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266A - 납 축전지 - Google Patents

납 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266A
KR20110042266A KR1020107027881A KR20107027881A KR20110042266A KR 20110042266 A KR20110042266 A KR 20110042266A KR 1020107027881 A KR1020107027881 A KR 1020107027881A KR 20107027881 A KR20107027881 A KR 20107027881A KR 20110042266 A KR20110042266 A KR 2011004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as
terminal
exhaust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872B1 (ko
Inventor
야스히데 나카야마
에이지 호조
마사시 시오타
신 오사키
신이치 에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6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05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6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0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6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05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6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959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1004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덮개체와 윗덮개의 접합 상태를 제 2 배기 구멍 둘레 가장자리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와, 덮개체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의 양방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납 축전지를 제공한다. 적어도 1 개의 셀실을 구비한 전조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 (1) 를 구비하고, 덮개체 (1) 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 (4) 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 (4C) 를 구비하고,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구멍 (4D) 을 구비하고,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의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돌출부 (4C) 와 윗덮개에 형성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돌출부와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 (4M) 를 윗덮개 (5) 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덮고, 상기 안내 경로를 홈부 (4M) 와 격리시켜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납 축전지{LEAD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특히 자동 이륜차 또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최적인 납 축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어도 1 개의 셀실 또는 복수로 나뉘어진 셀실을 구비한 전조 (電槽) 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와, 셀실에 대응하여 덮개체에 형성된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상기 덮개체 상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덮개체의 상단 개구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한 납 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납 축전지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복수로 나뉘어진 셀실을 구비한 전조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그 덮개체는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그 바닥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을 갖고, 상기 세로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벽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를 구비함과 함께, 그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상기 복수의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각각 배기하는 배기 구멍을 구비하고, 그 복수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측에 모으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덮개체의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윗덮개는 상기 돌출부에 용착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셀실에 모아진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그 특정 셀실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상기 배기 구멍과는 상이한 제 2 배기 구멍을 그 바닥벽에 구비하고,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까지 안내하는 배기 경로를, 제 2 배기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의 칸막이 벽에 윗덮개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배기 경로를 터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4537호 (도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 의 구성의 납 축전지에서는,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의 가스를 배출구까지 안내하는 배기 경로가 터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덮개체와 윗덮개의 접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배출구로부터 가압 에어를 주입한 경우에, 가압 에어가 제 2 배기 구멍에 장착된 밸브에 의해 블록되기 때문에, 덮개체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에 이상이 있어도 그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덮개체와 윗덮개의 접합 상태를 제 2 배기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와, 덮개체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의 양방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납 축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로 나뉘어진 셀실을 구비한 전조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그 바닥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을 갖고, 상기 세로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벽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상기 복수의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각각 배기하는 배기 구멍을 구비하고, 그 복수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측에 모으기 위한 공간을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윗덮개에 형성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를 상기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로 덮고, 상기 특정 셀실에 모아진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특정 셀실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상기 배기 구멍과는 상이한 제 2 배기 구멍을 그 바닥벽에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상기 홈부와 격리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전술한 복수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에 모으기 위한 공간을 적어도 1 개의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로 하고, 제 2 배기 구멍을 생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1 개의 셀실을 구비한 전조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그 바닥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을 갖고, 상기 세로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벽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상기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구멍을 구비하고, 그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윗덮개에 형성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를 상기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로 덮음과 함께, 상기 안내 경로를 상기 홈부와 격리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특정 셀실의 수는, 예를 들어 셀실이 6 개인 경우, 3 개씩의 셀실로부터 2 개의 특정 셀실로 모으는 구성으로 하는 등 1 개가 아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안내 경로가, 상기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 그 상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 및 그 수평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방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제 1 안내 경로와, 상기 하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 2 안내 경로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배출구의 높이 방향의 레벨을 윗덮개의 높이 방향의 레벨보다 낮게 하여 단자 근방에 가스를 도달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윗덮개의 일방에 피(被)걸림부를 구비하고, 또한 타방에 그 피걸림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걸림부가 1 쌍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 쌍의 구멍 중 일방의 구멍을 그 구멍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크기로 형성하고, 또한 타방의 구멍을 1 쌍의 구멍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 (長孔) 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덮개체에 대해 윗덮개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1 쌍의 구멍에 대해 1 쌍의 걸림부를 걸어 고정시키고, 그 걸림 상태에서 덮개체와 윗덮개를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덮개체에 대한 윗덮개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타방의 구멍을 1 쌍의 구멍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윗덮개와 덮개체가 성형 (成型) 후의 수축률의 차이나 성형 후의 온도 변화, 시간 경과적 변화에 의해 위치 결정이 곤란한 경우에도 