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487A -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 Google Patents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487A
KR20110043487A KR1020100102159A KR20100102159A KR20110043487A KR 20110043487 A KR20110043487 A KR 20110043487A KR 1020100102159 A KR1020100102159 A KR 1020100102159A KR 20100102159 A KR20100102159 A KR 20100102159A KR 20110043487 A KR20110043487 A KR 2011004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gas cartridge
sensor member
notch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220B1 (ko
Inventor
다케시 사사지마
미치히로 이이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5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medium-size and small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19Shape cylindrical with flat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7Orientation with sloping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8Size portable (<30 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11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17C2205/0146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with details of th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5Bosses, e.g. boss co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7Generating electrical power as sid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36Capsules,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 Y10T29/4978Assisting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container and flui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uel Cell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칼라 유지부(55)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P7) 사이에서 피벗 운동하도록 장착된 센서 부재(102)와, 센서 부재가 잠금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센서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센서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센서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스토퍼(34)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부재는, 가스 카트리지(21)가 부적절한 방향으로 세트되어 있을 때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가스 카트리지가 적절한 방향으로 세트되어 있을 때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GAS CARTRIDGE LOADING MECHANISM}
본 발명은, 가스 카트리지를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를 칼라 유지부에 장전하거나 부착하기 위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스 엔진 및 가스 버너 등과 같은 가스 연소 장치는, 가스 카트리지를 장전하기 위해 가스 연소 장치의 본체의 장전부에 마련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포함한다.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카트리지 수용부에 마련된 칼라 리테이너와, 이 칼라 리테이너에 마련된 위치 설정 레버를 구비하고, 이 위치 설정 레버는, 가스 카트리지가 칼라 리테이너에 대해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장전될 수 있도록,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와 위치 설정 레버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렬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는 노치를 구비하고, 이 노치는 가스 연소 장치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카트리지를 제대로 장전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위치 설정 레버에 대하여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스 카트리지를 가스 연소 장치에 장전할 때, 가스 카트리지를 우선 가스 연소 장치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놓는다. 이 예에서,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는 칼라 리테이너에 마련된 위치 설정 레버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그 후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칼라 노치를 위치 설정 레버와 정렬시키고, 칼라 노치와 위치 설정 레버를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가 칼라 리테이너에 의해 유지될 때까지, 가스 카트리지를 칼라 리테이너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세트 레버를 조작한다. 이렇게 하여, 가스 카트리지가 가스 연소 장치에 장전된다.
이러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일례가 1996년 9월 27일자로 공개된 JP 08-247467A에 대응하는 일본 특허 제27056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가스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수용부에 세트할 때에,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가 위치 설정 레버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위치 설정 레버는 카트리지 수용부 내측에 배치되므로, 가스 연소 장치의 외측에서 보기가 쉽지 않다.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칼라 노치를 위치 설정 레버에 대해 정렬하기 위해 사용자가 실시하는 시각적 정렬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비교적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쉽고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를 정렬할 수 있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걸리는 수동 관찰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가스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로 배향시킬 수 있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카트리지를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를 칼라 유지부에 부착하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가 제공되며, 이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칼라 유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가스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센서 부재; 및 센서 부재가 잠금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센서 부재가 칼라 유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스토퍼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센서 부재가 칼라 유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스토퍼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센서 부재는, 연결 칼라의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의 압박을 받으면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의 칼라 노치와 맞물려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 카트리지가 세팅 위치에서 적절히 배향되었을 때, 센서 부재는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와 맞물리고, 스토퍼의 방해를 받는 일 없이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잠금 해제 위치에 남아 있거나 유지되는 것이 허용되어, 가스 카트리지는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스 카트리지의 이동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는 칼라 유지부에 장전된다.
센서 부재와 칼라 노치 간의 끼워 맞춤을 통해, 사용자는 가스 카트리지가 적절히 배향되었는가를 시각적 관찰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칼라 노치는 센서 부재와 맞물려 있는 한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채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가 칼라 유지부에 높은 정확도로 원활하게 장전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혹은, 가스 카트리지가 세팅 위치에서 부적절하게 배향되었을 때, 센서 부재가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스토퍼가 막는 잠금 위치로 센서 부재가 이동하도록 강제되어, 가스 카트리지는 칼라 유지부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가 부적절하게 배향되어 있는 한,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유지부에 대한 장전은 이루어질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부재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의 칼라 노치에 끼워 맞춰지고,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와 맞물려 연결 칼라의 압박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설정 돌기와, 연결 칼라의 칼라 노치가 센서 부재의 위치 설정 돌기와 맞물려 있을 때 잠금 해제 위치를 취하고, 위치 설정 돌기가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의 압박을 받을 때 잠금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위치 설정 돌기 및 스토퍼부를 구비한 센서 부재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되어,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크기 및 비용 축소에 기여한다.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칼라 유지부에 배치되고 연결 칼라가 칼라 유지부에 부착되었을 때 가스 카트리지가 가스 카트리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 칼라의 칼라 노치에 수용될 수 있는 회전 방지 프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방지 프롱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는 칼라 유지부에 부착된 채로 적정 배향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부재의 위치 설정 돌기는, 연결 칼라가 칼라 유지부에 부착되었을 때 회전 방지 프롱을 그 안에 수용하는 맞물림 홈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의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사용하기 쉽고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를 정렬할 수 있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걸리는 수동 관찰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가스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로 배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가 내장된 가스 엔진 구동형 이동식 발전기를 도시의 명료화를 위해 일부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2개의 가스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스 카트리지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작 레버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도시의 명료화를 위해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조작 레버가 장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도 5와 유사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센서 수단 또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센서 조립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센서 조립체와 회전 방지 프롱을 조합해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센서 조립체가 전방으로 이동한 이후의 상태에서 도 9와 유사하게 센서 조립체와 회전 방지 프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화살표 11b의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다.
