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772A -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772A
KR20110050772A KR1020090107285A KR20090107285A KR20110050772A KR 20110050772 A KR20110050772 A KR 20110050772A KR 1020090107285 A KR1020090107285 A KR 1020090107285A KR 20090107285 A KR20090107285 A KR 20090107285A KR 20110050772 A KR20110050772 A KR 2011005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lotion
composi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영
서홍석
하영미
송수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772A/ko
Publication of KR2011005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이 SIRT1을 활성화함으로써 UVA에 의해 유도된 NF-κB/p65의 아세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SIRT1, UVA, 콜라겐, 피부노화, 레스베라트롤

Description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Resveratrol analogs inhibiting effect on skin inflammation and skin aging caused by UVA as potent SIRT1 activators}
본 발명은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1] Kaeberlein M et al., The SIR2/3/4 complex and SIR2 alone promote longevity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 two different mechanisms, Genes Dev. 13(19), pp.2570-2580, 1999
[문헌 2] Tissenbaum HA and Guarente L., Increased dosage of a sir-2 gene extends lifespan in Caenorhabditis elegans, Nature, 410(6825), pp.227-230, 2001
[문헌 3] Dryden SC. et al., Role for human SIRT2 NAD-dependent deacetylase activity in control of mitotic exit in the cell cycle, Mol Cell Biol., 23(9), pp.3173-3185, 2003
[문헌 4] Starai VJ and Escalante-Semerena JC, Identification of the protein acetyltransferase (Pat) enzyme that acetylates acetyl-CoA synthetase in Salmonella enterica, J Mol Biol. 340(5), pp.1005-1012, 2004
[문헌 5] Yeung F et al., Modulation of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 and cell survival by the SIRT1 deacetylase, EMBO J. 23(12), pp.2369-2380, 2004
[문헌 6] Zhong et al., The phosphorylation status of nuclear NF-kappa B determines its association with CBP/p300 or HDAC-1, Mol Cell. 9(3), pp.625-636, 2002
[문헌 7] Duran et al., Essential role of RelA Ser311 phosphorylation by zetaPKC in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ation, EMBO J. 22(15), pp.3910-3918, 2003
[문헌 8] Vermeulen et al.,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NF-kappaB p65 subunit by mitogen- and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1 (MSK1), EMBO J. 22(6), pp.1313-1324, 2003
[문헌 9] Liou and Baltimore, Regulation of the NF-kappa B/rel transcription factor and I kappa B inhibitor system, Curr Opin Cell Biol. 5(3), pp.477-487, 1993
[문헌 10] Baeuerle and Henkel, Function and activation of NF-kappa B in the immune system, Annu Rev Immunol. 12, pp.141-179, 1994
[문헌 11] Siebenlist et al, Structure, regulation and function of NF-kappa B, Annu Rev Cell Biol. 10, pp.405-455, 1994
[문헌 12] Baeuerle and Baichwal, NF-kappa B as a frequent target for immunosuppressive and anti-inflammatory molecules, Adv Immunol. 65, pp.111-137, 1997
[문헌 13] Barnes and Karin, Nuclear factor-kappaB: a pivotal transcription factor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N Engl J Med. 336(15), pp.1066-1071, 1997
[문헌 14] Schulze-Osthoff et al, Redox signalling by transcription factors NF-kappa B and AP-1 in lymphocytes, Biochem Pharmacol. 50(6), pp.735-741, 1995
[문헌 15] Pahl and Baeuerle, Activation of NF-kappa B by ER stress requires both Ca2+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as messengers, FEBS Lett. 392(2), pp.129-136, 1996
[문헌 16] Pinkus et al., Role of oxidants and antioxidants in the induction of AP-1, NF-kappaB,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ene expression. J Biol Chem. 271(23), pp.13422-13429, 1996
[문헌 17] Schoonbroodt et al, Crucial role of the amino-terminal tyrosine residue 42 and the carboxyl-terminal PEST domain of I kappa B alpha in NF-kappa B activation by an oxidative stress, J Immunol. 164(8), pp.4292-4300, 2000
[문헌 18] Tyrrell RM., Activation of mammalian gene expression by the UV component of sunlight-from models to reality. Bioessays. 18(2), pp.139-148, 1996