이것을 장공으로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는 1 쌍의 걸림부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바뀌게 되지만, 1 쌍의 걸림부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1 쌍의 구멍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1 쌍의 걸림부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실시하면서도, 일방에만 형성된 1 쌍의 걸림부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에서 윗덮개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덮개체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를 접합시켜 일체화시키는 수단으로는, 열용착 이외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셀실 또는 복수의 셀실 각각에 극판군 (極板群) 이 수납됨과 함께, 상기 덮개체에 상기 극판군으로부터 연장되는 극기둥 (極住) 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부싱 및 단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부싱에 상기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도통부가 부싱 및 단자와 일체 성형 (成型) 되어 단자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부싱의 하측 부분과 상기 도통부가 인서트 성형 (成型) 에 의해 덮개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에서는, 단자부 근방의 덮개체 부분과 단자부에서 떨어진 덮개체 부분 사이에 인서트 성형 후의 온도 저하에 수반되는 수축률에 차가 발생하여 상기한 위치 결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어 본 발명이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배출구가, 가스를 배출구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출구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절결부를 구비함으로써, 배출구에 이물질이 맞닿아 배출구 표면이 닫힌 경우에도, 절결부를 통해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의 가스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안내 경로를 제 2 배기 구멍을 포위하는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안내 경로와, 그 제 1 안내 경로의 일부로부터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바닥벽의 하방과 세로벽을 관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이르는 터널 형상의 제 2 안내 경로로 구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덮개체의 1 변측에서 또한 그 1 변의 길이 방향 양 단부 (端部) 각각에 정, 부극의 각 단자의 하측 부분을 매설하고, 상측 부분을 돌출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덮개체의,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 및/또는 그 근방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단자가 매설되는 지점의 상면 및 그 주변 지점의 상면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서트 성형 후에 있어서 온도 저하에 수반하여 단자부가 매립된 덮개체 이측 (裏側) 의 수지 부분이 오목 형상으로, 단자부가 노출되어 있는 덮개체 표측 (表側) 의 수지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각각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납 축전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제 1 볼록 부분과, 그 제 1 볼록 부분 근방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 제 1 볼록 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볼록 부분 및 제 3 볼록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에,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상기 제 2 볼록 부분의 측단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측단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 2 볼록 부분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단자에 제 1 볼록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하측 부분이 매립된 덮개체의 표측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그 이측 부분이 오목 형상으로 각각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상기 제 2 볼록 부분의 측단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측단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 2 볼록 부분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함으로써, 삽입된 너트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볼록 부분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상면에 너트를 배치하여 미끄러지게 하여 단자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떨어뜨려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한 변형에 의해 너트를 삽입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윗덮개의 접합부를 덮개체의 돌출부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시킴으로써, 복수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측에 모으기 위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돌출부와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가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덮인다. 그리고,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배출구까지 안내하는 안내 경로를 홈부와 격리시켜 형성함으로써 홈부와 안내 경로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윗덮개를 장착한 상태에서,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와 세로벽의 간극에 노즐의 선단을 맞닿게 하여 노즐로부터의 가압 에어를 홈부에만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안내 경로와 홈부를 격리시키는 덮개체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 및 바닥벽의 고리형의 돌출부와 윗덮개의 접합부의 접합 상태의 불량을 가압 에어의 압력 저하의 유무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안내 방향이 상이한 3 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배출구의 높이 방향의 레벨이 윗덮개의 높이 방향의 레벨보다 낮아져,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윗덮개 혹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가 단자의 근방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윗덮개를 장착한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윗덮개를 장착하기 전의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덮개체의 바닥면도이다.
도 4(a) 는 덮개체의 우측면도, 4(b) 는 덮개체의 정면도, 4(c) 는 도 2 에 있어서의 A-A 선 단면도, 4(d) 는 도 2 에 있어서의 A-B 선 단면도이다.
도 5(a) 는 제 2 배기 구멍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 5(b) 는 제 2 배기 구멍의 종단면, 도 5(c) 는 안내 경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2 배기 구멍의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윗덮개를 나타내고, 7(a) 는 그것의 평면도, 7(b) 는 그것의 바닥면도, 7(c) 는 그것의 정면도, 7(d) 는 도 7(b)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8(a) 는 볼록 부분이 없는 덮개체의 좌측면도, 8(b) 는 볼록 부분을 구비한 덮개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9 는 윗덮개를 장착한 제 2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윗덮개를 장착한 제 3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윗덮개가 장착된 덮개체에 매설된 단자부의 단면도이다.
도 12(a) 는 윗덮개를 장착한 제 2 덮개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12(b) 는 12(a) 의 덮개체의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의 바닥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 및 도 2 에 본 발명의 납 축전지의 덮개체 (1) 를 나타내고, 도 1 에서는 후술하는 윗덮개 (5)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 에서는 후술하는 윗덮개 (5) 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덮개체 (1) 는 합성 수지에 의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나뉘어진 셀실을 구비한 전조 (도시 생략) 의 상부 개구를 덮는 것이다. 상기 덮개체 (1) 를 구비한 납 축전지는, 특히 자동 이륜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적합하지만, 그 밖의 목적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덮개체 (1) 의 장변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장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 (1) 는 일방의 장변측 (전후 방향 전단측) 에 좌우 1 쌍의 단자 (2, 3) 를 장변 방향 (좌우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시킨 제 1 덮개 부분 (1A) 과, 이 제 1 덮개 부분 (1A) 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갖는 제 2 덮개 부분 (1B)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덮개 부분 (1B) 의 상면에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4) 는 제 2 덮개 부분 (1B) 의 상면 중 제 1 덮개 부분 (1A) 의 측단에서부터 전후 방향에서 절반이 되는 위치보다 조금 후측에 가까운 위치까지의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장변측 (전후 방향 후단측) 에 오목부 (4) 가 없는 플랫면 (1F) 을 구비시킴으로써, 그 플랫면 (1F) 에 형번 등이 기록된 시일 등을 붙이는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체 (1) 의 상면의 플랫면 (1F) 을 시일을 붙이는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시일에 각종 데이터와 조합 (照合) 하기 위한 참조 부호를 기재해 두면, 윗덮개 (5) 의 장착 전 공정에 있어서의 데이터, 예를 들어 주액시의 데이터를 상기 참조 부호에 기초하여 조합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 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와 같은 시일은 윗덮개 (19) 의 장착 후, 즉 주액하여 윗덮개 (19) 의 장착 후에 윗덮개 (19) 의 표면에 붙어 있었기 때문에, 시일에 이와 같은 참조 부호를 기재하고 있어도 상기 참조 부호에 기초하여 주액시의 데이터를 조합할 수 없었다). 도 2 에 있어서 좌측의 단자 (2) 가 부극 단자이고, 우측의 단자 (3) 가 정극 단자이다.