도 12a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상황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화살표 12b의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다.
도 13a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화살표 13b의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다.
도 14a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나타나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초기 조작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센서 부재의 위치 설정 돌기가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의 센서 부재를 보여주는 단부도이다.
도 15a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조작 레버가 해제 위치로부터 중간 장전 위치를 향해 이동하려고 하는 방식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b는 조작 레버가 중간 장전 위치에 도달해 있는 상태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도 15a와 유사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a는 조작 레버를 장전 위치에 이르기까지 더 변위시킨 때에, 센서 부재의 위치 설정 돌기와 함께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 방지 프롱을 보여주는 단부도이다.
도 16b는 조작 레버가 장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7a는 가스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에 단독으로 수용되어 있는 회전 방지 프롱을 보여주는 단부도이다.
도 17b는 가스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세팅 위치에 배치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초기 조작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을 때, 가스 카트리지의 연결 칼라로부터 가해지는 하향 압박의 영향으로 위치 설정 돌기가 하강하기 시작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단부도이다.
도 19는 가스 카트리지의 칼라 노치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동안, 잠금 위치에 배치된 센서 부재로 인해 가스 카트리지가 세팅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가 내장된 가스 엔진 구동형 이동식 발전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발전기(10)는, 정육면체 박스 모양의 컨테이너 혹은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바닥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우의 캐리어 휠(14)(좌측 캐리어 휠 만이 도시됨)과, 케이스(11)의 바닥부(12)에 마련된 좌우의 레그(16, 16)와, 케이스(11)에 설치된 통합형의 엔진/발전부 유닛(18), 그리고 엔진/발전부 유닛(18)의 위에 배치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좌우의 캐리어 휠(14)은 케이스(11)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고 좌우의 레그(16)는 케이스(11)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므로, 이동식 발전기(10)는 자체 지지 구조를 갖고, 평상시에 도 1에 도시된 직립 작동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식 발전기(10)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의 위치를 예시하기 위해 상측 커버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케이스(11)의 상측 장착부(13)에 수용되고 엔진/발전부 유닛(18)의 위에 배치된다.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이동식 발전기(10)의 장전부에 대하여 2개의 카트리지(21)를 한꺼번에 장전이나 장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발전부 유닛(18)은 케이스(11)의 바닥벽에 배치되며, 엔진(25)과 엔진(25)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부(26)를 포함한다. 엔진(25)과 발전부(26)는 단일 유닛으로 통합 또는 결합되어 있다. 엔진(25)은 가스 카트리지(2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가스로 구동 가능한 가스 엔진이다. 엔진(25)이 발전부(26)를 구동시키는 동안에, 발전부(26)의 로터가 스테이터 둘레로 계속 회전함으로써, 엔진/발전부 유닛(18)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로 하여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케이스(11)의 상측 장착부(13)에 수용되는 베이스(31)와, 베이스(31)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더(32)와, 슬라이더(32)에 마련된 조작 기구(33), 그리고 슬라이더(32)가 한 방향(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베이스(31)의 아래에 배치된 한 쌍의 스토퍼(34)(도 5와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조작 기구(33)의 조작 레버(83)를 해제 위치(P3)(도 5 참조)로부터 장전 위치(P4)(도 6 참조)까지 피벗 운동시킴에 따라 슬라이더(32)가 베이스(31)에 대해 미끄럼 운동할 때, 베이스(31) 상의 소정의 초기 세팅 위치(P1)(도 5 참조)에 놓인 가스 카트리지(21, 21)가 세팅 위치(P1)로부터 장착 위치(P2)(도 6 참조)까지 이동 혹은 변위되고, 결국에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의 한 쌍의 칼라 유지부(55)에 의해 장착 위치(P2)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는 케이스(11)의 상측 장착부(13)에 장착되는 베이스 본체(36)와, 베이스 본체(36)의 부착 단부(전방 단부)(36a) 상에 배치되는 카트리지 유지부(37)를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3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부착 단부(전방 단부)(36a), 삽입 단부(후방 단부)(36b) 및 좌우 측부(36c 및 36d)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1)와,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융기한 역 U자 형상의 슬라이더 가이드부(4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1)의 부착 단부(전방 단부)(36a)와 삽입 단부(후방 단부)(36b)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가이드 채널(44)이 형성되어 있다.
역 U자 형상의 슬라이더 가이드부(42)는, 가이드 채널(44)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46)과, 측벽(46)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벽(47)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42)는, 슬라이더(32)를 그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측벽(46)과 상벽(47)의 사이에 측벽(46)과 상벽(47)에 이해 형성되는 가이드 홈(48)을 구비한다. 각 측벽(46)은 지지 구멍(51)과, 가이드 홈(48)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술하는 용도의 긴 가이드 구멍(52)을 갖는다. 상벽(47)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후방 단부(42a)로부터 전방 단부(42b)를 향해 연장되며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전방 단부(42b)에 못 미쳐서 종단되는 종방향 가이드 홈(53)을 구비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후방 단부(42a)는 베이스 본체(36)의 삽입 단부(후방 단부)(36b) 근방에 위치한다.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상벽(47)에 형성된 가이드 홈(53)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에 형성된 가이드 홈(48)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유지부(37)는, 베이스 플레이트(41)의 부착 단부(전방 단부)(36a) 상에 배치되고, 가스 카트리지(21)의 각 연결 칼라(22)(도 3 참조)를 유지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41)의 가이드 채널(44)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칼라 유지부(55, 55)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카트리지(21)의 각 연결 칼라(22)는 가스 카트리지(21)를 카트리지 유지부(36)에 대해 적절히 장전 또는 부착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향하는 데 사용되는 절취 리세스 혹은 노치(23)를 구비하여, 연료 가스가 가스 카트리지(21)로부터 안전하고 적절하게 공급되는 것을 보장한다.