[문헌 19] Soriani et al, Modulation of the UVA activation of haem oxygenase, collagenase and cyclooxygenase gene expression by epigallocatechin in human skin cells. FEBS Lett. 439(3), pp.253-257, 1998
[문헌 20] Sams WM Jr, Sun-induced aging. Clinical and laboratory observations in man. Dermatol Clin. 4(3), pp.509-516, 1986
[문헌 21] Howitz et al., Small molecule activators of sirtuins extend Saccharomyces cerevisiae lifespan. Nature. 425(6954), pp.191-196, 2003
[문헌 22] Araki et al., Increased nuclear NAD biosynthesis and SIRT1 activation prevent axonal degeneration, Science. 305(5686), pp.1010-1013, 2004
[문헌 23] Picard et al., Sirt1 promotes fat mobilization in white adipocytes by repressing PPAR-gamma, Nature. 429(6993), pp.771-776, 2004
[문헌 24] Yeung et al., Modulation of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 and cell survival by the SIRT1 deacetylase, EMBO J. 23(12), pp.2369-2380, 2004
[문헌 25] 미국특허공개 US 2006/0025337 A1
[문헌 26] 국제특허공개 WO 2005/002672 A2
[문헌27] Tada H et al., An improved colorimetric assay for interleukin 2, J Immunol Methods. 93(2), pp.157-165, 1986
[문헌 28] Vile et al., Activation of NF-kappa B in human skin fibroblasts by the oxidative stress generated by UVA 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62(3), pp.463-468, 1995
[문헌 29] Frederick and Lubin, Possible long-term changes in biologically active ultraviolet radiation reaching the ground, Photochem Photobiol. 47(4), pp.571-578, 1988
[문헌 30] Go et al.,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I genes in the aye-aye, Daubentonia madagascariensis. Primates. 46(2), pp.135-139, 2005
[문헌 31] Kerr L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Methods Enzymol. 254, pp.619-632, 1995
[문헌 32] Kim et al., Role of NF-kappa B in cytokine production induced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y rhinovirus infection. J Immunol. 165(6), pp.3384-3392, 2000
[문헌 33] Brenneisen et al., Central role of Ferrous/Ferric iron in the ultraviolet B irradiation-mediated signaling pathway leading to increased interstitial collagenase (matrix-degrading metalloprotease (MMP)-1) and stromelysin-1 (MMP-3) mRNA levels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J Biol Chem. 273(9), pp.5279-5287, 1998
SIR2(Silent Information Regulator 2) 단백질군(sirtuins)은 class III 히스톤/단백질 탈아세틸아제(HDACs)에 속하는 NAD-의존적 히스톤/단백질 탈아세틸아제이다. 이들은 모든 생명체에 폭넓게 분포되어있고, 노화, 세포 순환 조절, 세포사, 물질대사 및 염증에 관련되어 있다(Kaeberlein M et al., The SIR2/3/4 complex and SIR2 alone promote longevity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 two different mechanisms, Genes Dev. 13(19), pp.2570-2580, 1999; Tissenbaum HA and Guarente L., Increased dosage of a sir-2 gene extends lifespan in Caenorhabditis elegans, Nature, 410(6825), pp.227-230, 2001; Dryden SC. et al., Role for human SIRT2 NAD-dependent deacetylase activity in control of mitotic exit in the cell cycle, Mol Cell Biol., 23(9), pp.3173-3185, 2003; Starai VJ and Escalante-Semerena JC, Identification of the protein acetyltransferase (Pat) enzyme that acetylates acetyl-CoA synthetase in Salmonella enterica, J Mol Biol. 340(5), pp.1005-1012, 2004).
최근 연구에 따르면, SIRT1은 NF-κB을 조절함이 밝혀졌다(Yeung F et al., Modulation of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 and cell survival by the SIRT1 deacetylase, EMBO J. 23(12), pp.2369-2380, 2004). SIRT1은 물리적으로 NF-κB의 RelA/P65 subunit과 상호작용하고 lysine 310에서 RelA/p65의 탈아세틸화에 의해 전사를 저해시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Zhong et al., The phosphorylation status of nuclear NF-kappa B determines its association with CBP/p300 or HDAC-1, Mol Cell. 9(3), pp.625-636, 2002; Duran et al., Essential role of RelA Ser311 phosphorylation by zetaPKC in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ation, EMBO J. 22(15), pp.3910-3918, 2003; Vermeulen et al.,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NF-kappaB p65 subunit by mitogen- and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1 (MSK1), EMBO J. 22(6), pp.1313-1324, 2003).