상기 오목부 (4) 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 (4A) 과, 그 바닥벽 (4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 (4B) 을 갖고 있다. 또, 그 오목부 (4) 의 내측에는 그 바닥벽 (4A) 의 상기 세로벽 (4B)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 (4C)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 (4C) 의 상면은 세로벽 (4B) 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높이가 아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의 하단과 덮개체 (4) 의 돌출부 (4C) 를 용융시켜 일체화시킬 때에, 윗덮개 (5) 의 외주 가장자리 (5G) 가 홈부 (4M) 를 덮음과 함께, 윗덮개 (5) 의 상면과 덮개체 (1) 의 플랫면 (1F) 이 거의 동일한 평면 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 (4C) 의 내측의 바닥벽 (4A) 에 상기 복수 (도면에서는 6 개) 의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각각 배기하기 위한 배기 구멍 (4D)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셀실은 6 개가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7(a), 7(b), 7(c),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측에 모으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 (4C) 의 내측을 덮는 윗덮개 (5)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 (4C) 는 도 2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제 2 배기 구멍 (4F) 을 우회할 수 있도록 그 부분이 내측으로 들어간 만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바닥벽 (4A) 은, 상기 배기 구멍 (4D) 을 향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고, 각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 빠져나온 전해액을 해당하는 각 배기 구멍 (4D) 측으로 되돌릴 수 있는 안내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 (4C) 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각 배기 구멍 (4D)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연장부 (4E, 4E) 를 구비하고 있어,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만이 돌기부 (4C) 의 내측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 빠져나온 전해액이 인접하는 다른 배기 구멍 (4D)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급적 저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도 3 및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 (4) 에는 전조로부터 연장되는, 전력을 취출하기 위한 극기둥 (도시 생략) 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좌우 1 쌍의 통 형상의 부싱 (6, 7) 이 매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싱 (6, 7) 과 그 부싱 (6, 7) 과 수평 방향에서 병치되는 상기 단자 (2, 3) 의 하부측이 도통부 (도시 생략)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 (2, 3) 와 부싱 (6, 7) 과 도통부를 납 또는 납 합금에 의해 일체 성형 (成型) 함으로써 단자부를 구성하고, 도통부가 덮개체 (1) 에 매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윗덮개 (5) 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 (4C) 에 접합되는 그 돌출부 (4C) 와 동일한 외(外)형상이며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접합부 (5C) 와, 그 돌출부 (4C) 및 상기 세로벽 (4B)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 (4M) 를 덮는 외주 가장자리 (5G) 를 구비하고, 상기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의 하단과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의 상단을 용융 상태로 한 후, 오목부 (4) 의 돌출부 (4C)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를 합침으로써, 양자가 용융되어 일체화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배기 구멍 (4F) 에는 방폭, 외부로부터의 가스의 역류 방지 및 내압 조정의 목적에서 다공성 필터나 밸브 (도시 생략) 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 (5C) 에는 상기 돌출부 (4C) 의 5 지점에 구비한 1 쌍의 연장부 (4E, 4E) 에 대응하는 부분도 구비하고 있어, 이들도 포함하여 접합부 (5C) 로 한다.
상기 덮개체 (1) 및 윗덮개 (5) 의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합성 수지여도 된다. 또한, 상기 덮개체 (1) 에 윗덮개 (5) 를 열용착시키는 경우에는, 양자의 재료는 동일한 경우가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벽 (4A) 에 형성된 상기 배기 구멍 (4D) 과는 상이한 제 2 배기 구멍 (4F) 을 도 1 의 왼쪽에서부터 4 번째의 배기 구멍 (4D) 을 형성한 바닥벽 (4A) 에 구비하고, 이 배기 구멍 (4D) 을 형성한 셀실 (특정 셀실) 에 다른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당해 배기 구멍 (4D) 을 통해 모으고, 그 가스를 제 2 배기 구멍 (4F) 에서부터 외부까지 안내하는 안내 경로 (8) (도 5(c) 참조) 가 상기 홈부 (4M) 를 우회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정 셀실은 상기한 장소가 아니어도 된다. 즉, 상기 안내 경로 (8) 는 도 7(b) 에 나타낸, 상기 윗덮개 (5) 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고리형의 접합부 (5T) 와 이것에 합치하도록 상기 바닥벽 (4A) 에서부터 돌출시킨 도 2 에 나타낸 돌출부 (4T) 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안내 경로 (9) (도 5(a), 도 6 참조) 와, 그 제 1 안내 경로 (9) 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4K) 까지의 사이의 상기 홈부 (4M) 를 형성하는 돌출부 (4C), 바닥벽 (4A) 및 세로벽 (4B) 을 일부 이용하여 형성되는 터널 형상의 제 2 안내 경로 (10) 로 구성되어 있다.
도 5(a), 5(b), 5(c)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안내 경로 (9) 가, 상기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의 가스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 (9A) 와, 그 상방 안내부 (9A) 로부터의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 (9B) 와, 그 수평 안내부 (9B) 로부터의 가스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방 안내부 (9C) 로 형성되고, 그 하방 안내부 (9C) 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제 2 안내 경로 (10) 에 건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방 안내부 (9A) 는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의 가스를 상방의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원통 형상의 제 1 상방 안내부 (9a) 와, 이 제 1 상방 안내부 (9a) 로부터의 가스를 더욱 상방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1 상방 안내부 (9a)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제 2 상방 안내부 (9b)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수평 안내부 (9B) 는 덮개체 (1) 의 좌우 폭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우측) 으로 가스를 이동시키는 좌우 방향 안내부 (9c) 와, 좌우 방향 안내부 (9c) 의 안내 방향 종단으로 안내된 가스를 덮개체 (1) 의 두께 방향 (상기 좌우 폭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하측) 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방향 안내부 (9d) 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납 축전지를 차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의 가스는 상방 안내부 (9A), 수평 안내부 (9B), 하방 안내부 (9C), 제 2 안내 경로 (10) 를 이동하여 배출구 (4K) 로부터 