슬라이더(32)는,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가이드 홈(48)에 미끄럼식으로 수용되는 슬라이더 본체(61)와, 슬라이더 본체(61)의 후방 단부(61a)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와, 슬라이더 본체(61)의 전방 단부(61b)로부터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윙(63, 63), 그리고 윙(63)에 각각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센서 수단 또는 조립체(64)(도 4에는 하나 만이 도시됨)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본체는, 대략 역 U자 형상을 갖고,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한 쌍의 측벽(46)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6)과, 측벽(66)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벽(67)을 구비한다. 각 측벽(66)은 지지 구멍(71)과, 슬라이더 본체(6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가이드 구멍(72)을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61)는, 전방 단부(61b) 근방에 위치하는 유지 핀(73)과, 슬라이더 본체(61)의 전방 단부(61b)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본체(61)의 측벽(66)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스토퍼 러그(74, 74)를 더 구비한다. 슬라이더 본체(61)의 상벽(67)은, 조작 레버(83)를 안내하기 위해 슬라이더 본체(61)의 후방 단부(61a)로부터 전방 단부(61b)를 향해 연장되는 종방향 가이드 홈(7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슬라이더 본체(61)의 후방 단부(61a)에 있어서 측벽(66, 66)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단부(62a)가 지지 핀(71)에 의해 슬라이더 본체(61)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대기 위치(P5)(도 5 참조)와 압박 위치(P6)(도 6 참조)의 사이에서 피벗 운동 가능하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그 양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압박 러그(78, 78)와,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상단부(62b)로부터 슬라이더 본체(61)의 전방 단부(61b)를 향해 돌출하는 유지 돌기(79)를 포함한다.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윙(63)은 하향 절곡된 전방 단부(81)를 구비하고, 이 전방 단부에는 센서 조립체(64) 각각이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로 하여 센서 조립체(64)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 기구(33)는, 슬라이더 가이드부(42)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조작 레버(88)와, 조작 레버(88)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종동 레버(84)와, 조작 레버(83)를 해제 위치(P3)(도 5 참조) 및 장전 위치(P4)(도 6 참조)에 유지시키는 유지 스프링(85), 그리고 압박 러그(78)를 가스 카트리지(21)의 바닥벽(21a)에 밀어붙이는 압박 스프링(86)을 구비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는 슬라이더(32)에 수용되는 하부(83a)와, 슬라이더(32)의 가이드 홈(75) 및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가이드 홈(53)을 통해 슬라이더(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부(83b)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83)의 하단부(83c)는 피벗 핀(88)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피벗 핀(88)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측벽(46)의 지지 구멍(5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도 4 참조) 측벽(46)에 의해 지지된다. 피벗 핀(88)은 슬라이더 본체(61)의 측벽(66)의 긴 가이드 홈(72)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조작 레버(83)의 상단부(83d)에는 사용자가 붙잡기 위한 손잡이(89)가 마련된다. 조작 레버(83)의 하부(83a)는 연결 핀(91)에 의해 종동 레버(84)의 제1 단부(84a)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종동 레버(84)는 슬라이더(32)에 수용되고, 종동 레버의 제2 단부(84b)가 종동 핀(92)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된다. 종동 핀(92)은 슬라이더 본체(61)의 측벽(66)의 지지 구멍(7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측벽(66)에 의해 지지된다.. 종동 핀(92)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의 측벽(46)의 긴 가이드 홈(52)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도 4 참조).
유지 스프링(85)은 양단부가 조작 레버(83)의 하부(83a)에 마련된 유지 핀(93)과 종동 핀(92)에 연결된 코일형 인장 스프링이다. 조작 레버(83)가 도 5에 도시된 해제 위치(P3)에 배치될 때, 유지 스프링(85)은 연결 핀(91) 아래에 배치된다. 이 상황에서는, 유지 스프링(85)의 스프링력 또는 탄성에 의해, 슬라이더(32)의 긴 가이드 구멍(72)의 전방 단부가 피벗 핀(88)과 접촉하게 되고, 종동 핀(92)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도 4 참조)의 긴 가이드 구멍(52)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조작 레버(83)는, 종동 레버(84)가 연결 핀(91)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동 레버(84)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스토퍼(95)(도 6 참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83)와 종동 레버(84)는 유지 스프링(85)의 힘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상태 또는 상대적 위치로 유지되고, 조작 레버(83)는 도 5에 도시된 해제 위치(P5)에 유지된다.
별법으로서, 조작 레버(83)가 도 6에 도시된 장전 위치에 배치될 때, 유지 스프링(85)은 연결 핀(91) 위에 배치된다. 이 상황에서는, 슬라이더(32)의 긴 가이드 구멍(72)의 후방 단부가 피벗 핀(88)과 접촉하고, 종동 핀(92)은 슬라이더 가이드부(42)(도 4 참조)의 긴 가이드 구멍(52)의 전방 단부와 접촉한다. 조작 레버(83)는, 종동 레버(84)가 연결 핀(93)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동 레버(84)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스토퍼(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83)와 종동 레버(84)는 유지 스프링(85)의 힘의 영향을 받아 도 6에 도시된 상태 또는 상대적 위치로 유지되고, 조작 레버(83)는 도 6에 도시된 장전 위치(P4)에 유지된다.
