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789A -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789A
KR20110044789A KR1020117006137A KR20117006137A KR20110044789A KR 20110044789 A KR20110044789 A KR 20110044789A KR 1020117006137 A KR1020117006137 A KR 1020117006137A KR 20117006137 A KR20117006137 A KR 20117006137A KR 20110044789 A KR20110044789 A KR 2011004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bination module
registered
compon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193B1 (ko
Inventor
쿠니요시 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스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스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미스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11004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콤비네이션 모듈 DB(21)는 복수의 콤비네이션 모듈(CM)의 조립예에 관한 CM타입과, CM타입에 관련지어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과, CM타입에 관련지어 CM의 조립 치수 데이터가 등록되는 CM정보를 격납한다. 검색부(31)는 입력된 CM타입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로부터 입력된 CM으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한다. 표시부(5)는 검색부(31)가 검색한 CM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Apparatus for providing combination module data}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품을 조합하여 원하는 기능의 장치를 설계할 때의 설계 지원 장치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생각되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요구된 사양을 실현하는 설계에 필요한 사례 부품이나 표준 부품의 조합을 제시하는 설계 지원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설계 지원 장치는 표준 부품의 속성값 범위 및 형상 특징 데이터와, 사례 부품의 설계 정보,속성 정보, 및 형상 특징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하여 두고, 사용자가 입력한 속성값과 형상 특징 데이터에 정합하는 표준 부품, 속성값에 유사한 속성값을 가지며, 또한 형상 특징 데이터와 유사한 표준 부품, 또는 형상 특징에 유사한 사례 부품을 검색하고, 검색한 부품을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설계 지원 장치는 이 동작을 필요한 부품의 회수 반복, 사용자가 선택한 각 부품의 CAD(Computer Assisted Design) 데이터를 조립하여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의 설계를 지원한다.
일본특허공개 평9-179892호 공보
여기서, FA(Factory Automation)시스템의 장치의 설계에 대해 생각한다. FA시스템에서는 부품 메이커로부터 부품을 구입하여 장치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설계자는 부품 메이커가 제공하는 부품 단체의 CAD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고, 다운 로드한 CAD 데이터를 1점씩 조립도에 결합해야 한다.
도 2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조정 나사와 스토퍼 블록을 조합하여, 가동물과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스토퍼&블록」을 예로 들어, 종래의 설계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계자는 조정 나사의 사양(형상)을 카탈로그로 확인하여(스텝 S600), 사용하는 나사 사이즈(나사 지름, 피치, 나사 눈금)를 결정한다(스텝 S601). 설계자는 카탈로그에 기재된 규격표로 나사 사이즈의 존재를 확인한다(스텝 S602). 즉,스텝 S601에 의해서 결정한 나사 사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규격표를 보고 확인한다. 설계자는 스토퍼 블록의 사양(형상)을 카탈로그로 확인하고(스텝 S603),카탈로그에 기재된 규격표로 스토퍼 블록의 규격을 확인하여(스텝 S604),사용하는 스토퍼 블록을 결정한다(스텝 S605).
설계자는 결정한 스토퍼 블록의 CAD 데이터를 부품 메이커의 CAD 데이터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 로드한다(스텝 S606). 설계자는 다운 로드한 CAD 데이터를 조립도에 조립한다.
설계자는 가동물과 스토퍼 블록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clearance)을 결정하고, 결정한 간격을 조정 나사의 돌기(screw protrusion)로 결정한다(스텝 S607). 설계자는 결정한 조정 나사의 돌기, 및 결정한 스토퍼 블록의 규격에 의해 조정 나사의 필요한 전체 길이를 산출한다(스텝 S608). 설계자는 조정 나사의 규격표를 확인하여 조정 나사의 전체 길이를 결정하고(스텝 S609), 스토퍼 블록에 조립하는 조정 나사를 결정한다(스텝 S610).
설계자는 결정한 조정 나사의 CAD 데이터를 CAD 데이터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 로드한다(스텝 S611). 설계자는 다운 로드한 CAD 데이터를 조립도에 조립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블록」의 설계 작업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설계자는 부품간의 조합이 가능한지,조합에 의해 장치로서의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지를 항상 의식하여 부품을 선택하여야 한다. 즉, 부품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는 장치의 설계 치수를 각 부품마다의 치수로부터 산출해야 하고, 부품수가 많아질수록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수가 많아질수록, 조합이 복잡해지고, 선택한 부품을 조합하다 보면, 최종적으로 설계 치수를 만족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하며, 몇 번이나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하였다. 이런 문제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진 경우뿐만 아니라, 부품 메이커가 제공하는 부품의 구색이 풍부하게 되어 부품의 선택 사항이 증가한 경우에도 생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을 상술한 FA시스템의 설계에 적용할 경우, 설계 지원 장치는 조합 가능한 부품을 선택할 수는 있지만, 선택한 부품을 조합한 장치가 설계 치수를 만족하는지 여부는 판정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부품 선택의 수고를 생략할 수는 있지만, 최종적인 설계 치수를 만족하는 부품의 선택은 설계자가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자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항상, 부품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는 장치의 설계 치수를 각 부품마다의 치수로부터 산출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사용자가 주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수단과, 복수의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와, 상기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지어 상기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를 격납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콤비네이션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정하는 선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 치수 데이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와, 상기 필수 치수 데이터 이외의 상기 콤비네이션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인 미리 정해진 내부 설계 치수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에게 하나의 상기 조립예 데이터를 입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립 치수 데이터 중 상기 필수 치수 데이터만을 입력시키고,
상기 선정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되어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조립 치수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가지는 하나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가지며, 상기 선정 수단이 검색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와, 이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지어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결정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를 기억 수단에 격납하여 두고, 검색 수단이 입력된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조립 치수 데이터로부터 입력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고, 표시 수단이 검색 수단이 검색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와, 이 필수 치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로 정해지는 내부 설계 치수와의 2종류의 성질을 가지는 치수가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조합 가능한 구성 부품의 내부 치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내부 치수와 해당 구성 부품의 치수로부터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한 조립 치수 데이터와, 해당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를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지어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둔다. 즉, 미리 구성 부품을 선택하여 다양한 필수 치수 데이터에 대응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필수 치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필수 치수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준비하여 둔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사용자가 주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제공할 수가 있어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표준 부품이며,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을 표준 부품으로 하고, 입력 수단은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1회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서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품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로부터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의 조립 치수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를 격납하고, 상기 작성 수단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나타내는 구성 부품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하는 구성 부품 선택 수단과, 상기 구성 부품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하는 치수 산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산출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로서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 수단에 적어도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품 데이터 베이스를 더 격납시켜, 구성 부품 선택 수단이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구성부품 데이터가 나타내는 구성 부품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하고, 치수 산출 수단이 구성 부품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하여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립예 데이터, 구성 부품 데이터, 및 부품 데이터 베이스를 등록하는 것만으로,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조합을 생각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이 추가된 경우에도,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된 부품을 추가 등록하는 것만으로, 해당 부품을 구성 부품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단시간으로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가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축 수단은 적어도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축 수단은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예컨대, 구성 부품의 형식 번호)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가 등록되는 도형 데이터 베이스를 더 격납하고, 상기 작성 수단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구축할 때 상기 도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성 수단은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할 때 도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취득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마다의 CAD 데이터를 취득하여 조립도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 설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을 구성하는 조정 나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을 구성하는 스토퍼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모듈 DB에 등록되는 모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모듈 DB에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모듈 DB에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부품 DB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부품 DB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표시부가 표시하는 모듈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한 표시부가 표시하는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한 표시부가 표시하는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한 표시부가 표시하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플로우 차트의 검색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도 16은 도 4에 도시한 표시부가 표시하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도 18은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를 구성하는 지주(支柱)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를 구성하는 지주 클램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를 구성하는 지주 스탠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4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모듈 DB에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4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모듈 DB에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4에 도시한 부품 DB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4에 도시한 부품 DB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4에 도시한 부품 DB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검색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도 28은 제2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도 29는 종래의 설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요 및 특징]
우선,본 발명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가 취급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이란,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복합 부품을 나타낸다. 예컨대, FA(Factory Automation)시스템의 「포지셔닝」기능의 하나로서 「스토퍼&블록」이 있다. 「스토퍼&블록」은 에 도시하는 조정 나사(71)와 도 2에 도시하는 스토퍼 블록(72)을 조합하여 가동물과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도 3은 「스토퍼&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스토퍼&블록」은 앞의 도 1에 도시한 조정 나사(71)를 앞의 도 2에 도시한 스토퍼 블록(72)에 설치된 조정 나사 장착공(720)에 조립하여, 가동물(73)과의 위치 결정을 수행한다. 「스토퍼&블록」의 설계 사양은 조정 나사(71) 및 스토퍼 블록(72)의 재질이나 표면처리 등의 사양과 설계 치수가 있다. 「스토퍼&블록」의 설계 치수는 가동물(73)과 스토퍼 블록(72)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Lcb),조정 나사(71)의 나사 사이즈(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Mb), 스토퍼 블록의 결합면으로부터 조정 나사(71)의 중심까지의 치수(조정 나사 높이)(Hb), 스토퍼 블록의 두께(Tb), 조정 나사 길이(Lb)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치수 중에서 「스토퍼&블록」의 기능을 결정하는 설계 치수, 즉,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는 간격(Lcb), 나사 사이즈(Mb), 및 조정 나사 높이(Hb)이다.