배출되는데,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 (4K) 의 높이 방향의 레벨은 윗덮개 (5) 의 높이 방향의 레벨 (수평 안내부 (9B) 의 높이 방향의 레벨) 보다 낮게 함으로써, 배출된 가스를 단자의 근방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내 경로 (10) 는, 금형에 로드 (구멍 형성용 막대) 를 삽입함으로써, 그 세로벽 (4B) 에 상기 배출구 (4K)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세로벽 (4B) 으로부터 상기 하방 안내부 (9C) 의 전방측의 벽 (9h) 까지의 사이에 터널 형상의 관통 구멍 (10A) 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 배출된 전해액 미스트나 가스는,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 (9A) 를 통해 밸브와 다공성 필터를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 (9B) 로 이동하며,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방 안내부 (9C) 를 통해 제 2 안내 경로 (10) 에 건네진 후, 배출구 (4K) 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안내 방향이 상이한 3 개의 안내부 (9A, 9B, 9C) 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배출구 (4K) 의 높이 방향의 레벨이 윗덮개 (5) 의 높이 방향의 레벨보다 낮아지고, 또한 제 2 안내 경로 (10) 를 거쳐 배출구 (4K) 에 도달하고 있는 점에서, 배출구 (4K) 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윗덮개 (5) 혹은 덮개체 (1) 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가 단자 (2, 3) 의 근방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배출구 (4K) 까지 안내하는 안내 경로 (8) 를 홈부 (4M) 의 하측을 우회시켜 형성함으로써 배출구 (4K) 의 높이 방향의 레벨을 가스가 윗덮개 (5) 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가 단자 (2, 3) 의 근방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홈부 (4M) 와 안내 경로 (8) 가 연결되지 않고, 게다가 배출구 (4K) 는 안내 경로 (8) 에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윗덮개 (5) 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세로벽 (4B) 의 내측면 (4b) 과 윗덮개 (5) 의 외주면 (5N) 사이를 밀폐하로 하여 홈부 (4M) 내에 가압 에어를 가함으로써, 안내 경로 (8) 와 홈부 (4M) 를 격리시키는 덮개체 (1) 의 돌출부 (4T)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T) 의 접합 상태, 및 상기 공간과 홈부 (4M) 를 격리시키는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의 접합 상태 각각의 불량을 가압 에어의 압력 저하의 유무로 검출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 (4K) 에는 덮개체 (1) 를 구성하는 세로벽 (4B)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리형으로 도넛 형상인 돌기 (4G) 와, 그 돌기 (4G) 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돌기 (4G) 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돌기 (4G) 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되는 3 개의 절결 (4L, 4N, 4P)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3 개의 절결은 상기 배출구 (4K) 의 중심을 지나 덮개체 (1) 의 좌우 방향 양측에 형성된 좌우의 절결 (4L, 4P) 과, 배출구 (4K) 의 중심을 지나 덮개체 (1) 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하방의 절결 (4N) 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먼지가 잘 쌓이지 않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결을 생략하면서도, 돌기 (4G) 의 표면에 이물질이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3 개의 절결 (4L, 4N, 4P) 을 통해 가스의 배출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결 (4L, 4N, 4P) 의 수나 폭의 크기 등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4G) 를 형성하지 않고 세로벽 (4B) 의 표면을 패이게 하여 절결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덮개체 (1) 및 상기 윗덮개 (5) 양자의 장착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덮개체 (1) 및 윗덮개 (5) 의 일방에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또한 타방에 그 피걸림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7(a) ∼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윗덮개 (5) 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내부 중공의 원통 형상 (내부가 중실의 막대 형상체여도 된다) 을 갖는 좌우 1 쌍의 통체 (5D, 5E) 로 이루어져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걸림부가 좌우 1 쌍의 구멍 (11, 12)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1 쌍의 구멍 (11, 12) 중 일방의 구멍 (11) 을 그 구멍 (11) 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 (5D) 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크기로 형성하고, 또한 타방의 구멍 (12) 을 1 쌍의 구멍 (11, 12) 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 요컨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5T) 를 용융시켜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에 합쳐 일체화시키기 전에, 1 쌍의 구멍 (11, 12) 에 대해 1 쌍의 걸림부 (5D, 5E) 가 걸려 고정되고,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5T) 의 위치 결정이 완료되어, 그 상태에서부터 덮개체 (1) 와 윗덮개 (5) 를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와 윗덮개의 접합부 (5C, 5T) 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구멍 (12) 을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덮개체 (1) 와 윗덮개 (5) 가 성형 후의 수축률의 차이나 성형 후의 온도 변화, 시간 경과적 변화 등에 의해 위치 결정이 곤란해진 경우에도, 윗덮개 (5) 가 실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된 경우에도, 그것을 장공 (12) 이 양호하게 흡수하여 걸어맞춤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복수의 셀실 각각에 극판군이 수납됨과 함께,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 (5) 에 상기 극판군으로부터 연장되는 극기둥 (12) 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부싱 (7) 및 단자 (3) 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부싱 (7) 에 상기 단자 (3) 를 접속시키기 위한 도통부 (13) 가 부싱 (7) 및 단자 (3) 와 일체 성형되어 단자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부싱 (7) 의 하측 부분과 상기 도통부 (13) 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덮개체 (2) 에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것에서는, 단자부 근방의 덮개체 부분과 단자부에서 떨어진 덮개체 부분 사이에 인서트 성형 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률에 차가 발생하여 상기한 덮개체 (1) 에 대한 윗덮개 (5) 의 위치 결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 (12) 이 양호하게 흡수하여 걸어맞춤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 에서 검게 칠해져 있는 부분 B 는, 상기 부싱 (7) 과 극기둥 (12) 이 버너 등에 의해 용접된 용접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 에서는 극기둥 (12) 의 상단측 외경이 하단측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지만, 부싱 (7) 의 상측 부분의 내경을 하측 부분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극기둥 (12) 의 상단측 외경을 하단측 외경보다 작게 하면, 극기둥 (12) 을 부싱 (7) 에 삽입 