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109A -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109A
KR20110042109A KR1020117005411A KR20117005411A KR20110042109A KR 20110042109 A KR20110042109 A KR 20110042109A KR 1020117005411 A KR1020117005411 A KR 1020117005411A KR 20117005411 A KR20117005411 A KR 20117005411A KR 20110042109 A KR20110042109 A KR 2011004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nit
video signal
external connection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049B1 (ko
Inventor
테루키 킥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Abstract

HDMI 포트에 접속된 기기마다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판정 및 관리한다. 셀렉터 제어에 있어서,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된 HDMI포트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HPD신호를 Low상태로 하여서 DDC액세스를 오프 상태로 한다. 소정시간 경과 후, HPD신호를 High상태로 하여서 DDC액세스를 온 상태로 하여서 통신을 재개시킨다.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된 HDMI포트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HPD신호를 High상태로 유지하고, DDC 액세스를 재개하지 않고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VIDEO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상신호출력장치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영상제어장치 및 그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HDMI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튜너등의 영상신호출력장치와 텔레비젼 수상기등의 영상제어장치를 1개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제어가능한 인터페이스다. 또한, HDMI는,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약칭이다.
HDMI는 종래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규격에 근거하고, HDMI는 광대역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디오-비주얼 가전에 사용하기 위해 저작권보호, 색차 전송 등의 기능을 정의한다. HDMI가 기기들을 1개의 케이블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상술한 기능들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번거로움이 없다고 하는 점에서 이롭다. 또한, HDMI출력가능한 영상신호 출력장치의 증가에 의해, 복수의 HDMI포트를 구비하는 영상제어장치도 증가하고 있다.
HDMI에서는, TDMS채널과, CEC채널과, DDC채널을 사용해서 접속 기기간의 정보 전송을 행한다. 또한, TDMS는,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의 약칭이다. CEC는, Consumer Electronics Control의 약칭이다. 끝으로, DDC는, Display Data Channel의 약칭이다.
TDMS채널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CEC채널은, 기기 제어신호의 전송을 행한다. 후술하는 EDID를 사용하고, CEC 코맨드를 사용한 통신(이하, "CEC통신")을 통해, 영상제어장치와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영상제어장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행한 재생동작에 응답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단자에 입력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DDC에서는, EDID의 전송을 행하고 HDCP 기반 인증을 행한다. 또한, EDID는,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의 약칭이다. HDCP는, 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의 약칭이다.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영상제어장치에 구비된 EDID에 의거하여, 영상제어장치의 표시 성능, 음성출력 성능, 자기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적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EDID 취득 동작은, 영상제어장치에서 HDMI의 HPD(Hot Plug Detect)신호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할 때 시작한다.
HDCP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영상제어장치에 송신되는 영상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서, 콘텐츠가 부정으로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작권보호 기술이다. 영상신호 출력장치와 영상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인증이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영상제어장치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신을 즉시 정지함과 아울러, 영상제어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수신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해제를 정지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HDMI포트를 구비한 영상제어장치에 대해서 생각한다. 상기의 CEC통신에 의한 기기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영상제어장치는, 미리, 각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EDID를 송신하고, 각 영상신호 출력장치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영상제어장치는, 각 HDMI포트에 EDID정보가 격납된 EDID용 ROM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상제어장치는, HDCP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를 HDCP용 ROM에 저장하고 있다. 이 인증 정보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영상제어장치에 대하여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그 때문에, 영상제어장치는, 1화면에 동시에 표시가능한 HDMI포트 수에 대응한 HDCP용 ROM의 수를 가져야 한다. 즉, EDID용 ROM은 각 HDMI포트에 각각 구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HDCP용 ROM은, 영상제어장치가 구비하는 HDMI포트수보다도 적은 개수분만큼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EDID용 ROM의 개수보다 HDCP용 ROM의 개수가 적으면, 영상신호 출력장치와 영상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DDC통신을 행했을 경우에,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EDID용 ROM에는 액세스할 수 있지만, HDCP용 ROM에는 액세스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HDCP용 ROM의 액세스 요구에 대한 응답을 얻을 수 없어, DDC 라인이 부정상태가 된다. 이 DDC라인이 부정상태일 때에, 영상제어장치가 입력 전환을 행하면, DDC에 의한 액세스가 정상상태로 복귀할 수 없고, 영상신호, 음성신호 등이 정상적으로 출력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HDCP용 ROM에 대한 액세스 요구의 대기 상태로부터 정상상태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영상제어장치는, 각 HDMI포트가 선택되어 전환될 때 HPD신호를 일단 "오프" 상태로 하고, 임의 시간의 경과 후, HPD신호를 "온" 상태로 복구시킨다. 이것은 DDC신호를 리셋트하고, 게다가 통신을 재개한 후 DDC라인이 부정상태가 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78980호에는, DDC 통신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78980호에 의하면,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DDC통신의 실패등에 의해 EDID에 기재되지 않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했을 경우에, 영상제어장치는 다시 한번 HPD신호를 오프 후 온으로 전환 함에 의해, DDC통신을 재개한다. DDC 통신을 재개 함에 의해,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EDID를 다시 취득시켜서, 정상적인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DDC통신이 부정상태가 되는 것은, HDCP인증을 행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이다. 예를 들면, 민간용의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유저의 프라이빗(private) 콘텐츠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HDCP인증이 행해질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DDC통신이 부정상태가 되는 일은 없고, 전술한 바와 같은, HPD신호의 오프 후 다시 온으로 전환하여 DDC통신을 리셋트하고나서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즉, 종래에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에 있어서, HDMI 포트가 선택되어 전환될 때마다 HPD신호를 오프 후 다시 온으로 전환해서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서, 그 전환처리와 같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수초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78980호에 기재된 기술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입력 후에 DDC통신을 재개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입력 전환시의 동작 및 처리 시간은 고려되고 있지 않아,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이때, 이 문제점은, HDMI규격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제어장치가 저작권보호를 위한 암호열쇠에 액세스 하는 경우 통신 라인의 부정상태가 발생하는 다른 영상제어 시스템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입력 전환을 보다 고속으로 행할 수 있는 영상제어장치 및 이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영상제어장치는, 외부 접속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양쪽을 출력하는 통신을 인증하는데 필요할 때에 사용된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부; 상기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종류에 대하여 정의된 기기 타입과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가 기억된 제1 테이블을 보유하는 보유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데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가 상기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외부 접속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양쪽을 출력하는 통신을 인증하는데 필요할 때에 사용된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부를 구비한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종류에 대하여 정의된 기기 타입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가 관련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것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일례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제1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제1의 실시예에서 행한 상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의 타이밍 차트다.
도 5는 벤더(vendor) ID와 디바이스 타입에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동작 모드에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0은 제2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AVI InfoFrame 패킷의 프레임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필요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4는 제3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제4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 및 HDMI포트 접속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6은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기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4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제1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그렇지만, 특별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기능, 상대적 배치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일례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영상제어장치로서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외부 접속 기기로서의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영상신호 출력장치#A) 및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영상신호 출력장치#B)는, HDMI규격에 준거한 접속 선을 거쳐서 접속된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저작권보호가 필요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 튜너등인 것으로 한다. 한편,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는, 저작권보호가 필요하지 않은, 예를 들면 프라이빗 콘텐츠로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휴대형의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라고 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3)에 의해 원격적으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모트 컨트롤러(103)는, 유저 조작에 의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적외선신호에서의 그들 신호를 변조해서 송신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가 리모트 컨트롤러 수광부(104)를 통해 그 적외선신호를 수광하면, 적외선신호가 변환된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CPU(lO7)는,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각 부를 제어해서 유저 조작에 의거한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3)를 사용하여 행한 조작에 따라, HDMI포트105(HDMI포트#A) 및 HDMI포트106(HDMI포트#B) 중 한쪽을, 외부 입력 단자로서 선택할 수 있다. 외부입력 단자로서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된 기기에서 출력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표시부,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된다.
