달암과 페달링크의 결합점이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함 으로써, 가속페달의 반복 작동에 따른 상기 페달링크의 내구성 감소 및 파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가속페달의 작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는,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패드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패드와; 대시패널에 고정된 페달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패드를 향하는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홀이 형성된 페달암과; 일단은 상기 페달패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패드의 회전 작동시 상기 슬롯홀에 끼워진 타단이 상기 슬롯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페달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패드의 작동시 페달암과 페달링크의 결합부위가 상기 페달암에 형성된 슬롯홀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속페달의 반복 작동하더라도 상기 페달링크의 내구성 감소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페달링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가속페달 장치의 작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펜던트 오르간 타입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펜던트 오르간 타입(pendant organ type)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패드(30)와 페달암(50) 및 페달링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1)에는 패드브라켓(2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패드브라켓(20)에는 패드힌지(31)를 매개로 페달패드(30)의 일단(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패드힌지(31)는 페달패드(30)의 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상기 패드힌지(31)가 상기 패드브라켓(2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페달패드(30)가 상기 패드브라켓(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페달패드(30)의 상단부 밑면 좌우측에는 힌지결합홈(32)이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3)에는 페달암브라켓(4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달암브라켓(40)에는 대략 페달암(50)의 중간 부위가 힌지핀(6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페달암(50)의 상단 끝에는 액셀케이블(63)의 일단이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페달패드(30)를 향하는 상기 페달암(50)의 일단(하단)에는 상기 페달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홀(51)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홀(51)은 끼움구멍(51a)과 작동구멍(51b)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페달링크(60)는 상기 페달패드(30)와 상기 페달암(50)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페달패드(30)의 힌지결합홈(32)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 고 타단은 상기 슬롯홀(5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페달링크(60)는 상기 페달패드(30)의 회전 작동시 상기 슬롯홀(51)에 끼워진 타단이 상기 슬롯홀(5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슬롯홀(51)에 끼워진 상기 페달링크(60)에는 결합되어서 푸시너트(70)가 결합되는 바, 상기 푸시너트(70)는 상기 페달링크(60)가 상기 슬롯홀(51)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페달링크(60)는, 상기 페달패드(30)의 밑면에 구비된 힌지결합홈(32)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돌기(61a)가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링크몸체(61)와, 상기 링크몸체(61)로부터 연결된 링크로드(62)와, 상기 링크로드(62)에 일체로 연결된 링크스토퍼(63)와, 상기 링크스토퍼(63)로부터 상기 링크로드(62)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슬롯홀(51)로 끼워지는 끼움돌기(6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스토퍼(63)와 상기 끼움돌기(64)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링크스토퍼(63)는 상기 슬롯홀(51)에 끼워지지 못하도록 상기 끼움돌기(64)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끼움돌기(64)는 상기 링크스토퍼(63)의 일측면에서 상기 링크스토퍼(63)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1차돌기(64a)와, 상기 1차돌기(64a)의 선단에서 상기 1차돌기(64a)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2차돌기(64b)와, 상기 2차돌기(64b)의 선단에서 상기 링크스토퍼(63)보다 작고 상기 1차돌기(64a)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돌기머리(64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페달암(50)에 형성된 상기 슬롯홀(51)은, 상기 페달암(50)의 일단에서 상기 돌기머리(64c)는 관통하고 상기 링크스토퍼(63)는 끼워지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끼움구멍(51a)과, 상기 끼움구멍(51a)으로부터 상기 페달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1차돌기(64a)와 상기 2차돌기(64b)는 관통하고 상기 링크스토퍼(63)와 상기 돌기머리(64c)는 끼워지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작동구멍(51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끼움구멍(51a)의 폭(C1)은 상기 돌기머리(64c)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링크스토퍼(63)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끼움구멍(51a)에는 상기 돌기머리(64c)를 포함하여 2차돌기(64b)와 1차돌기(64a)가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멍(51b)의 폭(C2)은 상기 돌기머리(64c)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2차돌기(64b) 