통과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삽입 통과시의 위치 어긋남을 잘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도 4(a) ∼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2, 3) 는 직사각 형상의 천판부 (2A, 3A) 와, 이 천판부 (2A, 3A) 의 4 변 중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이 되는 변 이외의 3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하 (垂下) 되어 있는 전판부 (2B, 3B), 후판부 (2C, 3C) 및 좌판부 (2D, 3D) 를 구비하고, 천판부 (2A, 3A) 및 전판부 (2B, 3B) 에는 볼트 (도시 생략) 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 (2a, 2b 및 3a, 3b) 이 형성되어 있고, 도 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 (2a) 에 관통시킨 볼트 (15) 의 선단을 단자 (2) 의 내부에 넣은 너트 (14) 에 나사 결합시켜 너트 (14) 를 단자 (2) 에 볼트 (15) 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볼트 (15) 와 너트 (14)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 리드선 (차재되어 있는 전장품 등에 접속 가능한 선) 등을 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2 개의 관통 구멍 (2a, 2b 및 3a, 3b) 을 형성함으로써, 볼트 (15) 를 상방 및 전방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단자 (2, 3) 내로 삽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덮개체 (1) 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면, 도 1, 도 2 및 도 4(a) ∼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 (1) 의 제 1 덮개 부분 (1A) 중, 상기 각 단자 (2, 3) 의 하측 부분이 매설되고,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에, 그 상면 (13a) 이 제 1 덮개 부분 (1A) 의 상면 (13R) 보다 높아지는 돌기부 (13) 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 2 덮개 부분 (1B) 의 단자측의 1 변의 길이 방향 2 지점으로부터는, 상기 덮개체 (1) 의 1 변측의 단 (전후 방향 전단) 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1 덮개 부분 (1A) 의 상면에 돌출되는 1 쌍의 연장부 (1C, 1D) 가 형성되고, 그 1 쌍의 연장부 (1C, 1D) 와 1 변의 길이 방향 (좌우 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덮개 부분 (1B) 의 세로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제 1 덮개 부분 (1A) 에 상기 돌기부 (13) 가 형성되고, 그 돌기부 (13) 상에 상기 단자 (2, 3) 가 위치하도록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 (13) 는, 상기 단자 (2, 3) 의 하단이 매설되는 제 1 볼록 부분 (13A) 과, 그 제 1 볼록 부분 (13A) 의 1 변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 제 1 볼록 부분 (13A) 의 상면 (13a)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 (13b) 을 구비하는 제 2 볼록 부분 (13B) 과, 마찬가지로 상면 (13c) 을 구비하는 제 3 볼록 부분 (13C) 으로 이루어지고, 도 4(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자 (2) 의 너트 (14) 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 (2H) 를 상기 제 3 볼록 부분 (13C) 측단에 형성 (단자 (3) 의 동일한 개구 (3H) 는 제 2 볼록 부분 (13B) 측단에 형성) 하여, 상기 개구 (2H) 의 바닥면 (2G) 을 상기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보다 낮게 하고 있다 (개구 (3H) 의 바닥면 (3G) 은 제 2 볼록 부분 (13B) 의 상면 (13b) 보다 낮게 하고 있다). 상기 제 1 볼록 부분 (13A) 과 제 2 볼록 부분 (13B) 과 제 3 볼록 부분 (13C) 은, 덮개체 (1) 의 세로벽과 일체가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너트 (14) 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 (2H, 3H) 를 상기 단자 (2 또는 3) 의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측단 또는 제 2 볼록 부분 (13B) 의 측단에 형성하여, 상기 개구의 바닥면 (2G, 3G) 을 상기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또는 제 2 볼록 부분 (13B) 의 상면 (13b) 보다 낮게 함으로써, 도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에 너트 (14) 를 배치하여 미끄러지게 하여 단자 (2) 의 개구 (2H) 로부터 내부로 떨어뜨려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2) 내에 삽입된 너트 (14) 는 단자 (2) 의 개구 (2H) 의 바닥면 (2G) 이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보다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4(d) 에서는, 좌측의 단자 (2) 만 도시하고 있는데, 우측의 단자 (3) 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좌우 단자를 동일 구조의 단자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상, 어느 단자 (2, 3) 에도 우측으로부터 너트 (14) 를 삽입하게 되고, 또한 좌우 각각에 구비하고 있는 제 2 볼록 부분 (13B) 과 제 3 볼록 부분 (13C) 이 좌우 방향에서 반대의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볼록 부분 (13B) 의 상면 (13b) 과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을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고 있는데 상이하게 해도 된다.
상기 너트 (14) 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랫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기 제 2 볼록 부분 (13B) 의 상면 (13b) 또는 제 3 볼록 부분 (13C) 의 상면 (13c) 에서 면접촉시키면서 너트 (14) 를 안정적으로 이동 안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d) 에서는 너트 (14) 를 좌측 단자 (2) 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c) 에서는 너트 (14) 를 좌측의 단자 (2) 에 삽입한 후, 삽입된 너트 (14) 를 볼트 (15) 에 의해 단자 (2) 내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단자 (2, 3) 의 하측 부분이 매립된 제 1 볼록 부분 (13A) 을 그 지점에 구비함으로써, 덮개체 (1) 의 그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고, 덮개체 (1) 의 그 이측 부분이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 (1) 의 성형시에 단자 (2, 3) 를 인서트 성형한 본 발명에서는,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1) 의 하단 (1Z) 의 단자 (2) 측의 휨이 도 8(a) 와 달리 작아진다. 실제로는, 도 8(a) 의 단자 (2) 로부터 이간되는 측의 하단 (1Z) 라인의 연장선과 휜 라인의 연장선의 상하 치수 (L1) 와, 도 8(b) 의 단자 (2) 로부터 이간되는 측의 하단 (1Z) 라인의 연장선과 휜 라인의 연장선의 상하 치수 (L) 를 실측하면, L 이 0.2 ㎜ 인데 반해 L1 이 0.5 ㎜ 였다. 