다음에,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03)를 조작해서 외부 입력 단자를 HDMI포트105로부터 HDMI포트106으로 전환하는 지시를 행했다고 한다. 이 경우에, CPU(lO7)는, 후술하는 셀렉터부(113)를, HDMI포트106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표시부나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도 2는, 본 제1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CPU(lO7)에는 ROM 및 RAM이 접속되어 있다(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 CPU(lO7)는 RO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RAM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텔레비젼 수상기(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lO7)는, 유저 조작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03)로부터 송신되어, 리모트 컨트롤러 수광부(104)에서 수광된 적외선신호로부터 생성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텔레비젼 수상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코맨드, 제어신호 등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튜너부(109)는, 안테나(108)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복조, 오류 정정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 S)을 생성한다. 그리고, 튜너부(109)는, 생성한 T S에 대하여 디스램블링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를 디멀티플렉서부(110)에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부(110)는, 입력된 복수 채널의 T S들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디코더부(111)에 출력한다. 그리고, 디코더부(111)로 처리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입력 소스 선택부(112)에 출력된다.
선택부로서의 셀렉터부(113)는, CPU(lO7)로부터 공급된 셀렉터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가능 입력단113A 및 113B를 바꾸어서, 접속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셀렉터부(113)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접속부로서의 HDMI포트105 및 HDMI포트106 중 하나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3)를 통해 실시된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CPU(lO7)는 셀렉터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 셀렉터 전환 신호는, 셀렉터부(113)와 제어부(118) 양쪽에 공급된다.
HDMI 리시버(receiver)(114)는,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것에 따라 HDMI포트105 또는 106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코드 하고, 그 데이터를 입력 소스 선택부(112)에 출력한다.
입력 소스 선택부(112)는, 디코더부(111) 혹은 HDMI 리시버(114) 중 어느 하나를 입력 소스로서 선택한다. 그 선택된 입력 소스로부터의 영상데이터는, 영상처리부(135)에 공급되고, 여기서 화질 개선 처리등의 신호 처리가 실행된 후, 표시부(136)에 공급되어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137)에 공급되고, 여기서 음질 개선 처리등의 신호 처리를 실행된 후, 음성출력부(138)로부터 스피커등의 음성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HDMI포트105 및 106은, TMDS라인128 및 133, 5V 파워 라인125 및 130, 및, DDC라인129 및 134를 각각 구비한다. HDMI포트105 및 106은, 한층 더, 제어신호선으로서의 HPD라인126 및 131, 텔레비젼 수상기(100)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와의 사이에서 CEC통신이 가능한 CEC라인127 및 13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판정부 및 제어부로서의 제어부(118)는, 5V 파워 판정부(119), HPD판정부(120), HPD송신부(121), CEC해석부(122) 및 CEC송/수신부(123)를 구비한다. 제어부(118)에 구비된 상기 판정부 및 송신부는, CPU(lO7), 혹은 (도시되지 않은) 서브 마이크로컴퓨터내에 구비된 ROM에 미리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선으로서의 TMDS라인(128 및 133)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라인이다.
DDC라인(129 및 134)은, 텔레비젼 수상기(100)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 사이에서의 EDID의 반송이나, HDCP에 의한 인증 정보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라인이다. 즉, DDC라인(129 및 134)은, EDID의 송신과 HDCP에 의한 암호 기반 인증 정보의 교환의 이중 의무를 행한다.
HDMI포트(105)로부터 도출되는 TMDS라인(128) 및 DDC라인(129)은, 셀렉터부(113)의 선택가능 입력단(113A)에 접속된다. 또한, DDC라인(129)에는, EDID용 ROM(l16)(EDID#A)이 접속된다. 같은 방법으로, HDMI포트(106)로부터 도출되는 TMDS라인(133) 및 DDC라인(134)은 셀렉터부(113)의 선택가능 입력단(113B)에 접속된다. 또한, DDC라인(134)에는, EDID용 ROM(l17)(EDID#B)이 접속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EDID용 ROM(l16 및 117)은,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다. EDID용 ROM(l16 및 117)에는, 표시 성능,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각종 정보, 및 물리적 어드레스, 또는 CEC통신에서 사용하는 HDMI포트의 어드레스 정보등이 격납된다.
EDID용 ROM에는, 각각 HDMI포트의 개별의 물리적 어드레스가 격납된다. 예를 들면, EDID용 ROMl16에는, 물리적 어드레스 [1.0.0.0]이 격납되고, EDID용 ROMl17에는, 물리적 어드레스 [2.0.0.0]이 격납된다.
HDMI포트105 및 106으로부터 각각 도출되는 5V 파워라인(125 및 130)은, 각각 제어부(118)내에 위치된 5V 파워 판정부(119)에 접속된다. 5V 파워 라인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가 텔레비젼 수상기에 대하여 DDC액세스를 요구하기 위한 라인이다.
HDMI포트105 및 106으로부터 각각 도출되는 HPD라인(126 및 131)은, 제어부내에 위치된 HPD송신부(121)에 각각 접속된다. HPD라인은,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해서 DDC액세스의 준비가 완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라인이다.
통지부로서의 HPD송신부(121)는, HPD라인의 전위를, 고전압, 즉 High상태("온" 레벨)와, 저전압, 즉 L o w상태("오프" 레벨) 사이에서 전환한다. 그 전위가 High상태에 있는 경우, 대응한 HDMI포트에 있어서 DDC액세스의 준비가 완료하고, DDC 액세스가 "온"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그 전위가 L o w상태에 있는 경우, DDC액세스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HDMI규격에 의하면, High상태는, 전압이 2.4V 내지 5.3V이며, L o w상태는, 전압이 0V 내지 0.4V이다.
HDMI포트(105 및 106)로부터 각각 도출된 CEC라인(127 및 132)은, 제어부(118)내에 위치된 CEC송/수신부(123)에 각각 접속된다. 코맨드 선으로서의 CEC라인은, 텔레비젼 수상기(100)와 영상신호 출력장치와의 사이에서 CEC통신하기 위한 라인이며, 모든 HDMI포트간에 버스로서 동작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또는 102로부터 CEC코맨드를 수신하면, 인증 필요성 정보 취득부로서의 CEC해석부(122)에 의해 코맨드 해석을 행하고, 상기 접속된 기기의 정보를 기기 관리부(124)에 축적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기기의 "정보"는, 예를 들면 기기가 접속되는 HDMI포트와 관련된 물리적 어드레스,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논리적 어드레스, 제조자를 나타내는 벤더ID, 접속된 기기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기기이름, 상세한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상세 기기 타입 정보등이다. "상세 기기 타입 정보"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 상세한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다. 기기 관리부(124)는, 각 기기 타입과 관련지어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유지한다. 그 "기기 타입"은,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등의 기기의 다른 종류에 대하여 정의된 식별 정보다.
여기에 기재된 구성은 텔레비젼 수상기(100)가 기기 타입과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를 미리 유지해두는 구성이지만, 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CEC코맨드를 사용해서 인증 필요성 정보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경우와 프라이빗 콘텐츠를 출력할 경우의 동작 모드별로 전환하고,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그 정보를 통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HPD판정부(120)는, CPU(lO7)에서 공급되는 셀렉터 전환 신호와 기기 관리부(124)에 유지된 기기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전환시에 HPD신호를 온 또는 오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새롭게 선택한 셀렉터의 선택가능한 입력단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해서 HDCP인증이 필요할 경우에는, HPD판정부(120)는 HPD신호의 오프 및 온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HPD판정부(120)는 HPD신호의 오프 및 온을 바꾸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HPD송신부(121)는, HPD판정부(120)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HPD 신호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HDMI리시버(114)에 대하여, 기억부로서의 HDCP용 ROM(l15)이 접속된다. HDCP용 ROM(l15)은, HDCP에 의한 인증을 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영상신호 출력장치(102) 중,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가능하다.