압박 스프링(86)은 양단부가 슬라이더 본체(61)에 마련된 유지 핀(73)과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에 마련된 유지 돌기(79)에 연결된 코일형 인장 스프링이다. 조작 레버(83)가 도 5에 도시된 해제 위치(P3)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압박 스프링(86)의 스프링력 또는 탄성에 의해 대기 위치(P5)에 유지된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평상시에는 대기 위치(P5)에 배치되는데, 이 대기 위치에서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압박 러그(78)는 가스 카트리지(21)를 방해하는 일 없이 가스 카트리지(21)가 도 5에 도시된 세팅 위치(P1)에 놓이게 되는 것을 허용한다.
별법으로서, 조작 레버(83)가 도 6에 도시된 장전 위치(P4)에 배치되었을 때,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는 도 6에 도시된 압박 위치(P6)에 배치되며, 이 압박 위치에서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압박 러그(78)는 압박 스프링(86)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21)의 바닥벽(21a)에 압접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가스 카트리지(21)는 도 6에 도시된 장착 위치(P2)에 유지될 수 있다.
조작 기구(33)에 의해 야기되는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슬라이더(52)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운동은,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의 베이스(31) 아래에 배치된 스토퍼(34)에 의해 제한된다. 케이스(10)의 상측 장착부(13)에 스토퍼(34)가 형성되고, 베이스(31)는 상측 장착부(13)에 배치된다. 스토퍼(34)는 베이스(31) 아래에[그리고 특히 한 쌍의 칼라 유지부(55)의 아래에] 배치된다. 칼라 유지부(55)는 서로 좌우 대칭이므로, 좌측의 칼라 유지부(55) 만을 후술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토퍼(34)는 상측 장착부(13)의 상향 경사부(13a)에 형성되고, 스토퍼의 단부벽(34a)은 상측 장착부(13)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스토퍼의 상벽(34b)은 실질적으로 베이스(3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토퍼(34)는 상측 장착부(13)의 상향 경사부(13a)에 단차를 형성한다. 스토퍼(34)는, 센서 부재(102)(후술함)가 잠금 위치(P8)(도 13 참조)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센서 부재가 스토퍼(34)를 지나서 전방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 부재(102)가 잠금 해제 위치(P7)(도 7 참조)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센서 부재(102)가 스토퍼(34)를 지나서 전방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64)는, 윙(63)의 절곡된 전방 단부(8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지지 핀(101)과, 지지 핀(101)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서 부재(102), 그리고 센서 부재(102)를 잠금 해제 위치(P7)(도 7 참조)를 향해 강제하는 스프링 부재(103)를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34)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센서 부재(102)는 대략 역 T자 형상을 갖고, 긴 수평부(105)와, 이 수평부(105)의 종방향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07)를 구비한다. 수직부(105)의 일단부(피벗 단부)(105a)는 피벗 핀(101)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피벗 단부(105)는 관통 구멍(106)을 구비하고, 이 관통 구멍에는 지지 핀(101)이 미끄럼식으로 끼워진다. 지지 핀(101)의 둘레 홈(101a)에 끼워지는 스냅 링(108)에 의해 센서 부재(102)가 지지 핀(10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센서 부재(102)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센서 부재(102)는 지지 핀(101)에서 피벗식으로 지지되고, 수직 평면에서 잠금 위치(P8)(도 8 참조)와 잠금 해제 위치(P7)(도 7 참조) 사이를 지지 핀(101)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선회 운동)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센서 부재(102)는 지지 핀(101)을 통해 윙(63)의 절곡된 전방 단부(81)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32)가 대응하는 칼라 유지부(55)(도 4 참조)를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베이스(31)(도 4 참조)에 대해 미끄럼 운동함에 따라, 센서 조립체(64)의 센서 부재(102)는 슬라이더(32)의 윙(63)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32)의 미끄럼 운동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가스 카트리지(21)(도 3 참조)는 대응하는 칼라 유지부(55)를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미끄럼 운동을 한다. 가스 카트리지(21)는 슬라이더(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각 센서 부재(102)는 대응하는 가스 카트리지(21)와 함께 상대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센서 부재(102)는 스프링 부재(103)의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 평상시에는 잠금 해제 위치(P7)(도 7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프링 부재(103)는 센서 부재(102)를 잠금 해제 위치(P7)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압박하며, 잠금 해제 위치(P7)에 도달한 경우에, 센서 부재(102)는 예컨대 윙(63)의 절곡된 전방 단부(81)에 형성된 스토퍼(도시 생략)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부재(102)는 스프링 부재(103)의 편향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스토퍼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P7)(도 7 참조)에 유지된다.
센서 부재(102)가 잠금 해제 위치(P7)에 배치되었을 때, 센서 부재(102)의 수평부(105)는 대응 스토퍼(34)의 상벽(34b)(도 6 참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수평부(105)는 피벗 단부(105a)의 반대측 단부에 전방 단부(이하에서는 "스토퍼부"라 함)(105b)가 마련된다. 수직부(107)는 수평부(105)의 종방향 중간 부분으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37)의 상대 칼라 유지부(55)를 향해 상방으로 돌출한다. 수직부(107)의 상단부에는 위치 설정 러그 또는 돌기(111)가 마련된다. 위치 설정 돌기(111)는 각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의 폭 W2(도 7 참조)에 비해 약간 작은 폭 W1을 갖는다. 이와 같이 칼라 노치(23)의 폭 W2에 비해 위치 설정 돌기(111)의 폭 W1을 작게 함으로써, 칼라 노치(23)는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끼워 맞춰질 수 있게 된다.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가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끼워 맞춰져 있을 때에, 센서 부재(102)는 스프링 부재(103)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P7)를 향해 압박됨에 따라 잠금 해제 위치(P7)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센서 부재(102)의 수평부(105)는 스토퍼(34)와 간섭하지 않도록 대응 스토퍼(34)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후퇴한다.