따라서, 제 1 볼록 부분 (13A) 을 상면에 구비함으로써, 덮개체 (1) 의 하단 (1Z) 이 단자 (2) 측에서 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 3 볼록 부분 (13B, 13C) 은 그 상면에 너트를 배치하여 미끄러지게 하여 단자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떨어뜨려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한 변형에 의해 너트를 삽입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으로써, 상기 치수 (L) 에 대해 그 높이 치수 및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성 범위를 결정하면 되고,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그들 3 개의 볼록 부분 (13A, 13B, 13C) 의 형상도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볼록 부분 (13A, 13B, 13C) 은 반드시 전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 도 2 에서는, 덮개체의 정, 부극의 각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중앙부 벽면의 일부 (배기 구멍 (4K) 이 형성된 부분) 만을 길이 방향 양 단부의 벽면 (정, 부극 단자가 형성된 부분) 보다 전조의 전단면 방향에 위치시켰는데, 도 9 와 같이, 길이 방향 중앙부의 벽면 전부 (좌우의 연장부 (1C, 1D) 에 걸친 벽면) 를 길이 방향 양 단부의 벽면 (정, 부극 단자가 형성된 부분) 보다 전조의 전단면 방향에 위치시킴으로써 덮개체의 변형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9 와 같이 함으로써 덮개체 (1) 의 변형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도 10 과 같이, 길이 방향 중앙부의 벽면 전부가, 전조의 전단면에 대해 길이 방향 양 단부의 벽면 (정, 부극 단자가 형성된 부분) 과 동일한 위치라도, 제 1 볼록 부분 (13A), 제 2 볼록 부분 (13B) 및 제 3 볼록 부분 (13C) 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덮개체 (1) 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안내 경로는 좌우 방향 안내부 (9c) 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전후 방향 안내부 (9d) 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 (4K) 까지 안내하는 안내 경로 (8) 를, 터널 형상의 관통 구멍 (10A) 을 형성함으로써 홈부 (4M) 를 우회시켜 형성하였지만, 제 2 배기 구멍 (4F) 을 U 자 형상의 벽부로 포위함과 함께 그 벽부의 양 단부를 세로벽 (4B) 에 이어지게 함으로써, 홈부 (4M) 를 우회시켜 안내 경로 (8) 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수평 안내부 (9B) 에 슬로프를 형성하면, 배출구 (4K) 의 높이 방향의 레벨을 윗덮개 (5) 의 높이 방향의 레벨보다 낮게 할 수 있는데, 하방 안내부 (9C) 는 구비하지 않고, 수평이 아닌 수평 안내부 (9B) 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배출구 (4K) 의 높이 방향의 레벨을 상기와 같이 설정할 수 있어, 배출된 가스를 단자의 근방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연속적인 수평 안내부 (9B) 와 하방 안내부 (9C) 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안내부 (9B) 를 덮개체 (1) 의 좌우 폭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우측) 으로 가스를 이동시키는 좌우 방향 안내부 (9C) 와, 좌우 방향 안내부의 안내 방향 종단에 안내된 가스를 덮개체 (1) 의 전후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하측) 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방향 안내부 (9d) 로 구성하였는데, 전후 방향 안내부 (9d) 를 생략하고 좌우 방향 안내부 (9C) 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2 에서는 가스의 배출구 (4K) 가 세로벽 (4B) 의 전방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 안내부 (9c) 만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세로벽 (4B) 의 전방측 면과 면일 (面一) 로 할 수 있다. 또, 좌우 방향 안내부 (9c) 를 도 2 에서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는데,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2 에서 나타낸 제 2 배기 구멍 (4F) 의 위치를 전후 방향 후방측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수평 안내부 (9B) 를 생략하고, 제 2 배기 구멍 (4F) 에 대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 안내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셀실마다의 배기 구멍 (4D) 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에 모으기 위한 공간과, 그 공간에 모아진 가스가 제 2 배기 구멍 (4F) 을 통해 외부로 유도되는 안내 경로 (8) 를 형성하고 있는데, 덮개체 (1) 의 오목부 (4) 전체를 상기 안내 경로로 하면, 특정한 장소로부터 배기시키기 위한 제 2 배기 구멍 (4F) 을 생략하여 임의의 장소로부터 배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 (4K) 를 전면 (前面) 에 형성하고 있는데, 제 1 안내 경로, 혹은 제 2 안내 경로의 방향이나 길이를 고려하면, 측면이나 후면에 형성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5T) 와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를 용융시켜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5T) 를 합쳐 일체화시키도록 하였지만,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5T) 와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4T) 를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타방의 구멍 (12) 을 1 쌍의 구멍 (11, 12) 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 요컨대 타원형으로 형성하였는데, 양단이 모가 진 직사각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윗덮개 (5) 를 직사각 형상인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정방형 또는 타원형 혹은 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걸림부를 막대 형상체로 구성하였으나, 피걸림부의 구멍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걸림부를 구멍으로 하고, 피걸림부를 막대 형상체로 하는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 2 에서는 가스를 특정 셀실에 모으고, 그 셀실로부터 제 2 배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데, 제 2 배기 구멍을 생략해도 된다.
도 2 에서 나타낸 제 2 배기 구멍 (4F) 의 위치를 전후 방향 후방측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수평 안내부 (9B) 중 좌우 방향 안내부 (9C) 를 생략하고, 제 2 배기 구멍 (4F) 에 대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 안내부 (9d) 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체적인 구성을 도 12(a), 12(b) 에 나타내고 있다.
도 12(a) 에서는, 덮개체 (1) 의 상면에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 (4) 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 (4) 가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 (4A) 과, 그 바닥벽 (4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 (4B) 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 (4A) 에 상기 6 개의 배기 구멍 (4D) 과 상기 제 2 배기 구멍 (4F) 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기 구멍 (4F) 을 원호 형상의 벽부 (4H) 에 의해 포위함과 함께 이 벽부 (4H) 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벽 (4B) 으로 이어지는 돌출부 (4I) 를 추가로 형성하고, 그 1 쌍의 직선 형상의 돌출부 (4I, 4I) 의 내측에 상기 안내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안내 경로는, 상기 벽부 (4H) 및 돌출부 (4I, 4I) 와, 이것에 합치하도록 윗덮개 (5) 의 하면에 구비한 고리형의 접합부 (5T) (도 12(b) 참조) 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제 2 배기 구멍 (4F) 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와 이 상방 안내부의 상단에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의 2 개의 안내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세로벽 (4B) 보다 내측인 바닥벽 (4A) 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고리형인 돌출부 (4C) 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 (4C) 와 상기 세로벽 (4B) 사이에 홈부 (4M) 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부 (4C) 는 상기 윗덮개 (5) 의 하면에 구비된, 상기 접합부 (5T) 와는 상이한 접합부 (5C) 에 접합시킴으로써, 돌출부 (4C) 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기 홈부 (4M) 를 윗덮개 (5) 의 외주 가장자리 (5G) 로 덮고 있다. 또한, 도 12(a) 에 나타내는 4E 는, 상기 돌출부 (4C) 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배기 구멍 (4D, 4D) 사이에 위치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연장부 (4E, 4E) 이다. 이들 연장부 (4E, 4E) 에 대응하는 연장부를 상기 윗덮개 (5) 에 구비하고 있다.
