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834B1 -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834B1
KR101326834B1 KR1020110117207A KR20110117207A KR101326834B1 KR 101326834 B1 KR101326834 B1 KR 101326834B1 KR 1020110117207 A KR1020110117207 A KR 1020110117207A KR 20110117207 A KR20110117207 A KR 20110117207A KR 101326834 B1 KR101326834 B1 KR 10132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ehicle
pad
accelerator pedal
ped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833A (ko
Inventor
김은식
최지혁
민정선
양희수
조양래
오호종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1011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는, 차량의 대시 패널에 장착된 페달암 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암과,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패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홀이 형성된 페달패드와, 각 장착홀에 삽입되어 페달패드와 페달암의 타단을 연결하며, 페달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작동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ACCELERATOR PEDAL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속페달 상에 다수개의 하중 작용점을 적용시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 시, 답력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는 가솔린 엔진에서는 혼합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디젤 엔진에서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착구조에 따라 대시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펜던트 타입(pendant type)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가속페달 장치는 펜던트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상기 펜던트 타입의 가속페달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 시, 투박한 느낌을 받기 때문에 조작감이 좋지 않고, 이에 따라 피로감이 과중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는 펜던트 타입의 단점을 없앨 수 있는 것으로, 즉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스로틀 밸브의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실내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차량의 고급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기에, 최근 고급 차량에서부터 적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구성은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풋플레이트와, 상기 풋플레이트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중간부위가 중심축을 매개로 설치된 회전암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풋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암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회전암과 상기 하우징의 안쪽면에 양단이 지지 설치되어 상기 회전암의 시소운동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가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경우라면, 상기 회전암의 시소운동 동작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센서가 검출하여 스로틀 제어유니트(TCU)로 전기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스로틀 제어유니트는 제어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가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경우라면, 상기 회전암의 시소운동 시, 일단이 상기 회전암에 결합된 커넥팅케이블 이 당겨지고, 이에 연동하여 액셀케이블이 당겨지게 되어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르간 타입의 가속페달 장치는 운전자의 풋플레이트 조작 위치에 따라 답력의 높음과 낮음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는 가속페달 상에 다수개의 하중 작용점을 적용시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 시, 답력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는, 차량의 대시 패널에 장착된 페달암 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암과,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패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홀이 형성된 페달패드와, 상기 각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페달패드와 페달암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페달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작동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의 타단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브라켓은 상기 각 연결돌기와 연결되는 장공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작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페달패드의 장착홀에 돌출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조작부의 위치가 하단일 경우, 상기 페달암의 하단 작동 반경이 상기 페달암의 상단 작동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조작부의 위치가 상단일 경우, 상기 페달암의 상단 작동 반경이 상기 페달암의 하단 작동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는 가속페달 상에 다수개의 하중 작용점을 적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할 때에 느껴지는 답력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1)는 가속페달 상에 다수개의 하중 작용점을 적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할 때에 느껴지는 답력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1)는 기본적으로 페달암(10), 페달패드(20) 및 작동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페달암(10)은 차량의 대시 패널(미도시)에 장착된 페달암 브라켓(3)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돌기(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페달패드(20)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미도시)에 장착된 패드 브라켓(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홀(21)이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홀(21)은 사각형태의 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 브라켓(30)은 각 장착홀(21)에 삽입되어 상기 페달패드(20)와 페달암(10)의 타단에 형성된 각 연결돌기(11)를 연결하고, 페달암(10)의 타단 양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 브라켓(30)은 연결부(33)와 작용부(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각 연결돌기(11)와 연결되는 장공형태의 연결홈(35)이 형성된 부분이고, 상기 작용부(31)는 연결부(33)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다.
즉, 연결부(33)와 작용부(31)로 이루어진 작동 브라켓(3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부(31)는 페달패드(20)의 장착홀(21)에 돌출되게 삽입되는데, 이는 운전자가 페달패드(20)를 조작할 때에 하중이 작용하는 부분을 감지하여 일정한 답력으로 페달패드(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페달패드(20)는 조작부의 위치가 하단일 경우, 페달암(10)의 하단 작동 반경이 페달암(10)의 상단 작동 반경 보다 크게되고, 조작부의 위치가 상단일 경우, 페달암(10)의 상단 작동 반경이 페달암(10)의 하단 작동 반경 보다 작게되므로, 운전자는 페달패드(20)의 어느 부분에 조작하게 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답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연결돌기(11), 작동 브라켓(30), 연결홈(35) 및 장착홀(2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다섯 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페달패드(20)를 조작하게 되면, 페달패드(20)는 운전자의 작동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페달패드(20)의 장착홀(21)을 통해 페달패드(20)와 페달암(10)을 연결하는 작동 브라켓(30)도 페달패드(20)의 작동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페달암(10)도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패드(20)의 작동에 따라, 페달암(10)의 타단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11)에 작동 브라켓(30)의 연결부(33) 상에 장공형태로 형성된 연결홈(35)이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페달패드(20)의 조작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답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1)는 페달패드(20) 상에 형성된 각 장착홀(21)로 다수개의 작용부(31)를 적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할 때에 느껴지는 답력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3...페달암 브라켓
5...패드 브라켓 10...페달암
11...연결돌기 20...페달패드
21...장착홀 30...작동 브라켓
31...작용부 33...연결부
35...연결홈

