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815A -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815A
KR20110049815A KR1020117004070A KR20117004070A KR20110049815A KR 20110049815 A KR20110049815 A KR 20110049815A KR 1020117004070 A KR1020117004070 A KR 1020117004070A KR 20117004070 A KR20117004070 A KR 20117004070A KR 20110049815 A KR20110049815 A KR 2011004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torsion
bush
shift
preven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45/1422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by tools, e.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868Pretreatment of the insert, e.g. etching, cleaning
    • B29C2045/14877Pretreatment of the insert, e.g. etching, cleaning preheating or precooling the insert for non-deform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테빌라이저 장치(1)는, 토션부(110)와 토션부(110)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암부(120)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100)와, 토션부(110)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스태빌라이저(100)를 차체(10)에 고정하기 위한 부시(300)와, 부시(300)와 접촉하는 접촉부(410)를 가지며, 토션부(110)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토션부(110)에 대해서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구비하고, 토션부(110)의 외주면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와 맞물리는 요철부(111)를 설치한다.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TABILIZ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스태빌라이저는,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가지는 차량이 커브 주행할 때 등과 같이, 좌우의 서스펜션 기구에 상하 역위상의 입력이 있었을 때, 좌우의 암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휨과 더불어 토션부가 비틀리고, 차체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종래부터,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스태빌라이저에 설치된 고무제의 부시를 통해, 볼트에 의해 브래킷을 차체측으로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커브 주행할 때의 원심력에 의한 하중에 의해, 토션부와 부시가 서로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그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어긋남은 역방향으로 원심력이 발생하는 상태나 차량이 직진하는 상태 등이 되어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채가 된다. 그 때문에, 스태빌라이저에 의한 안티 롤 효과를 얻을 수 없었거나, 스태빌라이저의 양단에 체결되어 있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과잉의 부담을 주거나, 스태빌라이저가 스태빌라이저의 주변 부품과 간섭하는 리스크를 높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링을 코킹하여 어긋남 방지 부재로 하거나, 혹은 철 링을 코킹하여 어긋남 방지 부재로 하고 있었다. 이들 어긋남 방지 부재는, 스태빌라이저 한 개당 좌우에 한 개씩 총 2개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고무제의 부시 자신을 토션부에 접착제에 의해, 혹은 열큐어 공정을 행함으로써, 직접 고정하는 방법도 있다.
여기서,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 알루미늄 링을 구비한 중공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전봉관을 냉간 가공에 의해, 스태빌라이저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담금질·템퍼링 등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열처리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 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이어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도장하는 도장 공정을 행한다. 그 후, 반할 또는 2피스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링을 코킹하여 어긋남 방지 부재로 하고 있었다.
또,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 철 링을 구비한 중공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전봉관을 굽힘 가공에 의해 암부를 성형하고, 다음에 C형으로 형성된 철 링을 굽힘 가공한 전봉관에 통과시키고, 그리고 암부의 단부에 편평부 및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부착하는 부착 구멍을 단조 등으로 가공하는 가공 공정을 행한다. 그 후, 철 링을 코킹하고, 그리고 도장하는 도장 공정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 고무제의 부시의 고정 방법에서는, 고무제의 부시를 스태빌라이저의 토션부에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열큐어 공정에 의해 경화시키고 있었다. 이것들에 관련하는 문헌으로서, 특허 문헌 1 및 2 등이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 특허공개2001-163026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특허공개2001-165127호 공보
그러나, 알루미늄 링은, 반할 또는 2피스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링을 코킹하여 토션부에 고정하는 방법이며, 구조적 약점부가 되는 접속부가 있다. 이 접속부가 있음으로써, 알루미늄 링의 강도가 약하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링에 하중을 받으면, 코킹 형태가 파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알루미늄 링의 고정 강도가 저하되기 쉽고, 차량의 좌우에서 스태빌라이저의 고정 위치가 불균형이 되고, 차량이 커브할 때, 스태빌라이저 본래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그 결과, 충분한 신뢰성이 있는 스태빌라이저 장치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알루미늄 링, 철 링이나 부시를 부착하는 토션부의 외주면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링이나 철 링을 코킹하여 토션부에 부착하는, 혹은 고무제의 부시를 경화시켜 토션부에 부착했다고 해도, 부시가 원심력에 의한 하중을 받으면, 부시가 이동하기 쉽다. 따라서, 차량의 좌우에서 스태빌라이저의 고정 위치가 불균형이 되고, 차량이 커브할 때, 스태빌라이저 본래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없었다.