그러나, 설계자(사용자)가 복수의 부품 중에서 조정 나사와 스토퍼 블록을 선택하여 「스토퍼&블록」을 설계할 때에는 「스토퍼&블록」의 필수 치수 데이터뿐만이 아니라, 부품간의 조합에 필요한 내부 설계 치수(부품의 조합에 필요한 설계 치수)를 의식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조정 나사(71)의 부품 치수에는 조정 나사(71)의 길이(나사 길이)(L1b), 나사 사이즈(M1b), 나사의 조임부(스패너 홈, 볼트 머리 등)의 길이(조임부 길이)(L2b), 부속 부품인 너트의 높이 등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스토퍼 블록(72)의 부품 치수에는 스토퍼 블록(72)의 높이(블록 높이)(H1b), 길이(스토퍼 블록 길이)(L3b), 폭(스토퍼 블록 폭)(Wb),조정 나사 장착공(720)의 사이즈(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M2b),결합면으로부터 조정 나사 장착공(720)의 중심까지의 치수(조정 나사 장착 높이(H2b)이며, 여기에서는 (H2b=H1b/2) 등이 있다.
「스토퍼&블록」의 필수 치수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Lcb), 나사 사이즈(Mb), 및 조정 나사 높이(Hb)이다. 나사 사이즈(Mb)는 조정 나사(71)의 나사 사이즈(M1b) 및 스토퍼 블록(72)의 조정 나사 장착공(M2b)으로 결정하고, 조정 나사 높이(Hb)는 스토퍼 블록(72)의 조정 나사 장착 높이(H2b=H1b/2)로 결정한다. 그러나, 간격(Lcb)은 선택한 조정 나사의 길이(L1b), 조정 나사의 조임부 길이(L1), 스토퍼 블록 두께(Wb), 너트의 높이(Tn), 및 결합시의 조정폭(Lab)으로부터 내부 설계 치수를 산출하여 구해야 한다. 이 작업은 부품의 조합이 많아질수록 복잡해지고, 내부 설계 치수의 산출 결과에 따라서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만족하지 못하고 재차 부품 선택으로부터 설계를 다시 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는 항상 내부 설계 치수를 의식하여 간격(Lcb)를 만족하는 조정 나사(71)의 길이를 선택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간격(Lcb)은 아래의 수식 1로 구할 수가 있다.
Lcb=Lb-(L1+Lab+Tn+Tb) …(수식 1)
여기서, Lb는 조정 나사 길이, L1은 조정 나사의 조임부 길이, Lb는 조정 나사 길이, Lab는 조정폭, Tn은 조정 나사의 너트 높이, Tb는 스토퍼 블록 두께이다.
상기 수식 1로부터, 조정 나사 길이(Lb)는 다음 수식 2로 표시된다.
Lb=Lcb+L1+Lab+Tn+Tb …(수식 2)
여기서, 간격(Lcb)은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의 필수 치수 데이터이며, 「L1+Lab+Tn+Tb」는 간격(Lcb)를 구하기 위한 내부 설계 치수이다. 이 내부 설계 치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로 정해지는 치수이다.
본 발명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는 내부 설계 치수가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로 정해지는 치수인 점에 주목하여, 다양한 필수 치수 데이터에 대응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여 두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도 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는 입력부(1),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이하, 콤비네이션 모듈 DB라 한다)(21)와 부품 데이터 베이스(이하, 부품 DB라 한다)(22)와 도형 데이터 베이스(이하, 도형 DB라 한다)(23)를 격납하는 기억부(2), 검색부(31)와 구축부(32)를 가지는 선정부(3), 구성 부품 선택부(41)와 치수 산출부(42)를 가지는 작성부(4), 및 표시부(5)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일반적인 입력 기기로 구성되고, 콤비네이션 모듈의 검색이나, 콤비네이션 모듈 DB(21)로의 데이터 등록을 수행할 때의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와, 이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지어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가 등록된다.
구체적으로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는 후술하는 모듈 정보, 베리에이션 맵, 및 콤비네이션 모듈 정보(이하,CM정보라 한다)가 등록된다. 모듈 정보에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기능에 의해서 분류한 모듈에 관한 정보가 등록된다.
도 5는 모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모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을 대분류한 모듈의 이름이 등록되는 모듈명과, 이 모듈명에 관련지어 해당 모듈명에 등록된 모듈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을 소분류한 서브 모듈의 이름이 등록되는 서브 모듈명이 등록된다.
도 5에서는 FA(Factory Automation)용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상정하고 있고, 모듈명에는 「포지셔닝」, 「스탠드」, 「연결」,…가 등록되고, 모듈 「포지셔닝」에 속하는 서브 모듈명에는 「스토퍼&블록」, 「인덱스 플런저 플레이트」, 「위치 결정 핀 모듈」이 등록되고, 모듈 「스탠드」에 속하는 서브 모듈명에는 「센서 스탠드」,…가 등록되고, 모듈 「연결」에 속하는 서브 모듈명에는 「F조인트&홀더」,…가 등록되어 있다.
베리에이션 맵은 앞의 도 5에 도시한 모듈 정보에 등록된 모듈 정보의 서브 모듈명에 관련되어 등록된다. 베리에이션 맵이란, 관련된 서브 모듈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타입(이하,CM타입이라 한다)과, 이 CM타입에 이용되는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CM타입 중에서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할 때에 필요한 설계 사양(입력 파라미터)이 등록된 맵이다. 여기서, CM타입이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조립예 데이터에 해당하고,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계 사양(예컨대, 재질이나 표면 처리, 설계 치수 등)이 다른 콤비네이션 모듈의 총칭이다. 또한, 입력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재질, 표면 처리, 및 필수 치수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 6은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는 베리에이션 맵의 등록 항목으로서 서브 모듈명과, CM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등록되는 CM타입명과, CM타입명에 등록된 CM타입에 이용되는 부품의 조합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는 구성 부품 데이터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설계 사양의 각종 데이터의 항목이 등록되는 입력 파라미터가 등록된다. 구성 부품 데이터의 등록 항목에는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의 구성 부품인 조정 나사의 형상이 등록되는 「조정 나사 타입」과, 스토퍼 블록의 형상이 등록되는 「스토퍼 블록 타입」이 등록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입력 파라미터로서 「조정 나사 지름,조정 나사 재질,…」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조정 나사의 재질, 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과, 스토퍼 블록의 재질, 표면 처리, 폭, 높이, 및 길이와, 가동물과의 간격과, 조정 나사 높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필수 치수 데이터는 가동물과의 간격, 조정 나사 높이, 및 조정 나사 사이즈(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이다.
CM정보에는 앞의 도 6에 도시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에 관련되어 해당 CM타입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정보가 등록된다. CM정보에는 콤비네이션 모듈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조립 치수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 7은 CM타입 「F004-AA」에 관련된 콤비네이션 모듈의 CM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는 CM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CM타입이 등록되는 CM타입명과, 이 CM타입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명(이하,CM명이라 한다)과, CM명에 등록된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이하,CM데이터)가 등록된다. CM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인 조정 나사 데이터 및 스토퍼 블록 데이터가 등록된다.