텔레비젼 수상기(100)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또는 102간에 H D C P인증 처리에 성공하면, HDMI리시버(114)는, 셀렉터부(113)로부터 공급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대해서, 도 3의 흐름도, 도 4의 타이밍 차트, 및 전술한 도 2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단계S301에서, 제어부(118)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또는 102로부터의 DDC액세스 요구를 대기한다. 5V 파워 판정부(119)는, 5V 파워라인(125 및 130)의 전압값에 근거하여, DDC 액세스 요구의 유무를 판정한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는,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접속되고, 예를 들면 유저 조작의 결과로서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혹은 스탠바이 상태로 되면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DDC액세스 요구를 행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또는 102로부터 DDC액세스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하면, 그 처리를 다음 단계, 즉 단계S302로 이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MI포트(105)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하의 설명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를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 대체하고, "HDMI포트105"를 "HDMI포트106"으로 대체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단계S302에서, HPD송신부(121)는, DDC액세스가 일어난 HPD라인(126)에 대하여 High상태의 HPD신호를 송신하고, DDC 액세스가 온 상태가 된 것을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것에 의거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DDC액세스를 위한 통신 초기화 처리를 시작한다.
다음에, 단계S303에서, 제어부(118)는, DDC액세스를 행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의 EDID요구를 대기한다. 제어부(118)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DDC라인(129)을 거쳐서 EDID용 ROM(116)에 대한 슬레이브 어드레스 및 판독 코맨드가 공급되면, EDID용 ROM(116)으로부터 EDID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EDID를,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송신한다(단계S304).
그리고,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수신한 EDID에 포함된 HDMI포트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자기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확정한다. 이 후에, CEC코맨드 교환이 시행될 수 있도록 기기마다 분담된 논리적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확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HDMI규격에 의거하여 기기 타입마다 할당된 각 논리적 어드레스에 대하여 폴링(polling) 메시지를 송신하고, 응답이 없는 논리적 어드레스를 이용 가능한 어드레스라고 판단하여, 확정한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논리적 어드레스를 확정하면,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CEC 라인(127)을 거쳐서, 기기정보를 포함하는 CEC코맨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제어부(118)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송신된 CEC코맨드를 수신하면(단계S305), 수신된 코맨드를 디코드 해서 CEC해석부(122)에 공급한다.
CEC해석부(122)는, 공급된 CEC코맨드내에 코맨드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기기정보를 취득한다(단계S306). 여기에서, 취득한 물리적 어드레스, 논리적 어드레스, 벤더ID, 기기이름 및 상세 기기 타입 정보는, 기기 관리부(124)에 공급된다. 기기 관리부(124)는, 이 공급된 기기정보를, HDMI포트(105)에 접속된 기기의 기기정보로서 기기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기기 관리부(124)는, 기기 타입(및 기기 타입/벤더ID의 조합)마다 관련된 HDCP인증이 필요한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다. 도 5는, 기기 타입과 벤더ID에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의 유지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기기가 "플레이어"(논리적 어드레스가 "4" 또는 "8")의 기기 타입을 갖는 경우, 벤더ID가 "111111(h e x)"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불필요하지만, 벤더ID가 "111111(h e x)"이외의 경우에는 HDCP인증이 필요하다. 이렇게, 민간용 기기를 제조하는 메이커를 나타내는 벤더ID "111111(h e x)"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도 5는, 기기 타입과 벤더ID의 조합마다, 인증 필요성 정보가 관련된 예를 나타내지만, 사용된 방식은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기 타입과 상세 기기 타입의 조합마다, 인증 필요성 정보가 연관되어도 된다. 기기가 "플레이어(논리적 어드레스가 "4" 또는 "8")의 기기 타입을 갖는 경우, 상세 기기 타입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민간용 기기)"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불필요한 반면에, 상세 기기 타입이 "DVD플레이어(비민간용 기기)"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기기 타입과 기기이름의 조합, 또는 기기 타입, 상세 기기 타입 및 벤더ID의 조합마다, 인증 필요성 정보가 관련되어도 된다.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논리적 어드레스만을 단순히 사용하기보다는, 접속된 기기로부터 취득한 다른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정밀도로 인증이 필요한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기기 관리부(124)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의 CEC코맨드의 콘텐츠를 인증 필요성 정보와 대조하고, 기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단계S307).
도 6은, 수신한 CEC코맨드에 의거해 작성한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다. 기기 관리 테이블은, 접속 포트마다, 물리적 어드레스, 논리적 어드레스, 벤더ID 및 기기 타입등의 기기 정보와, HDCP인증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관련시키고, 이 관련된 정보를 기억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HDMI포트#A에 접속된 기기는, HDCP인증이 필요한 반면에, HDMI 포트#B에 접속된 기기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동작 모드가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모드인지 또는 프라이빗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모드인지에 따라, 필요한 HDCP인증과 불필요한 HDCP인증 사이에서 전환하여 통지하는 경우의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영상데이터의 출력에 앞서 그 동작 모드를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통지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이 통지에 근거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의 기기정보와, 인증 필요성 정보를 관련지어 관리하고 있다. 도 8은, 기기 타입과 동작 모드에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의 유지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기기 타입과 동작 모드의 조합마다, 인증 필요성 정보가 관련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기기 타입이 "레코더"(논리적 어드레스가 "1", "2" 또는 "9")인 기기일 때, 동작 모드가 "튜너 모드"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필요하고, 동작 모드가 "사진 모드"일 경우에는 HDCP인증이 불필요하다. 이렇게, 프라이빗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진 모드"동안에, HDCP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HDMI포트#A에 접속된 기기에 대해서, 인증 필요성 정보가, 튜너 모드 및 사진 모드의 2개의 동작 모드 각각과 연관된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EDID의 수신을 완료하면, CEC코맨드를 사용해서 제어부(118)에 대하여 기기정보를 전달한다. 그와 더불어,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DDC라인(129)을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키 셀렉션 벡터를 송신한다(단계S308). 그리고, 단계S309에서, HDCP인증 처리를 시험해본다.
다음에, 단계S310에서, 셀렉터부(113)에 있어서, 단계S308에서의 키 셀렉션 벡터의 송신에 관련되는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만약,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로 이행된다.
또한, HDCP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S308과 단계S309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처리는 상기의 단계S307로부터 직접적으로 단계S310으로 이행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6에 나타낸 기기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HDMI포트#A에 접속되는 기기는, HDCP인증 처리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기기로부터의 DDC요구에 따라 상기의 단계S301에서 시작하는 상기 처리들이 행해지는 경우, 단계S307에 의한 기기 관리 테이블 작성 후, 처리가 직접적으로 단계S310으로 이행된다.
한편, 단계S310에서, 해당 HDMI포트(105)가 선택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1로 이행된다. 이 경우,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할 수 없어서, 단계S309에서 시험해본 HDCP인증 처리가 실패한다.
단계S311에서는,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셀렉터 전환 신호가 수신되어 선택가능 입력단의 변경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S312에서, 그 수신된 셀렉터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셀렉터부(113)에 있어서 선택가능 입력단을 전환한다. 이 예에서는,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 전환한 결과, HDMI 포트(105)가 선택된다.
다음에, HPD판정부(120)는, 전환된 선택가능 입력단(113A)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기기 관리부(124)가 유지하는 기기 관리 테이블로부터 얻어진 인증 필요성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S313에서, 취득된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하여, 전환된 선택가능 입력단(113A)의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HDCP인증이 필요한지 불필요한지가 판정된다. 만약,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4에 이행한다.
