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030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030A
KR20110041030A KR1020090098022A KR20090098022A KR20110041030A KR 20110041030 A KR20110041030 A KR 20110041030A KR 1020090098022 A KR1020090098022 A KR 1020090098022A KR 20090098022 A KR20090098022 A KR 20090098022A KR 20110041030 A KR20110041030 A KR 2011004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tridge
door member
controll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185B1 (ko
Inventor
김경석
한동훈
정용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85B1/ko
Priority to US12/782,243 priority patent/US826015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개구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본체하우징에 내장되며, 소정의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카트리지 칩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 카트리지와; 도어부재에 설치되며, 도어부재의 폐쇄 시 카트리지 칩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단자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부재와; 터미널 단자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터미널 단자부재와 접촉하는 카트리지 단자를 통해 카트리지 칩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고, 카트리지 칩으로부터 사용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프린트 작업을 제어하며, 공급 전원의 통전 또는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또는 잉크 등을 사용하여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 내부에 화상 형성을 위한 제반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데, 사용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사용자가 본체하우징을 개방하여 그 내부에 접근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현상제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인 경우, 현상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모되면 이 현상 카트리지를 교체하여야 한다. 또는, 상담지체 등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여야 하거나, 프린트 작업 중에 인쇄매체의 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하우징 일측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부재가 설치된다. 이 도어부재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자는 본체하우징 내 부에 접근할 수 있으며, 도어부재가 폐쇄됨으로써 본체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그런데, 도어부재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각 구성요소들이 작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특히, 고압이 인가되는 구성요소도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는 도어부재의 개방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는 요소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어부재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프린트 작업이 수행되면, 외부로부터의 접근 가능성 때문에 화상 품질을 보장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프린트 작업 수행 중에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일단 프린트 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도어부재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하우징에 대한 도어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감지하고, 이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상기 개구부를 통 해 착탈 가능하게 상기 본체하우징에 내장되며, 소정의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카트리지 칩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도어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재의 폐쇄 시 상기 카트리지 칩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단자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부재와;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카트리지 단자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칩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카트리지 칩으로부터 상기 사용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프린트 작업을 제어하며, 상기 공급 전원의 통전 또는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급 전원이 통전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공급 전원이 오픈되면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에 내장되고 시스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칩은 상기 사용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단자는, 상기 사용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카트리지 제1단자와; 상기 사용상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상기 카트리지 칩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카트리지 제2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칩에 전달되는 소정의 감 지 전원이 인가되는 카트리지 제3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트리지 제3단자에 인가되는 상기 감지 전원이 오픈되면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단자는, 상기 구동 전원 및 상기 감지 전원을 공통 접지하는 카트리지 제4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복수 개가 색상 별로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는 상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칩에 마련된 상기 카트리지 단자에 대응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전압 레벨의 시스템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에 따라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제3단자에 인가되는 각각의 상기 감지 전원이 오픈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 전압 레벨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순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칩에 설치된 카트리지 단자와 도어부재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부재 사이의 통전 또는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도어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감지한다. 이로써, 도어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용이하고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 감지를 위한 별도의 물리적 스위치 구성을 적용하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단자를 감지 구성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물리적 스위치 구성에서 발생하기 쉬운 공차 및 비정합에 따른 오작동을 방 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물리적 스위치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본체하우징에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가 적용되는 경우, 각 현상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단자가 오픈되는 순서에 따라서 도어부재의 개방 각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도어부재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시스템의 작동 제어를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부재가 개방될 때 사용자에게 위험할 수 있는 고압 관련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측단면도이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각 색상 별 현상제에 의한 컬러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형성하는 전자사진 방식의 프린터로 구현된다. 이하 설명할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하다는 의미가 아님을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장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10)과, 인쇄매체(M)가 적재되며 이 적재된 인쇄매체(M)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20)과, 정전잠상 및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31) 및 이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3)를 가지는 감광유닛(30)과,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담지체(31)를 노광시키는 노광유닛(40)과, 상담지체(31)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 체(M)에 전사하는 전사유닛(50)과, 인쇄매체(M)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60)과,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M)를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매체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는 상담지체(31)의 정전잠상에 각 색상 별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상담지체(31) 상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색상 별,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 색상 별로 4개가 본체하우징(10)에 수용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관해 설명한다.
본체하우징(10)은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한다. 본체하우징(10)은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가 착탈될 수 있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부재(13)를 가진다. 도어부재(13)는 힌지부(15)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하우징(10)에 이격 또는 접근하게 회동하며, 이에 따라서 개구부(11)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진다.
매체공급유닛(20)은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카세트(21)와, 적재카세트(21)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하나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3)와, 픽업된 인쇄매체(M)를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전사유닛(50)으로 이송시키는 레지롤러(25)를 포함한다.