조정 나사 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간격, 조정폭, 및 길이가 등록된다. 형식에는 조정 나사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나사 눈금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나사 눈금의 종류가 등록된다. 나사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이 등록된다. 피치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피치가 등록된다. 간격에는 「스토퍼&블록」의 가동물과의 간격이 등록된다. 조정폭에는 조정 나사의 길이를 결정할 때의 조정폭이 등록된다. 길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길이가 등록된다.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및 조정 나사 높이가 등록된다. 형식에는 스토퍼 블록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나사 눈금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나사 눈금의 종류가 등록된다.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나사 지름이 등록된다. 피치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피치가 등록된다. 조정 나사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 높이가 등록된다.
도 7에 도시한 CM정보에 있어서는 조정 나사 데이터의 나사 눈금, 나사 지름,피치, 및 간격과,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조정 나사 높이가 필수 치수 데이터이다.
도 4로 되돌아가서, 부품 DB(22)에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되는 각종 베리에이션 맵의 구성 부품 데이터에 관련되어 각종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데이터가 등록된다. 부품 DB(22)에 등록되는 부품은 카탈로그에 기재되어 있는 부품 외에 아직 카탈로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부품(모두 카탈로그에 기재하는 부품)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을 표준 부품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도 8도 9는 부품 DB(22)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토퍼 블록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스토퍼 블록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스토퍼 블록 타입, 형식, 재질, 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폭, 조정 나사 장착 높이, 두께, 및 높이가 등록된다.
스토퍼 블록 타입에는 앞의 도 6에 도시한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스토퍼 블록 타입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스토퍼 블록 타입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 타입의 형상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재질이 등록된다. 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나사 눈금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나사 눈금의 종류가 등록된다. 나사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나사 지름이 등록된다. 피치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피치가 등록된다. 폭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폭이 등록된다. 조정 나사 장착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 높이가 등록된다. 두께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두께가 등록된다.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의 높이가 등록된다.
도 9는 「조정 나사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는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조정 나사 타입, 형식, 재질, 표면 처리, 경도,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길이, 너트 높이, 및 조임부 길이가 등록된다.
조정 나사 타입에는 앞의 도 6에 도시한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조정 나사 타입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조정 나사 타입에 등록된 조정 나사 타입의 부품 형상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재질이 등록된다. 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경도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경도가 등록된다. 나사 눈금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나사 눈금의 종류가 등록된다. 나사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이 등록된다. 피치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피치가 등록된다. 길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길이가 등록된다. 너트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너트의 높이가 등록된다. 조임부 길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조정 나사의 조임부의 길이가 등록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은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필요한 항목만을 들고 있고, 실제로는 카탈로그의 규격표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등록 항목이라 하여도 무방하다.
도 4로 되돌아가서, 도형 DB(23)에는 콤비네이션 모듈 및 부품의 CAD 데이터가 등록된다. 각각의 CAD 데이터는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콤비네이션 모듈명 및 부품의 형식에 관련되어 도형 DB(23)에 등록된다. 또한, CAD 데이터는 2차원 CAD의 CAD 데이터라도 무방하며, 3차원 CAD 데이터라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2차원 CAD 및 3차원 CAD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로부터 입력부(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정한다. 또한, 선정부(3)는 선정한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
선정부(3)는 검색부(31)와 구축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검색부(31)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로부터 입력부(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한다. 구축부(32)는 검색부(31)가 검색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 및 도형 DB(23)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
작성부(4)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와,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으로부터 CM정보를 작성하고, 작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한다.
작성부(4)는 구성 부품 선택부(41)와 치수 산출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구성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한다.
치수 산출부(42)는 구성 부품 선택부(41)에 의해서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해서 실현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한다.
표시부(5)는 액정 디스플레이, CRT(Cathode-Ray Tube),프린터 등으로 구성되며, 선정부(3)로부터의 표시 데이터(입력 파라미터의 입력 화면이나 검색 결과의 표시 등)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다.
다음으로, 이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동작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적합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여 표시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와, 관리자에 의해서 실행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CM정보 작성 및 작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가 있다.
우선,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이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다. 입력부(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검색 요구를 받으면, 선정부(3)는 사용자에게 모듈을 선택하게 하는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0).
구체적으로는 선정부(3)가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모듈 정보(도5 참조)의 모듈명을 모두 취득하고, 취득한 모듈명을 포함하는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선정부(3)는 생성한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통지한다. 표시부(5)는 통지된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1은 표시부(5)가 표시하는 모듈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모듈명과 이 모듈명에 속하는 서브 모듈의 도형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는 기억부(2)에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격납하여 두고,선정부(3)가 기억부(2)에 격납된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읽어서 표시부(5)에 통지하면 된다. 또한, 모듈 선택 화면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모듈명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모듈명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모듈명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모듈 「포지셔닝」이 입력된 것으로 한다.
선정부(3)는 입력부(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듈명에 속하는 서브 모듈을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1).
구체적으로는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모듈 정보(도5 참조)의 모듈명 중에서 입력된 모듈명과 일치하는 모듈명을 검색하고, 입력된 모듈명과 관련되어 모듈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서브 모듈명을 모두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모듈 「포지셔닝」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선정부(3)는 모듈 「포지셔닝」에 관련되어 모듈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서브 모듈명 「스토퍼&블록」,「인덱스 플런저 플레이트」, 「위치 결정 핀 모듈」,…을 취득한다. 선정부(3)는 취득한 서브 모듈명을 포함하는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선정부(3)는 생성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통지한다. 표시부(5)는 통지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2는 표시부(5)가 표시하는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는 서브 모듈명과 이 서브 모듈의 도형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억부(2)에 모듈명에 관련지어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격납시켜 놓고, 선정부(3)가 기억부(2)에 격납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중에서 입력된 모듈명에 관련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읽어서 표시부(5)에 통지하면 된다. 또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적어도 서브 모듈명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서브 모듈명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모듈명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이 입력된 것으로 한다.
선정부(3)는 입력부(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서브 모듈명에 속하는 CM타입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해 CM타입의 베리에이션을 표시하는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도 6 참조) 중에서 서브 모듈명에 등록된 서브 모듈명이 입력된 서브 모듈명과 일치하는 베리에이션 맵을 검색하고, 입력된 서브 모듈명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 및 구성 부품 데이터를 모두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이 선택되어 있으므로, 선정부(3)는 도 6에 도시한 서브 모듈명 「스토퍼&블록」에 관련된 CM타입 「F004-AA」, 「F004-AB」,「F004-AC」,…,와, 각각의 CM타입에 관련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조정 나사 타입 및 스토퍼 블록 타입을 취득한다.
선정부(3)는 취득한 콤비네이션 모듈 타입, 조정 나사 타입, 및 스토퍼 블록 타입을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선정부(3)는 생성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통지한다. 표시부(5)는 통지된 서브 모듈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3은 표시부(5)가 표시하는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는 조정 나사 타입, 스토퍼 블록 타입, 및 콤비네이션 타입의 도형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억부(2)에 서브 모듈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격납시켜 놓고, 선정부(3)가 기억부(2)에 격납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 중에서 입력된 서브 모듈명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읽어서 표시부(5)에 통지하면 된다. 또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CM타입과 해당 CM타입의 구성 부품의 타입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CM타입 중에서 원하는 조합의 CM타입을 선택하고, 선택한 CM타입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CM타입 「F004-AA」이 입력된 것으로 한다.
선정부(3)는 선택된 CM타입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검색에 필요한 파라미터(사용자의 설계 사양)를 사용자에게 입력시키기 위한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3).
구체적으로는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도 6 참조) 중에서 입력된 CM타입에 관련된 입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CM타입 「F004-AA」에 관련된 입력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정부(3)는 입력 파라미터로서 조정 나사의 재질, 표면 처리,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과, 스토퍼 블록의 재질, 표면 처리, 폭, 높이, 및 길이와, 가동물과의 간격과, 조정 나사 높이를 취득한다.