도 12(a),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형의 돌출부 (4C) 와, 세로벽 (4B), 벽부 (4H) 및 돌출부 (4I, 4I) 사이에 홈부 (4M) 를 형성함으로써, 윗덮개 (5) 를 장착한 상태에서 세로벽 (4B) 과 윗덮개 (5) 의 간극으로부터 홈부 (4M) 내로 가압 에어를 가함으로써, 안내 경로와 홈부 (4M) 를 격리시키는 덮개체 (1) 의 돌출부 (4I, 4I)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T) 의 접합 상태, 및 벽부 (4H)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T) 의 접합 상태, 그리고 상기 공간과 홈부 (4M) 를 각각 격리시키는 덮개체 (1) 의 돌출부 (4C) 와 윗덮개 (5) 의 접합부 (5C) 의 접합 상태의 불량을 가압 에어의 압력 저하의 유무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도 2 에서는 도 5(a),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안내부 (9B) 를 덮개체 (1) 의 좌우 폭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우측) 으로 가스를 이동시키는 좌우 방향 안내부 (9c) 와, 좌우 방향 안내부 (9c) 의 안내 방향 종단으로 안내된 가스를 덮개체 (1) 의 전후 방향 일방측 (도 2 에서는 하측) 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방향 안내부 (9d) 로 구성하였으나, 도 10 에서는 좌우 방향 안내부 (9c) 를 생략하고 전후 방향 안내부 (9d) 만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와 같은 안내부의 유무나 형상의 상이는 임의이다. 또, 도 2 에서는 가스를 특정 셀실에 모으고, 그 셀실로부터 제 2 배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공간을 안내 경로로 하여 제 2 배기 구멍을 생략해도 된다. 또한, 도 2 에서는 가스의 배출구 (4K) 가 세로벽 (4B) 의 전방측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 안내부 (9c) 만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세로벽 (4B) 의 전방측 면과 면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에 삽입하는 로드 (구멍 형성용 막대) 가 길어져 배출구 (4K) 의 형성이 곤란해지는데, 단자측에 가스가 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으면, 덮개체 (1) 의 전단과 동일면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좌우 방향 안내부 (9c) 를 도 2 에서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셀실을 구비한 전조를 나타냈는데, 1 개의 셀실을 구비한 전조여도 된다. 이 경우, 셀실로부터 안내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구멍을 그 안내 경로에 연통시키는 상태에서 구비시키게 된다.
1 … 덮개체
1A … 제 1 덮개 부분
1B … 제 2 덮개 부분
1C, 1D … 연장부
1F … 플랫면
1Z … 하단
2, 3 … 단자
2A, 3A … 천판부
2B, 3B … 전판부
2C, 3C … 후판부
2D, 3D … 좌판부
2G, 3G … 바닥면
2H, 3H … 개구
2a, 2b, 3a, 3b … 관통 구멍
4 … 오목부
4A … 바닥벽
4B … 세로벽
4C, 4T … 돌출부
4D … 배기 구멍
4E … 연장부
4F … 제 2 배기 구멍
4G … 돌기
4K … 배출구
4M … 홈부
4L, 4N, 4P … 절결
4b … 내측면
5 … 윗덮개
5C, 5T … 접합부
5D, 5E … 걸림부
5G … 외주 가장자리
5N … 외주면
6, 7 … 부싱
8, 9, 10 … 안내 경로
9A … 상방 안내부
9B … 수평 안내부
9C … 하방 안내부
9a … 상방 안내부
9b … 상방 안내부
9c … 좌우 방향 안내부
9d … 전후 방향 안내부
9h … 벽
11, 12 … 구멍
13 … 돌기부
13A … 제 1 볼록 부분
13B … 제 2 볼록 부분
13C … 제 3 볼록 부분
13a, 13b, 13c, 13R … 상면
10A … 관통 구멍
14 … 너트
15 … 볼트

Claims (14)

  1. 적어도 1 개의 셀실을 구비한 전조 (電槽) 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그 바닥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을 갖고, 상기 세로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벽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상기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구멍을 구비하고, 그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윗덮개에 형성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를 상기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로 덮음과 함께, 상기 안내 경로를 상기 홈부와 격리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가, 상기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 그 상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 및 그 수평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방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제 1 안내 경로와, 상기 하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 2 안내 경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윗덮개의 일방에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또한 타방에 그 피걸림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걸림부가 1 쌍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 쌍의 구멍 중 일방의 구멍을 그 구멍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크기로 형성하고, 또한 타방의 구멍을 1 쌍의 구멍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 (長孔) 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실에 극판군이 수납됨과 함께, 상기 덮개체에 상기 극판군으로부터 연장되는 극기둥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부싱 및 단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부싱에 상기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도통부가 부싱 및 단자와 일체 성형되어 단자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부싱의 하측 부분과 상기 도통부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덮개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1 변측에서 또한 그 1 변의 길이 방향 양 단부의 각각에 정, 부극의 각 단자의 하측 부분을 매설하고, 상측 부분을 돌출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덮개체의,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 및/또는 그 근방에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제 1 볼록 부분과, 그 제 1 볼록 부분 근방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 제 1 볼록 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볼록 부분 및 제 3 볼록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에,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상기 제 2 볼록 부분의 측단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측단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 2 볼록 부분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7. 복수로 나뉘어진 셀실을 구비한 전조 (電槽) 와, 그 전조의 상부 개구를 덮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오목부를 덮는 윗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그 바닥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세로벽을 갖고, 상기 세로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벽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 내측의 바닥벽에 상기 복수의 셀실로부터의 가스를 각각 배기하는 배기 구멍을 구비하고, 그 복수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특정 셀실측에 모으기 위한 공간을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윗덮개에 형성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홈부를 상기 윗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로 덮고, 상기 특정 셀실에 모아진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특정 셀실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상기 배기 구멍과는 상이한 제 2 배기 구멍을 그 바닥벽에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 경로를 상기 홈부와 격리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가, 상기 제 2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방 안내부, 그 상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안내부, 및 그 수평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방 안내부 로 이루어지는 제 1 안내 경로와, 상기 하방 안내부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 2 안내 경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가스를 배출구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절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를, 제 2 배기 구멍을 포위하는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안내 경로와, 그 제 1 안내 경로의 일부로부터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바닥벽의 하방과 세로벽을 관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이르는 터널 형상의 제 2 안내 경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윗덮개의 일방에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또한 타방에 그 피걸림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걸림부가 1 쌍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 쌍의 구멍 중 일방의 구멍을 그 구멍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크기로 형성하고, 또한 타방의 구멍을 1 쌍의 구멍의 대향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실 각각에 극판군이 수납됨과 함께, 상기 덮개체에 상기 극판군으로부터 연장되는 극기둥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부싱 및 단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부싱에 상기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도통부가 부싱 및 단자와 일체 성형되어 단자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부싱의 하측 부분과 상기 도통부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덮개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1 변측에서 또한 그 1 변의 길이 방향 양 단부 각각에, 정, 부극의 각 단자의 하측 부분을 매설하고, 상측 부분을 돌출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덮개체의,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 및/또는 그 근방에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각 단자의 상측 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지점의 둘레 가장자리의 제 1 볼록 부분과, 그 제 1 볼록 부분 근방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 제 1 볼록 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볼록 부분 및 제 3 볼록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에,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상기 제 2 볼록 부분의 측단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측단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 2 볼록 부분 또는 제 3 볼록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축전지.