또, 어긋남 방지 부재가 알루미늄 링이나 철 링인 경우는,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에 비해 중량이 무겁다. 그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경량화를 촉진할 수 없었다. 또, 철 링의 경우는, 알루미늄 링에 비해 변형 저항이 높기 때문에, 코킹하기 쉽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암부의 단부에 편평부 및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부착하는 부착 구멍을 단조 등으로 성형하기 전에 토션부에 통과시켜 둘 필요가 있다. 즉, 전봉관의 굽힘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도장 전에 철 링을 전봉관에 통과시켜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철 링을 코킹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채 낙하, 탈락시키지 않고, 편평부 및 부착 구멍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 등을 거칠 필요가 있고, 핸들링이 번잡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인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토션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암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부시와, 상기 부시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상기 토션부에 대해서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부의 외주면에,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와 맞물리는 요철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토션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암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상기 토션부에 대해서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부의 외주면에, 상기 부시와 맞물리는 요철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시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볼록부가 요철부의 함몰에 들어가고, 부시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가 요철부와 맞물린다. 그 때문에,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은 경우라도, 부시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시가 고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어긋남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가 소정의 설계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철부로서는, 토션부가 상대하는 2면에 함몰 혹은 볼록부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또는, 파형상의 요철부나, 홈형상의 요철부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 토션부의 외주 전체에 파형상의 요철부나, 토션부의 외주의 전체에 홈형상의 요철부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토션부의 외주의 전체에 널링면 형상의 요철부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어긋남 방지 부재의 수지로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또는 폴리 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이다. 또, 부시의 수지로서는, 고무이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재료에서는, 어긋남 방지 부재를 다이렉트 인젝션할 때의 사출 조건을 선정하면, 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재료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사출 성형 공정 뒤에 행하는 스태빌라이저의 도장 공정에 있어서 도료를 건조시키는 공정에서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나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요철의 고저차가 0.5mm~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함몰을 설치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경우, 내어긋남력을 발휘한다고 하는 요철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션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볼록부를 설치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경우,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장치가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주변 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끼고 상기 부시의 반대측으로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을 향해 상기 부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체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부시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면, 부시는 어긋남 방지 부재측으로 휜다. 이로 인해,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접촉부의 외주측의 부분에 하중이 걸린다. 그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에 모멘트가 토션부의 축방향을 향해 작용한다. 즉, 어긋남 방지 부재의 내주면에서 토션부의 외주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고, 어긋남 방지 부재로부터 토션부에 하중이 걸린다. 이로 인해, 어긋남 방지 부재가 요철부와 견고하게 맞물리고, 보다 높은 내어긋남력을 발휘한다. 그 결과,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더 방지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형태의 경사부로서는, 경사 부분이 테이퍼 형상, 경사 부분의 단면 형상이 포물선 형상이나 원형 형상 등, 혹은 경사 부분이 테이퍼 형상, 경사 부분의 단면 형상이 포물선 형상이나 원형 형상 등인 리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의 외주측에 설치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며, 상기 부시는,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맞물리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은 경우라도, 어긋남 방지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부시에 접촉하여, 부시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어긋남 방지 부재가 요철부와 맞물리고, 어긋남 방지 부재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시가 고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어긋남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가 소정의 설계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은, 봉재를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토션부의 견부에 요철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대해서 열처리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이어서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어긋남 방지 부재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은, 봉재를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토션부의 견부에 요철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대해서 열처리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이어서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부시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부의 함몰에 어긋남 방지 부재 또는 부시를 형성하는 수지가 들어가고, 어긋남 방지 부재 또는 부시에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긋남 방지 부재 또는 부시의 볼록부가 요철부의 함몰에 들어가고, 어긋남 방지 부재 또는 부시가 요철부와 맞물린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링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코킹하는 경우에 비해, 요철부와 어긋남 방지 부재 또는 부시의 간극이 적어지고 견고하게 맞물리고, 보다 안정된 내어긋남력을 발휘한다. 그 결과,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인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3은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어긋남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어긋남 방지 부재를 내측에 설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요철부의 주변을 확대해 나태는 도면이다.