선정부(3)는 취득한 입력 파라미터의 각 항목을 사용자에게 입력시키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선정부(3)는 생성한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통지한다. 표시부(5)는 통지된 파라미터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도 14는 표시부(5)가 표시하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는 조정 나사의 재질, 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과, 스토퍼 블록의 재질, 표면 처리, 폭, 높이, 및 길이와, 가동물과의 간격과, 조정 나사 높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과 함께, 도형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지만, 파라미터 입력 화면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베리에이션 맵의 입력 파라미터에 등록된 항목이 입력 가능한 것이면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파라미터 입력 화면에 따라, 요구하는 설계 사양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또한, 선정부(3)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때 입력 데이터에 제한을 두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을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표준 부품)으로 하고, 이 표준 부품의 각종 치수에 상응한 값을 표시하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값 중에서 입력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즉, 입력부(1)는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선정부(3)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 중에서 입력된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4).
도 1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CM타입 「F004-AA」을 예로 들어, 선정부(3)의 검색부(31)가 실행하는 검색 처리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검색부(31)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 중에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에 의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CM타입에 대응되는 CM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201). 구체적으로는 입력된 CM타입을 검색 키로서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의 CM타입명을 검색하고, 검색 키와 CM타입명에 등록된 CM타입이 일치하는 CM정보를 취득한다.
검색부(31)는 취득한 CM정보 중에서 조정 나사 및 스토퍼 블록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202).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조정 나사의 재질 및 표면 처리와, 스토퍼 블록의 재질 및 표면 처리의 조를 검색 키로서 CM정보의 조정 나사 데이터의 재질·표면 처리 및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재질·표면 처리를 검색하고, 검색 키와 일치한 조정 나사 데이터의 재질·표면 처리 및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재질·표면 처리에 관련된 CM명을 모두 선택한다.
검색부(31)는 스텝 S202에 의해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이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203).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의 값의 조를 검색 키로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나타내는 CM명에 관련된 조정 나사 데이터의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을 검색하고, 검색 키와 일치한 조정 나사 데이터의 나사 지름,피치, 및 나사 눈금에 관련된 CM명을 모두 선택한다.
검색부(31)는 스텝 S203에 의해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조정 나사 높이가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204).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파라미터 중에서 조정 나사 높이의 값을 검색 키로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나타내는 CM명에 관련된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높이를 검색하고, 검색 키와 일치하는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높이에 관련된 CM명을 모두 선택한다.
검색부(31)는 스텝 S204에 의해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간격이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205).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입력 화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간격의 값을 검색 키로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나타내는 CM명에 관련된 조정 나사 데이터의 간격을 검색하고, 검색 키와 일치하는 조정 나사 데이터의 간격에 관련된 CM명을 모두 선택한다.
검색부(31)는 스텝 S205에 의해서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다른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스텝 S206). 구체적으로는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나타내는 CM명에 관련된 CM데이터를 취득한다. 검색부(31)는 취득한 CM데이터의 조정 나사 데이터 및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형식에 등록된 형식에 관련된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검색부(31)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계 사양 중 조정 나사의 재질, 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과, 스토퍼 블록의 재질, 표면 처리, 및 조정 나사 높이와, 가동물과의 간격 이외의 설계 사양(여기에서는 스토퍼 블록의 폭, 높이, 및 두께)이, 조정 나사의 부품 정보 및 스토퍼 블록의 부품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스토퍼 블록의 폭, 높이, 및 두께가 취득한 스토퍼 블록의 부품 정보(도 8참조)의 폭, 높이, 및 두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모든 조건이 일치한 조정 나사의 형식 및 스토퍼 블록의 형식이 등록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
즉, 검색부(31)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계 사양에 근거하여, 스텝 S202에 있어서, 재질 및 표면 처리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스텝 S203에 있어서, 재질 및 표면 처리에 의해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스텝 S204에 있어서, 조정 나사의 나사 지름, 피치, 및 나사 눈금에 의해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조정 나사 높이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스텝 S205에 있어서, 조정 나사 높이에 의해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간격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스텝 S206에 있어서, 간격에 의해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다른 요구를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하는 것으로,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CM정보를 좁혀 가고,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가지는 1개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 또한, 선택 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조건이 일치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 후,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CM명 및 이 CM명에 등록된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련된 CM데이터를 취득하고, CM명 및 취득한 CM데이터를 포함하는 선택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207). 검색부(31)는 생성한 선택 결과 정보를 구축부(32)에 통지하여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검색부(31)에 의한 검색 처리가 종료되어 선택 결과 정보를 받으면, 구축부(32)는 선택 결과 정보에 근거하여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5)에 검색 결과를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5).
구체적으로는 구축부(32)는 도형 DB(23) 중에서 선택 결과 정보에 포함되는 CM명에 관련된 CAD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구축부(32)는 CM데이터에 포함되는 구성 부품의 형식(여기에서는 조정 나사 및 스토퍼 블록의 형식)에 관련되어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구축부(32)는 CM명에 등록된 콤비네이션 모듈명, 이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형식, 취득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 CM데이터 및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치수를 포함한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축부(32)는 생성한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5)에 통지한다. 표시부(5)는 통지된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16은 표시부(5)가 표시하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계 사양의 값, 즉, 표시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의 값과, 3차원 CAD 데이터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도형과, CM명(형식)및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형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CAD 데이터의 다운 로드 버튼 등을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를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CAD 데이터의 요구를 입력하였을 경우, 이 입력을 받아, 구축부(32)는 도형 DB(23) 중에서 표시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CM명에 관련된 2차원 또는 3차원의 CAD 데이터를 취득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토퍼&블록」의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부품 정보 및 베리에이션 맵은 미리 부품DB(22) 및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관리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것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것으로 하고,관리자는 서브 모듈명 「스토퍼&블록」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서브 모듈명 「스토퍼&블록」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작성 지시를 받으면,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CM타입을 선택한다(스텝 S300). 구체적으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 중에서 서브 모듈명 「스토퍼&블록」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을 선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선택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명에 등록된 CM타입 중에서 미처리 CM타입을 선택하고, 선택한 CM타입을 처리 대상 CM타입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앞의 도 6에 도시한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CM타입 「F004-AA」을 처리 대상 CM타입으로서 선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301). 구체적으로는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스토퍼 블록 타입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 타입을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CM타입 「F004-AA」에 관련된 스토퍼 블록 타입 「자꾸리 구멍」을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스토퍼 블록 타입에 관련되어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앞의 도 8에 도시한 부품 정보에서는 형식 「STBS6-30」, 「STBN6-30」, …의 부품 정보가,스토퍼 블록 타입 「자꾸리 구멍」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형식 「STBS6-30」, 「STBN6-30」,…의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를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 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형식 「STBS6-30」의 부품 정보를 처리 대상 블록부품 정보로서 선택한 것으로 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스토퍼 블록에 적합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스텝 S302). 구체적으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조정 나사 타입을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CM타입 「F004-AA」에 관련된 조정 나사 타입 「조정 나사 스패너 홈」을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조정 나사 타입 「조정 나사 스패너 홈」에 관련되어 부품 DB(22)에 등록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중에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와 적합하고, 또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나사 눈금, 나사 지름, 및 피치와 일치하는 조정 나사의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 또한, 재질·표면 처리가 적합한지 여부는 양자의 재질·표면 처리가 일치해도 되고, 관리자가 미리 적합한 조합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두고, 이 조합을 만족하는 경우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형식 「STBS6-30」의 부품 정보를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재질·표면 처리 「SS40·3값 크로메이트」, 나사 눈금 「실눈」, 나사 지름「6」, 및 피치「0.75」와 적합한 「조정 나사 타입 스패너 홈」의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앞의 도 9에 도시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중에서 조정 나사 타입 「조정 나사 스패너 홈」에 관련된 형식 「ANS6-40」 및 「ANS6-45」의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의 하나를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로서 선택한다(스텝 S303). 여기에서는 형식 「ANS6-40」의 부품 정보가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로서 선택된 것으로 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치수 산출부(42)에 통지한다. 치수 산출부(42)는 통지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를 산출한다.
우선, 치수 산출부(42)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필요한 내부 설계 치수를 산출한다(스텝 S304). 앞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은 조정 나사(71)을 스토퍼 블록(72)에 설치된 조정 나사 장착공에 장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스토퍼&블록」의 내부 설계 치수는 조정 나사(71)을 스토퍼 블록(72)의 조정 나사 장착공(720)에 장착하여 너트로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정 나사(71)의 길이(내부 길이)가 된다. 치수 산출부(42)는 이 내부 길이를 산출한다.