NF-κB 전사 요소는 B site 로 알려진 일반적인 sequence motif와 결합하는 단백질 dimer이다. NF-κB 단백직의 한 그룹은 RelA/p65, RelB, p50, p52, and c-Relproteins 로 구성되어 있고, RelA/p65는 대부분의 NF-κB 전사 활성에 관여한다. NF-κB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면역과 염증 반응에 초점되어 있다(Liou and Baltimore, Regulation of the NF-kappa B/rel transcription factor and I kappa B inhibitor system, Curr Opin Cell Biol. 5(3), pp.477-487, 1993; Baeuerle and Henkel, Function and activation of NF-kappa B in the immune system, Annu Rev Immunol. 12, pp.141-179, 1994; Siebenlist et al, Structure, regulation and function of NF-kappa B, Annu Rev Cell Biol. 10, pp.405-455, 1994; Baeuerle and Baichwal, NF-kappa B as a frequent target for immunosuppressive and anti-inflammatory molecules, Adv Immunol. 65, pp.111-137, 1997; Barnes and Karin, Nuclear factor-kappaB: a pivotal transcription factor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N Engl J Med. 336(15), pp.1066-1071, 1997). 여러 보도된 자료를 살펴보면, NF-κB는 산화제와 agents로써 산화적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고(Schulze- Osthoff et al, Redox signalling by transcription factors NF-kappa B and AP-1 in lymphocytes, Biochem Pharmacol. 50(6), pp.735-741, 1995; Pahl and Baeuerle, Activation of NF-kappa B by ER stress requires both Ca2+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as messengers, FEBS Lett. 392(2), pp.129-136, 1996; Pinkus et al., Role of oxidants and antioxidants in the induction of AP-1, NF-kappaB,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ene expression. J Biol Chem. 271(23), pp.13422-13429, 1996), 발생되는 세포질내 ROS는 NF-κB의 핵 전사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Schoonbroodt et al, Crucial role of the amino-terminal tyrosine residue 42 and the carboxyl-terminal PEST domain of I kappa B alpha in NF-kappa B activation by an oxidative stress, J Immunol. 164(8), pp.4292-4300, 2000).
UVA는 피부의 fibroblast에서 NF-κB DNA 결합 활성을 유도하여 피부 노화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Tyrrell RM., Activation of mammalian gene expression by the UV component of sunlight-from models to reality. Bioessays. 18(2), pp.139-148, 1996; Soriani et al, Modulation of the UVA activation of haem oxygenase, collagenase and cyclooxygenase gene expression by epigallocatechin in human skin cells. FEBS Lett. 439(3), pp.253-257, 1998),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진 바 없다. UVA는 피부의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 퇴화 효소,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및 XPF(xeroderma pigmentosum factor) 생성을 증가시켜 조기 노화 및 주름을 발생시키는 피부 노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 용 할 뿐 만 아니라 지질 과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ROS 발생, DNA 가락 파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ms WM Jr, Sun-induced aging. Clinical and laboratory observations in man. Dermatol Clin. 4(3), pp.509-516, 1986).
레스베라트롤은 포도, 열매 및 땅콩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식물성 알렉신 폴리페놀릭 화합물로써,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자유 라디칼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 항염증 그리고 항노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생명의 형태에 수명연장에 대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가장 강력한 SIRT1 활성자이고 UV에 의해 스트레스 받은 세포 생존 속도 강화(Howitz et al., Small molecule activators of sirtuins extend Saccharomyces cerevisiae lifespan. Nature. 425(6954), pp.191-196, 2003)뿐만 아니라 axonal 보호(Araki et al., Increased nuclear NAD biosynthesis and SIRT1 activation prevent axonal degeneration, Science. 305(5686), pp.1010-1013, 2004), 지방 대사(Picard et al., Sirt1 promotes fat mobilization in white adipocytes by repressing PPAR-gamma, Nature. 429(6993), pp.771-776, 2004) 및 NF-κB 의존적 전사 저해(Yeung et al., Modulation of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 and cell survival by the SIRT1 deacetylase, EMBO J. 23(12), pp.2369-2380, 2004)와 같은 SIRT1 의존적 세포질 과정을 강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IRT1의 기질은 신경세포증식에 관련된 NF-κB(Yeung et al., Modulation of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 and cell survival by the SIRT1 deacetylase, EMBO J. 23(12), pp.2369-2380, 2004)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SIRT1은 히 스톤 단백질 외에도 세포성장, 스트레스 반응, 내분비조절 등에 관련된 다양한 전사인자의 탈아세틸화를 증가시켜 노화관련질병에 적용하는 기술이 미국특허공개번호 US 2006/0025337 A1 또는 국제특허공개번호 WO 2005/002672 A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SIRT1의 기질은 상기와 같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SIRT1의 활성 조절 인자에 대하여는 간접적 SIRT1 활성 조절 인자가 일부 보고 될 뿐, 직접적 조절인자는 알려지고 있지 않다.