도 11은 요철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요철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요철부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요철부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요철부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사출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제1 실시 형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3은,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어긋남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어긋남 방지 부재를 내측에 설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요철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실시 형태의 요철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어긋남 방지 부재의 길이를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요철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요철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요철부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요철부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요철부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00),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태빌라이저(100)는, 토션부(110)와, 암부(120)를 가지고 있다. 스태빌라이저(100)는, 전봉관 등의 중공 파이프나 중실 파이프 등의 봉재를 가공하여 토션부(110)나 암부(120) 등이 형성되어 있다. 토션부(110)의 양단부에는, 토션부(110)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암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암부(120)의 선단부에는, 단조에 의해 편평화된 편평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편평부(121)에는, 도시를 생략한 스태빌라이저 링크가 삽입되어 부착되는 부착 구멍(122)이 설치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스태빌라이저(100)는, 스태빌라이저 장치(1)를 가지는 차량이 커브 주행할 때 등과 같이, 좌우의 도시를 생략한 서스펜션 기구에 상하 역위상의 입력이 있었을 때, 좌우의 암부(120)가 서로 역방향으로 휨과 더불어 토션부(110)가 비틀리고, 차체(10)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는 스프링로서 기능한다.
토션부(110)는, 직선 형상이고 또한 원주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션부(110)의 외주면에는, 기계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요철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토션부(110)에는, 스태빌라이저 장치(1)를 차량의 차체(10)에 부착하기 위한 부시(300)가 장착되어 있다. 또, 토션부(110)에는,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장착되어 있다.
요철부(1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가 상대하는 2면에 함몰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몰을 설치하여 요철부(111)를 형성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볼록부를 설치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 요철부(111)에 함몰을 1개 설치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형상의 요철부(112)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형상의 요철부(113)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 토션부(110)가 상대하는 2면에 함몰을 설치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의 외주 전체에 파형상의 요철부(114)나,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의 외주의 전체에 홈형상의 요철부(115)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의 외주의 전체에 널링면 형상의 요철부(116)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요철부(116)의 경우에는, 부시(300)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짐과 더불어, 부시(300)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요철부(1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각각에 전체가 덮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볼록부가 요철부(111)의 함몰에 들어가 있다. 또한,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각각에 덮이도록 설치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부시(300)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 중 어느 한쪽에 덮이도록 설치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또, 요철부(111)의 전체가 덮이도록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함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요철부(111)의 함몰의 일부를 덮도록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볼록부가 요철부(111)의 함몰에 들어가고,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요철부(111)와 맞물린다. 그 때문에,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도 4(b)의 화살표 X방향)으로 하중을 받은 경우라도, 부시(300)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시(300)가 고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어긋남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100)가 소정의 설계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요철부(11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의 고저차(H)가 0.5mm~5.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함몰을 설치하여 요철부(111)를 형성하는 경우, 어긋남력을 발휘한다고 하는 요철부(111)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션부(11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볼록부를 설치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경우,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장치가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주변 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스태빌라이저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의 고저차(H)는, 토션부(110)의 축방향의 길이 또는 직경 등의 토션부(110)의 크기나, 토션부(110)가 원통 형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토션부(110)의 두께 등에 의해 0.5mm~5.0mm 정도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요철부(11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몰의 양단의 경사의 각도(θ)가 45도~90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도 4(b)의 화살표 X방향)으로 하중을 받은 경우라도,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내어긋남력을 발휘한다는 요철부(111)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부시(300) 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이동하여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경사의 각도(θ)는, 요철의 고저차(H)나,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강도 등에 의해 45도~90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부시(3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의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부시(300)는, 수지제로서 예를 들면 고무제이며, 어긋남 방지 부재(400)와 비교하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부시(300)는, 토션부(110)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토션부(110)에 대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부시(3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300)의 외주면을 덮는 도 3에 나타내는 U자 형상의 브래킷(20)을 볼트(30)로 차체(10)에 체결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100)를 차량의 차체(1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수지제이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이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토션부(110)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토션부(110)에 대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에 구조적 약점부가 되는 접속부가 없고, 하중에 의해 안이하게 스태빌라이저(100)의 토션부(110)로의 고정 강도를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최적인 위치에 유지된다. 