여기서, 내부 길이를 Lu로 하고, 조정 나사의 조임부의 길이(조임부 길이)를 L1로 하고, 너트의 높이를 Tn로 하고, 스토퍼 블록의 두께를 Tb로 하면,내부 길이(Lu)는 아래의 수식 3에 의해서 구할 수가 있다.
Lu=L1+Tn+Tb …(수식 3)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에 등록된 치수와, 상기 수식 3을 이용하여 내부 길이(Lu)를 산출한다.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는 앞의 도 9에 도시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형식 「ANS6-40」의 부품 정보이며,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는 앞의 도 8에 도시한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 「STBS6-30」의 부품 정보이다. 치수 산출부(42)는 형식 「ANS6-40」에 관련된 조임부 길이 및 너트 높이의 값과, 형식 「STBS6-30」에 관련된 두께의 값을 상기(수식 3)에 대입하여 내부 길이(Lu)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치수 산출부(42)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산출한다(스텝 S305).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의 필수 치수 데이터는 간격(Lcb), 나사 사이즈(Mb), 및 조정 나사 높이(Hb)이다. 나사 사이즈(Mb) 및 조정 나사 높이(Hb)는 스토퍼 블록이 결정되면, 그 스토퍼 블록의 조정 나사 장착공의 사이즈(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및 조정 나사 장착 높이로 정해지고, 간격(Lcb)만이 조정 나사에 의해서 변화한다. 따라서,치수 산출부(42)는 간격(Lcb)을 산출한다.
우선, 치수 산출부(42)는 간격(Lcb)를 구하기 위하여, 조정 나사의 필요 길이(조정 나사 필요 길이)를 산출한다. 여기서, 조정 나사 필요 길이를 Lmin로 하고, 조정 나사의 조정폭을 Lab로 하면,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는 아래의(수식 4)에 의해서 구할 수가 있다.
Lmin=Lu+Lcb+Lab …(수식 4)
또한, Lu는 상기(수식 3)에 의해서 산출한 내부 길이이다.
치수 산출부(42)는 소정의 치수 범위 내에서 소정의 새김의 간격(Lcb)를 설정한다. 예컨대, 「5~30」의 치수 범위에서, 「1새김」이라고 하면, 간격(Lcb)은 「5」,「6」,「7」,…, 「29」,「30」이 된다.
조정폭(Lab)의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며, 기억부(2)에 기억시켜 놓아도 무방하며, 관리자가 콤비네이션 모듈의 작성을 수행할 때에 입력부(1)를 이용하여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조정폭(Lab)은 조정 나사 조임부와 너트와의 사이의 여유 부분의 폭이다. 조정폭(Lab)의 값은 간격(Lcb)에 의해 달라지며, 설계 경험으로부터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치수 산출부(42)는 예컨대, 간격(Lcb)이 「5~9」의 경우에는 조정폭(Lab)의 값에 「±2」을 설정하고, 간격(Lcb)이 「10~15」의 경우에는 조정폭(Lab)의 값에 「±3」을 설정하고, 간격(Lcb)이 「16~25」의 경우에는 조정폭(Lab)의 값에 「±4」을 설정하고, 간격(Lcb)이 「25이상」의 경우에는 조정폭(Lab)의 값에 「±5」를 설정한다.
치수 산출부(42)는 앞의 스텝 S304에 있어서 상기(수식3)에 의해서 산출한 내부 길이(Lu)를 이용하여 소정의 치수 범위 내에서 소정의 새김으로 설정한 간격(Lcb)마다의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를 상기(수식 4)에 의해서 산출한다. 치수 산출부(42)는 산출한 간격(Lcb)마다의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를 해당 간격(Lcb)에 관련지어 유지한다(스텝 S306).
치수 산출부(42)는 스텝 S302에 의해서 취득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스토퍼 블록에 적합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중에서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너트의 높이 및 조임부의 값이 일치하는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스텝 S307).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서 선택한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는 형식 「STBS6-30」의 부품 정보로 스토퍼 블록의 두께(Tb)는 고정이다. 따라서,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조임부 길이 및 너트 높이와 동일한 조정 나사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상기(수식 3)에 의해서 구해지는 내부 길이(Lu)는 모두 동일해진다. 즉,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블록 부품 정보가 나타내는 스토퍼 블록과의 적합 조건이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나사와 일치하고,또한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나사와 내부 길이(Lu)가 동일해지는 조정 나사의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 취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는 재질·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나사 눈금, 너트 높이, 및 조임부 길이가 같고, 길이만이 다른 것이 된다. 앞의 도 9에 도시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에 있어서는 형식 「ANS6-40」에 관련된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이므로, 이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나사 눈금,너트 높이, 및 조임부 길이와 재질·표면 처리, 나사 지름, 피치, 나사 눈금, 너트 높이, 및 조임부 길이가 같은 형식 「ANS6-45」에 관련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치수 산출부(42)는 취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중에서 간격에 대해 적절한 길이의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308). 구체적으로는 치수 산출부(42)는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길이(조정 나사의 길이)의 값이, 유지하고 있는 간격(Lcb)마다의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 이상이며,또한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에 가장 가까운 값의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간격에 대해 적절한 길이를 판정하여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식 「STBS6-30」의 스토퍼 블록의 두께는 「22」이며, 형식 「ANS6-40」 및 형식 「ANS6-45」의 조임부 길이 및 너트 높이는 「5」 및 「4」이다. 따라서, 상기(수식 3)으로부터, 내부 길이(Lu)는 「31」이 된다. 또한, 상기(수식 4) 으로부터, 간격(Lcb)이 「5」~「7」의 경우의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는 「38」~「40」이 되고, 간격(Lcb)이 「8」~「12」의 경우의 조정 나사 필요 길이(Lmin)는 「41」~「45」가 된다. 따라서, 치수 산출부(42)는 간격(Lcb)이 「5」~「7」의 경우에는 조정 나사의 길이가 「40」의 조정 나사(이 경우는 형식 「ANS6-40」의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간격(Lcb)이 「8」~「12」의 경우에는 조정 나사의 길이가 「45」의 조정 나사(이 경우는 형식 「ANS6-45」의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한다.
치수 산출부(42)는 간격(Lcb)마다 선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CM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한다(스텝 S309). 구체적으로는 앞의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모듈 「스토퍼&블록」의 CM정보의 등록 항목은 CM타입명, CM명, 및 CM데이터이다. 치수 산출부(42)는 CM타입명에 처리 대상 CM타입의 CM타입을 등록하고, CM명에 CM명을 등록한다. CM명은, 예컨대, CM타입에 일련 번호를 부가하거나, 유일 무이의 식별자를 부여하거나, 치수 산출부(42)가 자동 생성되면 된다.
또한, CM데이터의 등록 항목은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피치, 간격, 조정폭, 및 길이를 등록 항목으로 하는 조정 나사 데이터와,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지름, 피치, 및 높이를 등록 항목으로 하는 스토퍼 블록 데이터이다. 치수 산출부(42)는 선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및 길이를 조정 나사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및 길이에 등록하고, 이 조정 나사로 대응되는 간격의 값을 조정 나사 데이터의 간격에 등록하고, 간격에 의해서 설정되는 조정폭을 조정 나사 데이터의 조정폭에 등록한다. 또한,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및 조정 나사 장착 높이를 스토퍼 블록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나사 눈금, 나사 지름, 피치, 및 조정 나사 높이로 등록한다.
치수 산출부(42)가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한 후,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앞의 스텝 S302에 의해서 취득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스토퍼 블록에 적합한 조정 나사 부품정보)중에 미처리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0). 또한,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앞의 스텝 S307에 의해서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너트의 높이 및 조임부의 값이 일치하는 조정 나사 부품 정보로서 취득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는 처리 완료로 판정한다.
미처리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S310,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조정 나사 부품 정보의 하나를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를 산출하여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303~S310).