단계S314에 있어서, HPD송신부(121)는,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Low상태의 HPD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송신한다. Low상태의 HPD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은,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Low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시간으로 하여서, HDMI 규격에 의하면, 이 시간은 최단으로 100ms로서 특정하고 있다. 단계S314에 있어서, Low상태의 HPD신호를 이 최단의 시간이상인 300msec동안,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본 제1의 실시예에서는 Low상태의 HPD신호의 송신 시간을 300msec로 특정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300msec의 시간은,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Low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경험적으로 결정한 것이며,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Low상태를 검출가능하면,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도 된다.
단계S314에서의 HPD신호의 송신이 완료하면, 처리는 단계S302에 복귀된다. 그리고, HPD송신부(121)는, High상태의 HPD신호를, 단계S310에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DDC액세스 준비가 완료한 것이 다시 한번 통지되어, 통신 초기화처리가 다시 한번 실행되고, EDID 요구 처리 및 HDCP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그렇지만, 상기의 단계S313에서,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해 HDCP인증 처리가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이 경우, DDC통신의 초기화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HPD 신호는, High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315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현재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HDMI포트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송신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HDMI포트 105 또는 106과 셀렉터부(113)를 거쳐서 HDMI리시버(114)에 공급된다. HDMI 리시버(114)는, 이것들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고, 입력 소스 선택부(112)를 거쳐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5),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37)에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S316에서, 영상처리부(135) 및 음성처리부(137)는, 공급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311에 복귀되고, 여기에서,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동안 대기한다.
상기에서는, HDMI포트 105와 106 중 한쪽에만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제1의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들 HDMI포트 105 및 106 양쪽에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전술한 단계S301∼단계S309의 처리를, 이것들 HDMI포트 105 및 106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 양쪽에 대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HDMI포트(105 및 106)에 접속된 양쪽의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해서 기기정보를 취득하고, 기기 관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예에서 행해진 처리를, 이후 도 4의 타이밍 차트를 사용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적당하게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4a∼4d는, HDMI포트(105)의 각종 신호의 타이밍 예이며, 참조부호 4f∼4h는 HDMI포트(106)의 각종 신호의 타이밍 예다. 또한, 참조부호 4e는, 셀렉터부(113)의 동작 타이밍을 보이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참조부호 4a는, 5V파워 라인의 전압변화의 예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b 및 4f는, 각각 HPD라인의 전압변화의 예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c 및 4g는, 각각의 DDC액세스의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끝으로, 참조부호 4d 및 4h는, 각각의 셀렉터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HDMI포트105에 대하여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접속되는 반면에, HDMI포트106에 대하여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2)가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느 한쪽의 영상신호 출력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 셀렉터부(113)는, 이 후 선택하는 HDMI포트와 다른 HDMI포트를 선택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제1의 예시로서, 시간tl∼t5에 있어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HDMI포트106이 선택되고, 그 후에 시간t6에서,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따라, 셀렉터부(113)에 의해 HDMI포트105가 선택되는 경우에 관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의 기동에 따라, 5V 파워 라인(125)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도 4의 시간tl). 그 후, 5V 파워 판정부(119)는, 5V 파워라인(125)의 전압값에 근거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DDC액세스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한다(도 3의 단계S301).
이 DDC액세스 요구에 따라, 시간t2에서, HPD송신부(121)에 의해 HPD신호를 High상태로 한다(도 3의 단계S302). 그 후의 시간t3에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EDID용 ROM(116)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송신한다.
이 액세스 요구에 따라 EDID용 ROM(116)으로부터 판독된 EDID가, 시간t3에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송신된다(도 3의 단계S303 및 단계S304).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EDID의 판독을 완료하면,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CEC코맨드를 송신한다. 이 CEC코맨드를 수신한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CEC코맨드를 해석해서, 기기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고, 기기 관리부(124)에 그 테이블을 기억한다(단계S305∼단계S307).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HDCP의 키 셀렉션 벡터를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송신하고(도 3의 단계S308), 시간t4에서, HDCP 인증을 시험해본다(도 3의 단계S309).
시간t4에서는, 셀렉터부(113)에 있어서 선택가능 입력단(113B)이 현재 선택되어 있어,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인증에 실패하여, DDC라인(129)이 부정상태가 된다.
그 후,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따라, 시간t6에서, 셀렉터부(113)에 셀렉터 전환 신호가 인가된다고 한다(도 3의 단계S311). 이 셀렉터 전환 신호에 따라, 셀렉터부(113)는,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A으로 전환시킨다(단계S312). 이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18)는, 기기 관리부(124)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관리 테이블에 근거하여, HDMI 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에 필요한 기기인가를 판정한다(도 3의 단계S313). 이 판정 결과에 따라, HPD 송신부(121)로부터 HPD라인(126)에 대하여, HPD신호가 예를 들면 300ms의 기간(시간t7∼시간t8), Low상태로 유지된다(도 3의 단계S314).
시간t7 후 300ms가 경과한 시간t8에서, High상태의 HPD 신호가, HPD송신부(121)로부터 HPD라인(126)에 대하여 송신된다(도 3의 단계S302). 이 High상태의 HPD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EDID액세스가 요구된다. 이 요구에 따라, EDID가 텔레비젼 수상기(100)로부터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송신된다(시간t9; 도 3의 단계S303 및 단계S304).
한층 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키 셀렉션 벡터가 송신되고, 시간tlO에서,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수신된다(도 3의 단계S308).
시간tll에서, HDCP 인증이 성공하면(도 3의 단계S309),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송신된다.
다음에, 제2의 예시로서,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2)가 접속되는 HDMI포트(106)를 선택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간t12에 있어서, 영상신호 출력장치(102)가 HDMI포트(106)에 접속되고, 셀렉터부(113)에 의해 HDMI포트(105)가 현재 선택되어 있다고 한다. 그 후에,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따라, 시간t6에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HDMI포트(106)가 선택되는 것도 가정한다.
상기의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의 예와 같이,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의 기동에 따라, 5V 파워라인(130)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5V 파워 판정부(119)는, 5V 파워라인(130)의 전압값에 근거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부터 DDC액세스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한다. 이 DDC액세스 요구에 따라, HPD송신부(121)에 의해 HPD신호가 High상태라고 하고,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EDID용 ROM(116)에 대한 액세스 요구가 송신된다.
이 액세스 요구에 응답하여 EDID용 ROM(116)으로부터 판독된 EDID가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 후, 도 3의 단계S305∼단계S307의 처리에 의해,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에 관한 기기 관리 테이블이 작성되어, 기기 관리부(124)에 기억된다.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이기 때문에, 단계S308 및 단계S309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장치는 셀렉터부(113)에 대한 셀렉터 전환 신호동안 대기한다(도 3의 단계S311).
시간t6에서 셀렉터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셀렉터부(113)는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 바꾼다(도 3의 단계S312). 여기에서, 제어부(118)는, 기기 관리 테이블에 근거하여 HDMI 포트(106)에 접속되어 있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2)가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라고 판정해(도 3의 단계S313), HPD라인의 HPD신호를 High상태 그대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셀렉터부(113)에서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 바꾸는 것만으로, 시간t13에서,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대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도 3의 단계S315, S316).
이와 같이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저작권보호가 필요하지 않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HDMI포트의 전환시에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HDMI포트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나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출력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EDID용 ROM에의 액세스는 행할 수 있지만 HDCP용 ROM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없고, DDC라인이 부정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HDMI포트의 전환을 행했을 때에, 안정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대해서, 도 9의 블록도 및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제2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700)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전술한 도 2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 701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118에 대응하고, 5V 파워 판정부(119)와 아울러, HPD판정부(120) 및 HPD송신부(121)를 가짐과 동시에, 본 제2의 실시예에 특유한 구성인 정보 프레임(InfoFrame) 취득부(702)를 가진다.