또, 알루미늄 링에서는 하중이 걸리면, 알루미늄 링은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능력을 단번에 잃는 반면에,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만일 어긋났다 해도 어긋날 때 필요로 하는 하중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고 하는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100)가 소정의 설계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3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토션부(110)의 좌우에 한 개씩 합계 2개 설치되어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접촉부(410)와, 경사부로서 예를 들면 테이퍼부(420)를 가지고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각각의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부시(3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부시(300)의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실시 형태로 해도,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길이는, 10mm~15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어긋남력을 발휘하면서,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스태빌라이저(100)의 토션부(110)의 부시(300)를 제외한 스트레이트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길이는,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어긋남력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토션부(110)와 부시(300)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접촉 부분에 요철부(111)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짧아도 내어긋남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접촉부(410)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10)의 측면에는, 부시(300)의 측면이 접촉된다. 접촉부(410)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에 있어서 가장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며, 두께가 3mm~5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촉부(410)가 어긋남 방지 부재(400)로서 부시(300)에 접촉하는 면적을 확보하면서,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소형화할 수 있고,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주변 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테이퍼부(420)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퍼부(420)는, 접촉부(410)를 사이에 끼고 부시(300)의 반대측에 토션부(110)의 축방향을 향해 부시(30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420)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경사부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경사부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부분의 단면 형상이 포물선 형상이 되도록, 테이퍼부(420)에 비해 감육한 포물선 형상부(520)를 설치해도 된다. 혹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420) 및 포물선 형상부(520)에 비해 더 감육한 테이퍼 형상의 리브(620)를 설치하는,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부분의 단면 형상이 포물선 형상이 되는 리브(720)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타육(馱肉)을 가능한 한 배제함으로써, 어긋남 방지 부재가 어긋남 방지 부재의 주변 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경량화 및 사용하는 수지가 줄어듬에 따른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어긋남 방지 부재를 성형한 후에 행하는 도장 공정에서, 어긋남 방지 부재가 차폐물이 되어 도장 얼룩을 어긋남 방지 부재 부근에서 일으키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의 경량화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링의 어긋남 방지 부재에서는, 25.4mmΦ의 스태빌라이저에 설치하는 어긋남 방지 부재를 설계하면, 두께가 5.0mm, 길이가 15.0mm인 원통 형상이고 무게가 16g이 된다. 한편, 25.4mmΦ의 스태빌라이저에 설치하는 원통 형상의 어긋남 방지 부재를 수지로 설계하면, 무게가 9g이 되고, 약 7g/개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그 때문에, 한 개당의 스태빌라이저에는 어긋남 방지 부재가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14g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여기서, 어긋남 방지 부재(400)는, 알루미늄 링이나 철 링 등의 종래의 어긋남 방지 부재에 비해, 보다 높은 마찰력 및 어긋남력을 발휘하는 것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체(10)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도 4(b)의 화살표 X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300)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측으로 휜다. 이로 인해,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접촉부(410)의 외주측의 부분에 하중이 걸린다. 그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에 모멘트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을 향해 작용한다(도 4(b)의 화살표 Y방향). 즉,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내주면에서 토션부(110)의 외주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고, 어긋남 방지 부재(400)로부터 토션부(110)에 하중이 걸린다. 따라서, 토션부(110)와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보다 높은 마찰력을 발휘한다. 그 결과,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내주면에서 토션부(110)의 외주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고, 어긋남 방지 부재(400)로부터 토션부(110)에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요철부(111)와 견고하게 맞물리고, 보다 높은 내어긋남력을 발휘한다. 그 결과,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더 방지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성형 공정으로부터 도장 공정까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사출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은, 토션부의 축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b)는, 토션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다이렉트 인젝션 하는 사출 성형 장치(800)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출 성형 장치(800)는, 금형(810), 사출기(840) 및 승강기구(8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금형(810)은, 하형(811)과, 상형(812)을 가지고 있다. 하형(811)에는, 게이트(811a)가 설치되어 있다. 하형(811) 및 상형(812)에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820)의 일부가 되는 오목부와, 캐비티(820)에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견부를 지지하는 그립부(830)가 설치되어 있다.