상담지체(31)는 대전롤러(33)에 의해 대전된 표면이 노광유닛(40)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담지체(31)는 각 색상 별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이 중에서 어느 한 색상의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됨으로써, 해당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40)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점멸하는 광원(41)과, 광원(4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을 상담지체(31)의 대전된 표면 상에 편향 주사시켜 상담지체(31) 상에 주사선을 형성하는 폴리곤 미러(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광빔에 의한 주사선이 상담지체(31)를 노광시킴으로써, 상담지체(31)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노광유닛(40)은 프린트 작업 시 화상 데이터를 각 색상 별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담지체(31)가 1회전할 때마다 각 색상 별 데이터의 정전잠상을 순차적으로 노광시킨다.
예를 들면, 노광유닛(40)은 하나의 인쇄매체(M)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네 가지 화상 데이터로 구분한다. 노광유닛(40)은 상담지체(31)가 1회전 시 옐로우 화상 데이터, 상담지체(31)가 2회전 시 마젠타 화상 데이터, 상담지체(31)가 3회전 시 시안 화상 데이터, 상담지체(31)가 4회전 시 블랙 화상 데이터 각각에 기초하여 광빔을 상담지체(31)에 주사시킨다. 즉, 상담지체(31)가 4회전하는 동안에 네 가지 화상 데이터의 정전잠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본체하우징(10)의 개구부(11)를 통해 본체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거나,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 시예에 따른 네 개의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본체하우징(10)에 수용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상담지체(31)의 정전잠상에 어느 한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해당 색상의 가시 화상을 상담지체(31) 상에 형성시킨다. 앞서 노광유닛(40)의 경우와 유사하게,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상담지체(31)가 4회전하는 동안에 네 가지 색상의 가시 화상을 각각 형성시킨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인쇄매체(M)에 대한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담지체(31)가 1회전 시 옐로우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100Y)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고, 상담지체(31)가 2회전 시 마젠타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100M)가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고, 상담지체(31)가 3회전 시 시안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100C)가 시안 색상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고, 상담지체(31)가 4회전 시 블랙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100K)가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카트리지하우징(110Y, 110M, 110C, 110K)과, 카트리지하우징(110Y, 110M, 110C, 110K)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담지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와, 카트리지하우징(110Y, 110M, 110C, 110K)의 배면에 설치되며 해당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에 관련된 소정의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과,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으로부터 카 트리지하우징(110Y, 110M, 110C, 110K)의 배면을 향해 노출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색상 별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는 상담지체(31)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담지체(3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격된다. 이로 인하여, 각 색상 별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Z 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하로 적층된다.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의 자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전사유닛(50)은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벨트구동롤러(53)와, 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31)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담지체(31) 상의 가시 화상을 전사벨트(51)에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55)와, 전사벨트(51) 상의 최종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전사하는 최종전사롤러(57)와, 최종전사롤러(57)를 백업하는 전사백업롤러(59)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담지체(31)가 4회전하는 동안에 전사벨트(51) 또한 이에 대응하게 4회전한다. 이 때, 상담지체(31) 상에 형성된 각 색상 별 화상이 전사벨트(51)에 상호 중첩되게 전사됨으로써, 상담지체(31)가 4회전을 끝내면 전사벨트(51) 상에는 네 가지 색상의 가시 화상이 중첩된 최종 화상이 형성된다.
이 시점에서 레지롤러(25)는 인쇄매체(M)를 최종전사롤러(57)로 이송하며, 최종 화상은 최종전사롤러(57)에 의해 전사벨트(51)로부터 인쇄매체(M)로 전사된다. 그리고,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M)는 정착유닛(60)에 의해 정착된 후, 매체배 출유닛(70)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프린트 작업이 완료한다.
이하,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에 관해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프린트 작업 시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하므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현상제가 소진된다. 또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에 포함된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와 같은 구성은 한계수명 이상 프린트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서 마모 또는 변질될 수 있다. 이에, 화상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적절한 시기에 교체되어야 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각 색상 별로 대응하며, 프린트 작업 시 사용되는 현상제의 양은 색상 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교체시기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별로 상이하다. 여기서, 각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교체시기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별로 설정되는 사용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상태 정보는 해당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사용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사용상태 정보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정품 여부, 제조시기, 현상제의 최초 저장량, 현상제의 사용량, 현상제의 현재 잔량, 현상제의 특성, 구성의 한계수명 등, 프린트 작업 시 참조될 수 있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에 관한 다양한 정보이다.
