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582A - 취반기 - Google Patents
취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5582A KR20110045582A KR1020090102217A KR20090102217A KR20110045582A KR 20110045582 A KR20110045582 A KR 20110045582A KR 1020090102217 A KR1020090102217 A KR 1020090102217A KR 20090102217 A KR20090102217 A KR 20090102217A KR 20110045582 A KR20110045582 A KR 20110045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cooker
- inner pot
- heating cooker
- st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수조 용량을 크게 하고, 증기를 안정적으로 복수하는 것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수납하는 속냄비(11)와,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속냄비(11) 밖으로 유도하는 증기 도관(53)과, 증기 도관(53)에 의해 유도된 증기를 회수하고 복수하여 저장하는 수조(20)와, 속냄비(11) 및 상기 수조(20)를 착탈 자유롭게 마련한 하부 몸체(10)와, 증기 도관(53)을 내부에 마련하고, 하부 몸체(10)의 윗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상부 덮개(50)를 구비하고, 수조(20)의 속냄비(11)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22)은,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다.
취반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가열물(쌀이나 물 등)를 수용한 속냄비(內鍋)를 가열함으로써 조리를 행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리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수가 들어간 수조(水槽) 내로 유도하고 냉각, 복수(復水)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가열 조리기로서, 수조를 본체의 외부에 마련한 취반기(炊飯器)(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나, 수조를 취반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한 취반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평7-279호 공보(제 2페이지면, 도 1).
특허 문헌 2 : 실개소60-106532호 공보(제 2 내지 3페이지, 도 1 내지 도 2)
이러한 종류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복수하기 위한 대량의 물을 수조 내에 확보하는 것이 불가결하고, 즉 그 수량(水量)에 맞춘 수조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온다.
특허 문헌 1의 취반기에서는, 수조를 취반기과는 별체로서 외부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로 부피가 커지고, 취반기의 설치 장소가 제약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취반기에서는, 취반기 본체의 몸체와 속냄비 사이의 비교적 좁은 스페이스에 수조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수조 용량을 확보할 수가 없고, 수조 용량을 확보하려고 하면, 취반기 본체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 조리기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수조 용량을 크게 하여, 증기를 안정적으로 복수하는 것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물을 수납하는 속냄비와, 속냄비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속냄비 밖으로 유도하는 증기 도관(導管)과, 증기 도관에 의해 유도된 증기를 회수하고 복수하여 저장하는 수조와, 속냄비 및 수조를 착탈 자유롭게 마련한 하부 몸체와, 증기 도관을 내부에 마련하고, 하부 몸체의 윗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상부 덮개를 구비하고, 수조의 속냄비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속냄비의 외주(外周) 형상에 따른 오목부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속냄비에 대향하는 대향면을, 속냄비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속냄비의 외주 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하여, 가열 조리기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게 수조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증기를 안정적으로 복수하는 것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취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상부 덮개(50)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취반기의 상부 덮개(50)를 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포함하여,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취반기(1)는, 상부에 개구를 갖은 하부 몸체(10)와, 하부 몸체(10)의 상부의 개구에 착탈 자유롭게 수용되는 속냄비(11)와, 속냄비(11)의 저부에 배치되고, 속냄비(11)를 전자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도시 생략)과,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고,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수중으로 유입시켜서 냉각하고, 복수함으로써 증기를 회수하는 수조(20)와, 하부 몸체(10)에 힌지부(40)로 회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하부 몸체(10)의 상부 덮개구 및 수조(20)의 윗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상부 덮개(50)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몸체(10)는, 수조(20)를 착탈 자유롭게 감합하는 대좌부(10a)를 가지며, 그 대좌부(10a)에 수조(20)를 장착한 상태의 본체 하 부(30)가, 개략 직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덮개(50)는, 하부 몸체(10)의 후방측에 마련한 힌지부(40)에 의해 하부 몸체(10)와 접속되고, 이 힌지부(40)를 지점으로 하여 상부 덮개(50)의 전방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부 덮개(50)는, 하부 몸체(10)와의 대향면의 전방(정면)측에, 하부 몸체(10)에 마련한 계지부(31)가 계합하는 계합부(57)를 가지며, 하부 몸체(10)에 대해 계탈 자유롭게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로크를 해제하는데는, 상부 덮개(50)의 앞면에 마련되어 있는 로크 해제 버튼(58)를 압입하여, 계합부(57)와 계지부(31)의 계합을 벋기면 좋다. 또한, 상부 덮개(50)는, 하부 몸체(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힌지부(40)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부 덮개(50)의 윗면에는, 취반기의 설정 상황이나 운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LED(light-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나, 액정 디스플레이, 형광관,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60)와, 취사 스위치나 예약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로 구성되고,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60)와 조작부(61)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조작 표시부로 하여도 좋다.
