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55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550A
KR20110052550A KR1020110028514A KR20110028514A KR20110052550A KR 20110052550 A KR20110052550 A KR 20110052550A KR 1020110028514 A KR1020110028514 A KR 1020110028514A KR 20110028514 A KR20110028514 A KR 20110028514A KR 20110052550 A KR20110052550 A KR 2011005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tank
compartment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107B1 (ko
Inventor
도오루 에비하라
다까시 오오와다
노리요시 오구라
히데오 구마꾸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급수와 메인터넌스가 양호한 급수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를 구비한 세로 구획벽(3)을 통해서 냉동실(100)과 냉장실(200)로 좌우로 분할하고, 제1 저장실(냉동실)(100)과 제2 저장실(냉장실)(200)의 전방부에는 개폐 가능한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가 설치되고, 냉동실(100)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300)와 얼음 수납부(320)를 구비하고, 냉장실(200)에는 급수 탱크(400)와 급수 펌프(478)를 구비하고, 냉동실 도어(50)의 외측 도어면에는 얼음 공급부와 냉수 급수부를 구비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를 구비하고 있고, 냉장실(200)은 급수 탱크(40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구획 선반(4)과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상부 구획 선반(211)을 냉장실(210)의 중단에 배치하고, 급수 탱크(400)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큰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수부(403)를 구비한 상면 전방부(412)를 상기 상부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노출시켜 하부 구획 선반(4)에 설치되고, 또한, 이 설치된 상태로부터 냉장실(1) 외부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자동 제빙 장치 또는 냉수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제빙 장치 또는 냉수 장치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 제빙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들 냉장고는 냉동실에 자동 제빙 장치를 구비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를 냉장실에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급수 탱크는 자동 제빙 장치에만 급수하기 때문에 그 용량은 1L 정도이다.
한편, 양문형으로 불리는 대용량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자동 제빙 장치와 냉수 장치를 구비하고, 냉동실의 도어면에 얼음이나 냉수의 취출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들 냉장고는 수도로부터 도입한 수도물을 절환 밸브를 통해서 냉동실 내에 설치되는 자동 제빙 장치와,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저수 탱크에 직접 배관하고 있다. 여기서 자동 제빙 장치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냉동실 도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얼음 수납부에 축적되어, 냉동실 도어의 외면에 설치되는 취출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저수 탱크는 냉장실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이 저수 탱크로부터 인출되는 급수 파이프를 힌지를 통해서 냉동실 도어에 배관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3-329345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7-132644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는 취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빙 기능뿐만 아니라 냉수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도로부터 직접 급수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수도 사정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유효하지만, 수도 사정이 양호하지 않은 동남아시아나 발전도상국 등에서는 위생면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한편, 위생면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수 필터를 냉장고에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수도 사정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이 정수 필터의 메인터넌스에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착탈 가능한 급수 탱크를 구비하는 것도 유효한 대책이지만, 제빙뿐만 아니라 냉수까지 공급하려고 하면 4L 정도의 용량이 필요해서 이 대용량의 급수 탱크를 설치하는 구조나, 이 급수 탱크에 급수하는 방법에도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대용량의 급수와 메인터넌스가 양호한 급수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을 단열재를 구비한 세로 구획벽을 통해서 냉동실과 냉장실로 좌우로 분할하고,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의 전방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와, 상기 자동 제빙 장치에서 생성한 얼음을 수납하는 얼음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장실에는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 도어면에는 상기 얼음 수납부로부터의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와,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부를 그 상부에 구비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냉장실은 상기 급수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구획 선반과 상기 급수 펌프의 상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상부 구획 선반을 상기 냉장실의 중단에 배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상기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큰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수부를 구비한 상면 전방부를 상기 상부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노출시켜 상기 하부 구획 선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된 상태로부터 냉장실 외부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급수부가 노출되는 급수 탱크를 냉장실 내의 중단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냉장실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급수나, 급수 탱크를 제거해서의 급수 및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도이다.
도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의 외관도이다.
도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인 외관도이다.
도8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 종단면도이다.
도10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에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플로우 도이다.
도1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1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이다.
도1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와의 대비도이다.
도1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도이다.
도1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다.
도1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1로부터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방향 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1로부터 도14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이고, 도15와 도16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이며, 도17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로서, (a)도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b)도가 (a)도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a)도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내부나 급수 탱크(40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부호(1)로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는 양문형으로 불리는 저장 온도가 0°C 이하의 제1 저장실(100)과 저장 온도가 0°C 이상의 제2 저장실(200)을 좌우로 배치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로 형성되는 세로 구획벽(3)으로 좌우로 분할하여 한쪽을 상기 제1 저장실(100)로 하고 다른 쪽을 제2 저장실(200)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제1 저장실(100)을 냉동실[이하, 냉동실(100)이라고도 한다]로 하고, 우측의 제2 저장실(200)을 중앙의 발포 단열재를 갖지 않는 가로 구획벽(4)을 통해서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를 냉장실(210)로 하고 하부를 야채실(260)로 하고 있다.
여기서 야채실(260)은 편의상 야채실로 부르나 야채 전용의 저장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장실(210)은 저장실 내가 개방된 저장실 공간인 데 비하여 이 야채실(260)은 보습이 필요한 식품(야채나 과일 등)의 수납을 목적으로 하는 서랍식의 수납 용기를 구비한 저장실 공간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야채 전용의 저장실이 아니라, 냉장실(210)에 수납하는 식품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저장실(200)을 가로 구획벽(4)에 의해 상하로 분할하고, 이 가로 구획벽(4)에 착탈 가능한 급수 탱크(400)를 구비한 3도어 냉장고로 설명한다. 그러나,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로 구획벽(4)을 통상의 구획 선반으로 하는 2도어 냉장고에 있어서도 급수 탱크(4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탱크(400)의 배치 구조는 제1 저장실(100)을 다시 상하로 분할한 4도어 냉장고에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후의 2도어 냉장고의 설명에서는 제2 저장실(200)을 냉장실(200)이라고 부른다.
하우징(2)은 도시하지 않은 강판제의 외장체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내장재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제1 저장실(100)과 제2 저장실(200)의 온도가 크게 다르다. 한편, 제2 저장실(200)을 구성하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은 거의 같은 온도로 설정된다.
상기 3개의 저장실은 각각 그 전방면을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밀폐된 저장실을 구성한다. 각 도어는 하우징(2)과 동일한 단열재를 구비한 구조를 구비하고,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5)을 통해서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저장실에 식품을 출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최상부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수납부(320)를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하고 있다. 얼음 수납부(320)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냉동실 도어(50)를 닫은 상태에서 자동 제빙 장치(30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전단부보다 냉동실(100) 내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아래쪽으로 낙하해서 얼음 수납부(320)에 저장된다.