이러한 사용상태 정보는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별로 기록 되며, 프린트 작업이 수행될 때마다 독취 및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이러한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된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을 가진다.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은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후방에 노출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를 통해 사용상태 정보의 전송과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도어부재(13)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를 마주하는 도어부재(13)의 판면에,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에 대응하는 터미널 단자부(200)를 더 포함한다. 도어부재(13)의 폐쇄 시, 터미널 단자부(200)는 각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와 상호 통전되도록 각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에 접촉한다. 도어부재(13)가 개방됨에 따라서, 터미널 단자부(200)는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와 이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도어부재(13)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모터(80)와,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0)와, 프린트 작업을 위한 제반 구성요소들의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300)를 더 포함한다.
모터(80)는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롤러 구성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모터(8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은 픽업롤러(23), 상담지체(31), 대전롤러(33),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 벨트구동롤러(53) 등과 같은 롤러 구성 이외에도, 폴리곤 미러(43)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모터(80)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은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구동전달기어들에 의해 각 구성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에 하나의 모터(80)가 설치되며 각 구성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구성 별로 복수 개의 모터(80)가 설치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90)는 외부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구성에 공급한다. 전원공급부(90)는 저전압을 출력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91)와, 고전압을 출력하는 HVPS(High Voltage Power Supply)(93)를 포함한다.
SMPS(91)는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한 레벨의 전압의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SMPS(91)는 모터(80)의 구동을 위해 24V 전압을 출력하며, 광원(41)의 점멸을 위해 5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HVPS(93)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구성, 예를 들면 대전롤러(33), 상담지체(31),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 중간전사롤러(55), 최종전사롤러(57) 등에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각 구성에 의한 대전, 현상, 전사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터미널 단자부(200)는 도어부재(13)에 설치된 터미널기판(201)과, 터미널기판(201) 상에 각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에 각각 대응하는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를 포함한다. 각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는 터미널기판(201)을 통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도 3은 도어부재(13)를 폐쇄할 때에 터미널 단자부재(210Y) 및 카트리지 단자(140Y) 간의 보다 자세한 구조에 관해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옐로우 색상에 대응하는 현상 카트리지(100Y)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에 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타 색상의 경우도 이를 응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100Y)의 후방에는 카트리지 칩(130Y)이 내장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칩(130Y)은 카트리지 메모리(150Y) 및 복수의 카트리지 단자(140Y)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메모리(150Y)는 비휘발성 EEPROM 등을 포함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ing) 메모리로 구현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100Y)의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된다.
카트리지 단자(140Y)는 카트리지 하우징(110Y)에서 도어부재(13)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노출된다. 카트리지 단자(140Y)는 터미널 단자부재(210Y)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며, 각각 카트리지 칩(130Y)과 컨트롤러(300) 사이의 사용상태 정 보 전달, 카트리지 칩(130Y)의 구동 전원 전달, 클럭 신호의 전달, 접지 등이 수행된다.
터미널기판(201)은 도어부재(13) 내측에 매립된다. 카트리지 단자(140Y)와 마주하는 도어부재(13) 일측에는 터미널기판(2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 단자부재(210Y)가 설치되며, 스프링(220)이 터미널기판(201)에 대해 터미널 단자부재(210Y)를 카트리지 단자(140Y) 쪽으로 탄성 가압한다.
도어부재(13)가 폐쇄되면 터미널 단자부재(210Y)는 카트리지 단자(140Y)와 접촉하며,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 칩(130Y)과 컨트롤러(300) 사이가 통전된다. 이 때 스프링(22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터미널 단자부재(210Y) 및 카트리지 단자(140Y) 사이의 접촉성이 향상된다.
도 4는 프린트 작업 시 컨트롤러(300) 및 카트리지 칩(130Y) 사이의 통신 및 전원 공급 관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서 화살표 실선은 사용상태 정보의 전달 관계, 화살표 점선은 전원 공급 관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재(13)가 폐쇄되어 카트리지 칩(130Y)과 컨트롤러(300)가 통전된 상태에서, 터미널 단자부재(210Y) 및 카트리지 단자(140Y)를 통해 소정 레벨의 전압, 예를 들면 3.3V의 구동 전압을 카트리지 칩(130Y)에 인가한다.