미처리 조정 나사 부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10,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 앞의 스텝 S300에 의해서 선택한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스토퍼 블록 타입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 타입에 관련된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 중에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1).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11,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스토퍼 블록에 적합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를 산출하고,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301~S311).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11,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입력된 서브 모듈명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 중에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2).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12,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CM타입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CM타입으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부품 DB(22)에 등록된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스토퍼 블록에 적합한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조정 나사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를 산출하고,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스토퍼 블록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300~S311).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12,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인 CM타입과, 이 CM타입에 관련지어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과, CM타입에 관련지어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인 CM정보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를 기억 수단에 격납하여 두고, 검색부(31)가, 입력된 CM타입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로부터 입력된 콤비네이션 모듈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고, 구축부(32)가, 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된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표시부(5)가, 구축부(32)가 구축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치수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결정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와, 이 필수 치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로 정해지는 내부 설계 치수와의 2종류의 성질을 가지는 치수가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조합 가능한 구성 부품의 내부 치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내부 치수와 해당 구성 부품의 치수로부터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한 CM정보와, 해당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를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CM타입에 관련지어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여 둔다. 즉, 미리 구성 부품을 선택하여 다양한 필수 치수 데이터에 대응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필수 치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필수 치수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준비하여 둔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만으로,사용자가 원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제공할 수가 있어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을 표준 부품으로 하고, 입력부(1)는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조건에 적합한 콤비네이션 모듈이 없다(해당 없음)고 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으므로, 입력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1회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서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에 적어도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부품 정보를 등록하는 부품 DB(22)를 더 격납시켜, 구성 부품 선택부(41)가, 부품 DB(22)에 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나타내는 구성 부품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가, 구성 부품 선택부(41)에 의해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하여 CM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CM타입, 구성 부품 데이터, 및 부품 DB(22)를 등록하는 것만으로,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조합을 생각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이 추가된 경우에도, 부품 DB(22)에 추가된 부품을 추가 등록하는 것만으로, 해당 부품을 구성 부품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단시간에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축부(32)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형식 번호)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인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5)가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축부(32)는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때 도형 DB(23)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고, 표시부(5)가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취득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마다의 CAD 데이터를 취득하여 조립도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 설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앞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예로 들어,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가 취급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은 「스토퍼&블록」만이 아니다. 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이 다르면, 구성 부품이 달라지며, 필수 치수 데이터나 내부 설계 치수도 다르다. 이를 위해,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 및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도 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마다 별개의 것이 된다. 이 제2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 및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8~도 21을 이용하여, 이 제2실시 형태로 취급하는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 스탠드」는 도 18에 도시하는 지주(81)와, 도 19에 도시하는 지주 클램프(82)와, 도 20에 도시하는 지주 스탠드(83)를 구성 부품으로서 구성된다.
도 21은 「센서 스탠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센서 스탠드」는 앞의 도 20에 도시한 지주 스탠드 (83)에 설치된 지주 장착공에, 앞의 도 18에 도시한 지주(81)가 조립됨과 동시에, 지주(81)에 앞의 도 19에 도시한 지주 클램프(82)가 조립되고, 센서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센서 스탠드」의 필수 치수 데이터는 지주(81)의 지주 길이(Ls), 지주(81)의 지주 지름(d), 및 센서 스탠드의 설치면으로부터 센서까지의 높이(센서 높이)(Hs)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구성은 앞의 제1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와 동일하고,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 및 CM정보와, 부품 DB(22)에 등록되는 부품 정보와, 선정부(3) 및 작성부(4)의 처리가 다르다.
도 22는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에서는 베리에이션 맵의 등록 항목으로서 앞의 도 6에 도시한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과 동일하게, 서브 모듈명과, CM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등록되는 CM타입명과, CM타입에 이용되는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설계 사양의 각종 데이터의 항목이 등록되는 입력 파라미터가 등록되지만, 서브 모듈 「스토퍼&블록」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과는 구성 부품 데이터의 등록 항목이 다르다.
도 22에 있어서는 구성 부품 데이터의 등록 항목에는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의 구성 부품인 지주의 형상이 등록되는 「지주 타입」과, 지주 클램프의 특징이 등록되는 「지주 클램프 타입」과, 지주 스탠드의 형상이 등록되는 「지주 스탠드 타입」이 등록된다. 즉, 서브 모듈마다 구성 부품이 다르기 때문에, 베리에이션 맵의 구성 부품 데이터에는 해당 서브 모듈의 구성 부품마다의 형상이나 특징을 등록하는 등록 항목이 등록된다.
도 23은 앞의 도 22에 도시한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의 콤비네이션 모듈 타입 「F006-AA」에 관련된 CM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는 CM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CM타입이 등록되는 CM타입명과, 이 CM타입에 속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등록되는 CM명과, CM명에 등록된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는 CM데이터가 등록된다. CM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인 지주 데이터, 지주 클램프 데이터, 지주 스탠드 데이터, 및 센서 높이가 등록된다.
지주 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형식, 재질·표면 처리, 길이, 및 지름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지주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길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지주의 길이가 등록된다.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지주의 축 지름이 등록된다.
지주 클램프 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형식과, 재질·표면 처리와, 지름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 클램프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지주 클램프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지름에는 지주 클램프를 지주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의 지름이 등록된다.
지주 스탠드 데이터의 등록 항목으로서는 형식과, 재질·표면 처리와, 지름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 스탠드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지주 스탠드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지름에는 지주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의 지름이 등록된다.
센서 위치에는 지주 정보, 지주 클램프 정보, 및 지주 스탠드 정보의 형식에 등록된 부품을 조합한 센서 스탠드의 센서의 높이(센서 위치)가 등록된다. 도 23에 도시한 CM정보에 있어서는 지주 데이터의 길이, 지주 데이터의 지름, 및 센서 높이가 필수 치수 데이터이다.
도 24~도 26은 「센서 스탠드」의 구성 부품의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지주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는 「지주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형식, 재질, 표면 처리, 길이, 및 축 지름이 등록된다.
지주 타입에는 앞의 도 22에 도시한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타입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 타입에 등록된 지주 타입의 형상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재질이 등록된다. 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길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길이가 등록된다. 축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축 지름이 등록된다.
도 25는 「지주 클램프」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는 「지주 클램프 타입」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형식, 재질, 표면 처리, 장착공 지름, 및 높이가 등록된다.
지주 클램프 타입에는 앞의 도 22에 도시한 「센서 스탠드」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클램프 타입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 클램프 타입에 등록된 지주 클램프 타입의 형상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재질이 등록된다. 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장착공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장착공의 지름이 등록된다.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높이가 등록된다.
도 26은 「지주 스탠드」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는 「지주 스탠드」에 관련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으로서 형식, 재질, 표면 처리, 축 지름, 및 높이가 등록된다.
지주 스탠드 타입에는 앞의 도 22에 도시한 「센서 스탠드」의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스탠드 타입이 등록된다. 형식에는 지주 스탠드 타입에 등록된 지주 스탠드 타입의 형상의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형식)가 등록된다. 재질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재질이 등록된다. 표면 처리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표면 처리가 등록된다. 축 지름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장착공의 지름이 등록된다. 높이에는 형식에 등록된 부품의 높이가 등록된다.
또한, 도 24~도 26에 도시한 부품 정보의 등록 항목은 제2 실시 형태의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필요한 항목만을 들고 있고, 실제로는 카탈로그의 규격표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등록 항목이라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는 앞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토퍼&블록」의 콤비네이션 모듈 선정 처리와 동일하다. 상이점은 스텝 S104의 검색 처리뿐이므로, 여기에서는 도 2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검색 처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앞의 도 1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토퍼&블록」의 검색처리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검색부(31)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 중에서 베리에이션 선택 화면에 의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CM타입에 대응되는 CM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401). 취득한 CM정보 중에서 지주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402).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지주의 재질 및 표면 처리가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모두 선택한다(스텝 S203).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지주의 길이가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스텝 S403).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지주의 지름이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스텝 S404).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센서 높이가 입력 조건을 충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스텝 S405).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 중에서 다른 입력 조건과 일치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다(스텝 S406).