현재까지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및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의 SIRT1 활성화, 콜라겐 파괴, 콜라겐생성 억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에 대한 효능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화합물의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억제된 SIRT1를 활성화시키고, NF-κB/p65의 아세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Ⅰ)의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하기 구조식(Ⅱ)의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 한다:
Figure 112009068500574-PAT00001
(Ⅰ):
Figure 112009068500574-PAT00002
(Ⅱ)
또한, 본 발명은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일한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 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및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 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8500574-PAT00003
상기 구조식(Ⅲ)의 2-브로모나프탈렌 화합물에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축합제를 THF와 같은 불활성용매하에서 서서히 저온에서 적가하고,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반응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시간동 안 가열, 교반시킨 후, 여기에 구조식(Ⅳ)의 브로모벤젠 화합물을 가하여,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반응온도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2시간동안 가열하는 축합반응을 통하여 구조식(Ⅱ)의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화합물을 합성 가능하고, 구조식(Ⅰ)의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화합물도 상기 반응식과 유사한 제조공정으로 제조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반응식 1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그 제법을 한정하고자함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 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 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 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 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 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 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 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 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화합물은 SIRT1을 활성화함으로써 UVA에 의해 유도된 NF-κB/p65의 아세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콜라겐 파괴 방지를 통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3,5- 디메톡시벤질 )-나프탈렌-1,3- 디올(HS1713)의 제조
단계 1: 5- 다이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의 제조
3.8g의 완전 건조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를 건조한 에테르 1ml에 녹인 다음, 0℃에서 3,5-다이메톡시벤조산(18.3g)을 에테르 100ml에 녹여 천천히 첨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는 물 5mL를 첨가하고 15%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5mL 첨가하였다. 여액을 셀라이트에 필터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100mL의 완전 건조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다음, 삼브로민화 인 1g을 0℃에서 서서히 가한 후, 1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50ml와 물 50ml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 약 30g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10(v/v)]방법을 사용하여 하얀 고체인 하기 물성치를 갖는 5-다이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 화합물 12.6g을 얻었다(Rf: 0.30, 수율: 54.7%, 녹는점: 69-70℃).
CDCl3에 녹여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H-NMR (CDCl3) δ : 3.82 (s, 6H), 4.45 (s, 2H) 6.41-6.43 (t, 1H, J = 3.3Hz), 6.56-6.57(d, 2H, J = 3.3Hz);
13C-NMR (CDCl3) δ : 23.52, 33.92, 34.72, 115.20, 115.83, 121.29, 131.05, 142.37, 143.32
단계 2: 2,3',4,5'- 테트라메톡시 -트랜스- 스틸벤과 2,3',4,5'- 테트라메톡시 - 시스 - 스틸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얻어진 5-다이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 화합물 7.5g과 트라이펜닐포스핀 9.36g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0mL에 녹인 다음, 7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에 에테르를 약 100ml 첨가하여 재결정한 화합물 약 7g과 4.7g의 2,4-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를 에탄올 70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31.8mL의 t-포타슘부톡사이드를 서서히 첨가한 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 완전히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ml와 물 50ml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 약 30g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3',4,5'-테트라메톡시-트랜스-스틸벤과 2,3',4,5'-테트라메톡시-시스-스틸벤 화합물 13.2g을 얻었다(트란스 Rf: 0.22, 녹는점: 56 ℃ , 시스 Rf: 0.27, 전체수율: 73%).
CDCl3에 녹여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2,3',4,5'-테트라메톡시-트랜스-스틸벤
1H-NMR (CDCl3) δ (ppm) : 3.840 (s, 9H), 3.880 (s, 3H), 6.371 (s, 1H), 6.475-6.483 (d, 1H J = 2.4Hz), 6.544-6.507 ( d of d, 1H, J = 2.4, 8.4), 6.678-6.685 (d, 2H, J = 2.1Hz), 6.923-6.978 (d, 1H, J = 16.5Hz), 7.352-7.407 (d, 1H, J = 16.5Hz), 7.500-7.528 ( d, 1H, J = 8.4Hz);
13C-NMR (CDCl3) δ : 13.55, 22.52, 33.37, 35.72, 115.17, 115.81, 121.27, 131.03, 142.37, 143.32
2,3',4,5'-테트라메톡시-시스-스틸벤
1H-NMR (CDCl3) δ : 3.658 (s, 6H), 3.799 (s, 3H), 3.828 (s, 3H), 6.289-6.303 (t, 1H, J = 2.1Hz), 6.315-6.351 (d of d, 1H, J = 2.1Hz, 8.4Hz), 6.448 (s, 1H), 6.456 (s, 1H), 6.465 (s, 1H), 6.509 (s, 1H), 6.621-6.661 (d, 1H, J = 12Hz), 7.156-7.185 ( d, 1H, J = 8.7Hz);
13C-NMR (CDCl3) δ : 55.27, 55.43, 55.57, 98.23, 99.58, 104.23, 106.70, 118.70, 125, 87, 128.98, 130.88, 139.59, 158.34, 160.