센서 부재(102)는 수직부(107)의 위치 설정 돌기(111)에 형성된 맞물림 홈(112)을 더 구비한다. 맞물림 홈(112)은 가스 카트리지(21)의 축(24)(도 11 참조)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설정 돌기(111)를 관통한다. 맞물림 홈(112)은 각 칼라 유지부(55)(도 4와 도 5 참조)에 형성된 회전 방지 프롱(115)(도 7 참조)의 폭 W4에 비해 약간 큰 폭 W3을 갖는다. 이와 같이 회전 방지 프롱(115)의 폭 W4에 비해 맞물림 홈(112)의 폭 W3을 작게 함으로써, 회전 방지 프롱(115)은 센서 부재(102)의 맞물림 홈(112)과 끼워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칼라 노치(23)가 서로 끼워 맞춰져 있을 때, 회전 방지 프롱(115)도 또한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에 수용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칼라 유지부(55)는 원환형의 유지 벽(117)과, 원환형의 유지벽(117)의 하부에 형성된 절취 리세스(118), 그리고 절취 리세스(118)의 중앙에 배치된 회전 방지 프롱(115)을 구비한다. 가스 카트리지(21)가 장착 위치(P2)(도 6 참조)에 배치되었을 때, 원환형의 유지벽(117)은 상대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와 맞닿는다. 회전 방지 프롱(115)은, 칼라 유지부(55)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부(115a)(도 11 참조)와, 회전 방지 프롱(115)이 원환형 유지벽(117)의 단부면을 거리 S만큼 지나 가스 카트리지(21)를 향해 돌출되어 있을 정도로 가스 카트리지(21)에서 보았을 때(도 11 참조) 원환형 유지벽(117)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방 단부(115b)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거리 S를 회전 방지 프롱(115)의 "돌출 길이"라 한다. 회전 방지 프롱(115)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면(115c)과, 회전 방지 프롱(115)이 베이스부(115a)로부터 그 전방 단부(115b)를 향해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도록 베이스부(115a)(도 11 참조)로부터 전방 단부(115b)를 향해 상향 경사로 연장되는 하부면(115)을 구비한다. 회전 방지 프롱(115)이 맞물림 홈(112)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회전 방지 프롱(115)의 최대 높이 H는 센서 부재(102)의 맞물림 홈(112)의 깊이 D(도 9 참조)에 비해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32)가 미끄럼 운동함에 따라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도 5 참조)에서 장착 위치(P2)로 옮겨질 때, 각 센서 부재(102)의 맞물림 홈(112)이 대응 칼라 유지부(55)의 회전 방지 프롱(115)과 끼워 맞춰지면서, 센서 부재(102)(하나 만이 도시되어 있음)가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 슬라이더(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스 카트리지(21)가 장착 위치(P2)에 배치되어 있을 때, 회전 방지 프롱(115)의 전방 단부(115b)는 위치 설정 돌기(111)의 맞물림 홈(112)의 후방 단부(도 9와 도 10의 우측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이와 같이 돌출한 회전 방지 프롱(115)의 전방 단부(115b)는 상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도 7 참조)에 수용된다. 따라서, 회전 방지 프롱(115)은, 각 칼라 유지부(55)의 하부에 배치되고,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의 맞물림 홈(112)과 맞물릴 수 있으며, 상대 가스 카트리지(21)(도 7 참조)의 칼라 노치(23)에 수용 가능한 것인 돌출부이다.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되어 있을 때, 대응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와 맞물린다. 이 예에서는, 스토퍼부(105b)가 스토퍼(34)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스토퍼(34)의 단부벽(34a)과 간섭하지 않는 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센서 부재(102)는 잠금 해제 위치(P7)(도 11a 참조)에 유지되는 것이 허용된다.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가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맞물려 있을 때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가 센서 부재(102)의 잠금 해제 위치(P7)를 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하는 경우, 센서 부재(102)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와 맞물리고 잠금 해제 위치(P7)에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또한,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가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맞물려 있으므로, 가스 카트리지(21)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는 세팅 위치(P1)에 유지될 수 있다.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할 때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돌기(111)가 센서 부재(120)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채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가 스토퍼(34)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스토퍼(34)의 단부벽(34a)과 간섭하지 않는 채로 유지되므로, 슬라이더(32)가 미끄럼 운동함에 따라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로부터 장착 위치(P2)(도 12 a 참조)를 향해 옮겨질 때, 센서 부재(102)는 전방(도 11a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스토퍼(34)의 단부벽(34a)을 지나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카트리지(21)가 장착 위치(P2)(도 12a 참조)에 배치되어 있을 때, 회전 방지 프롱(115)의 전방 단부(115b)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 카트리지(21)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스 카트리지(21)가 칼라 유지부(55)에 대해 장전된 상황에서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장착 위치(P2)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2b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는 위치 설정 돌기(111)와 스토퍼부(105b)를 구비한다.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하는 경우, 칼라 노치(23)는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맞물리고, 센서 부재(102)는 스토퍼부(105b)가 스토퍼(34)와 간섭하지 않는 채로 유지되는 잠금 해제 위치(P7)로 유지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는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위치 설정 돌기(111)와 칼라 노치(23) 간의 끼워 맞춤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또는 부착되어 있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가를 번거로운 시각적 관찰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예에서,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는 우선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와 접촉하게 된 이후에,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로부터 가해지는 하향 압박을 받게 된다. 위치 설정 돌기(111)에 가해지는 하향 압박의 영향으로 인하여, 센서 부재(102)는 지지 핀(10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강제되어,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가 스토퍼(34)의 단부벽(34a)(도 13a 참조)과 간섭할 수 있는 잠금 위치(P8)(도 13a 참조)로 이동한다. 칼라 노치(22)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하는 경우, 센서 부재(102)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받을 때 잠금 위치(P8)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쉽게 인식될 것이다.