모든 조건이 일치한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택한 후, 검색부(31)는 선택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CM명 및 이 CM명에 등록된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련된 CM데이터를 취득하고, CM명 및 취득한 CM데이터를 포함하는 선택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407). 검색부(31)는 생성한 선택 결과 정보를 구축부(32)에 통지하여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2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것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모듈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것으로 하고, 관리자는 서브 모듈명 「센서 스탠드」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서브 모듈명 「센서 스탠드」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작성 지시를 받으면,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CM타입을 선택한다(스텝 S500). 구체적으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 중에서 서브 모듈명 「센서 스탠드」에 관련된 베리에이션 맵을 선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선택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에 등록된 CM타입 중에서 미처리 CM타입을 선택하고, 선택한 CM타입을 처리 대상 CM타입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앞의 도 22에 도시한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CM타입 「F006-AA」을 처리 대상 CM타입으로서 선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를 선택한다(스텝 S501). 구체적으로는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타입에 등록된 지주 타입을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CM타입 「F006-AA」에 관련된 지주 타입 「막대 모양 타입」을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지주 타입에 관련되어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앞의 도 24에 도시한 부품 정보에는 형식 「GSTMN10」,「MSTNM10」,…의 부품 정보가 지주 타입 「막대 모양 타입」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형식 「GSTMN10」,「MSTNM10」,…의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를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 한다. 여기에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형식 「GSTMN10」의 부품 정보를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로서 선택한 것으로 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지주에 적합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스텝 S502). 구체적으로는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클램프 타입을 취득하고, 취득한 지주 클램프 타입에 관련지어 부품 DB(22)에 등록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와, 취득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가 적합하고, 또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축 지름과, 취득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의 장착공 지름이 일치하는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 또한, 재질·표면 처리가 적합한지 양자의 재질·표면 처리가 일치해도 되고, 관리자가 미리 적합한 조합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두고, 이 조합을 만족하는 경우여도 무방하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의 하나를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로서 선택한다(스텝 S503).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지주에 적합한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스텝 S504). 구체적으로는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스탠드 타입을 취득하고, 취득한 지주 스탠드 타입에 관련지어 부품 DB(22)에 등록된 지주 스탠드의 부품 정보를 취득한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와, 취득한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의 재질·표면 처리가 적합하고,또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축 지름과, 취득한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의 축 지름이 일치하는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한다. 또한, 재질·표면 처리가 적합한지 양자의 재질·표면 처리가 일치해도 되고, 관리자가 미리 적합한 조합을 입력부(1)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두고, 이 조합을 만족하는 경우여도 무방하다.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취득한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 중에서 미처리 부품 정보의 하나를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로서 선택한다(스텝 S505).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치수 산출부(42)에 통지한다. 치수 산출부(42)는 통지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를 산출한다.
치수 산출부(42)는 센서 높이를 설정한다(스텝 S506). 앞의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는 지주 스탠드 (83)의 지주 설치공에 지주(81)가 설치되고, 지주(81)에 지주 클램프(8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지주 클램프는 지주의 길이의 범위 내에 소정 새김으로 설치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출하시의 지주 클램프(82)의 설치 위치를 센서 높이(Hs)로 하고, 1[mm]단위로 설정 가능하게 한다. 지주 스탠드의 높이를 Hbs로 하고, 지주클램프의 높이를 Hks로 하면, 센서 높이의 최소치 Hs(min)는 「(Hb)s+Hks」가 되고, 센서 높이(Hs)의 최대치 Hs(max)는 「Ls」가 된다. 따라서, 센서 높이(Hs)의 설정 범위는 「(Hb)s≤Hs≤Ls」가 된다.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길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의 높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의 높이로부터 센서 높이의 최소치 Hs(min)와, 센서 높이의 최대치 Hs(max)를 구하고, 센서 높이(Hs)의 설정 범위를 구한다.
치수 산출부(42)는 구한 센서 높이(Hs)의 설정 범위와,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CM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한다(스텝 S507). 구체적으로는 앞의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모듈 「센서 스탠드」의 CM정보의 등록 항목은 CM타입, CM명, 및 CM데이터이다. 치수 산출부(42)는 CM타입에 처리 대상 CM타입의 CM타입을 등록하고, CM명에 CM명을 등록한다. CM명은 예컨대, CM타입에 일련 번호를 부가하거나, 유일무이의 식별자를 부여하거나, 치수 산출부(42)가 자동 생성되면 된다.
또한, CM데이터의 등록 항목은 형식, 재료·표면 처리, 길이, 및 지름을 등록 항목으로 하는 지주 데이터와,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지름을 등록 항목으로 하는 지주 클램프 데이터와,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지름을 등록 항목으로 하는 지주 스탠드 데이터와, 센서 높이이다.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길이 및 축 지름을 지주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길이, 및 지름에 등록하고, 처리 대상 클램프 부품 정보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장착공 지름을 지주 클램프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지름에 등록하고, 처리 대상 스탠드 부품 정보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축 지름을 지주 스탠드 데이터의 형식, 재질·표면 처리, 및 지름에 등록하고, 센서 높이에 스텝 S506에서 구한 센서 높이(Hs)의 설정 범위를 등록한다.
치수 산출부(42)가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한 후, 구성부품 선택부(41)는 앞의 스텝 S504에 의해서 취득한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 중에 미처리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8).
미처리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08,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여기에서는 센서 높이의 설정범위)를 구하여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505~S508).
미처리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08,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스텝 S502에 의해서 취득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중에 미처리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9).
미처리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09,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지주에 적합한 지주 스탠드의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여기에서는 센서 높이의 설정 범위)를 구하여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503~S509).
미처리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09,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부품 DB(22)에 등록된 부품 정보 중에 앞의 스텝 S500에 의해서 선택한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베리에이션 맵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의 지주 타입에 등록된 지주 타입에 관련된 지주 부품 정보 중에 미처리 지주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0).
미처리 지주 부품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10,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지주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지주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지주에 적합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지주에 적합한 지주 스탠드의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여기에서는 센서 높이의 설정 범위)를 구하여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지주 부품 정보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501~S510).
미처리 지주 부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10,No),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입력된 서브 모듈명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베리에이션 맵의 CM타입 중에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1).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11,Yes),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미처리 콤비네이션 타입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CM타입으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CM타입에 관련지어 부품 DB(22)에 등록된 지주 부품 정보의 하나를 새로운 처리 대상 블록 부품 정보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형식이 나타내는 지주에 적합한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의 지주에 적합한 지주 스탠드의 부품 정보를 모두 취득하여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를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는 처리 대상 지주 부품 정보, 처리 대상 지주 클램프 부품 정보, 및 처리 대상 지주 스탠드 부품 정보에 근거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의 각 치수(여기에서는 센서 높이의 설정 범위)를 구하여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는 처리를 미처리 CM타입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500~S511).
미처리 CM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11,No), 구성 부품 선택부(41)는 콤비네이션 모듈 작성·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인 CM타입과, 이 CM타입에 관련지어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등록되는 베리에이션 맵과, CM타입에 관련지어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인 CM정보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DB(21)를 기억 수단에 격납하여 두고, 검색부(31)가, 입력된 CM타입에 관련되어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CM정보로부터 입력된 콤비네이션 모듈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고, 구축부(32)가, 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된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표시부(5)가, 구축부(32)가 구축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로서 설계상 최소한 필요한 필수 치수 데이터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제공할 수가 있어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콤비네이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을 표준부품으로 하고, 입력부(1)는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1회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서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에 적어도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부품 정보를 등록하는 부품 DB(22)를 더 격납시켜, 구성 부품 선택부(41)가, 부품 DB(22)에 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나타내는 구성 부품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하고, 치수 산출부(42)가, 구성 부품 선택부(41)에 의해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하여 CM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CM정보를 콤비네이션 모듈 DB(21)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CM타입, 구성 부품 데이터, 및 부품 DB(22)를 등록하는 것만으로,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조합을 생각하여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이 추가된 경우에도, 부품 DB(22)에 추가된 부품을 추가 등록하는 것만으로, 해당 부품을 구성 부품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단시간에 콤비네이션 모듈을 작성할 수가 있다.
또한,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축부(32)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형식 번호)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인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5)가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축부(32)는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데이터를 생성할 때 도형 DB(23)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고, 표시부(5)가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취득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마다의 CAD 데이터를 취득하여 조립도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 설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앞의 제1 실시 형태로 예로 든 「스토퍼&블록」과 제2 실시 형태로 예로 든 「센서 스탠드」에서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작성) 순서가 다르다. 즉,콤비네이션 모듈의 기능이 다르면, 그 필수 치수 데이터나 필수 치수 데이터의 산출 방법이 다르고, 치수 산출부(42)가 실현하는 기능은 서브 모듈에 의해서 크게 달라진다. 또한, 동일 서브 모듈에 속하는 CM타입이어도, 그 CM타입에 의해서 구성하는 부품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필수 치수 데이터의 산출 방법은 다르다.