사출기(840)는,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820)에 주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승강기구(850)는, 금형(81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구(850)는, 상형(812)을 도 16 및 도 17의 화살표 A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승강기구(850)는, 그립부(83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이 승강기구(85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구(850)에 의해 상형(812)이 도 1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승하면, 하형(811)으로부터 상형(812)이 이간한다. 또, 승강기구(850)에 의해 상형(812)이 도 16의 화살표 A방향으로 하강하면, 하형(811)과 상형(812)이 접촉한다. 하형(811)과 상형(812)이 접촉하면,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820)가 형성된다.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전봉관 등의 봉재를 냉간 가공에 의해,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을 행한다(S101). 다음에, 전조롤 혹은 2분할 프레스형 등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토션부(110)의 견부에 요철부(111)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한다(S102).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담금질·템퍼링 등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열처리 공정을 행한다(S103).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토션부(110) 표면의 버 등을 제거한다(S104).
또한,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 후에 요철부(111)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성형 공정과 제2 성형 공정을 같은 시기에 행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처리가 실시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사출 성형 장치(800)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수지로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한다(S105).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우선,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견부를 금형(810)의 그립부(830)에 세트한다. 다음에, 승강기구(850)에 의해 상형(812)을 도 17의 화살표 A방향으로 하강시켜 하형(811)에 접촉시키고, 캐비티(820)를 형성한다. 다음에, 사출기(840)를 도 16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사출기(840)의 선단을 하형(811)의 게이트(811a)에 삽입하여, 수지를 게이트(811a)로부터 캐비티(830)에 주입한다. 이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접촉부(410) 및 테이퍼부(420)를 가지는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성형된다.
이 때, 요철부(111)의 함몰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형성하는 수지가 들어가고, 어긋남 방지 부재(400)에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볼록부가 요철부(111)의 함몰에 들어가고,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요철부(111)와 맞물린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링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코킹하는 경우에 비해, 요철부(111)와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간극이 적어지고 견고하게 맞물리고, 보다 안정된 어긋남력을 발휘한다. 그 결과,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때,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견부와 그립부(830)의 간극은, 0.6mm 이내이다. 그 때문에, 캐비티(820)에 주입된 수지가 캐비티(820)로부터 그립부(830)에 유입하지 않고, 버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길이가 10mm 정도의 어긋남 방지 부재(400)이면,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축심과 견부의 축심이 상대적으로 3도 혹은 4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고 해도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성형 가능하다. 따라서, 길이가 10mm 정도의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이면, 견부의 직경 공차나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내측의 견부의 곡선 등이 큰 폭으로 허용된다. 또, 버를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저비용으로 스태빌라이저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스태빌라이저 반제품 및 어긋남 방지 부재(400)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을 행한다. 또한, 사출 성형 공정 후에 도장 공정을 행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쇼트 피닝을 행한 후에 도장 공정을 행하고, 그 후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도장 공정 후에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경우라도, 어긋남 방지 부재(400)가 요철부(111)와 맞물리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재(400)와 쇼트 피닝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이 맞물림에 의한 내어긋남력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 또, 도막 위로부터 다이렉트 인젝션하므로, 도막의 두께가 변동해도 토션부(110)에 대한 어긋남 방지 부재(400)의 밀착도에 변동이 없고, 내어긋남력에도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캐비티(820)를 형성하는 금형과 그립부(830)를 형성하는 금형을 각각 분할할 수 있도록 금형을 구성하면, 캐비티(820)를 형성하는 금형의 수가 알루미늄 링을 성형하는 금형의 베리에이션의 1/3~1/4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준비 등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생산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부시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혹은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고무제의 부시를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열큐어 공정을 행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2)제2 실시 형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주로 변경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토션부(110)의 외주면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부(110)의 외주의 전체에 홈형상의 요철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토션부(110)에는, 부시(30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재(900)만이 장착되어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900)는, 요철부(115)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어긋남 방지 부재(900)는, 외주측에 접촉부로서 예를 들면 오목부(90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목부(901)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볼록부를 설치하는 실시 형태로 해도 된다.