센서 부재(102)가 잠금 위치(P8)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는 스토퍼(34)의 단부벽(34a)과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서 장착 위치(P2)를 향해 옮길 때,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는 스토퍼(34)의 단부벽(34a)과 맞닿게 되어,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의 센서 부재(102)의 추가적인 이동은 스토퍼(34)에 의해 차단 또는 방지된다. 따라서,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한,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유지부(55)에의 장전은 행해질 수 없다.
도 11a 내지 도 13b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돌기(111)와 스토퍼부(105b)를 구비한 센서 부재(102)는 구조가 간단하지만,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걸리는 시각적 관찰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부재(102)를 구비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며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7b를 참조로 하여,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2개의 가스 카트리지(21, 21)를 칼라 유지부(55)에 한꺼번에 장전하는 방식에 대해 후술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는 해제 위치(P3)에 배치되고, 가스 카트리지(21)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된다. 이 예에서,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각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세트된다면, 칼라 노치(23)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끼워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위치 설정 돌기(111)와 칼라 노치(23) 간의 끼워 맞춤을 통해, 가스 카트리지(21)가 가스 카트리지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 가스 카트리지(21)는 가스 카트리지의 축(24)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되어 적소에 고정되고, 이러한 위치 고정을 통해 사용자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되어 있는가를 탐지 및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센서 부재(102)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위치(P7)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예에서,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는 스토퍼(34)의 단부벽(34a)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므로, 스토퍼(34)와 간섭하지 않는 채로 유지된다.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세트되었는가를 확인한 후, 조작 레버(83)를 해제 위치(P3)로부터 장전 위치(P4)를 향한 화살표 B 방향으로 수동으로 옮겨서, 슬라이더(32)를 카트리지 유지부(37)를 향한 화살표 C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더(32)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카트리지 압박 부재(62)[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박 부재(62)의 각 압박 러그(78)]는 우선 관련 가스 카트리지(21)의 바닥벽(21)과 접촉하게 된 이후에, 가스 카트리지(21)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슬라이더(32)와 함께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조작 레버(83)가 도 15b에 도시된 중간 장전 위치(P9)에 도달한 경우, 가스 카트리지(21)는 장착 위치(P2)에 도달하고, 그 결과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가 칼라 유지부(55)의 원환형 유지벽(117)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칼라(22)와 원환형 유지벽(117)이 맞닿음으로써, 가스 카트리지(21)는 장착 위치(P2)에서 정지되어 유지되고,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는 카트리지 유지부(37)의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또는 부착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방지 프롱(115)은 원환형 유지벽(117)의 단부면을 거리 S만큼 지나 가스 카트리지(21)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전방 단부(115b)를 구비하며, 상기 거리 S는 전방 단부(115b)의 돌출 길이에 상당한다. 따라서,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유지부(37)의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또는 부착된 경우, 돌출 길이 S를 갖도록 구성된 전방 단부(115b)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의 맞물림 홈(112)에 끼워 넣어지고,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는 칼라 유지부(55)의 내측에 배치된다(도 15b 참조).
조작 레버(83)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로딩 위치(P4)로 더 진행함에 따라,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카트리지(21)가 장착 위치(P2)에 정지되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슬라이더(32)는 단독으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계속 미끄럼 운동한다. 슬라이더(32)의 이러한 미끄럼 운동에 의해, 지지 핀(77)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경우에,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상단부(62b)가 유지 돌기(79)를 통하여 압박 스프링(86; 도 5 및 도 6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압박 러그(78)가 가스 카트리지(21)의 바닥벽(21a)에 압접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 C 방향으로의 지지 핀(77)의 변위에 의해, 카트리지 압박 부재(62)가 지지 핀(7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하단부(62a)가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도 16b의 좌측)으로 이동하며,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상단부(62b)가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도 16b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의 상단부(62b)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압박 스프링(86; 도 5 및 도 6 참조)이 신장되어 큰 압박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스 카트리지(21)가 카트리지 압박 부재(62)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슬라이더(32)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계속적인 미끄럼 운동은, 화살표 C 방향으로의 센서 부재(102)의 이동을 수반하고, 이로 인하여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로부터 분리된 후라도, 회전 방지 프롱(115)의 전방 단부(115b)는 여전히 칼라 노치(23)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회전 방지 프롱(115)은 가스 카트리지(21)가 자체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7b 참조).