종래는 필수 치수 데이터를 만족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는 설계자가 각각의 경험으로부터 독자적인 설계 순서로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치수 산출부(42)의 기능을 실현할 때에는 설계자의 설계 순서를 공표 받아서, CM타입마다 그 설계순서를 표준화하게 된다. 즉, 다양한 설계자의 설계 순서로부터 표준 설계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한 표준 순서에 따라 치수 산출부(42)의 기능을 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은 설계 경험이 적은 설계자에게 있어서는 설계를 학습할 기회가 되고, 설계자의 기술을 향상할 수도 있다.
또한, 앞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부(1) 및 표시부(5)를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 내에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에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장치와 접속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단말장치가 입력부(1) 및 표시부(5)로서 동작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를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 내에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콤비네이션 모듈 제공 장치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의 기억장치라도 무방하다.
1…입력부,2…기억부,3…선정부,4…작성부,5…표시부,21…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22…부품 데이터 베이스,23…도형 데이터 베이스,31…검색부,32…구축부,41…구성 부품 선택부,42…치수 산출부.

Claims (5)

  1.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모듈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수단과,
    복수의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예에 관한 조립예 데이터와, 상기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지어 상기 조립예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조합에 관한 구성 부품 데이터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가 등록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를 격납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을 선정하는 선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 치수 데이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설계 사양을 충족하는 필수 치수 데이터와, 상기 필수 치수 데이터 이외의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의 치수인 미리 정해진 내부 설계 치수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에게 하나의 상기 조립예 데이터를 입력시킴과 동시에,상기 조립 치수 데이터 중 상기 필수 치수 데이터만을 입력시키고,
    상기 선정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립예 데이터에 관련되어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조립 치수 데이터 중에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가지는 하나의 콤비네이션 모듈을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색 수단이 검색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표준 부품이며,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표준 부품에 적합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부품의 치수 및 재질에 관한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품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로부터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의 조립치수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를 격납하고,
    상기 작성 수단은 상기 부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구성 부품 데이터가 나타내는 구성 부품의 조합 조건을 충족하는 부품을 선택하는 구성 부품 선택 수단과, 상기 구성 부품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선택된 부품에 의한 콤비네이션 모듈의 필수 치수 데이터를 산출하는 치수 산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산출한 필수 치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수를 콤비네이션 모듈의 조립 치수 데이터로서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성 수단은 적어도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콤비네이션 모듈의 구성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가 등록되는 도형 데이터 베이스를 더 격납하고,
    상기 작성 수단은 상기 콤비네이션 모듈의 데이터를 구축할 때 상기 도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콤비네이션 모듈의 CAD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KR1020117006137A 2009-03-16 2010-03-15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KR101045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62638A JP4571998B2 (ja) 2009-03-16 2009-03-16 コンビネーションモジュール提供装置
JPJP-P-2009-062638 200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789A true KR20110044789A (ko) 2011-04-29
KR101045193B1 KR101045193B1 (ko) 2011-06-30

Family

ID=4273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137A KR101045193B1 (ko) 2009-03-16 2010-03-15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67372A1 (ko)
JP (1) JP4571998B2 (ko)
KR (1) KR101045193B1 (ko)
CN (1) CN102160056A (ko)
CA (1) CA2733961C (ko)
DE (1) DE112010000013T5 (ko)
WO (1) WO2010107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1991B1 (ja) * 2013-09-20 2014-09-17 株式会社ミスミ 設計情報提供装置
US9935964B2 (en) 2014-10-08 2018-04-03 Oracle Financial Services Software Limited Access control for objects having attributes defined against hierarchically organized domains containing fixed number of values
JP6545471B2 (ja) * 2015-01-26 2019-07-17 東色ピグメント株式会社 商品の組み合わせを検索す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G11201811191VA (en) 2016-06-17 2019-01-30 Misumi Corp Design support system
US11301595B2 (en) * 2016-09-29 2022-04-12 Autodesk, Inc. Knowledge-based alternative design recommendations
TWI758998B (zh) * 2020-12-07 2022-03-21 國立清華大學 基於擴增實境介面的智能化軸連結器辨識方法
JP2023094293A (ja) * 2021-12-23 2023-07-05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846B2 (ja) * 1993-12-28 2002-04-08 富士通株式会社 三次元モデル作成装置及び方法
JPH08161386A (ja) * 1994-11-30 1996-06-21 Hitachi Ltd 組立構成品の仕様変更システム
JPH09179892A (ja) 1995-12-21 1997-07-11 Hitachi Ltd 設計方法及び設計支援装置
JPH1011488A (ja) * 1996-06-25 1998-01-16 Sekisui Chem Co Ltd 組立部品の部品展開システム
JP3199029B2 (ja) * 1998-06-09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製造情報を持つ形状情報作成方法とシステム
JP2002063432A (ja) * 2000-08-23 2002-02-28 Art Taiyo:Kk 看板業商品管理システム及び看板業商品管理支援システム
CN1670874A (zh) * 2004-03-16 2005-09-21 沈阳变压器研究所有限公司 变压器三维设计系统
CN100424708C (zh) * 2005-03-24 2008-10-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具累积模块化设计经验的系统及其方法
US7877239B2 (en) * 2005-04-08 2011-01-25 Caterpillar Inc Symmetric random scatter process for probabilistic modeling system for product design
EP1881384A1 (en) * 2006-07-21 2008-01-23 Dassault Systèmes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defining an input product
CN100474318C (zh) * 2007-01-31 2009-04-01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生成设计bom的系统
EP3486810B1 (de) * 2007-02-07 2020-09-30 Sew-Eurodrive GmbH & Co. K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konstruktionszeichn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rzeugnisses und verwendung des verfahrens, rechnersystem und verwendung von graphen
JP2009062638A (ja) 2007-09-05 2009-03-26 Iwao Matsuzaki 発熱体付き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0056A (zh) 2011-08-17
JP4571998B2 (ja) 2010-10-27
CA2733961A1 (en) 2011-05-24
KR101045193B1 (ko) 2011-06-30
CA2733961C (en) 2012-08-14
WO2010107001A1 (ja) 2010-09-23
DE112010000013T5 (de) 2012-06-28
JP2010218093A (ja) 2010-09-30
US20110167372A1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93B1 (ko) 콤비네이션 모듈 데이터 제공 장치
CN105786886B (zh) 车辆维修目录系统
US8872847B2 (en)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representing time-dependent imagery
US7469378B2 (en) Layout system, layout program, and layout method
EP1887513A2 (en) Digital watermarking for geospatial images
KR101507393B1 (ko)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Tourancheau et al. Impact of subjective dataset on the performance of image quality metrics
JP2004206669A (ja) 少数の地上基準点を用いたikonosrpcデータ更新方法
CN112287057A (zh) 基于bim和gis的工程项目信息的查询处理方法和系统
CN109542951A (zh) 一种遥感大数据的时空代表性评估系统与方法
JP5634374B2 (ja) 仕様作成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22497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並びに外観検査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6350718A (ja) 設計支援装置
Erdogan et al. The georeferencing of RASAT satellite imagery and some practical approaches to increase the georeferencing accuracy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940804B1 (ko) 수치지도 기반이 되는 정밀 영상도화를 위한 위치별 객체 삽입시스템
Baumann Standardizing big earth datacubes
Tody et al. IVOA Recommendation: Simple Image Access Specification Version 1.0
Walker Analogue, analytical and 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s: Practical investigations of peformance
JP200618502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319016A (ja) 画像の位置ずれ補正方法、画像の位置ずれ補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画像の位置ずれ補正プログラム、及び画像の位置ずれ補正装置
US202203983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al component, enabling at least one acceptance criterion to be displayed as a function of a target point on the component
JP2004234078A (ja) 情報検索装置
Unruh et al. Mensuration tests using digital images
Doulamis et al. An efficient framework for spatiotemporal 4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real prope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