단계 3: 7-(3,5- 다이메톡시페닐 )-1,3- 다이메톡시나프탈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얻어진 2,3',4,5'-테트라메톡시-트랜스-스틸벤 과 2,3',4,5'-테트라메톡시-시스-스틸벤 화합물 1g을 다이클로로메탄 100ml에 녹인 후 아이오딘 1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정도 교반시키고 35℃까지 가열하여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ml와 마그네슘 다이 설파이드 포화 수용액 100ml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 30g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10(v/v)]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7-(3,5-다이메톡시페닐)-1,3-다이메톡시나프탈렌 화합물 620mg을 얻었다(Rf: 0.27, 수율: 58%, 녹는점: 89℃).
CDCl3에 녹여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H-NMR (Benzene-D6) δ : 3.359 (s, 9H), 3.373 (s, 3H), 6.548 (s, 1H), 6.631 (s, 1H), 6.658 (s, 1H), 7.076(s, 2H), 7.702-7.673(d, 1H, J = 9Hz), 7.818-7.779 (d, 1H, J = 9Hz), 8.833 (s, 1H);
13C-NMR (Benzene-D6) δ : 23.06, 34.39, 34.59, 115.29, 115.85, 121.26, 131.09, 142.21, 143.19
단계 4: 7-(3,5- 디메톡시벤질 )-나프탈렌-1,3- 디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얻어진 7-(3,5-다이메톡시페닐)-1,3-다이메톡시나프탈렌 화합물 0.5g을 완전 건조한 메틸렌 클로라이드 200mL에 녹인 다음, -78℃ 에서 17mL의 삼브로민화 붕소를 천천히 첨가한다. 30분간 교반시킨 후 50℃까지 온도를 올린 다음 4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 온도를 0℃까지 낮춘 후 천천히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pH 6정도가 될 때까지 가한 다음, 과량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용매와 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v/v)]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화합물 40mg을 얻었다(Rf: 0.22, 수율: 6%, 녹는점: 119℃, 이하, “HS1713”이라 함).
CDCl3에 녹여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H-NMR (Benzene-D6) δ : 0.83-0.90 (t, 3H, J = 7Hz), 1.26-1.44 (m, 2H), 1.46-1.60 (m, 2H), 2.37-2.45 (m, 2H), 3.59 (s, 2H), 6.68-6.72 (d, 1H, J = 8Hz), 6.75-6.79 (d, 1H, J =8Hz), 6.83 (s, 1H);
13C-NMR (Benzene-D6) δ : 13.76, 22.06, 31.06, 31.28, 35.81, 115.13, 115.78, 121.30, 131.08, 142.37, 143.32
실시예 2. 4-(6- 하이드록시 -2- 나프틸 )-1,3- 벤젠다이올(HS1793)의 제조
단계 1: 2-(2,4- 디메톡시페닐 )-6- 메톡시 나프탈렌의 제조
0.4g의 완전 건조한 마그네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1ml을 넣고 3.66g 의 1-브로모-2,4-디메톡시 벤젠을 THF에 녹인 다음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60℃까지 가열한 후 2시간정도 교반시켰다. 다시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니켈 촉매와 2-브로모-6-메톡시 나프탈렌(2g)이 들어있는 플라스크에 천천히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60℃까지 가열한 후, 12시간정도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는 얼음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킨 후, 염산을 사용하여 pH 7정도까지 중화시켰다. 에테르와 물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50(v/v)]방법으로 분리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2,4-디메톡시페닐)-6-메톡시 나프탈렌(1.05g)을 얻었다(수율 : 41%).
Rf : 0.33,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1 : 50);
m.p : 99℃;
1H-NMR (Benzene-D6) : δ ppm 3.255 (s, 3H), 3.388 (s, 3H), 3.412 (s, 3H), 6.465-6.512 (d, 1H, J = 8.4Hz), 6.580(s, 1H), 6.986 (s, 1H), 7.185-7.234 (d, 1H, J = 9Hz), 7.359-7.399 (d of d, 1H, J = 3.6Hz, 8.4Hz), 7.574-7.614 (d of d, 1H, J = 3Hz, 9Hz), 7.702-7.740 (d, 1H, J = 8.4Hz), 7.862-7.901 (d, 1H, J = 8.7Hz), 8.003 (s, 1H);
13C-NMR (Benzene-D6) : δ ppm 55.12, 55.33, 55.43, 100.03, 105.38, 106.25, 119.49, 124.75, 126.79, 129.71, 130.04, 130.33, 132.27, 134.34, 135.03, 158.43, 158.62, 161.26.