인증 필요성 정보취득부로서의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는, TMDS라인(128 및 133)에 전송된 데이터내에 보조 데이터로서 포함된, DataIsland영역의 InfoFrame패킷을 취득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출력되어 HDMI포트(105)에 입력된 보조 데이터가, TMDS라인(128)을 거쳐서 셀렉터부(113)에 공급된다. 셀렉터부(113)에서 HDMI포트(105)에 대응하는 선택가능 입력단113A가 선택되면, 해당 보조 데이터는, HDMI리시버(114)에 공급된다. HDMI 리시버(114)는, 공급된 보조 데이터로부터 InfoFrame패킷을 추출하여, 제어부(118)내의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에 보낸다.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는, 취득된 InfoFrame패킷을 해석하고, 대응하는 TMDS라인(128 및 133)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를 얻고, 이 기기정보를 기기 관리부(703)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AVI InfoFrame 패킷에 포함된 Source Device Information 데이터에 의해 나타낸 기기 타입을 취득한다.
도 11은, AVI InfoFrame 패킷의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바이트마다 프레임이 정의되고, 선두의 프레임, 즉 InfoFrame Type Code로, 이 InfoFrame패킷의 타입이 표시된다. 다음 프레임, 즉 InfoFrame Version Number로 버전이 표시되고, 그 다음 프레임, 즉 Length of Source Product Description InfoFrame은, 해당 프레임을 뒤따르는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낸다. Frame Data Bytel∼Frame Data Byte8은, 벤더 이름을 나타내는 7비트의 ASCII 코드를 보유한다. Frame Data Byte 9∼Data Byte 24는, 기종명을 나타내는 7비트의 ASCII 코드를 보유한다.
Frame Data Byte 25는, Source De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보유한다. 이 Source Device Information 데이터는, 기기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다.
기기 관리부(703)는, 상기의 제1의 실시예의 기기 관리부(124)와 같은 방법으로, 기기 타입마다 관련지어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보유한다. 도 12는 본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필요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Source Device Information 데이터에 정의된 기기 타입마다 관련지어,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가 미리 기억된다. 기기 관리부(703)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의 InfoFrame 패킷의 내용을 그 인증 필요성 정보와 비교하여서 기기 관리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InfoFrame 패킷은, HDMI를 거쳐 전송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는 달리, 암호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InfoFrame 패킷을, HDCP인증의 결과에 상관없이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송신가능해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도 수신가능하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구성은 텔레비젼 수상기(700)가 기기 타입과 연관된 인증 필요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InfoFrame패킷으로서 벤더에 의해 정의 가능한 Vendor Specific InfoFrame패킷을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 또는 102는, 텔레비젼 수상기(700)에 대하여,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을 사용하여,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직접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텔레비젼 수상기(700)에 대하여 동작 모드별로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동적으로 바꾸어서 통지가능하다.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700)는, 기기 타입마다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를 미리 보유할 필요가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서 행한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0에 있어서, 전술한 도 3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301∼S304에서,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 또는 102는, EDID의 수신을 완료하면, DDC라인을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700)에 대하여 키 셀렉션 벡터를 송신해(단계S308), HDCP인증 처리를 시험해본다.
이때, 이하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MI포트(105)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하의 설명은,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을 "영상신호 출력장치 102"로 대체하고, HDMI포트105를 HDMI포트106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적용한다.
HDCP인증이 성공하면(단계S309),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InfoFrame 패킷의 송신을 시작한다. 텔레비젼 수상기(700)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송신된 InfoFrame패킷을 수신하고, TMDS라인(128)을 거쳐서 제어부(701)의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에 공급한다(단계S801).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는, 공급된 InfoFrame패킷을 해석하고, 기기정보를 포함하는 AVI InfoFrame 패킷 혹은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정보 프레임 취득부(702)는, 추출한 패킷으로부터 기기 타입, 벤더 이름 및 기기 이름을 취득하고, 기기 관리부(703)에 그 정보를 공급한다. 기기 관리부(703)는, 패킷으로부터 취득된 기기 타입에 근거하여 기기 타입마다 미리 유지된 인증 필요성 정보와 상기 패킷으로부터 취득된 기기정보를 관련시키고, 기기 관리 테이블에 그 관련 정보를 기억한다(단계S802).
다음에, 단계S310에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단계S308에서의 키 셀렉션 벡터의 수신에 관련되는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만약,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이때, HDCP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S308과 단계S309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처리는 상기의 단계S304로부터 직접적으로 단계S801로 이행된다. 예를 들면, 해당 기기가 단계S304에서의 EDID를 송신하면, 다음에 InfoFrame패킷을 송신한다.
그렇지만, 단계S310에서, 해당 HDMI포트(105)가 선택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1에 이행된다. 이 경우에는,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할 수 없어서, 인증처리가 실패한다.
단계S311에서는,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셀렉터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다음 단계S312에서, 수신된 셀렉터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셀렉터부(113)에서 선택가능 입력단을 바꿀 수 있다. 이 예시에서는, 셀렉터부(113)는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 바꾼 결과, HDMI 포트(105)가 선택된다.
다음에, HPD판정부(120)는, 전환된 선택가능 입력단113A를 통해 선택된 HDMI포트(105)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기기 관리부(703)가 유지하는 기기 관리 테이블로부터 취득된 인증 필요성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된 인증 필요서 정보에 근거하여, 다음 단계S313에서, 전환된 선택가능 입력단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에 대해서, HDCP인증이 필요한지 불필요한지가 판정된다. 만약,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4에 이행한다. 단계S314에 있어서, HPD송신부(121)는, 전환된 HDMI포트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Low상태의 HPD신호를 소정양의 시간(예를 들면, 300ms)동안 송신한다.
단계S314에서의 HPD신호의 송신이 완료하면, 처리는 단계S302에 복귀된다. 그리고, HPD송신부(121)는, High상태의 HPD신호를, 단계S312에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DDC액세스 준비가 완료한 것이 다시 한번 통지되고, 통신 초기화처리가 다시 한번 실행되어, EDID 요구 처리 및 HDCP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그렇지만, 상기의 단계S313에서,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 처리가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이 경우, DDC통신의 초기화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HPD 신호는, High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315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현재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송신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HDMI포트(105 또는 106) 및 셀렉터부(113)를 거쳐서 HDMI리시버(114)에 공급된다. HDMI 리시버(114)는,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고, 입력 소스 선택부(112)를 거쳐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5)에,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37)에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S316에서, 영상처리부(135) 및 음성처리부(137)는, 상기 공급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311에 복귀되어,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동안 대기한다.
이때, 본 제2의 실시예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이, HDMI포트105 및 106에 각각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제2의 실시예에서는, HDCP인증이 필요한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HDMI포트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기는 HDCP용 ROM(115)에 액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인증이 실패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단계S309에서 인증이 실패하면, 단계S801 및 단계S802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S311로 처리를 이행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12에서 셀렉터를 바꾸고 단계S313에서 기기 관리 테이블이 참조될 때에, 해당 기기의 기기정보가 기기 관리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S314에 처리를 이행하고, DDC 통신을 재개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저작권보호가 필요하지 않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HDMI포트의 전환시에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그 때문에, HDMI포트의 전환 조작으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출력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의 실시예에서는 CEC제어를 생략하기 때문에, 보다 가벼운 하드웨어 구성에서 상기의 제1의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대해서, 도 13의 블록도 및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3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1100)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도 13에 있어서, 전술한 도 2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 1101은, 도 2에 도시되는 제어부 118에 해당하는 것으로, 5V 파워 판정부(119), HPD판정부(120) 및 HPD송신부(121)를 가진다. 그와 더불어, 제어부(1101)는, 본 제3의 실시예에 특유한 구성인, 인증 필요성 정보 취득부로서의 HDCP인증 시작 판정부(1102)를 가진다. HDCP 인증 시작 판정부(1102)는, DDC라인(129 및 134)을 거쳐서 공급된 키 셀렉션 벡터를 감시한다. 그리고, HDCP 인증 시작 판정부(1102)는, DDC라인(129 및 134)에 접속된 기기에 대해서,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HDCP인증 시작 판정부(1102)는, 키 셀렉션 벡터를 수신했을 경우에, 해당 수신이 이루어진 DDC라인을 포함하는 HDMI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가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HDCP 인증 시작 판정부(1102)는, 이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HDMI포트에 대하여, 해당 HDMI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가 HDCP인증이 필요한 기기인 것을, 기기 관리부(1103)에 대하여 통지한다.