및 상기 1차돌기(64a)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구멍(51b)에는 상기 1차돌기(64a)와 상기 2차돌기(64b)만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구멍(51a)과 상기 작동구멍(51b)의 연결부에는 상기 작동구멍(51b)의 폭(C2)을 축소시키는 구멍돌기(51c)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돌기(51c)에 의해 상기 끼움돌기(64)의 2차돌기(64b)만이 상기 끼움구멍(51a)과 상기 작동구멍(51b) 사이를 이동하게 되며, 상기 1차돌기(64a)는 상기 구멍돌기(51c)에 걸려지게 되어 상기 끼움구멍(51a)과 상기 작동구멍(51b) 사이를 이동할 수 없 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시너트(70)는 상기 작동구멍(51b)을 관통한 상기 2차돌기(64b)에 끼워져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페달패드(30)와 페달암(50)은 페달링크(6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 바, 즉 링크몸체(61)의 힌지돌기(61a)를 페달패드(30)의 힌지결합홈(32)을 끼워서 결합시키고, 끼움돌기(64)의 돌기머리(64c)를 도 6의 (A)와 같이 슬롯홀(51)의 끼움구멍(51a)으로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끼움구멍(51a)내에는 끼움돌기(64)의 2차돌기(64b)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끼움구멍(51a)내에 위치한 2차돌기(64b)가 구멍돌기(51c)를 통과한 후 작동구멍(51b)내에 위치하도록 페달암(50) 또는 페달링크(60)를 조정한다.(도 6의 B, C)
상기 2차돌기(64b)가 작동구멍(51b)내에 위치하고 나면, 페달암(50) 또는 페달링크(60)를 조정하여 끼움돌기(64)의 1차돌기(64a)를 도 6의 (D)와 같이 상기 작동구멍(51b)으로 관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끼움돌기(64)의 2차돌기(64b)는 상기 작동구멍(51b)을 통해 상기 페달암(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바, 상기 페달암(5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2차돌기(64b)에 푸시너트(70)를 끼워서 조립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구멍(51b)을 관통한 2차돌기(64b)에 푸시너트(70)가 조립되 면, 상기 페달링크(60)는 페달암(50)의 양측면인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면서 상기 작동구멍(51b)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작동구멍(51b)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2차돌기(64b)는 구멍돌기(51c)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2차돌기(64b)는 상기 작동구멍(51b)내에서만 이동할 뿐 상기 작동구멍(51b)에서 상기 끼움구멍(51a)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구멍(51b)을 관통한 2차돌기(64b)에 푸시너트(70)가 조립되고 나면 페달링크(60)는 슬롯홀(51)로부터 빠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푸시너트(70)를 분해하지 않는 페달패드(30)와 페달암(50)은 상기 페달링크(60)를 매개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페달링크(60)를 매개로 페달패드(30)와 페달암(50)의 조립을 완료하고 난 다음, 패드힌지(31)를 매개로 상기 페달패드(30)를 패드브라켓(20)에 결합시키고, 힌지핀(61)을 매개로 상기 페달암(50)을 페달암브라켓(40)에 결합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장치는 도 7과 같이 페달패드(30)의 작동시 페달패드(30)의 회전 반경 궤적(R3)과 페달암(50)의 회전 반경 궤적(R4)은 서로 다른 궤적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구멍(51b)에 끼워진 페달링크(60)의 1차돌기(64a)는 플로어패널(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힘에 의해 상기 페달링크(60)는 힌지돌기(6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페달링크(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1차돌기(64a)는 상기 작동구멍(51b)을 따라서 끼움구멍(51a)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작동된 상태의 페달패드(30) 및 페달암(50)이 도 1과 같은 작동전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1차돌기(64a)가 작동구멍(51b)을 따라서 끼움구멍(51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도 1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장치는 페달패드(30)의 회전시 페달암(50)과 페달링크(60)의 결합부위가 상기 페달암(50)에 형성된 슬롯홀(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속페달의 반복 작동하더라도 상기 페달링크(60)의 내구성 감소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페달링크(6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가속페달 장치의 작동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속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페달링크의 도면,
도 5는 페달암에 형성된 슬롯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페달암과 페달링크의 조립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작동상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로어패널 3 - 대시패널
20 - 패드브라켓 30 - 페달패드
40 - 페달암브라켓 50 - 페달암
60 - 페달링크

Claims (8)

  1.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패드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패드와;
    대시패널에 고정된 페달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패드를 향하는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홀이 형성된 페달암과;
    일단은 상기 페달패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패드의 회전 작동시 상기 슬롯홀에 끼워진 타단이 상기 슬롯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페달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에 끼워진 상기 페달링크에 결합되어서 상기 슬롯홀로부터 상기 페달링크의 빠짐을 방지하는 푸시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페달링크는,