KR1020107027881A 2008-08-08 2009-08-04 납 축전지 KR10155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6415A JP5360536B2 (ja) 2008-08-08 2008-08-08 鉛蓄電池
JP2008206414A JP5360535B2 (ja) 2008-08-08 2008-08-08 鉛蓄電池
JPJP-P-2008-206415 2008-08-08
JPJP-P-2008-206416 2008-08-08
JP2008206417A JP5360537B2 (ja) 2008-08-08 2008-08-08 蓄電池における蓋部構造
JPJP-P-2008-206414 2008-08-08
JPJP-P-2008-206417 2008-08-08
JP2008206416A JP5429592B2 (ja) 2008-08-08 2008-08-08 蓄電池における蓋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266A true KR20110042266A (ko) 2011-04-26
KR101552872B1 KR101552872B1 (ko) 2015-09-18

Family

ID=4166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81A KR101552872B1 (ko) 2008-08-08 2009-08-04 납 축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52669B2 (ko)
EP (1) EP2320494B1 (ko)
KR (1) KR101552872B1 (ko)
CN (1) CN102089900B (ko)
AU (1) AU2009278426B8 (ko)
BR (1) BRPI0912471B1 (ko)
CA (1) CA2733168A1 (ko)
WO (1) WO2010016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8410B2 (ja) 2010-12-13 2014-11-05 株式会社Gsユアサ 車両用鉛蓄電池
US9716263B2 (en) 2013-09-06 2017-07-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2295629B1 (ko) 2013-09-12 2021-08-27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축전 장치
CN204179121U (zh) * 2013-12-18 2015-02-25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
US9614210B2 (en) * 2014-09-30 2017-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vent system and method
JP6330634B2 (ja) * 2014-11-26 2018-05-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756093B2 (ja) * 2015-09-01 2020-09-16 株式会社Gsユアサ 鉛蓄電池
JP6288065B2 (ja) * 2015-12-24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193115B2 (en) 2016-03-23 2019-01-29 East Penn Manufacturing Co. Battery cover
JP6667109B2 (ja) * 2016-11-11 2020-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部品の組立装置
CN111799413A (zh) * 2020-07-13 2020-10-20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一种免过桥蓄电池面域化串通式电池盖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954B2 (ja) * 1990-08-30 1997-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池の収納構造
IT1270552B (it) * 1993-06-09 1997-05-06 Olimpio Stocchiero Contenitore per accumulatori a carica rapida con canali di distribuzione dell' elettrolita stampati sul coperchio
US5683830A (en) * 1997-02-06 1997-11-04 Douglas Battery Manufacturing Company Leak resistant battery cover
TW447153B (en) * 1999-06-07 2001-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rage battery
JP2001084981A (ja) * 1999-09-14 2001-03-30 Yuasa Corp 密閉形鉛蓄電池
JP4184663B2 (ja) * 1999-10-28 2008-11-19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の製造法及びその製造用治具
JP4965012B2 (ja) 1999-12-1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US6737192B2 (en) * 2001-02-21 2004-05-18 The Furukawa Battery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storage battery
JP2002324537A (ja) 2001-04-27 2002-11-08 Yuasa Corp 鉛蓄電池
JP4127985B2 (ja) * 2001-07-23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3077454A (ja) 2001-09-05 2003-03-14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端子構造
JP2003162990A (ja) 2001-09-11 2003-06-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蓄電池
KR20060042819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보호회로 매입형 수지물 체결장치
JP5098243B2 (ja) 2006-07-27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鉛蓄電池
CN101501886B (zh) * 2006-08-04 2012-05-1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
CN200962438Y (zh) * 2006-10-13 2007-10-17 台湾汤浅电池股份有限公司 具有防爆功能的蓄电池的电池盖
JP5148862B2 (ja) 2006-11-02 2013-02-20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の排気構造
CN200976362Y (zh) * 2006-11-06 2007-11-14 深圳市今星光实业有限公司 铅酸蓄电池端子保护盖
CN200986934Y (zh) * 2006-12-04 2007-12-05 浙江天能电池有限公司 一种蓄电池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78426B2 (en) 2014-02-20
EP2320494A4 (en) 2014-03-19
CN102089900A (zh) 2011-06-08
CN102089900B (zh) 2014-03-12
WO2010016474A1 (ja) 2010-02-11
AU2009278426A1 (en) 2010-02-11
EP2320494B1 (en) 2018-04-11
US8652669B2 (en) 2014-02-18
KR101552872B1 (ko) 2015-09-18
EP2320494A1 (en) 2011-05-11
BRPI0912471A2 (pt) 2019-12-24
US20110135979A1 (en) 2011-06-09
BRPI0912471B1 (pt) 2020-11-17
AU2009278426B8 (en) 2014-03-06
CA2733168A1 (en)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2266A (ko) 납 축전지
EP2273586B1 (en) Storage battery
CN105489812A (zh) 车载用电源装置
CN105932341B (zh) 铅蓄电池
US20100028759A1 (en) Battery, vehicle using the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6197446B1 (en) Integrated enclosed secondary battery
CN107004513A (zh) 蓄电模块
JP2016189290A (ja) 鉛蓄電池及び鉛蓄電池の蓋部材の製造方法
CN107615519A (zh) 蓄电模块
CN103515571A (zh) 密闭型电池
JP5360536B2 (ja) 鉛蓄電池
JP5618410B2 (ja) 車両用鉛蓄電池
JP5429592B2 (ja) 蓄電池における蓋部構造
JP5360535B2 (ja) 鉛蓄電池
JP5360537B2 (ja) 蓄電池における蓋部構造
JPH08153504A (ja) 蓄電池
JP5472799B2 (ja) 鉛蓄電池
CN210391018U (zh) 一种线束隔离件及电池包
JP6557365B2 (ja) 蓄電装置
US20240063496A1 (en) Battery module
CN216850156U (zh) 一种防短接的动力电池包
JP2012059480A (ja) 鉛蓄電池
JP2005353324A (ja) 制御弁式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