상부 덮개(50)는, 조리시에 속냄비(11)의 상부 덮개구를 폐색하는 속덮개(內蓋)(51)와,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통과하는 증기 도관(53)을 내부에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속덮개(51)는, 하부 몸체(10)의 윗면에 덮개 패킹(52)을 통하여 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부 덮개(50)와 하부 몸체(10)의 윗면과 의 사이로부터 증기가 외부로 샐 수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속덮개(51)에는, 조리중에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증기 도관(53)에 배출하기 위한 작은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은구멍(54)의 형상 및 개수는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속덮개(51)에는, 조리시에 있어서의 피가열물의 초기 수온(水溫)이나 비등(沸騰)을 검지하기 위한 덮개 센서(5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 센서(51a)는, 속냄비(11)에 수용된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히 종류나 장소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부 덮개(50)의 내부에 마련된 증기 도관(53)은, 일단이 속덮개(51)에 마련한 작은구멍(54)의 형성 부분에 연통하고, 다른 단이 상부 덮개(50)의 하면에 마련한 증기 배출구(55)에 연통하고 있고,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작은구멍(54)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증기 배출구(55)까지 유도한다. 또한, 증기 도관(53)은, 증기에 포함되는 쌀의 전분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점성이 있는 유체(이하, 밥물이라고 칭한다)를 증기와 분리하여, 회수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증기 배출구(55)의 주위에는 패킹(56)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 덮개(50)를 닫음에 의해, 패킹(56)이 수조(20)의 윗면에 꽉 눌려서 밀착하고, 상부 덮개(50)와 수조(20)의 사이로부터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_
수조(20)는, 윗면에, 상부 덮개(50)의 증기 배출구(55)와 연통하는 증기 공급구(21)를 갖고 있고, 이 증기 공급구(21)를 통하여 상부 덮개(5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한다.
수조(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고,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수중에 유입시켜서 냉각하고, 복수하여 회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조(20)에는, 속냄비(11)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증기를 복수하여 가는 과정에서 수조(20) 내의 물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한다. 이 때문에, 수조(20) 내부에 저장해 두는 물의 양이 적으면, 본래의 목적인 증기의 냉각, 복수가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수조(20) 자체가 고온이 되어, 냉각수의 폐기시에 화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수조(20) 내의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데는, 수조(2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유효하다.
여기서, 수조(20)를 개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고, 개략 직육면체 형상인 채로 단지 확대하여 수조(20)의 용량을 크게 하면, 그만큼 본체 하부(30) 전체도 커진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수조(2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면서도, 본체 하부(30) 전체의 크기를 대형화하는 일이 없도록, 수조(20)에 있어서 속냄비(11)에 대향하는 면(22)를,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형상으로 형성하고, 속냄비(11)와 본체 하부(30)의 외형과의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본체 하부(30) 전체의 크기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수조(20)의 용량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수조(20)의 오목형상(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가 다른 복수의 직선을 연결한 형상으로 하여 좋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22a)으로 하여도 좋고, 요컨대,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수조(20)는, 본체 하부(30)의 앞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본체 하 부(30)의 우측 전체를 차지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충분한 크기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수조(20)를, 속냄비(11)의 우측(하부 몸체(10)의 우측면)에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수조(20)의 배치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하부(30) 후방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속냄비(11)의 후방에 수조(20)를 삽입하는 수조 삽입부(20a)를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형상을 형성하여 마련하고, 이 수조 삽입부(20a)에 대해 수조(20)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수조(20)는, 수조(20)의 몸체 자체가, 본체 하부(30) 외장의 일부(즉, 도 1의 예에서는, 본체 하부(30)의 우측면 전체와 앞면 및 후면의 일부)를 겸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수조(20)의 주위에 별도 화장판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조(20)의 주위에 별도 화장판을 마련한 경우에 비하여, 그 화장판의 두께만큼을 수조(2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하부(3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바꾸지 않고서 수조(20) 용량을 크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조(20)의 벽면 자체를 본체 하부(30)의 외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조(20) 벽면에 강도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적어도 수조(20)에 있어서 본체 하부(30)의 외장이 되는 부분에는, 수조(20)의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강도가 높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수조(20)를 하부 몸체(10)의 우측에 배치하고 있고, 수조(20)와 하부 몸체(10) 사이에 계지부(31)가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조(20)의 대향면(22)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즈음하여, 계지부(31)를 피하는 배려가 불필요하 다. 