한편, 얼음 수납부(320)의 하방 위치가 되는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부에는 도어면(9)에 오목 형상으로 쑥 들어가게 하여 형성되는 취출구(350)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350)와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이 얼음 분쇄 기구부(370)는 생성된 얼음을 그대로, 혹은 분쇄해서 취출구(350)의 상면에 형성한 얼음 공급부(38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취출구(350)에서 얼음과 분쇄 얼음과 냉수를 선택해서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하나는 상기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공급하는 냉수를 제2 저장실(200)에 설치한 급수 탱크(400)로부터 공급하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저장실(200)인 냉장실(210) 내에 탱크 베이스부(470)를 설치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급수 탱크(4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수도를 자동 제빙 장치에 직결해서 급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수 장치에 있어서도 수도물을 냉각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 탱크에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 탱크는 냉장고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수도와 직결되어 있던 저수 탱크를 떼어내고, 독립한 급수 탱크(400)를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급수 탱크(400)를 제2 저장실(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급수 탱크(400)로부터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냉수를 공급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기능과 냉수 기능을 함께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제2 저장실(200)의 상하의 중단 위치가 되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급수탱크(400)의 착탈이나, 혹은 급수 탱크(400)에 냉수를 직접 보급할 때에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 내의 저면의 세로 구획벽(4) 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탱크(400)를 적재하는 베이스판(471)과 이 베이스판(471)의 후방에 형성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로 구성된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로 이루어지는 급수 펌프(478)를 내장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급수 탱크(400)와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냉수용 펌프(4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냉수용 펌프(474)는 급수 탱크(400)의 하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제빙용 급수 파이프(6)가 인출되고, 이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세로 구획벽(3)을 따라서 상승하여 냉동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빙결되지 않도록, 세로 구획벽(3)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혹은 세로 구획벽(3)의 냉장실(210)측을 따라서 배관된다.
한편, 냉수용 펌프(474)는 냉수용 급수 파이프(7)가 인출되고, 이 냉수용 급수 파이프(7)는 세로 구획벽(3)을 따라 하강되어 냉동실(100)의 하부의 하우징(2)의 저면부의 단열재 내를 통과하고, 힌지부(5)를 통과하여 냉동실 도어(50)의 단열재를 거쳐서 취출구(350)의 냉수 공급부(390)로 배관된다. 여기서 냉수용 펌프(474)도 또한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빙결되지 않도록 세로 구획벽(3)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혹은 세로 구획벽(3)의 냉장실(210)측을 따라 배관되고, 또한 하우징(2) 또는 냉동실 도어(50)에서는 단열재 내를 통과하도록 배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세로 구획벽(3)에 인접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배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 급수할 때에만 제빙용 급수 펌프(473)에 의해 도수하고, 그 이외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물이 빠진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가 동결되어 도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의 급수가 완료되면, 제빙 장치용 펌프(473)의 밸브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은 중력에 의해 급수 탱크(400)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통상시에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에 잔류될 수 있는 물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을 급수 탱크(400)로 복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를 사용해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을 끌어 들이는 것이라도 좋다.
한편, 냉수용 급수 파이프(7)는 냉수 공급부(390)에 급수할 때를 포함하여, 항상, 물이 충전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바로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를 하우징(2) 내에서 배관하는 구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 근방의 하우징(2)의 배면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제빙용 급수 파이프(6)를 일단 하우징(2)의 외부로 인출하여 배면벽을 따라 배관하고, 다시 관통 구멍을 통해서 하우징(2)의 내부로에 복귀시킴으로써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를 접속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냉수용 펌프(474) 근방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냉수용 급수 파이프(7)를 일단 하우징(2)의 외부로 인출하고, 배면벽을 따라 배관하여 힌지(5)로부터 냉동실 도어(50) 내로 배관함으로써 냉수용 펌프(474)와 냉수 공급부(390)를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빙결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제빙용 급수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메인터넌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의 제1 구획 선반(211)과 냉장실(210)의 저면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 탱크(400)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긴 깊이가 있는 각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실(210)의 저면과 제1 구획 선반(211)과의 사이의 저장 공간은 세로 구획벽(3)측이 급수 탱크(400)의 수납 공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한 쪽은 개방된 통상의 저장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의 사이에 노출되는 돌출부(401)를 구비해서 형성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를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급수 탱크(400)는 내부 용적을 4L 정도 구비한 대용량으로 하고 있다. 이 급수 탱크(400)는 제거하여, 수도 꼭지까지 가져가서 급수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1)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이 직접 급수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를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냉장실(210)의 최전방부의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패트병 등의 보틀류로부터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는 깊이가 있는 상자형의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또한 이 돌출부(401)의 하방이 되는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하부를 후방으로 쑥 들어가게 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401)의 하면 내벽면을 후방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하부 경사면(405)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돌출부(401)의 상부의 급수부(403)로부터 급수된 물은 이 하부 경사면(405)에 접촉하여 탱크 본체(404)의 내측으로 튀어 오르므로, 급수부(403)로부터 급수하는 물이 이용자에게 튀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의 하방의 오목부(406)에 이 급수 탱크(400)를 유지하기 위한 핸들부(407)를 설치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01)의 하방 위치를 이용하여 핸들부(40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급수부(403)와 핸들부(407)를 급수 탱크(400)의 최전방부에 위치시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407)는 세로로 긴 막대 형상의 파지 핸들로 하고 게다가 일단부를 상기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핸들부(407)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이용자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에 하부 수납 포켓(220)을 설치하고, 이 하부 수납 포켓(220)에 돌출부(401)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을 흡수하는 절결부(221)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400)와 하부 수납 포켓(220)의 사용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2, 도3을 참조하여 양문형으로 불리는 냉장고(1)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2는 냉장고의 단면도이며, (a)도가 제1 저장실의 종단면도, (b)도가 제2 저장실의 종단면도, (c)도가 송풍 팬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3은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2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서는 하우징(2)의 이면측 하부에 오목 형상의 기계실(12)을 형성하고, 이 기계실(12)에 압축기(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측을 세로 구획벽(3)에 의해 좌우로 분할하고, 좌측을 냉동 온도대의 제1 저장실(100)로 하고 우측을 냉장 온도대의 제2 저장실(200)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실인 냉동실(100)의 이면측에 냉기 발생원인 열교환기(13)와 이 열교환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로 순환시키는 송풍 팬(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열이 발생하는 압축기(11)는 제2 저장실(200)의 후방의 기계실(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a)도,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2)은 제1 저장실(100) 및 제2 저장실(200)의 하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a)도에 도시하는 냉동실(1OO)에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에 맞추어, 그 상방에 열교환기(13)를 구비한 냉각실(16)이 형성된다. 이 냉각실(16)은 냉장실(100)과 단열재를 구비하지 않는 이면벽(102)에 의해 구획되어, 열교환기(13) 외에 제상 히터(17)가 배치된다. 또한, 이 냉각실(16)에는 냉동실(100)의 냉기를 냉각실(16)로 도입하기 위한 냉기 복귀구(19)가 형성된다.