단계 2: 4-(6- 하이드록시 -2- 나프틸 )-1,3- 벤젠다이올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1 에서 얻어진 2-(2,4-디메톡시페닐)-6-메톡시 나프탈렌 500mg을 완전 건조한 메틸렌 클로라이드 30mL에 녹인 다음 0℃에서 5.1mL의 삼불화 붕소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30분간 교반시킨 후 50℃가지 온도를 올린 다음, 4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에 온도를 0℃까지 낮춘 후, 천천히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pH 6정도가 될 때까지 가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50(v/v)]방법으로 분리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366.5mg)을 얻었다(수율 : 86%, 이하, “HS1793”이라 함).
Rf : 0.32,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1 : 50);
m.p : 186℃;
1H-NMR (Benzene-D6) :δ ppm 6.700-6.736 (d of d, 1H, J = 2.1Hz, 8.1Hz), 6.859-6.867 (d, 1H, J = 2.4Hz), 7.230-7.267 (d of d, 1H, J = 2.4Hz, 8.7Hz), 7.270-7.298 (d, 1H, J = 8.4Hz), 7.366-7.374 (d, 1H, J = 2.4Hz), 7.592-7.611 (d, 1H, J = 5.7Hz), 7.621-7.640 (d, 1H, J = 5.7Hz), 7.760-7.793 (d of d, 1H, J = 1.5Hz, 8.4Hz), 7.977 (s, 1H) ;
13C-NMR (Benzene-D6) : δ ppm 103.99, 108.142, 109.79, 119.07, 121.86, 126.66, 127.36, 129.33, 130.43, 132.47, 134.55, 134.69, 155.85, 156.08, 158.53.
참고예 1. 통계학적 분석
세 번의 실험결과에 대한 평균 ± 표준편차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해 ANOVA(analysis of variance) 및 Dunnett's post-hoc test를 실시하여 유의차가 5% 미만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1. SIRT1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SIRT1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IRT1 fluorometric kit(AK-555, Biomo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용 기질은 AK-555 kit 속에 포함되어 있는 Fluor de Lys-SIRT1 기질 디벨로퍼 혼합액으로써 0.2 U/l를 사용하였으며, 인간 p53(Arg-His-Lys-Lys AC)의 아미노산 번호 379382를 의미하고, 인간 SIRT1과 보조기질 NAD+를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한 것이다.
SIRT1의 초기 탈아세틸화 속도는 Fluor de Lys-SIRT1 25μM과 NAD+(37℃) 25μM에서 무처리 비교군, 100μM의 HS1713, 100μM의 HS1793 및 100μM의 레스베라트롤(R5010, 시그마사)을 측정하였다. 반응은 Fluor de LysTM Developer II/2mM 니코틴아마이드(AK-555 kit 포함)를 사용하여 멈춘 뒤, 형광(CytoFluorTM II, PerSeptive Biosystems, Ex. 360 nm, Em. 460 nm, gain=85)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A)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1713 및 HS1793은 강한 SIRT1 활성제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보다 SIRT1활성이 각각 41.8%, 11.4%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1713 및 HS1793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SIRT1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 SIRT1 활성(비교군과의 비율)
비교군 1.00± 0.10
레스베라트롤 12.39± 0.27
HS1713 21.27± 0.37
HS1793 13.95± 0.71
평균±표준편차, n=3
실험예 2. UVA 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UVA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세포를 증식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Tada H et al., An improved colorimetric assay for interleukin 2, J Immunol Methods. 93(2), pp.157-165, 1986; Vile et al., Activation of NF-kappa B in human skin fibroblasts by the oxidative stress generated by UVA 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62(3), pp.463-468, 1995; Frederick and Lubin, Possible long-term changes in biologically active ultraviolet radiation reaching the ground, Photochem Photobiol. 47(4), pp.571-578, 1988)
6개 램프와 8 와트 램프가 부착된 UVA light source(crosslinker 800 series: AEX-800, Claremont Blvd, Clearemont, California) 및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M2128, 시그마사)을 사용하였으며,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인 CRL-1634 세포(Manassas, VA, USA, ATCC 셀 라인 은행)는 37℃, 5% CO2를 포함하는 습기가 있는 대기 조건하에 10% 태아 소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IU/50㎍/ml)과 함께 DMEM배지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CRL-1634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 104 cells/well농도로 첨가한 후, 세포에 UVA를 24시간 동안 농도별(0-50 J/cm2)로 노출시킨 다음, 여기에 MTT 용액(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rtazolium bromide) 5mg/ml을 첨가하였다. 본 반응에서 세포질의 탈수소효소에 의해 형성된 불용성 유도체를 EtOH-DMSO(1:1 (v/v) 혼합용액)에 의해 용해시켰다. 각각의 웰을 560nm의 흡수 파장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형광/인광/흡광분석기, (주)그린메이크 자이오텍)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A(0-50 J/cm2)에 의한 인간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UVA의 농도 10, 20, 30, 40 및 50 J/cm2에서 각각 99.08%, 97.05%, 96.32%, 90.61% 및 72.44% 의 생존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웨스턴 블록( western blotting ) 및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 EMSA ) 측정
3-1. 웨스턴 블록( western blotting )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웨스턴 블록(western blotting)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Go et al.,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I genes in the aye-aye, Daubentonia madagascariensis. Primates. 46(2), pp.135-139, 2005).