부시(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시(300)는, 어긋남 방지 부재(900)의 오목부(901)에 맞물리고, 어긋남 방지 부재(900)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시(300)는, 양측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오목부(901)에 꼭 맞고, 어긋남 방지 부재(900)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2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시(300)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이 커브할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은 경우라도, 어긋남 방지 부재(900)의 오목부(901)가 부시(300)에 접촉하여, 부시(3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어긋남 방지 부재(900)가 요철부(115)와 맞물리고, 어긋남 방지 부재(900)가 토션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시(300)가 고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어긋남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100)가 소정의 설계 의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어긋남 방지 부재만을 장착하는 부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어긋남력을 유지하면서, 스태빌라이저(100)의 토션부(110)의 어긋남 방지 부재(900)를 제외한 스트레이트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스태빌라이저 장치 10:차체
100:스태빌라이저 110:토션부
111:요철부 120:암부
300:부시 400:어긋남 방지 부재
410:접촉부 420:테이퍼부
901:오목부.

Claims (7)

  1. 토션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암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부시와,
    상기 부시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상기 토션부에 대해서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어긋남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부의 외주면에,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와 맞물리는 요철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2. 토션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로부터 신장하는 암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토션부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상기 토션부에 대해서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부의 외주면에, 상기 부시와 맞물리는 요철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요철의 고저차가 0.5mm~5.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끼고 상기 부시의 반대측에 상기 토션부의 축방향을 향해 상기 부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스태빌라이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의 외주측에 설치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며,
    상기 부시는,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맞물리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6. 봉재를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토션부의 견부에 요철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대해서 열처리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이어서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어긋남 방지 부재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
  7. 봉재를 대략 コ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의 토션부의 견부에 요철부를 성형하는 제2 성형 공정을 행하고, 성형된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대해서 열처리 공정을 행하고, 다음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반제품에 쇼트를 투사하는 쇼트 피닝을 행하고, 이어서 다이렉트 인젝션에 의해 부시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7004070A 2008-07-29 2009-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9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4556A JP5398192B2 (ja) 2008-07-29 2008-07-29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194556 2008-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815A true KR20110049815A (ko) 2011-05-12

Family

ID=4161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70A KR20110049815A (ko) 2008-07-29 2009-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9033B2 (ko)
EP (1) EP2308705B1 (ko)
JP (1) JP5398192B2 (ko)
KR (1) KR20110049815A (ko)
CN (1) CN102112330B (ko)
CA (1) CA2731359A1 (ko)
WO (1) WO20100136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209B2 (en) 2018-12-26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e material bu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3752B2 (ja) * 2008-04-14 2011-04-06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8318B2 (ja) * 2008-07-18 2015-07-15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ー装置