냉동실(100)의 이면의 상방에는 송풍 팬(14)이 배치되고, 이 송풍 팬(14)과 냉각실(16)은 냉동실 이면 통로(18)에 의해 연통된다. 그리고, 송풍 팬(14)을 구동시키면, 냉각실(16)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 이면 통로(18)를 통해서 송풍 팬(14)으로 끌어들여져 송풍 팬의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102)에 형성한 상부 냉기 분출구(103)로부터 냉동실(100) 내로 공급된다. 또한, 도3에 있어서, 냉동실(100)의 이면에는 냉동실 이면 통로(18)와 나란히 냉동실 분출 통로(10)가 형성된다.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는 송풍 팬(14)의 냉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에는 냉동실(10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101)에 맞추어,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가 형성되고, 이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도 냉기가 냉동실(1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부 냉기 분출구(103) 및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 공급된 냉기는 냉동실(100) 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흘러, 냉기 복귀구(19)로부터 냉각실(16) 내로 도입된다.
한편, 도2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10)의 냉기는 이 냉장실(210)의 상부에 설치한 댐퍼(20)로부터 공급된다. 이 댐퍼(20)는 세로 구획벽(3)을 관통하는 연락풍로(21)를 통해서 송풍 팬(14)과 연통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 제어에 의해, 댐퍼(20)를 개방하면 송풍 팬(14)로부터 냉기가 공급되어, 이 냉기가 댐퍼(20)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201)에 설치한 상부 냉기 분출구(213)로부터 냉장실(210) 내로 공급된다.
또한, 댐퍼(20)에는 냉장실(210)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냉장실 이면 통로(21)가 연통된다. 냉장실 이면 통로(21)에는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선반(212)에 맞춰서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가 형성되고, 댐퍼(20)를 개방함으로써 이 중간 냉기 분출구(214)로부터도 냉기가 냉장실(210) 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 선반(211)은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212)의 최하부의 구획 선반이다.
또한, 냉장실(210)에 공급된 냉기는 냉장실(210)을 상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흘러서 냉장실(210)의 저면을 구성하는 가로 구획벽(4)에 도입된다. 가로 구획벽(4)은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에 복귀 통로(22)의 일부가 형성된다. 복귀 통로(22)는 가로 구획벽(4)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평 복귀 통로(22a)와 야채실(260)의 이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복귀 통로(22b)와 세로 구획벽(3)을 관통하여 냉각실(16)로 냉기를 복귀시키기 위한 횡단 복귀 통로(22c)로 구성된다.
냉장실(210)의 냉기는 가로 구획벽(4)의 상면 전방부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수평 복귀 통로(22a)로 도입되어 화살표를 따라서 수평 복귀 통로(22a)로부터 수직 복귀 통로(22b)를 거쳐 수직 복귀 통로(22b)의 하단부와 냉각실(16)을 연결하는 횡단 복귀 통로(22c)를 통해서 냉각실(16)로 복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60)의 냉각은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의 복사 냉각에 의해 기본적으로 행하여지지만,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를 지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260)로 공급되어, 이 공급된 냉기로도 행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60)에 냉기를 넣지 않고 주위로부터 냉각하는 복사 냉각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냉장실(210)의 냉기를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야채실(260)로 보내서 야채실(260) 내를 냉각하고, 횡단 복귀 통로(22c)로부터 냉각실(16)로 복귀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야채실(260)에는 보습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인출 용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채나 과일등의 식품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2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천정면에 설치하고 있다. 자동 제빙 장치(300)는 얼음을 생성하면 아래쪽으로 낙하시킨다. 이 낙하하는 얼음을 받는 얼음 수납부(320)는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350)는 얼음이나 냉수를 받는 컵 등의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구비해서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취출구(350)의 천정면과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취출구(350)에는 냉수 공급부(390)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구(350)의 상부 위치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가 이 조작 패널(90)을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얼음 분쇄 기구부(370)나 2개의 펌프(473, 474)를 동작시켜서 조작 지시에 따른 냉수 또는 얼음 또는 분쇄 얼음을 제공한다.
도3 및 도2에 있어서, 냉동실(10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106)으로 구성된다.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은 복수의 구획 선반(101)으로 상하로 구획된 상부의 개방 공간(107)과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인출 용기(108)로 이루어지는 하부의 인출 공간(109)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방 공간(107)의 상부에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 수납 공간(106)은 상부가 얼음 수납부(320)와 취출구(350)를 수납한 돌출부(109)가 형성되고, 하부는 복수의 수납 포켓(110)이 상하로 늘어서서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21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1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16)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15)은 복수의 구획 선반(212)으로 상하로 구획된 개방 공간이다. 이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상부에는 댐퍼(20)를 내장한 댐퍼 커버(217)가 설치되고, 이 댐퍼 커버(217)의 하면에는 조명 장치(2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하부의 한 쪽에는 급수 탱크(400)가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210)의 이면벽(201)에는 냉장실 이면 통로(2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복사판(222)이 설치되고, 이 복사판(222)을 통해서 냉장실(210)을 복사 냉각하는 동시에 이 복사판(222)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를 통해서 냉기가 분출된다.
도어 수납 공간(216)은 깊이 치수가 적은 복수의 수납 포켓(219)과 깊이 치수가 수납 포켓(219)의 깊이 치수보다 큰 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26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61)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은 복수의 인출 용기(263)가 상하로 배치되는 인출 공간이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인출 용기(264) 이외의 하단 인출 용기(267)는 상방만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상단 인출 용기(264)는 인출 동작에 수반하여 개폐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가로 구획벽(4)과 냉장실 도어(60)가 인접해서 배치되므로, 하단 인출 용기(267)의 구조에서는 식품을 출납하는 공간이 좁아지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그 이동에 따라, 개방되면서 가로 구획벽(4)의 하부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13, 도14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어 수납 공간(262)은 복수의 수납 포켓(268)이 상하로 배치된다.
또한, 도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은 냉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도2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냉장고(1)의 외관 형상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4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는 냉장고의 외관도로서, (a)도가 평면도, (b)도가 정면도, (c)도가 우측면도, (d)도가 도어 핸들부의 부분 수평 단면도이다.