Claims (6)

  1. 차량의 대시 패널에 장착된 페달암 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암과,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패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홀이 형성된 페달패드, 및 상기 각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페달패드와 페달암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페달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작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암의 타단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브라켓은
    상기 각 연결돌기와 연결되는 장공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작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페달패드의 장착홀에 돌출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조작부의 위치가 하단일 경우, 상기 페달암의 하단 작동 반경이 상기 페달암의 상단 작동 반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조작부의 위치가 상단일 경우, 상기 페달암의 상단 작동 반경이 상기 페달암의 하단 작동 반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20110117207A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32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07A KR101326834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07A KR101326834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833A KR20130051833A (ko) 2013-05-21
KR101326834B1 true KR101326834B1 (ko) 2013-11-07

Family

ID=4866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207A KR101326834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8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566A (ja) * 1997-03-13 1998-09-25 Kato Works Co Ltd 操作ペタル及び操作レバー
JP2006507589A (ja) 2002-11-22 2006-03-02 フィコ ケーブルス, エセ. アー. 可調整ペダル
KR20090056402A (ko) *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사각 가변형 오르간 타입 가속 페달 조립체
KR20110052901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566A (ja) * 1997-03-13 1998-09-25 Kato Works Co Ltd 操作ペタル及び操作レバー
JP2006507589A (ja) 2002-11-22 2006-03-02 フィコ ケーブルス, エセ. アー. 可調整ペダル
KR20090056402A (ko) *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사각 가변형 오르간 타입 가속 페달 조립체
KR20110052901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833A (ko)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541B1 (ko)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7717012B2 (en) Electronic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KR100941260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930662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 발생장치
KR100999238B1 (ko)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20090293666A1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WO2006091347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JP2009525537A (ja) 乗物用アクセルペダル
US9074535B1 (en) Integrated engin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272946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0841924B1 (ko)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KR101272947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326834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710964B1 (ko) 자율주행 차량용 오르간식 가속페달
KR20110092388A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911529B1 (ko) 가속페달 장치
KR20100046653A (ko) 차량용 플로어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200242441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KR101371726B1 (ko) 차량용 가속페달의 스트로크 조절장치
KR100494791B1 (ko) 작동력 가변 가속페달 시스템
JPH0232934Y2 (ko)
KR200157132Y1 (ko) 자동차 가속페달의 스토퍼장치
JP3557738B2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210091932A (ko) 답력 조절형 가속 페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