기기 관리부(1103)는, HDCP인증 시작 판정부(1102)에 의한 이 통지를 받으면, 그 받은 통지에 포함된 정보를, 해당 HDMI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로서, 기기 관리 테이블에 기억한다. 이때, 기기 관리 테이블에 기억된 정보는, 해당 HDMI포트에서의 다음번 5V 파워라인이 Low상태에 이동하거나, 또는, 해당 HDMI포트의 5V 파워라인이 새롭게 High상태가 될 때까지 유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서 행해진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4에 있어서, 전술한 도 3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301∼S304에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또는 102에 대한 EDID의 송신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 후, 처리는 단계S1201에 이행된다.
이때, 이하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HDCP인증이 필요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MI포트(105)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하의 설명은,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을 "영상신호 출력장치102"로 대체함과 동시에, "HDMI포트105"를 "HDMI포트106"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단계S1201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100)에 있어서의 HDCP인증 시작 판정부(1102)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의 키 셀렉션 벡터를 대기한다. 그렇지만, 만약 소정시간내에 키 셀렉션 벡터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라고 가정하여, 처리는 단계S1202에 이행한다. 그렇지만, 소정시간내에 키 셀렉션 벡터의 수신이 있으면, 처리는 단계S309에 이행되어, HDCP 인증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에, 단계S1202에서는, 단계S1201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를,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접속되는 HDMI포트(105)와 관련시킨다. 이 HDMI포트(105)에 관련된 인증 필요성 정보는, 기기 관리 테이블에 기억된다. 즉, 본 제3의 실시예에서는, 키 셀렉션 벡터의 수신의 유무에 의거해,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판단한다.
다음에, 단계S310에서는, 셀렉터부(113)에 의해 단계S1201에서 키 셀렉션 벡터의 수신 판단에 포함되는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만약, HDMI포트(105)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그렇지만, 단계S310에서, 해당 HDMI포트(105)가 선택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단계S311에 이행되어,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셀렉터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다음의 단계S312에서, 상기 수신된 셀렉터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셀렉터부(113)에서 선택가능 입력단을 바꾼다. 이 예시에서는, 셀렉터부(113)가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 전환한 결과, HDMI 포트(105)가 선택된다.
다음에, HPD판정부(120)는, 전환된 선택가능 입력단113A를 통해 선택된 HDMI포트(105)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기기 관리부(1103)가 유지하는 기기 관리 테이블로부터 취득된 인증 필요성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된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하여, 다음의 단계S313에서, 해당 HDMI포트(105)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HDCP인증이 필요한지 불필요한지가 판정된다. 만약,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4에 이행한다.
단계S314에 있어서, HPD송신부(121)는, 전환된 HDMI포트(105)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Low상태의 HPD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면, 300ms)동안 송신한다.
단계S314에 의한 HPD신호의 송신이 완료하면, 처리는 단계S302에 복귀된다. 그리고, HPD송신부(121)에 의해, High상태의 HPD신호가, 단계S312에서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에 따라,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하여 DDC액세스 준비가 완료한 취지가 다시 한번 통지되고, 통신 초기화처리가 다시 한번 실행되어, EDID 요구 처리 및 HDCP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그렇지만, 상기의 단계S313에서,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해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 처리를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이 경우, DDC통신의 초기화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HPD신호는, High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315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현재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송신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HDMI포트(105 또는 106)와 셀렉터부(113)를 거쳐서 HDMI리시버(114)에 공급된다. HDMI 리시버(114)는,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고, 입력 소스 선택부(112)를 거쳐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5)에,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37)에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S316에서, 영상처리부(135) 및 음성처리부(137)는, 공급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출력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311에 복귀되어, 셀렉터 전환 신호가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이때, 본 제3의 실시예도, 전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예와 같이, HDMI포트 105 및 106에 각각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 및 10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전술한 단계S301∼단계S309, 및, 단계S1201 및 단계S1202의 처리를, 이것들 HDMI포트105 및 106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 양쪽에 대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HDMI포트(105 및 106)에 접속된 양쪽의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해서 기기정보를 취득하고, 기기 관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하면, 키 셀렉션 벡터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고, HDMI 포트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HDCP인증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를 관리 및 기억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셀렉터부(113)의 전환시에, HDCP통신이 필요한 기기로 전환하는 경우에만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로 전환할 때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4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제4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구성 및 HDMI포트 접속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도 15에 도시되는 텔레비젼 수상기 1300은,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텔레비젼 수상기 100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 도 2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의 예시에서는, 영상제어장치로서의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HDMI포트(106)에,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가 접속된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HDMI포트1304A 및 1304B를 갖고, 제어부(1303)의 제어에 따라 이것들 HDMI포트1304A 및 1304B를 바꿀 수 있다. 즉,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HDMI포트1304A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과, HDMI포트1304B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2에 접속된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예를 들면 AV앰프(amplifier)등의 리피터(repeater) 장치이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제어부(1303)에서 출력되는 셀렉터 전환 신호에 의거하여 셀렉터부(1304)를 제어하여서, HDMI포트1304A 및 1304B를 바꾸고,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대한 접속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셀렉터부(1304)는,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송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선택한다.
5V 파워라인(130) 및 HPD라인(131)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내의 제어부(1303)를 거쳐서 HDMI포트1304A 및 1304B에 접속된다. CEC 라인(132)은, HDMI포트1304A 및 1304B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TMDS라인(133) 및 DDC라인(134)은, 셀렉터부(1304)를 거쳐서 HDMI포트1304A 또는 HDMI포트1304B에 접속된다.
끝으로, 도 15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HDMI포트1304A와 1304B 양쪽의 EDID용 ROM을 가짐과 아울러, 셀렉터부(1304)의 공통 단자에 HDCP용 ROM을 가진다.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있어서 기기 관리부(1301)는, 도 2에 도시되는 기기 관리부(124)에 대응한다. 기기 관리부(1301)는, 본 제4의 실시예에 특유한 구성인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HDMI포트의 정보를 기억하고,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102)의 인증 필요성 정보도 기억한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텔레비젼 수상기(1300)와 접속된 후,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수상기(1300)와 소정의 동작, 이를테면 DDC요구, EDID요구, EDID수신등을 행하여서, 물리적 어드레스가 확정된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물리적 어드레스가 확정되면,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HDMI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CEC코맨드를 사용해서 송신한다.
이 후에,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 중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의해 선택된 기기는, 텔레비젼 수상기(1300)와 상기 언급된 동작을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행한다.