도4와 도5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2)의 전방면에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 도어(50)는 하우징(2)의 좌측 전체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좌측 상하단부에 설치한 힌지부(5)에 의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우측에는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상하로 배치되고, 우측 상하단부와 우측 중앙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서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냉동실 도어(50)와 우측의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를 중앙의 분할 라인(8)을 통해서 양측으로 여닫이 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분할 라인(8)을 따라 도어 핸들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핸들부(40)는 냉동실 핸들부(41)와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로 구성된다.
냉동실 핸들부(41)는 냉동실 도어(5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51)와 막대 형상 핸들부(5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는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5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53)를 상하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54)와 하부 설치부(55)로 구성된다.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1), (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상하단부가 도어면(9)과 위화감이 없도록 활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는 이 2개의 핸들을 상하로 조합함으로써 냉동실 핸들부(41)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즉, 냉장실 핸들부(42)는 냉장실 도어(6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61)와 막대 형상 핸들부(6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62)는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6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63)를 상하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64)와 중앙 설치부(65)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야채실 핸들부(43)는 야채실 도어(7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71)와 막대 형상 핸들부(7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72)은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7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73)를 상하로 지지하는 중앙 설치부(74)와 하부 설치부(7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얼음 분쇄 기구부(370) 등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도어 내에 수납하기 때문에 통상의 냉장고 도어의 두께(도어의 깊이 치수)가 크므로, 도어 전체의 중량이 커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로 분할되어서 높이 치수가 작은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분할라인(8)을 냉동실(100)측으로 오프셋하여 냉동실 도어(50)의 가로 폭을 작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량이 있는 냉동실 도어(50)의 개폐에 큰 힘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도어를 확실하게 유지 가능한 막대 형상 핸들로 하여 상기 과제를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막대 형상 핸들은 도어면(9)으로부터 크게 돌출하는 과제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면(9)의 단부에 손잡이 오목부(51, 61, 71)를 형성하고, 이 한층 낮은 오목부에 막대 형상 핸들부(52, 62, 7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막대 형상 핸들부(52)의 상하단부를 도어면(9)과 위화감이 없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어 핸들부(40)의 전방으로의 돌출된 인상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설치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는 통상의 컵 등을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의 내부 저면에는 착탈 가능한 그물 형상의 컵 거치대(351)가 있고, 그 하부에는 넘친 물을 받도록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 후방에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어 취출구(350)의 배면벽에 설치한 냉수 스위치(391)를 컵 등으로 압박하면 냉수용 펌프(474)가 동작해서 냉수 공급부(390)에서 냉수를 내보낼 수 있다.
또한, 취출구(350)의 상부의 도어면(9)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90)에 이 냉장고(1) 전체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상태 표시부(91)와 얼음 분쇄 기구부(370)의 동작을 지시하는 얼음 선택 버튼(9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실 도어(50) 등의 각 도어 구조는 도어면(9)의 주위를 수지 재료의 프레임(43)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면(9)을 강판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투명 판재로 표면 처리된 강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설치 환경에 대응해서 도어면(9)을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6은 급수 탱크의 외관도로서, (a)도가 사시도, (b)도는 중앙 종단면된 사시도이다. 도7은 급수 탱크에 외관도로서, (a)도는 평면도, (b)도는 좌측면도, (c)도는 정면도, (d)도는 저면도, (e)도는 우측면도, (f)도는 개폐 기구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부품 구성도이다. 또한, 도7에서는 도시하는 관계로부터 (c)도를 정면도로 정의하고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b)도를 정면도로서 설명한다.
도6, 도7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0)와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411)로 탱크 본체(404)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410)는 깊이가 있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구비하여 물을 수납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의 상단부의 개방부를 덮는 캡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케이스(410) 내를 청소할 수 있다.
탱크 본체(404)는 가로 폭 치수(W1)보다 높이 치수(H1)가 크고, 이 높이 치수(H1)보다 깊이 치수(D1)가 큰 깊이가 있는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L 정도의 용량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410)의 정면측의 벽면은 하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그 상단부가 서서히 경사져 하부 경사면(405)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기본적으로는 얇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지만, 정면측의 선단부는 그 상면이 단부로부터 서서히 세워져서 경사면(412)을 형성하도록 융기시키고, 이 융기부(413)의 후단부는 후방의 평탄부(4l4)와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접속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412)에 크게 개방된 급수부(403)가 형성되고, 이 급수부(403)를 덮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40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410)의 전방부 상단부와, 이 전방부 상단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411)의 선단부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돌출부(401)는 선단부가 가늘고, 상면은 상방으로 세워지고,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후방을 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급수부(403)를 이용자측에서 보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부(403)의 전단부를 낮게 해서 패트병의 주입구를 대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급수한 물의 튕김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402)는 경사면(412)의 후단부에 형성한 수평한 회전축 Q1을 중심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402)의 전방부가 되는 경사면(412)의 전방부에는 개폐 덮개(40)의 개폐 버튼(41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7의 (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덮개(402)의 후단부에 관통 구멍(416)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416)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축 부재(417)를 삽입한다. 이 회전축 부재(417)는 중앙의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에 축 부재(417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급수부(403)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회전축 부재(417)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축 고정부(418)와 회전축 부재(417)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리 베어링부(419)를 쌍으로 설치하고 있다.
회전축 부재(417)는 프리 베어링부(419)와 끼워 맞추어지는 축 부재(417b)가 관통 구멍(416)에 고정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고정된 축 부재(417b)와 프리 베어링부(419), 고정 베어링부(418)와 다른 쪽의 축 부재(417b)를 개폐 덮개(402)를 개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해방한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개폐 덮개(402)를 개폐 보턴(415)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개폐 버튼(415)을 조작해서 개폐 덮개(402)가 폐쇄된 상태를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개폐 덮개(40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스프링 기능을 막대 형상의 회전축 부재(417)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개구 기구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구조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417a)을 압축한 상태로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 삽입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으로 신장되고자 하는 작용에 의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개방시의 개폐 덮개(402)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코일 스프링(417a)이 더욱 연장되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서 빠지게 되므로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게다가 앞으로 기우뚱한 경사면(412)에 급수부(40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장실(210)에 이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시에는 개폐 버튼(415)을 조작해서 개폐 덮개(402)를 후방을 향해서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개폐 덮개(402)가 급수 시에 방해될 일이 없다.
또한, 도7의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에 급수된 물은 일단부, 하부 경사면(405)에 접촉하여 급수 탱크(400) 내로 투입되므로, 투입된 물이 튕겨져서 이용자에게 튕겨지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01)의 하방의 하부 케이스(410)의 벽면은 후방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406)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돌출부(401)의 하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핸들부(407)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는 파지 핸들이며, 하단부를 오목부(406)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단부를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핸들부(407)를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상자형의 콤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급수부(403)를 구비한 돌출부(401)와 함께 급수탱크(400)의 최전방부에 핸들부(407)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핸들부(407)는 종형의 파지 핸들로 하고 있으므로, 착탈 시에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이 경감된다.