    상기 페달패드의 밑면에 구비된 힌지결합홈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돌기가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링크몸체와;
    상기 링크몸체로부터 연결된 링크로드와;
    상기 링크로드에 일체로 연결된 링크스토퍼와;
    상기 링크스토퍼로부터 상기 링크로드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슬롯홀로 끼워지는 끼움돌기;
    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스토퍼와 상기 끼움돌기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링크스토퍼는 상기 슬롯홀에 끼워지지 못하도록 상기 끼움돌기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링크스토퍼의 일측면에서 상기 링크스토퍼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1차돌기와;
    상기 1차돌기의 선단에서 상기 1차돌기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2차돌기와;
    상기 2차돌기의 선단에서 상기 링크스토퍼보다 작고 상기 1차돌기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돌기머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은,
    상기 페달암의 일단에서 상기 돌기머리는 관통하고 상기 링크스토퍼는 끼워지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끼움구멍과,
    상기 끼움구멍으로부터 상기 페달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1차돌기와 상기 2차돌기는 관통하고 상기 링크스토퍼와 상기 돌기머리는 끼워지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작동구멍;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과 상기 작동구멍의 연결부에는 상기 작동구멍의 폭을 축소시키는 구멍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돌기에 의해 상기 끼움돌기의 2차돌기만이 상기 끼움구멍과 상기 작동구멍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시너트는 상기 작동구멍을 관통한 상기 2차돌기에 끼워져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KR20090109632A 2009-11-13 2009-11-13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KR101480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9632A KR101480575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9632A KR101480575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901A true KR20110052901A (ko) 2011-05-19
KR101480575B1 KR101480575B1 (ko) 2015-01-08

Family

ID=4436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9632A KR101480575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5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47B1 (ko) * 2011-11-10 2013-06-11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326834B1 (ko) * 2011-11-10 2013-11-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427823B1 (ko) *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오르간 타입의 가속페달 장치
JP2018079898A (ja) * 2016-11-18 2018-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128U (ko) * 1975-12-17 1977-06-21
JPS5653220U (ko) * 1979-09-28 1981-05-11
JPH10272050A (ja) * 1997-03-31 1998-10-13 Kokuyo Co Ltd フック
JP2008059202A (ja) 2006-08-30 2008-03-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47B1 (ko) * 2011-11-10 2013-06-11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326834B1 (ko) * 2011-11-10 2013-11-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427823B1 (ko) *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오르간 타입의 가속페달 장치
JP2018079898A (ja) * 2016-11-18 2018-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575B1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734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EP2460630B1 (de)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KR20110052901A (ko)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EP2172674A3 (en) Transmission control assembly having a locking mechanism
DE102011052504B4 (de) Gaspedal für Fahrzeug
US10940835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preventing misalignment in vehicle brake assemblies
US9298208B2 (en) Apparatus for reducing clutch pedal effort
KR100835333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US10030691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for movable member
KR101327044B1 (ko) 차량의 페달장치
KR100911529B1 (ko) 가속페달 장치
JP2003014588A (ja) 車両自動運転装置
US8224547B2 (en) Device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of automobile
KR101272947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JP3869665B2 (ja) 樹脂ペダルのロッド連結構造
JP2004124713A (ja) エンジンスピード制御装置
JP5752914B2 (ja) 車両のドア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070093589A (ko) 차량의 스로틀 밸브 개폐 제어장치
JP4020422B2 (ja) 車両用曲がりシフトレバー
CN102072028B (zh) 一种微耕机油门控制装置
JP4177062B2 (ja) オープナ装置のレバー支持ベース
KR100931131B1 (ko) 게이트형 변속레버의 키 인터록장치
EP2213867B1 (en) Carburetor
KR10052687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873239B1 (ko) 페달 암과 푸시 로드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