한층 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HDMI포트1304A나 1304B에 대하여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와의 사이에서, HDMI에 규정되는 소정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3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단계S301∼단계S304에서 설명한 EDID에 관한 처리를 행해 물리적 어드레스를 확정한다. 물리적 어드레스가 확정된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CEC라인을 거쳐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CEC코맨드를 송신할 수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나,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 및/또는 102로부터 송신된 CEC코맨드를 수신하면, 수신된 코맨드를 CEC해석부(122)를 사용하여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로서 CEC코맨드로부터 추출된 기기정보는, 기기 관리부(1301)내의 기기 관리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와 영상신호 출력장치와의 사이에서, 도 3의 단계S308 및 단계S309에서 설명한 HDCP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1300)와 접속되었을 때에, 이 인증 처리로 인증된 장치에 대해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와의 사이에서 HDCP인증 처리를 행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3)에 의해 원격적으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3)의 조작에 따라, HDMI포트(105 및 106)에 접속된 기기의 리스트를, 제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기기 관리 정보를 사용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경우와 같이,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HDMI포트에 접속된 장치에 또 다른 HDMI포트가 설치되는 경우, 이 HDMI포트에 접속된 기기도, 리스트 표시된다.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03)를 조작해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기기를 1개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및 음성을, 텔레비젼 수상기(1300)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즉,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셀렉터부(113)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는, 리모트 컨트롤러(103)를 사용하여 행해진 선택 조작에 따라, 선택된 기기의 출력이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는, 리모트 컨트롤러(103)에 의한 조작에 따라 제어부(118)에서 생성된 CEC코맨드에 의해 제어된다.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있어서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공급되고,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표시부, 스피커등을 통해 출력된다.
도 16은, 본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기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기 관리 테이블은, 접속 포트마다, 물리적 어드레스, 논리적 어드레스, 벤더ID 및 기기 타입 등의 기기정보와, 인증 필요성 정보를 연관시켜 이 연관된 정보를 기억한다. 덧붙여,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HDMI포트1304A 및 1304B의 정보를 기억한다.
도 16에 도시된 예는, HDMI포트#B에 대하여 3대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물리적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제1의 기기는, HDMI포트#B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반면에, 제2 및 제3의 기기는, 제1의 기기를 거쳐서 HDMI포트#B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의 기기는 HDCP인증이 필요하고, 제3의 기기는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서 행해진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7에 있어서, 전술한 도 3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처리에 앞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 및 102)와의 사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동작에 의해, 물리적 어드레스의 확정, HDCP인증 처리등이 행해진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있어서, 셀렉터부(1304)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접속되는 HDMI포트1304A를 현재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단계S301∼S304에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EDID를 송신한다. 그 송신된 EDID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에서 선택된 HDMI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영상신호 출력장치에서 수신된다.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는, EDID를 수신하면, CEC코맨드를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로부터, 셀렉터부(1304)에서 이루어진 현재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CEC코맨드를 거쳐 송신된다. 그 후, 이것들의 CEC코맨드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수신된다(단계S305).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수신한 CEC코맨드를 해석해서 기기 관리 테이블을 작성한다(단계S306, 단계S307). 이 기기 관리 테이블은,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 101 및/또는 102에 관한, 기기정보가 기억된다. 전술한 셀렉터부(1304)의 현재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기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도 좋거나, 별도로 유지되어도 좋다.
또한, 셀렉터부(1304)에서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는, EDID를 수신한 후,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대하여 키 셀렉션 벡터를 송신하고, HDCP 인증을 시험해본다. 키 셀렉션 벡터가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서 수신되면, HDCP인증 처리가 이루어진다(단계S308 및 단계S309).
다음에, 단계S310에서, 셀렉터부(113)에 있어서, 단계S308에서 키 셀렉션 벡터의 송신에 관련되는 HDMI포트(도 15의 예시에서는 HDMI포트106)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만약 HDMI포트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S1501에 이행된다.
이때, HDCP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S308과 단계S309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처리는 상기의 단계S307로부터 직접적으로 단계S310에 이행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16에 나타낸 기기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HDMI포트#B에 접속되어 물리적 어드레스가 [2.2.0.0]인 기기는, HDCP인증 처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기기로부터의 DDC요구에 따라 상기의 단계S301로부터의 처리가 행해지기 시작하는 경우, 단계S307에 의한 기기 관리 테이블 작성 후, 처리가 직접적으로 단계S310에 이행된다.
그렇지만, 단계S310에서, 키 셀렉션 벡터의 송신에 관련되는 HDMI포트가 선택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1에 이행되어,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동안 대기한다.
단계S311에서, 셀렉터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S312에서, 수신된 셀렉터 전환 신호에 따라, 셀렉터부(113)에 있어서 선택가능 입력단을 전환한다. 이 예시에서, 셀렉터부(113)는, 선택가능 입력단113A로부터 선택가능 입력단113B로 전환한 결과, HDMI포트(106)가 선택된다. 셀렉터부(113)의 전환이 이루어지면, 처리는 단계S1501에 이행된다.
이때, 본 제4의 실시예에서는, 셀렉터 전환 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1300)의 셀렉터부(113)에 대한 전환 지시와,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에 대한 전환 지시를 포함한다. 즉,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CEC코맨드를 사용해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계S307에서 작성된 기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대하여, 셀렉터부(1304)의 전환 지시를 송신한다.
단계S1501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내의 셀렉터부(1304)에 의해 단계S308에서의 키 셀렉션 벡터의 송신에 관련되는 HDMI포트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예시에서는, 셀렉터부(1304)에 의해 HDMI포트1304A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만약 HDMI포트1304A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그렇지만, 해당 HDMI포트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1502에 이행된다.
단계S1502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대하여, 해당 HDMI포트를 선택하도록 셀렉터부(1304)를 전환하는 CEC코맨드를 송신한다. 이 예시에서는, 셀렉터부(1304)를 HDMI포트1304A로 전환하는 CEC코맨드를 송신한다. CEC 코맨드가 송신되면, 처리가 단계S313에 이행된다.
단계S313에서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에 있어서 전환된 HDMI포트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가 HDCP인증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즉, HPD판정부(120)는, HDMI포트1304A에 접속되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에 대해서, 기기 관리부(1301)가 유지하는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인증 필요성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 취득된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인증을 필요로 하는지 불필요로 하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4에 이행한다.
단계S314에 있어서, HPD송신부(121)는, 단계S313에서 HDCP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Low상태의 HPD신호를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00ms)동안 송신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302에 복귀되어, HPD 송신부(121)에 의해 High상태의 HPD신호가 송신된다. 이 HPD신호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제어부(1303)를 거쳐서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에 송신된다. 이에 따라 DDC액세스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여, 통신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상기의 단계S313에서, 기기 관리 테이블의 인증 필요성 정보에 근거해 해당 영상신호 출력장치(101)가 HDCP 인증 처리를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315에 이행된다. 이 경우, DDC통신의 초기화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HPD신호는 High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315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현재 셀렉터부(113)에 의해 선택된 HDMI포트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예시에서, 이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영상신호 출력장치(101)로부터 송신되어,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를 거쳐서 텔레비젼 수상기(1300)에 수신된다.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셀렉터부(113)를 거쳐서 HDMI리시버(114)에 공급된다. 그 후, HDMI리시버(114)는, 이것들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고, 입력 소스 선택부(112)를 거쳐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5)에,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37)에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S316에서, 영상처리부(135) 및 음성처리부(137)는, 공급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출력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311에 복귀되어, 상기 장치는 셀렉터 전환 신호동안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의하면,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HDMI포트에 접속된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의 상태를 기억한다. 추가로, 텔레비젼 수상기(1300)는,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HDMI포트에 접속된 영상신호 출력장치의 인증 필요성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셀렉터부(113) 및 영상신호 선택장치(1302)의 셀렉터부(1304)가 HDCP통신이 필요한 기기로 전환할 때에만, DDC통신을 재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HDCP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기기로 전환할 때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8년 8월 1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8-208737과 2009년 5월 27일에 출원된 2009-128061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9)

  1. 외부 접속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양쪽을 출력하는 통신을 인증하는데 필요할 때에 사용된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부;
    상기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종류에 대하여 정의된 기기 타입과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가 기억된 제1 테이블을 보유하는 보유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데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가 상기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영상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에는,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과 벤더ID의 조합과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상기 인증 필요성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상기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벤더ID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데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영상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에는,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과 동작모드의 조합과 관련지어,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상기 인증 필요성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상기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데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영상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의 코맨드를 수신하기 위한 코맨드 선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 상기 코맨드 선을 거쳐서 공급된 코맨드에 근거해 상기 기기 타입을 취득하는, 영상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의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양쪽과 아울러,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선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선을 거쳐서 공급된 상기 보조 데이터에 근거해 상기 기기 타입을 취득하는, 영상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감시하고, 상기 액세스가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상기 액세스가 없는 경우에 상기 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하는, 영상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와, 상기 외부 접속 기기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제2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판정의 결과에 근거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상기 인증 필요성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접속부에 관련지어 상기 제2 테이블에 기억하고,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해서, 상기 제2 테이블을 참조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영상제어장치.