또한, 도6의 (a)도,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상면 후단부에 단차부(420)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42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411)의 후단부로부터 한 쌍의 접속 파이프(421)가,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 파이프(421)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 단차부(4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접속 파이프(421)가 반송시에 다른 것과 접촉하여 파손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411)의 내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부에 급수 필터부(422)가 설치된다. 이 급수 필터부(422)는 저면이 격자 형상의 그물로 개방된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급수 필터(423)가 내장된다.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은 하부 케이스(410)의 내부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도입된 물은 급수 필터부(422)에서 정화되어, 접속 파이프(421)로부터 제빙 장치용 펌프(473) 또는 냉수용 펌프(474)로 도입된다.
또한, 도7의 (d)도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4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유지 오목부(424)가 형성되고, 또한,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돌기 리브(4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410)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핸들부(407)를 유지하고, 그대로 앞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돌기 리브(425)를 구비함으로써, 급수 탱크(400)와 베이스판(471)의 접촉 마찰이 경감되어, 가벼운 힘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로부터 인출하면, 이 급수 탱크(400)를 왼손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때, 유지 오목부(424)에 왼손을 대어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오목부(424)를 통해서 왼쪽 손의 미끄러짐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8과 도9를 참조해서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210)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8은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로서, (a)도가 설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도, (b)도가 베이스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의 종단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고(1)에 설치할 때에 탱크 베이스부(470)를 통해서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와 그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베이스판(471)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을 구획하는 단열재가 없는 가로 구획벽(4)의 위에 급수 탱크(400)를 설치한다. 이 가로 구획벽(4)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의 밀착을 도모하기 위한 강도 부재(450)와 이 강도 부재(450)와 후방의 구획판(451)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이 가로 구획벽(4)이 내부에 단열재가 없는 것을 이용하여, 구획판(451)을 2중 구조로 하여 냉장실(210)의 수평 복귀 통로(22a)를 형성하고 있다.
즉, 구획판(451)은 냉장실(210)의 내부 저면을 형성하는 상부 구획판(452)과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획판(453)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하부 구획판(453)은 알루미늄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복사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를 덮는 덮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획판(452)은 복사 기능을 구비한 하부 구획판(453)을 냉장실(210)로부터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투명판(454)과 이것을 주위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45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가로 구획벽(4)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착탈을 행한다. 이로 인해, 급수 탱크(400)의 이동에 수반되는 가로 구획벽(4)의 손상이 큰 과제가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4L의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약 4Kg의 중량물이 가로 구획벽(4) 위를 이동하면 상기 과제는 큰 것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구획벽(4)은 그 내부에 수평 복귀 통로(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지지하는 강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구획벽(4)을 투명판(454)으로 구성하고, 또한, 그 상면이 요철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과제는 한층 더 큰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 안내하는 베이스판(471)을 설치하고 있다. 이 베이스판(471)은 그 양단부를 강도 부재(450)와 냉장실(210)의 이면벽으로 지지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471)은 세로 구획벽(3)과 대향하는 한 쪽에상방으로 돌출된 안내 리브(47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삽입되는 급수 탱크(400)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베이스판(471)의 후방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전방면 상부에는 급수 탱크(400)의 단차부(420)와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476)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476)에 급수 탱크(400)의 접속 파이프(421)에 끼워 맞추어지는 파이프 수용부(47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급수 탱크(400)를 베이스판(471)을 따라 삽입하여 압입함으로써, 접속 파이프(421)와 파이프 수용부(477)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9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의 상면은 전방부에 융기부(413)가 형성되고, 그 후방부가 융기부(413)보다 한단 낮게[높이 치수(d1)] 형성되는 평탄부(414)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 이 평탄부(414)의 상방에 제1 구획 선반(211)이 수납되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413)의 후단부가 되는 최정상부(P3)와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의 사이에 간극(d2)이 형성되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전후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개폐 덮개(402)를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의 두께(상하의 높이)와 설치 높이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상면이 최정상부(P3)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높이 치수(d1)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구획 선반(211)에 출납되는 식품 등이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에 부딪쳐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을 파손하거나, 혹은 식품등을 떨어뜨리거나, 나아가서는 컵 등에 들어있는 것을 흘리거나 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P4)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크기가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세로 구획벽(4)의 상면까지의 높이(H10)를 830mm로 설정하고, 그 가로 구획벽(4)의 상면에 높이 치수(H1)가 20Omm인 급수 탱크(400)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급수 탱크(400)의 최정상부(P3)까지의 높이 치수(H11)가 1000mm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급수하는 것이 된다. 이 높이는 표준적인 어른의 팔꿈치의 높이와 같은 정도의 높이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 없이, 패트병등을 통해서 급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핸들부(407)도 900mm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이 핸들부(407)를 유지한 채로의 급수 탱크(400)의 착탈도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10을 참조하여 이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400)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0은 급수 탱크로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플로우도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양문형으로 불리는 냉장고(1)는 다른 외국에 있어서는 표준적인 스타일의 저장실의 레이아웃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 탱크(400)의 용량 설정에 있어서는 다른 외국의 소비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근동 지역의 UAE나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동종 양문형 냉장고의 사용실태를 조사하면, 샘플수 100세대에서의 결과에서는 차가워진 물을 마시는 횟수는 1일 최대 10회이며, 1회의 사용량은 20Occ라고 하면 최대 1일 2L의 소비량이 있다. 또한, 얼음의 사용빈도는 1일 최대 11 내지 12회 이빙하고, 1회에 10Occ라고 하면, 최대 1일1.1L 내지 1.2L의 소비량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냉수와 제빙의 합계 소비량 3.2L에 플러스 알파의 여분량을 가미하여 급수 탱크(400)의 용량을 3.5L 내지 4L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얼음 수납부의 용량을1.7L로 하고 있다. 이 용량이면 물의 사용량이 증가해도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4L의 급수 탱크(400)이면, 이 충분한 물의 용량을 확보해도 2, 3L의 냉수가 확보되므로, 상기 냉수의 소비량이 다소 늘어나도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냉장실(210)로부터 제거하여 상수도로부터 급수하거나, 내부 청소를 가능하게 하기는 하지만, 중량이 있는 급수 탱크(400)를 빈번하게 떼어내는 것에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에 세트한 상태에서도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10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60)를 개방하면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가 냉장실(210)의 하부 좌측에 세트되어 있다. 이 세트된 상태에서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개폐 덮개(402)에 의해 폐쇄된 급수부(403)가 노출되어 있다. 이 급수부(403)가 폐쇄된 상태라면, 제1 구획 선반(211)에 식품을 출납할 때에 진애가 급수 탱크(400) 내로 혼입할 일이 없다. 또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경사면(412)이 제1 구획 선반(211)과 단차없이 연속하고 있으므로, 식품을 실은 용기가 급수 탱크(400)에 부딪쳐 식품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은 투명하게 되어 있으므로, 냉장실(210) 내의 식품을 빠짐없이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이 (a)도의 상태로부터,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의 상면 최전방부에 설치한 개폐 보턴(415)을 조작하면,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가 후방으로 개방되어 (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가 개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원 터치로 개폐 덮개(402)를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 (d)도의 개방 상태는 급수부(403)가 크게 개방되고, 그 후방에 개폐 덮개(402)가 세워진 자세의 상태로 되어 제1 구획 선반(211)과 급수부(403)를 명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부(403)의 앞쪽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의 앞쪽에 패트병의 주입구를 대고 급수를 편안히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급수부(403)로부터 주입되는 물은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경사면(405)에 의해 사용자측으로의 튕겨짐이 경감되고, 또한, 후방으로의 튕김은 세워진 자세의 개폐 덮개(402)에 의해 저지되어서 경감된다. 또한, 급수시는 개폐 덮개(402)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패트병을 양손으로 유지하면서 급수할 수 있다.