또한, 이 점은, 수조(20)를 하부 몸체(10)의 좌측 또는 후방에 배치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는, 속냄비(11)에 대해 힌지부(40)에 대향하는 위치, 즉 본체 하부(30)의 전방에 수조(20)를 배치한 취반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취반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실시의 형태 2의 수조(20)의 형상과 수조(20)의 마련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5에서, 상부 덮개(50)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체 하부(30)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실시의 형태 2의 취반기는, 하부 몸체(10)의 전방에 수조(20)를 배치한 것으로서, 수조(20)에 있어서, 속냄비(11)에 대향하는 면(22)을,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점은 실시의 형태 1와 마찬가지이고, 실시의 형태 2도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하부 몸체(10)의 윗면의 전방측에는, 상부 덮개(50)에 형성된 계합부(57)(도 2 참조)에 계지한 계지부(31)가 배치되어 있다. 즉, 속냄비(11)와 수조(20) 사이에 계지부(31)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속냄비(11)와 수조(20) 사이 이외의 부분에 계지부(31)를 마련하는 경우와는 달리, 계지부(31)의 배치 위치를 피하여 수조(20)의 대향면(22)의 형상을 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계지부(31)의 배치 위치를 피하는 배려가 불필요한 경우에 비하여 계지부(31)의 배치 위치를 피하는 분만큼 수조(20)의 용량이 작아진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해서는, 수조(20)의 대향하는 대향면(22)을, 가능한 한 속냄비(11)에 근접하여 따르도록 후방(힌지부(40)측)으로 늘려서 수조(20)의 용량을 확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수조(20)의 대향면(22)의 좌우 양측이 속냄비(11)에 대해 후방으로 늘어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편측만 후방으로 늘어나는 형상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3은, 수조(20)의 구조를 변경하여, 취반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수조 부분의 확대 사시도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상부 덮개(50)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체 하부(30)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상기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본체 하부(30)의 전방측, 우측, 좌측, 후방측의 어느 한쪽의 거의 전체를 수조(20)로 구성하고 있지만,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수조(20)를, 개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하부(30)를 구성하는 6면중, 상하 2면을 제외한 이웃하는 2면이 맞닿은 직각부를 갖는 개략 직각 삼각주(三角柱)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환언하면, 본체 하부(30)의 하나의 모서리부(角部)와 속냄비(11)와의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생성하는 공간을 수조(20)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조(20)에 있어서 속냄비(11) 라는대 양면(22)를 속냄비(11)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형상으로 점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와 마찬가 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 비하여 수조(20) 자체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것이지만, 본체 하부(30)의 하나의 모서리부와 속냄비(11)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필요 충분한 수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 비하여 취반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취반기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품으로서 출하하는 경우의 포장의 감량화·소형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에서는, 본체 하부(30)의 후방 좌측 모서리부에 수조(20)를 마련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위치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 후방 우측 모서리부나 전방의 좌우 모서리부에 마련하여도, 물론 좋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4는, 수조(20)와 속냄비(11) 사이에 단열재(70)를 마련하고, 속냄비(11)나 유도 가열 코일의 열이 수조(20)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조(20)와 속냄비(11)의 거리를 좁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본체 하부(30) 나아가서는 취반기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서, 상부 덮개(50)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체 하부(30)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수조(20) 내의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면, 증기의 회수(回收)가 곤란해 질 뿐만 아니라, 냉각수의 폐기시에 화상의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미 기술하였다. 취반기 전체의 소형화와 수조 용량 확보의 양쪽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열원인 속냄비(11)나 유도 가열 코일(도시 생략)과 수조(20)와의 거리를 가능한 한 작게 한 편이 좋다. 그러나, 속냄비(11)와 수조(2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속냄비(11)로부터의 방열을 받아들여 버려, 수조(20) 벽면이나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전기한 바와 같은 부적합함이 생긴다. 따라서, 속냄비(11)와 수조(20)와의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서는, 속냄비(11)로부터의 방열을 차단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래서,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수조(20)와 속냄비(11)와의 사이에 단열재(70)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단열재(70)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조(20)와 속냄비(11)와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취반기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5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2의 취반기에 단열재(70)를 마련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의 취반기에 단열재(70)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서는, 본 발명을 취반기에 실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증기 회수 기구를 구비한 끓이기용 조리기 등, 증기를 회수하는 수조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라면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취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취반기의 상부 덮개를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수조의 다른 형상례를 도시하는 취반기의 상부 덮개를 연 상체의 사시도.