  8. 외부 접속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가 영상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양쪽을 출력하는 통신을 인증하는데 필요할 때에 사용된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부를 구비한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각각의 외부 접속 기기의 종류에 대하여 정의된 기기 타입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한 인증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인증 필요성 정보가 관련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것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인증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통신 초기화처리를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17005411A 2008-08-13 2009-07-23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5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8737 2008-08-13
JP2008208737 2008-08-13
JPJP-P-2009-128061 2009-05-27
JP2009128061A JP5210244B2 (ja) 2008-08-13 2009-05-27 映像制御装置及び映像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PCT/JP2009/063539 WO2010018751A1 (en) 2008-08-13 2009-07-23 Video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contro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109A true KR20110042109A (ko) 2011-04-22
KR101255049B1 KR101255049B1 (ko) 2013-04-18

Family

ID=4166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411A KR101255049B1 (ko) 2008-08-13 2009-07-23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73024B2 (ko)
EP (1) EP2324632B1 (ko)
JP (1) JP5210244B2 (ko)
KR (1) KR101255049B1 (ko)
CN (1) CN102124734B (ko)
WO (1) WO2010018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231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542A (ja) * 2008-12-16 2010-07-01 Panasonic Corp データ送信回路
WO2011021315A1 (ja) * 2009-08-18 2011-0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入力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116016B1 (ko) 2010-03-03 2012-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JP5384594B2 (ja) * 2010-04-20 2014-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出力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システム、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47619B1 (ja) 2010-04-20 2011-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出力装置、ソース機器、テレビジョン受像機、システム、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MX2012013190A (es) * 2010-05-19 2012-12-17 Sharp Kk Dispositivo de origen, dispositivo colector, sistema, programa y medio de grabacion.
JP5278835B2 (ja) * 2011-01-18 2013-09-0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5797029B2 (ja) * 2011-06-23 2015-10-21 興和株式会社 スイッチャー
US9224359B2 (en) 2011-09-26 2015-12-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band peripheral authentication
JP5811771B2 (ja) * 2011-10-31 2015-11-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送信装置
US8681977B2 (en) * 2011-12-13 2014-03-25 Crestron Electronics Inc. Enabling/disabling display data channel access to enable/ disable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8713316B2 (en) * 2011-12-13 2014-04-29 Crestron Electronic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disabling display data channel access to enable/disable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KR20130071874A (ko) * 2011-12-21 2013-07-01 (주)휴맥스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259999B (zh) * 2012-02-20 2016-06-1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Hpd信号输出控制方法、hdmi接收端设备及系统
JP6080963B2 (ja) * 2012-10-12 2017-02-15 スリング メディア,インク. プレイスシフト装置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CN103200442B (zh) * 2013-04-07 2016-06-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利用机顶盒控制高清节目播放的方法
JP2015004882A (ja)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東芝 表示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処理方法
KR102159228B1 (ko) * 2013-09-12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처리 장치, 오디오 처리 방법, 초기화 모드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5106825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東芝 信号伝送方法及び電子機器
CN105100859A (zh) * 2014-05-21 2015-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模机顶盒及其模式管理方法
TWI554113B (zh) * 2015-01-27 2016-10-1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切換器及其切換方法
JP2016177701A (ja) * 2015-03-20 2016-10-06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hdmiデバイス
JP6509004B2 (ja) * 2015-03-30 2019-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切替装置
WO2016193445A1 (de) * 2015-06-03 2016-12-08 Hirschmann Automation And Control Gmbh Vlan-port-signaling
CN105450966A (zh) * 2015-12-17 2016-03-30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hdmi输入源切换的方法
CN109792558B (zh) * 2016-09-30 2021-11-30 索尼公司 传送装置、传送方法、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JP6995659B2 (ja) * 2018-02-14 2022-01-14 株式会社フジクラ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及びカテーテル
CN109936708B (zh) * 2019-04-28 2021-05-04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vga视频切换装置、方法及系统
US11933765B2 (en) * 2021-02-05 2024-03-19 Evident Canada, Inc. Ultrasound inspection techniques for detecting a flaw in a test object
US11665392B2 (en) * 2021-07-16 2023-05-30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 playback and attenuation of audio based on user preference
KR20230020182A (ko) * 2021-08-03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287632A1 (en) 2021-08-03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TWI783695B (zh) * 2021-09-24 2022-11-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切換影音接收介面的方法與電路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558A (ja) * 2003-07-29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2005215750A (ja) 2004-01-27 2005-08-11 Canon Inc 顔検知装置および顔検知方法
KR100722855B1 (ko) * 2005-09-06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수신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7078980A (ja) 2005-09-13 2007-03-29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7089013A (ja) * 2005-09-26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画面を高速に出画するav機器
CN101322342A (zh) * 2005-09-30 2008-1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传输系统
KR100774172B1 (ko) * 2005-12-02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7233960A (ja) * 2006-03-03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証処理装置および認証処理方法
JP2007318514A (ja) * 2006-05-26 2007-12-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11928B1 (ko) * 2006-10-27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그의 입력 소스 전환 방법
KR101285863B1 (ko) * 2006-11-17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통신 최적화 방법
JP2008158208A (ja) * 2006-12-22 2008-07-10 Toshiba Corp 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出力方法
JP5029121B2 (ja) * 2007-04-25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03882A (ja) * 2007-06-25 2009-01-08 Toshiba Corp 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231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8751A1 (en) 2010-02-18
CN102124734A (zh) 2011-07-13
EP2324632A4 (en) 2014-08-20
JP5210244B2 (ja) 2013-06-12
US8973024B2 (en) 2015-03-03
JP2010068509A (ja) 2010-03-25
EP2324632B1 (en) 2017-09-27
CN102124734B (zh) 2013-07-17
EP2324632A1 (en) 2011-05-25
KR101255049B1 (ko) 2013-04-18
US20110113442A1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049B1 (ko) 영상제어장치 및 영상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RU2427096C1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8199258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98878A1 (ja) 映像音声データ同期方法、映像出力機器、音声出力機器及び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
US20100185764A1 (en) Dlna-compliant device, dlna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8717503B2 (en) Audio output device connectable with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297655A1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method
JP2008034907A (ja) Av機器、av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方法
JP2009253468A (ja) 映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90322A (ja) 映像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機器制御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ならびに映像表示装置
JP2011041204A (ja) 通信機器
JP200806702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491745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080266455A1 (en) Inactiv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video apparatus thereof
US8312180B2 (en) 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301339A (ja) 表示装置及びシステム
JP4799337B2 (ja) 表示装置、av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表示システム
JP2010098378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KR20120038116A (ko)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7855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2009246514A (ja) 放送受信装置、その制御方法
KR20100050373A (ko)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JP2013126204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2010041202A (ja) 表示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1041203A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