그리고 (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가 종료되면, 개폐 덮개(402)를 폐쇄하는 동작에 의해 개폐 덮개(402)의 선단부가 개폐 버튼(415)에 의해 로크 상태가 되므로, 원 터치로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급수 탱크(400)에 인접하는 하부 수납 포켓(2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1이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며, (a)도가 하부 수납 포켓을 설치한 냉장실 도어의 외관 사시도, (b)도가 냉장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12는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로서, (a)도가 정면에서 본 사시도, (b)도가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1과 도12에 있어서, 상부에 냉장실을 구비한 지극히 일반적인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 도어의 내벽에 수납 포켓을 설치해서 수납성을 향상하고 있다. 특히 냉장실 도어의 내벽의 하부에 설치한 수납 포켓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있으므로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큰 공간을 확보하여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 있어서도 냉장실 도어(60)의 내벽의 하부에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돌출부(401)]가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환경에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형의 수납 포켓과 급수 탱크(400)가 겹쳐지는 부분을 절결하여 절결부(221)를 형성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절결부(221)는 냉장실 도어(60)를 개폐해도 하부 수납 포켓(220)이 급수 탱크(400)와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간극을 갖고 또한 코너부에는 큰 라운딩을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 하부 수납 포켓(220)의 외관을 도11의 (a)와 도12에 도시한다.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의 양측에 형성한 설치 리브(66)에 다른 수납 포켓(219)과 마찬가지로 양측을 끼워 맞추어 설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수납 포켓(220)의 가로 폭은 다른 수납 포켓(219)의 가로 폭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고, 그 양측면벽에 상단부가 폐쇄되고 하방이 개방되는 설치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설치 리브(66)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설치 돌기부에 설치 홈(223)을 통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하부 수납 포켓(220)을 냉장실 도어(6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이면, 하부 수납 포켓(220)을 다른 수납 포켓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 탱크(400)를 채용하지 않는 기종으로의 전개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220)은 절결부(221)를 채용함으로써 깊이 치수가 큰 제1 수납부(426)와 절결부(221)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깊이 치수가 작은 제2 수납부(4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큰 제1 수납부(426)에는 패트병이나 맥주병 등의 대형 식품을 수납하고, 작은 제2 수납부(427)는 사용 빈도가 많은 소형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이면측을 개방하여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을 이면벽으로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로 2분할하여 상부를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하부를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바닥에 고인 먼지 등을 은폐하면서 높이가 낮은 식품이 수납되어도 투명부를 통해서 내부를 확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9와 도13, 도14를 참조하여 야채실(260)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3은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의 대비도이다.
우선, 도9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10)의 하우징 수납 공간(261)을 복수의 인출 용기(263)로 구성되는 복수의 밀폐된 수납 공간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수납 공간(261)을 상하로 3분할하여 상단을 개폐 덮개(265)를 구비한 상단 인출 용기(264)로 하고 중단과 하단을 상부가 개방된 용기(268)로 이루어지는 하단 인출 용기(267)로 하고 있다. 이들 상하 3단의 인출 용기(263)는 야채실(260)의 양측의 내벽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을 통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우징 수납 공간(261)으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폐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 인출 용기(264)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가로 구획벽(4)에 의해 상방이 덮여지고, 또한, 중단 및 하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는 인출 용기(263)의 인출 동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하방 및 중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의 하방에 배치되어 용기(268)의 상부를 덮는 밀폐 덮개(26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인출 용기(263)의 수납 용량을 동일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기계실(12)의 존재에 의해 수납 용량이 적어지는 하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를 하우징(2)의 선단부(P2)까지 전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다른 중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와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부에는 공간(270)을 형성하고, 이 공간(270)을 이용해서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하고 있다.
도13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264)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또한, 그 전방부에 도어 수납 공간(262)을 확보하기 위해서 야채실(2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취출구(350)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냉동실 도어(50)의 두께가 있게 되어 필연적으로 냉장실 도어(60)의 두께도 큰 것이 된다. 따라서 상단 인출 용기(264)에 있어서는 가로 구획벽(4)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도어면(9)과 상단 인출 용기(26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Dl0)가 식품을 출납할 때의 장해물이 되므로, 이 장해물을 넘어서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로부터 식품을 출납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야채실(260)의 양쪽 내벽면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과 어느 정도 겹치게 하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기 때문에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크게 인출하는 해결책에는 한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고, 개방시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채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이 개방되고, 전방면측이 비스듬히 컷트된 수납 용기(271)와, 개폐 덮개(265)와, 이 개폐 덮개(265)를 가동 가이드 수단(272)을 통해서 양측에서 지지하는 양측판(273)를 포함해서 구성한다.
가동 가이드 수단(272)은 개폐 덮개(265)의 양측의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돌기(274a)와, 하부 지지돌기(274b)와, 2개의 돌기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275a)과 제2 지지 레일(275b)로 구성된다. 제1 지지 레일(275a)은 후방인 향하여 형성되는 홈으로서, 상부 지지돌기(274a)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상부 지지돌기(274a)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지지 레일(275b)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서, 하부 지지돌기(274b)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하부 지지돌기(274b)를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13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수납 상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컷트된 전방면부를 가로막도록 수직한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가로 구획벽(4)과 하단 인출 용기(267)의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유지된다.