도 4는 수조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취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 취반기
10 : 하부 몸체
10a : 대좌부
11 : 속냄비
20 : 수조
20a : 수조 삽입부
21 : 증기 공급구
22, 22a : 대향면
30 : 본체 하부
31 : 계지부
40 : 힌지부
50 : 상부 덮개
51 : 속덮개
51a : 덮개 센서
52 : 덮개 패킹
53 : 증기 도관
54 : 작은구멍
55 : 증기 배출구
56 : 패킹
57 : 계합부
58 : 로크 해제 버튼
60 : 표시부
61 : 조작부
70 : 단열재
Claims (8)
- 피가열물을 수납하는 속냄비와,상기 속냄비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속냄비 밖으로 유도하는 증기 도관과,상기 증기 도관에 의해 유도된 증기를 회수하고 복수하여 저장하는 수조와,상기 속냄비 및 상기 수조를 착탈 자유롭게 마련한 하부 몸체와,상기 증기 도관을 내부에 마련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윗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상부 덮개를 구비하고,상기 수조의 상기 속냄비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은, 상기 속냄비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1항에 있어서,가열 조리기 본체의 하부의 측면을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수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가열 조리기 본체의 하부는 개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 조리 본체의 하부의 측면의 어는 개략 한 면을 상기 수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가열 조리기 본체의 하부는 개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 조리기 본체의 하부의 측면의 이웃하는 2면의 일부 및 그 2면의 접속에 의해 생기는 모서리부를 상기 수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기 본체의 하부의 측면를 구성하는 부분은, 그 이외의 부분보다도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조와 상기 속냄비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조와 상기 속냄비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수조와 상기 속냄비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인 취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2217A KR20110045582A (ko) | 2009-10-27 | 2009-10-27 | 취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2217A KR20110045582A (ko) | 2009-10-27 | 2009-10-27 | 취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5582A true KR20110045582A (ko) | 2011-05-04 |
Family
ID=4424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2217A KR20110045582A (ko) | 2009-10-27 | 2009-10-27 | 취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4558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88658A (ja) * | 2014-03-28 | 2015-11-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蒸気回収器及び加熱機器 |
CN113142970A (zh) * | 2020-01-23 | 2021-07-23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煮饭器 |
-
2009
- 2009-10-27 KR KR1020090102217A patent/KR201100455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88658A (ja) * | 2014-03-28 | 2015-11-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蒸気回収器及び加熱機器 |
CN113142970A (zh) * | 2020-01-23 | 2021-07-23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煮饭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05330B1 (en) | Steam generator and heating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4049787B2 (ja) | 過熱蒸気調理器 | |
CA2940466A1 (en) | Steam generating device and thermal cooking apparatus | |
JP5318200B2 (ja) | 加熱調理器 | |
KR20110045582A (ko) | 취반기 | |
JP2008071679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KR20180091776A (ko)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
JP2006017398A (ja) | 高周波調理器 | |
JP2010046140A (ja) | 加熱調理器 | |
JP2013236725A (ja) | 調理器 | |
JP5117215B2 (ja) | 加熱調理器 | |
JP3966362B2 (ja) | 高周波調理器 | |
JP4762282B2 (ja) | 加熱調理器 | |
JP6058520B2 (ja) | 調理器 | |
JP4816716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WO2006004051A1 (ja) | 高周波調理器 | |
JP2011045783A (ja) | 加熱調理器 | |
JP2010042054A (ja) | 炊飯器 | |
JP4391343B2 (ja) | 高周波調理器 | |
JP5425293B2 (ja) | 加熱調理器 | |
JP7401773B2 (ja) | 電気ポット | |
JP2011152470A (ja) | 加熱調理器 | |
JP2010214037A (ja) | ジャー炊飯器 | |
CN102048444A (zh) | 烧饭机 | |
JP5089549B2 (ja) | 炊飯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