웨스턴 블록(western blotting) 실험에는 CRL-1634 세포(Manassas, VA, USA, ATCC 셀 라인 은행) 5× 104 cells/well을 100-웰 멀티-디쉬에 넣어 37℃에서 2일 동안 10% FBS(Fetal bovine serum)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약물(HS1713, HS1793 및 레스베라트롤(R5010, 시그마사))을 농도별(2.5, 5.0 및 10.0μM)로 첨가한 뒤 UVA 25 J/cm2을 가한 실험군 및 UVA와 약물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비교군을 12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에 10mM Tris, 1.5mM MgCl2, 1mM DTT 및 0.1% NP-40을 가하여 세포질을 분리한 다음, 10mM Tris, 50mM KCl 및 100mM NaCl을 가하여 핵을 분리하였다. 준비된 세포는 겔로딩 용액(0.125M Tris-HCl, pH 6.8, 4% SDS, 10% 2-mercaptoethanol 및 0.2% bromophenol blue)을 이용하여 5분 동안 끓였다.
단백질 전기영동법(SDS-discontinuou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Laemmli, U.K. 1970)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antibody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ntibody Host animal 희석농도 회사
Acetyl p65 (K310) Rabbit 1:500 Santa Cruz
Collagen-1 Mouse 1:500 Santa Cruz
COX-2 Goat 1:500 Santa Cruz
Histone H1 Rabbit 1:500 Santa Cruz
HO-1 Rabbit 1:500 Santa Cruz
iNOS Rabbit 1:500 Santa Cruz
MMP-1 Goat 1:500 Santa Cruz
β-actin Mouse 1:500 Santa Cruz
항체 표지(Antibody labeling)는 West-zol Plus와 chemiluminescence FluorchemTMSP(Alpha Innotech Corporation, San Leandro, CA, USA)을 사용하였으며, 분자 무게 결정을 위해 단백질 마커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A에 의해 핵 속의 NF-κB의 acetyl p65(K310)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증가된 acetyl p65(K310)의 발현이 HS1713 및 HS1793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이 단백질과 NF-κB DNA 결합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EMSA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Kerr L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Methods Enzymol. 254, pp.619-632, 1995).
실험에 사용한 NF-κB 올리고뉴레오티드는 5'-GAGAGGCAAGGGGATTCCCTTAGTTAGGA-3'(Kim et al., Role of NF-kappa B in cytokine production induced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y rhinovirus infection. J Immunol. 165(6), pp.3384-3392, 2000)이다.
단백질-DNA 결합 어세이는 핵 단백질 10 ug을 사용하였고, 비특성 결합은 poly(dI-dC)poly(dI-dC) 1g을 사용하였으며, 결합 미디엄의 조건은 5% glycerol, 1mM MgCl2, 50mM NaCl, 0.5mM EDTA, 2mM DTT, 1% NP-40 및 10mM Tris을 사용하였다. HS1713 및 HS1793을 20분 동안 실온에 둔 뒤, 핵 단백질-32P-라벨된 올리고뉴글레티오 혼합액을 이용하여 러닝 용액(50mM Tris, pH 8.0, 45mM borate 및 0.5mM EDTA) 속에 5%의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를 통해 농도별(2.5, 5.0 및 10.0μM)로 전기영동하여 분리시켰다. 분리 후에 1-2일 동안 -80℃에서 Fuji X-ray 필름(FUJI 8" X 10" GREEN FILM, FUJIFILM)을 두어 방출시킨 뒤, 실험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A에 의해 NF-κB DNA 결합 활성은 현저히 증가되었고, 증가된 NF-κB DNA 결합 활성이 HS1713 및 HS1793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NF-κB와 관련된 염증인자(iNOS, COX-2, HO-1 및 MMP-1) 발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ytosol에서의 NF-κB와 관련된 염증인자인 iNOS, COX-2, HO-1 및 MMP-1의 활성은 UVA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고, 증가된 활성은 HS1713 및 HS1793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피 fibroblast에서 UVA에 의한 MMPs의 발현 증가는 피부의 노화와 관련된 콜라겐의 파괴를 유도한다고 밝혀져 있다(Brenneisen et al., Central role of Ferrous/Ferric iron in the ultraviolet B irradiation-mediated signaling pathway leading to increased interstitial collagenase (matrix-degrading metalloprotease (MMP)-1) and stromelysin-1 (MMP-3) mRNA levels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J Biol Chem. 273(9), pp.5279-5287, 1998).