칼라 유지부(55)에 대하여 장전된 상태로 있는 가스 카트리지(21)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장착 위치(P2)에 유지되어 있다. 도 14a 내지 도 17b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거나 세트되어 있을 때,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에 끼워질 수 있고, 센서 부재(102)는 잠금 해제 위치(P7)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는 센서 부재(102)의 잠금 해제 위치(P7)를 취한다. 이 경우에,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의 센서 부재(102)의 이동이 스토퍼(34)의 단부벽(34a)에 의해 방지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 카트리지(21)는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가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혹은 부착될 때까지 슬라이더(32)의 미끄럼 운동에 따라 칼라 유지부(34)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 사이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가스 카트리지(21)는 자체의 축(24)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가스 카트리지(21)의 고정에 의해, 사용자는,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인 시각적 관찰에 의존하지 않고서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거나 세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세팅 위치(P1)에 세트된 가스 카트리지(21)는 장착 위치(P2)를 향하여 변위되고, 그 동안에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가스 카트리지(21)의 칼라 노치(23) 사이의 끼워 맞춤은 계속해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는,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인 시각적 관찰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를 칼라 유지부(55)에 장전 혹은 부착할 수 있다. 센서 부재(102)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8a 및 도 18b 및 도 19를 참고로 하여,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거나 세트된 때에 일어날 수 있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는 해제 위치(P3)에 배치되고, 각 가스 카트리지(21)는 화살표 F의 방향으로부터 세팅 위치(P1)에 배치 또는 세트된다.
이 경우에,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세트되어 있으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는 먼저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에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연결 칼라(22)의 하향 압박을 받으며, 이에 따라 위치 설정 돌기(111)는 연결 칼라(22)로부터 가해지는 하향 압박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하강하기 시작한다. 위치 설정 돌기(111)의 이러한 하강 이동에 의해, 센서 부재(102)는 지지 핀(101)을 중심으로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결국에는 잠금 위치(P8)로 변위되며, 이 위치에서 센서 부재(102)의 스토퍼부(105b)는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로부터 장착 위치(P2)를 향하여 변위될 때에 스토퍼(34)의 단부벽(34a)과 간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34)에 의해 센서 부재(102)의 전방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가스 카트리지(21)는 장착 위치(P2)에 결코 도달할 수 없으며,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세트되어 있는 한은, 칼라 유지부(55)에의 연결 칼라(22)의 장전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다시 도 18a를 참고하면, 가스 카트리지(21)는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칼라 노치(23)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가스 카트리지(21)는 이제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세팅 위치(P1)로 세트되므로, 도 15a 내지 도 17b에 도시된 일련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칼라 유지부에 장전될 수 있다.
도 18a, 도 18b 및 도 19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위에서 벗어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세트되어 있을 때, 센서 부재(102)는 연결 칼라(22)로부터 위치 설정 돌기(111)에 가해진 하향 압박의 작용에 의해 잠금 위치(P8)로 변위된다. 센서 부재(102)가 잠금 위치(P8)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의 센서 부재(102)의 이동은 스토퍼(34)의 단부벽(34a)에 의해 차단되고, 가스 카트리지(21)는, 조작 레버(83)를 해제 위치(P3)로부터 장전 위치(P4; 도 16b 참조)를 향하여 변위시키려고 할 경우에도, 세팅 위치(P1)로부터 장착 위치(P2)로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칼라 노치(23)가 소정의 정확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가스 카트리지(21)가 세팅 위치(P1)에 배치되거나 세트되는 한은,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의 칼라 유지부(55)로의 장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를 가스 엔진 구동형 이동식 발전기(10)에 채용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는 가스 엔진 구동형 경운기와 같은 가스 추진식 작업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스 카트리지(21)를 베이스(31), 슬라이더(32) 및 조작 기구(33)에 의해 칼라 유지부(55)에 장전하고 있지만, 가스 카트리지(21)는 조작자에 의해 칼라 유지부(55)에 수동으로 장전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31), 슬라이더(32) 및 조작 기구(33)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 또는 장치로 치환할 수도 있다. 가스 카트리지(21), 연결 칼라(22), 칼라 노치(23), 베이스(31), 슬라이더(32), 조작 기구(33), 스토퍼(34), 스토퍼(34)의 단부벽(34a), 칼라 유지부(55), 센서 수단 또는 조립체(64), 센서 부재(102), 위치 설정 돌기(111), 스토퍼부(105b), 회전 방지 프롱(115), 회전 방지 프롱(115)의 전방 단부(115b)를 포함한 이들 부품의 형상 및 구성은 변경 또는 수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스 카트리지를 칼라 유지부를 향하여 변위시킴으로써 가스 카트리지를 칼라 유지부에 장전하는 가스 추진식 작업기에 채용된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로 구현될 때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4)

  1. 가스 카트리지(21)를 칼라 유지부(55)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를 칼라 유지부(55)에 부착하는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20)로서,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 가스 카트리지(21)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잠금 위치(P8)와 잠금 해제 위치(P7) 사이에서 피벗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센서 부재(102); 및
    센서 부재(102)가 잠금 위치(P8)에 배치될 때에는 센서 부재(102)가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 스토퍼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 부재(102)가 잠금 해제 위치(P7)에 배치될 때에는 센서 부재(102)가 칼라 유지부(55)를 향한 방향으로 스토퍼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스토퍼(34)