JP5055394B2 (ja) 2010-02-15 2012-10-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製造装置
JP2011168102A (ja) * 2010-02-16 2011-09-01 Nhk Spring Co Ltd スタビライザ用ブシュ及び車両スタビライザ
JP5478472B2 (ja) * 2010-12-07 2014-04-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ブッシュ・ブラケット一体スタビライザーバー
JP2013060196A (ja) * 2012-11-09 2013-04-04 Nhk Spring Co Ltd 車両スタビライザ
JP6343153B2 (ja) 2014-02-18 2018-06-13 日本発條株式会社 棒材と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との取付構造
US9995336B2 (en) * 2014-03-18 2018-06-12 B/E Aerospace, Inc. Friction bushing
JP5961223B2 (ja) * 2014-04-10 2016-08-02 日本発條株式会社 パイプ状部材およびその端部封止方法
JP6444082B2 (ja) * 2014-07-23 2018-12-26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9718325B2 (en) * 2015-08-27 2017-08-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eral stabilization assembly
CN110159701A (zh) * 2018-12-28 2019-08-23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缓冲装置及压缩机
CN111958917A (zh) * 2020-07-28 2020-11-20 金晓 一种水龙头管件注塑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2823A1 (de) 1991-01-31 1992-08-06 Porsche Ag Fahrschemel
IT1285856B1 (it) * 1996-05-03 1998-06-24 Rejna Spa Dispositivo di posizionamento per barre stabilizzatrici, barra stabilizzatrice e sistema di stabilizzazione per veicoli utilizzanti
DE19738769A1 (de) * 1997-09-04 1999-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agerung eines Stabilisators an einem Kraftfahrzeug
JP3963592B2 (ja) 1998-09-21 2007-08-22 横浜機工株式会社 棒材のずれ防止構造
JP3963593B2 (ja) 1998-04-23 2007-08-22 横浜機工株式会社 棒材のずれ防止構造
JP2001213132A (ja) * 2000-02-04 2001-08-07 Hino Motors Ltd 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JP3716750B2 (ja) * 2001-02-23 2005-11-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ブッシュ付スタビライザーバー
JP2002331326A (ja) * 2001-03-08 2002-11-19 Nhk Spring Co Ltd 中空スタビライ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50206650D1 (de) * 2002-03-13 2006-06-08 Ford Global Tech Llc Stabilisatorlager für ein Kraftfahrzeug
KR100658294B1 (ko) * 2005-05-27 2006-12-14 대원강업주식회사 발란스 암의 횡방향 밀림방지장치
US7448636B2 (en) * 2005-10-14 2008-11-11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Stabilizer bar
SE0600953L (sv) * 2006-04-28 2007-06-12 Volvo Lastvagnar Ab Krängningshämmarstag för ett ford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209B2 (en) 2018-12-26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e material b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8705A1 (en) 2011-04-13
US20110169242A1 (en) 2011-07-14
EP2308705A4 (en) 2013-06-05
CA2731359A1 (en) 2010-02-04
US8419033B2 (en) 2013-04-16
JP5398192B2 (ja) 2014-01-29
CN102112330A (zh) 2011-06-29
EP2308705B1 (en) 2016-02-17
WO2010013622A1 (ja) 2010-02-04
CN102112330B (zh) 2013-09-25
JP2010030421A (ja)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815A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3364A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360450B2 (en) Stabilizer device
US8905417B2 (en) Stabilizer lin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3423392B (zh) 带有非对称阻尼机构的张紧轮
JP5780638B2 (ja) 防振ブ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34083A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US6591706B2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a unitized yoke assembly
KR20180110119A (ko) 볼 조인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태빌라이저 링크
WO2017138573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CN106884752B (zh) 具有加强挺杆体的凸轮从动辊装置
CN107035590B (zh) 具有插入件的凸轮从动辊装置
JP4372086B2 (ja) ベアリングブッシュ
CN106275057A (zh) 轴向载荷承载组件
JP3969431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CN111868396A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US11161385B2 (en) Vehicle stabil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654937U (ja) エンジン支持構造
JP2009019672A (ja) 揺動軸受用外輪、揺動軸受、およびエア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