다음에 도13를 참조하여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이동에 수반하는 개폐 덮개(265)의 개폐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a)도에 도시하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은 핸들 부분(276)을 구비한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에 의해 덮어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핸들 부분(274)을 통해서 수납 용기(271)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수납 용기(271)의 양측의 비스듬히 컷트된 벽면 상부의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작용을 받는다. 그러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는 하부 지지돌기(274b)와 제2 지지 레일(275b)과의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그 응력이 하부 지지돌기(274b)를 제2 지지 레일(275)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부 지지돌기(274a)는 제1 지지 레일(275a)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수납 용기(27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가이드 레일(277) 상을 위를 이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해 가므로, 결과적으로,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가로 구획벽(4)과 이동한 수납 용기(271)의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수납된다.
또한, 수납 용기(271)를 (c)도로부터 (b)도와 같이 압입하면,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개폐 덮개(265)도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277)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여, (c)도와 같이 되어 (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래의 수납 상태로 복귀한다.
도14의 (b)도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 용기(271a)를 구비한 종래 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납 용기(271a)가 상방으로부터 밖에 식품의 출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수납 용기(271a)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식품 출납 공간(D20)이 좁아져버리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의 벽면은 컷트되어 있으므로, 수납 용기(271)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식품 출납 공간(D20)은 (b)도의 종래 기술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덮개(265)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으로 은폐되므로, 식품의 출납에 장해가 될 일이 없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15와 도16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a)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이며, (a)도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b)도가 (a)도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15와 도16에 있어서, 부호 1a로 총괄적으로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1)를 2도어 냉장고(1a)에 적용한 것이다.
즉, 냉장고(1a)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를 구비한 세로 구획벽(3)을 통해서 제1 저장실이 되는 냉동실(100)과 제2 저장실이 되는 냉장실(200)로 좌우로 분할하고 있다.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의 전방부에는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a)가 설치된다. 냉동실(100)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300)와 상기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한 얼음을 수납하는 얼음 수납부(320)가 설치된다. 냉장실(100)에는 급수 탱크(400)와 급수 펌프(478)가 설치된다. 냉동실 도어(50)의 외측 도어면(9)에는 얼음 수납부(320)로부터의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381)와 급수 펌프(478)로부터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부(390)를 그 상부에 구비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200)은 상기 급수 탱크(40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구획 선반(4a)과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구획 선반(상부 구획 선반)(211)을 냉장실(210)의 중단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급수 탱크(400)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큰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수부(403)를 구비한 상면 전방부(412a)를 상기 제1 구획 선반(상부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노출시켜 하부 구획 선반(4a)에 설치되고, 또한, 이 설치된 상태로부터 냉장실(1a) 외부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탱크 베이스부(470)를 통하여 급수 탱크(4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획 선반(4a)은 냉장실(210)을 복수의 구획 선반(212)을 통해서 상하로 구획된 개방된 상부의 저장실(215)과,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복수의 인출 용기(263)를 상하로 배열한 하부의 저장실(261)을 분할하는 구획 선반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서는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의 밀폐를 도모하기 위해서 가로 구획벽(4)의 선단부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지만, 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a)는 냉장실(200)을 한장의 냉장실 도어(60a)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하부 구획 선반(4a)과 냉장실 도어(60a)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부의 저장실(215)로부터 하부의 저장실(261)로 냉기를 흘리는 냉기 통로(224)가 되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8의 (b)도의 강도 부재(450) 대신에 복귀 통로 커버(45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귀 통로 커버(456)의 후방에는 하부의 저장실(261)의 냉기를 수평 복귀 통로(22a)로 도입하는 냉기 복귀구(2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착탈이나 취급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의 저장실(261)의 최상부에 설치한 상단 인출 용기(264)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강도 부재(450)나 냉장실 도어(60)가 장해가 안되므로, 이 장해가 없는 만큼, 큰 식품 출납 공간(D20)을 얻을 수 있다.(도14 참조)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b)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며, (a)도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b)도는 냉동실의 가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부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써 설명하여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7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의 천정면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한 얼음을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한 얼음 수납부(320)에서 받아서 축적하는 구조로 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자동 제빙 장치(300)와 얼음 수납부(320)를 설치하는 구조라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탱크 베이스부(470)의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의 접속은 냉동실 도어(50)의 상부의 힌지부(5)를 통해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를 배관하도록 한다. 또한, 냉동실(100) 내의 제빙용 급수 파이프(6)의 배관은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냉수가 얼지 않도록, 하우징(2)의 단열재 내를 배관하도록 한다.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 : 냉장고
2 : 하우징
3 : 세로 구획벽
4 : 가로 구획벽
4a : 하부 구획 선반
5 : 힌지부
6 : 제빙용 급수 파이프
7 : 냉수용 급수 파이프
8 : 분할 라인
9 : 도어면
10 : 냉동실 분출 통로
11 : 압축기
12 : 기계실
13 : 열교환기
14 : 송풍 팬
50 : 냉동실 도어
60 : 냉장실 도어
70 : 야채실 도어
90 : 조작 패널
91 : 운전 상태 표시부
100 : 제1 저장실(냉동실)
200 : 제2 저장실(냉장실)
201 : 이면벽
210 : 냉장실
211 : 제1 구획 선반
220 : 하부 수납 포켓
221 : 절결부
260 : 야채실
300 : 자동 제빙 장치
320 : 얼음 수납부
350 : 취출구
370 : 얼음 분쇄 기구부
400 : 급수 탱크
401 : 돌출부
402 : 개폐 덮개
403 : 급수부
404 : 탱크 본체
405 : 하부 경사면
406 : 오목부
407 : 핸들부
410 : 하부 케이스
411 : 상부 케이스
412 : 경사면
412a : 상면 전방부
413 : 융기부
414 : 평탄부
415 : 개폐 버튼
416 : 관통 구멍
417 : 회전축 부재
417a : 코일 스프링
417b : 축 부재
418 : 축 고정부
419 : 프리 베어링부
420 : 단차부
421 : 접속 파이프
422 : 급수 필터부
423 : 급수 필터
424 : 유지 오목부
425 : 돌기 리브
426 : 제1 수납부
427 : 제2 수납부
470 : 탱크 베이스부
471 : 베이스판
472 : 탱크 베이스 본체부
473 : 제빙 장치용 펌프
474 : 냉수용 펌프
475 : 안내 리브
476 : 돌출부
477 : 파이프 수용부
478 : 급수 펌프
P1 : 제1 구획 선반의 선단부
P2 : 하우징의 선단부.