    를 포함하고, 센서 부재(102)는,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가 미리 정해놓은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22)의 압박을 받으면 잠금 위치(P8)로 이동하고, 칼라 노치(23)가 미리 정해놓은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와 맞물려 잠금 해제 위치(P7)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102)는, 칼라 노치(23)가 미리 정해놓은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에 끼워 맞춰지고, 칼라 노치(23)가 미리 정해놓은 정확한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가스 카트리지(21)를 세팅 위치(P1)에 배치할 때, 연결 칼라(22)와 맞물려 연결 칼라(22)의 압박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설정 돌기(111)와,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가 센서 부재(102)의 위치 설정 돌기(111)와 맞물려 있을 때 잠금 해제 위치(P7)를 취하고, 위치 설정 돌기(111)가 가스 카트리지(21)의 연결 칼라(22)의 압박을 받을 때 잠금 위치(P8)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토퍼부(105b)를 포함하는 것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칼라 유지부(55)에 배치되고 연결 칼라(22)가 칼라 유지부(55)에 부착되었을 때 가스 카트리지(21)가 가스 카트리지(21)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 칼라(22)의 칼라 노치(23)에 수용될 수 있는 회전 방지 프롱(115)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돌기(111)는, 연결 칼라(22)가 칼라 유지부(55)에 부착되었을 때 회전 방지 프롱(115)을 그 안에 수용하는 맞물림 홈(112)을 구비하는 것인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KR1020100102159A 2009-10-19 2010-10-19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KR101174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0825 2009-10-19
JP2009240825A JP5235185B2 (ja) 2009-10-19 2009-10-19 カセットガスボンベ装填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87A true KR20110043487A (ko) 2011-04-27
KR101174220B1 KR101174220B1 (ko) 2012-08-14

Family

ID=4306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159A KR101174220B1 (ko) 2009-10-19 2010-10-19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02643B2 (ko)
EP (1) EP2312196B1 (ko)
JP (1) JP5235185B2 (ko)
KR (1) KR101174220B1 (ko)
CN (1) CN102042125B (ko)
AT (1) ATE533991T1 (ko)
ES (1) ES2374259T3 (ko)
TW (1) TWI4147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770A (ko) 2012-08-03 2015-04-13 세미텍 가부시키가이샤 접촉형 적외선 온도 센서, 열기기 및 배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0420B2 (ja) * 2011-06-10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US9172465B2 (en) 2012-01-19 2015-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al device
CN105008666B (zh) * 2013-01-25 2018-12-04 液体活塞公司 空气冷却式转子发动机
GB201409066D0 (en) * 2014-05-21 2014-07-02 Castrol Ltd Fluid system
GB201516854D0 (en) 2015-09-23 2015-11-04 Castrol Ltd Fluid system
JP6753366B2 (ja) * 2017-06-23 2020-09-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分析装置
JP2020180689A (ja) * 2019-04-26 2020-11-05 大静高圧株式会社 カセット式ガスボンベ内の燃料回収装置
CN110578620A (zh) * 2019-08-30 2019-12-17 江苏苏美达机电有限公司 一种壳体及燃气发电机
CN112113133B (zh) * 2020-09-21 2022-02-01 重庆润通科技有限公司 燃料罐装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320Y2 (ko) * 1975-10-29 1981-09-07
JPH03111657A (ja) * 1989-09-22 1991-05-13 Yamaha Motor Co Ltd 携帯用ガスエンジン作業機
US5070858A (en) * 1991-02-15 1991-12-10 Wang Gin Pieng Gas container connecting device for portable gas stove
JPH04129003U (ja) * 1991-05-20 1992-11-25 不二精工株式会社 ガスボンベの不適正状態での装着防止装置
JP2705619B2 (ja) * 1995-03-10 1998-01-2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カセットガスボンベ用ガスコンロ
US5890887A (en) * 1996-08-16 1999-04-06 Kenyon Marine, Inc. Butane appliance with pressure vessel
JPH10131809A (ja) * 1996-10-30 1998-05-19 Honda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及びガスエンジン作業機
FR2882011B1 (fr) * 2005-02-11 2008-10-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rack amovible et voiture equipee d'un tel dispositif
JP4881839B2 (ja) * 2007-11-21 2012-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770A (ko) 2012-08-03 2015-04-13 세미텍 가부시키가이샤 접촉형 적외선 온도 센서, 열기기 및 배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85251A (ja) 2011-04-28
JP5235185B2 (ja) 2013-07-10
EP2312196A1 (en) 2011-04-20
US20110088256A1 (en) 2011-04-21
TW201126090A (en) 2011-08-01
CN102042125B (zh) 2012-10-10
EP2312196B1 (en) 2011-11-16
US8402643B2 (en) 2013-03-26
ATE533991T1 (de) 2011-12-15
ES2374259T3 (es) 2012-02-15
TWI414707B (zh) 2013-11-11
KR101174220B1 (ko) 2012-08-14
CN102042125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220B1 (ko) 가스 카트리지 장전 기구
JP5070632B2 (ja) 遊技機
CN107985142B (zh) 一种isofix连接器以及儿童安全座椅
JP2010131415A5 (ko)
US9887491B2 (en) Lever-type connector
JP5659444B2 (ja) 充電コネクタ
JP5889432B2 (ja) 給電コネクタ
US8307803B2 (en) Work machine
US8528173B2 (en) Shockproof, quick-action closure for an end fitting
JP2012243565A (ja) 給電コネクタ
JP201400286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07040226A1 (ja) 電動ステープラ
JP2014117010A (ja) 受給電装置
JPS62218224A (ja) リ−チ式フオ−クリフトのバッテリ引出し装置
JP5691109B2 (ja) 充電コネクタ
JP2007177578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12124697A1 (ja)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JP5651530B2 (ja) 給電コネクタ
JP5674036B2 (ja) 充電コネクタ
JP2010247594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09132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20080093405A1 (en) Container And Container Holding Structure
JP2013082294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2243391A (ja) 充電コネクタ
JP2012201293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