본 실험에서, 웨스턴 블록을 이용하여 콜라겐 발현량을 측정해 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A에 의해 콜라겐은 파괴되었으며, HS1713 및 HS1793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겐 파괴를 방지 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을 생성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친수성 연고제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실시예 1의 HS1713 0.5 -
2 실시예 2의 HS1793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제제예 2. 유연 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의 HS1713 0.5
2 부틸렌 글리콜 4.0
3 글리세린 8.0
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5 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르라아세틱에시드 0.01
6 에탄올 7.0
7 트리에탄올아민 0.2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9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10 페닐트리메티콘 3.5
1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3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3. 영양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HS1793 0.5
2 스테아린산 1.0
3 세틸알코올 1.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7 유동파라핀 4.0
8 카르릴릭 /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9 스쿠알란 3.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1 부틸렌글리콜 5.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5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4. 영양크림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의 HS1713 0.5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코올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카르릴릭 /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1 스쿠알란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7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8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5. 에센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HS1793 0.5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100.0
도 1(A)은 SIRT1 활성에 대한 HS1713 및 HS1793의 활성 효과를 비교한 도이며(***p<0.001 vs. control), 도 1(B) 및 (C)는 각각 HS1713 및 HS1793의 농도별 SIRT1 활성효과를 나타난 도이고(**p<0.01 vs. control, ###p<0.001 vs. UVA-irradiation group),
도 2는 UVA에 의한 인간 fibroblast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도이며(#p<0.05 vs. control),
도 3은 UVA에 의해 유도된 NF-κB의 acetyl p65에 대한 농도별 HS1713 및 HS1793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p<0.001 vs. control, #p<0.05, ##p<0.01, ###p<0.001 vs. UVA-irradiation group),
도 4는 UVA에 의해 유도된 NF-κB에 의존된 염증 유전자들에 대한 농도별 HS1713 및 HS1793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p<0.05, **p<0.01 vs. control, #p<0.05, ##p<0.01 vs. UVA-irradiation group),
도 5는 UVA에 의해 파괴된 콜라겐 수치에 대한 농도별 HS1713 및 HS1793의 활성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0.05 vs. control, ##p<0.01, ###p<0.001 vs. UVA-irradiation group).

Claims (4)

  1. 하기 구조식(Ⅰ)의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하기 구조식(Ⅱ)의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Figure 112009068500574-PAT00004
    (Ⅰ):
    Figure 112009068500574-PAT00005
    (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3. 7-(3,5-디메톡시벤질)-나프탈렌-1,3-디올 또는 4-(6-하이드록시-2-나프틸)-1,3-벤젠다이올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파괴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07285A 2009-11-09 2009-11-09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050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85A KR20110050772A (ko) 2009-11-09 2009-11-09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85A KR20110050772A (ko) 2009-11-09 2009-11-09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772A true KR20110050772A (ko) 2011-05-17

Family

ID=4436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285A KR20110050772A (ko) 2009-11-09 2009-11-09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79A1 (ko) * 2011-10-18 2013-04-25 (주)아모레퍼시픽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sirt 1 활성화제
CN114796169A (zh) * 2022-05-19 2022-07-29 中国农业大学 2-甲氧基萘在制备抗皮肤光损伤产品中的用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79A1 (ko) * 2011-10-18 2013-04-25 (주)아모레퍼시픽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sirt 1 활성화제
CN104093406A (zh) * 2011-10-18 2014-10-0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丁香脂素的sirt1活化剂
US9913823B2 (en) 2011-10-18 2018-03-13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9999611B2 (en) 2011-10-18 2018-06-19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0022351B2 (en) 2011-10-18 2018-07-17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1096921B2 (en) 2011-10-18 2021-08-24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CN114796169A (zh) * 2022-05-19 2022-07-29 中国农业大学 2-甲氧基萘在制备抗皮肤光损伤产品中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97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6852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주름 개선용조성물
KR101510092B1 (ko) 복분자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749669B1 (ko) 복분자 씨 분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80893B1 (ko)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080104759A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15005642A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50772A (ko) 강력한 sirt1 활성조절용으로써 uva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50128372A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30087877A (ko) 피부미백, 항산화 및 ppar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0931528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20140004330A (ko) 우방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80011046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옥시레스베라트롤 유도체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