Claims (6)

  1. 냉동실과 냉장실이 분할 배치되고, 당해 냉동실과 냉장실의 전방부에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와 당해 자동 제빙 장치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수납할 수 있는 얼음 수납부를 갖고,
    상기 냉장실에는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를 갖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 도어면에 상기 얼음 수납부로부터의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와,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냉장실 내에서 상기 급수 펌프에 접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상기 급수 펌프를 통해 상기 자동 제빙 장치와 상기 냉수 공급부의 양쪽에 물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급수 탱크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상기 높이 치수보다 전방으로부터 후방 끝까지의 길이가 큰 형상이며, 상기 냉장실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획 선반보다도 전방에 노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개폐 덮개를 구비한 급수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의 하방인 상기 급수 탱크의 전방면 하부에는 후방으로 쑥 들어가도록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급수 탱크를 유지하기 위한 핸들부를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은, 저장실 내가 개방된 상부 냉장실과, 서랍식 수납 용기를 구비한 하부 냉장실로 분할되고,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상부 냉장실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냉장실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돌출부의 하면 내벽면이 후방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하부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돌출부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세로로 긴 파지 핸들이고, 또한, 그 일단부를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접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28514A 2008-05-30 2011-03-30 냉장고 KR101067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1862A JP5588604B2 (ja) 2008-05-30 2008-05-30 冷蔵庫
JPJP-P-2008-141862 2008-05-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42A Division KR101052150B1 (ko) 2008-05-30 2008-12-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550A true KR20110052550A (ko) 2011-05-18
KR101067107B1 KR101067107B1 (ko) 2011-09-22

Family

ID=414072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42A KR101052150B1 (ko) 2008-05-30 2008-12-18 냉장고
KR1020110028503A KR20110052549A (ko) 2008-05-30 2011-03-30 냉장고
KR1020110028514A KR101067107B1 (ko) 2008-05-30 2011-03-30 냉장고
KR1020110107549A KR101121290B1 (ko) 2008-05-30 2011-10-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42A KR101052150B1 (ko) 2008-05-30 2008-12-18 냉장고
KR1020110028503A KR20110052549A (ko) 2008-05-30 2011-03-3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49A KR101121290B1 (ko) 2008-05-30 2011-10-20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88604B2 (ko)
KR (4) KR101052150B1 (ko)
CN (3) CN10159242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7810A1 (en) * 2012-12-11 2014-06-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US20140283542A1 (en) * 2011-08-09 2014-09-25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KR101476299B1 (ko) * 2013-04-16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9632A (zh) * 2010-07-13 2011-01-19 海尔集团公司 冰箱
CN101948029A (zh) * 2010-07-13 2011-01-19 海尔集团公司 真空保鲜装置、冰箱及该真空保鲜装置的控制方法
CN102183118A (zh) * 2011-03-28 2011-09-14 海尔集团公司 一种电冰箱的制冰系统
CN102213524B (zh) * 2011-05-31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2305506B (zh) * 2011-07-18 2016-06-08 海尔集团公司 制冰供水装置以及安装有该制冰供水装置的冰箱
KR101754365B1 (ko) * 2011-08-09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54360B1 (ko) * 2011-08-09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435030A (zh) * 2011-09-05 2012-05-02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及用于制冷设备的制冰机
KR20140001465A (ko)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062049B1 (en) 2013-02-20 2017-12-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6338177B (zh) * 2015-07-08 2020-08-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装置
CN106766657A (zh) * 2016-12-27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供水的冰箱水路控制系统及具有其的冰箱
CN107036380A (zh) * 2017-04-17 2017-08-1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用储水盒组件及冰箱
CN108955029B (zh) * 2018-05-25 2020-09-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制冰储水盒的冰箱
CN109297245A (zh) * 2018-07-18 2019-02-0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家电产品用的显示屏安装结构
KR20200072122A (ko) * 2018-12-12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머신
KR20200095887A (ko)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7453011B2 (ja) * 2020-02-13 2024-03-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3465269A (zh) * 2020-03-13 2021-10-01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以及供水槽
CN114322433B (zh) * 2020-09-29 2024-03-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给水系统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367Y1 (ko) * 1970-06-03 1973-02-17
US4800935A (en) * 1988-04-05 1989-01-3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lever for refrigerator with water and/or ice dispenser in door
US5083442A (en) * 1991-01-11 1992-01-28 Mary Vlock Refrigerator with purified water supply
JP2735170B2 (ja) * 1993-09-07 1998-04-02 松下冷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
JP3076717B2 (ja) * 1994-03-29 2000-08-14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JP3467622B2 (ja) * 1995-09-14 2003-11-17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JP3108855B2 (ja) * 1995-09-14 2000-11-13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JP3391638B2 (ja) * 1996-08-27 2003-03-31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JPH11101538A (ja) * 1997-09-26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1153512A (ja) * 1999-11-30 2001-06-08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を備える冷凍冷蔵庫
JP2002364952A (ja) * 2001-06-11 2002-12-18 Sanyo Electric Co Ltd 冷凍冷蔵庫
JP2003028547A (ja) * 2001-07-19 2003-01-29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給水装置
CN2539113Y (zh) * 2002-03-26 2003-03-05 海尔集团公司 电冰箱
KR100432752B1 (ko) * 2002-05-31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5114198A (ja) * 2003-10-03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皿及び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CN1683884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
JP2006010206A (ja) *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搭載の浄水ポットおよび冷蔵庫
JP4603895B2 (ja) * 2005-01-06 2010-12-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0464145C (zh) * 2005-05-09 2009-0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用分配器的水供给管
CN100464144C (zh) * 2005-05-09 2009-0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电冰箱的分配器供水管
JP2007212088A (ja) * 2006-02-10 2007-08-23 Sharp Corp 自動製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100954035B1 (ko) * 2006-05-08 201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자전지 충전 방법 및 이차전지용 보호회로 장치
KR20070108769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3542A1 (en) * 2011-08-09 2014-09-25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US20140157810A1 (en) * 2012-12-11 2014-06-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KR101476299B1 (ko) * 2013-04-16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915468B2 (en) 2013-04-16 2018-03-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290B1 (ko) 2012-03-22
KR20090124902A (ko) 2009-12-03
KR101052150B1 (ko) 2011-07-26
CN102116567A (zh) 2011-07-06
CN101592427A (zh) 2009-12-02
CN101592427B (zh) 2011-03-23
KR20110129843A (ko) 2011-12-02
KR101067107B1 (ko) 2011-09-22
JP5588604B2 (ja) 2014-09-10
CN102116566A (zh) 2011-07-06
JP2009287857A (ja) 2009-12-10
CN102116567B (zh) 2013-12-04
KR20110052549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107B1 (ko) 냉장고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1584806B1 (ko) 냉장고
KR101050303B1 (ko) 냉장고
KR101621578B1 (ko) 냉장고
EP3561414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146335A1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10046403A (ko) 냉장고
JP5286340B2 (ja) 冷蔵庫
KR101467271B1 (ko) 냉장고
KR100848918B1 (ko) 냉장고
KR101810460B1 (ko) 냉장고
KR20130053922A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5163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