카트리지 칩(130Y)에 인가된 3.3V의 구동 전압에 의해 카트리지 메모리(150Y)가 활성화되며, 이에 의하여 컨트롤러(300)는 카트리지 메모리(150Y)로부터 현상 카트리지(100Y)의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트 작업의 수행 제어에 반영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0)는 프린트 작업 수행에 따라서 카트리지 메모리(150Y)에 사용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과정은 옐로우 이외의 타 색상의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형성장치(1)가 작동하여 프린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도어부재(13)가 폐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어부재(1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HVPS(93)로부터의 고전압에 의한 감전과, 모터(80)의 구동에 따라서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곤란하다. 또는, 도어부재(13)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프린트 작업이 수행되면, 노광유닛(40)으로부터 광빔이 출력되어 상담지체(31)를 노광시킬 때 외부로부터의 광이 혼입되어 화상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300)는 도어부재(13)의 개방 및 폐쇄 여부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0)는 상호 이격 또는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의 오픈 및 통전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도어부재(13)의 개방 또는 폐쇄를 판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컨트롤러(300)가 도어부재(13)의 개방 및 폐쇄 여부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컨트롤러(300),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사이의 통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기판(201) 상에는 각 색상 별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에 각각 대응하는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가 설치되어 있다. 각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는 공통적으로 터미널 제1단자(211Y, 211M, 211C, 211K),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 터미널 제3단자(213Y, 213M, 213C, 213K) 및 터미널 제4단자(214Y, 214M, 214C, 214K)를 포함한다. 터미널 제1단자(211Y, 211M, 211C, 211K),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 터미널 제3단자(213Y, 213M, 213C, 213K) 및 터미널 제4단자(214Y, 214M, 214C, 214K)는 각각 카트리지 제1단자(141Y, 141M, 141C, 141K), 카트리지 제2단자(142Y, 142M, 142C, 142K), 카트리지 제3단자(143Y, 143M, 143C, 143K) 및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에 접촉될 수 있다.
터미널 제1단자(211Y, 211M, 211C, 211K)는 컨트롤러(300)의 데이터 전송 단자(TR)에 접속됨으로써,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의 사용상태 정보가 컨트롤러(3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는 컨트롤러(300)의 구동전원 공급단자(PD)에 접속되며,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에 전달한다.
터미널 제3단자(213Y, 213M, 213C, 213K)는 컨트롤러(300)의 클럭신호 단자(CL)에 접속되며, 프린트 작업 시 참조되는 클럭신호를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에 전달한다.
터미널 제4단자(214Y, 214M, 214C, 214K)는 컨트롤러(300)의 접지 단자(G)에 접속되며,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가 접촉할 때에,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 카트리지 제2단자(142Y, 142M, 142C, 142K) 및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와 함께 구동 전원의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카트리지 제2단자(142Y, 142M, 142C, 142K) 및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옐로우 및 마젠타에 대한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는 추가적으로 터미널 제5단자(215Y, 215M)를 가지며, 옐로우 및 마젠타에 대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또한 이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상하로 적층되게 설치되며, 도어부재(13)는 본체하우징(10)의 하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폐쇄된 도어부재(13)를 개방함에 따라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사이의 오픈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개방된 도어부재(13)를 폐쇄함에 따라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사이의 통전은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옐로우에 대한 터미널 제5단자(215Y)는 컨트롤러(300)로부터 소정 전압 레벨 의 제1감지 전원이 공급되는 제1감지 전원 단자(PS1)에 접속된다. 마젠타에 대한 터미널 제5단자(215M)는 컨트롤러(300)로부터 제2감지 전원이 공급되는 제2감지 전원 단자(PS2)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감지 전원 및 제2감지 전원의 전압 레벨은 그 수치를 한정할 수 없는 바, 다양한 설계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는 각각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1감지 전원 또는 제2감지 전원의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는 카트리지 제2단자(142Y, 142M, 142C, 142K)를 통한 구동 전원과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를 통한 감지 전원의 공통 음극, 또는 공통 접지를 구성한다.
도어부재(13)가 폐쇄된 초기 상태에서 프린트 작업이 개시되면, 컨트롤러(300)는 전원공급부(90)로부터 각 구성에 대한 전원 출력을 인가한다. 예를 들면, SMPS(91)는 노광유닛(40)의 광원(41)이 점멸하도록 5V 전압을 출력하고, 모터(80)가 구동하도록 24V을 출력한다. 그리고, HVPS(93)는 대전롤러(33), 상담지체(31), 현상롤러(120Y, 120M, 120C, 120K), 중간전사롤러(55) 및 최종전사롤러(57) 등의 구성에 대해 고전압을 출력한다.
컨트롤러(300)는 구동 전원 단자(PD)를 통해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이 공급 전원으로 구동하는 카트리지 칩(130Y, 130M, 130C, 130K)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단자(TR)를 통해 사용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0)는 제1감지 전원 단자(PS1) 및 제2감지 전원 단자(PS2)를 통해 제1감지 전원 및 제2감지 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의 해 프린트 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도어부재(13)를 개방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배치 형태로 인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중에서 옐로우에 대한 터미널 단자부재(210Y) 및 카트리지 단자(140Y)가 먼저 오픈된다.
컨트롤러(300)는 제1감지 전원 단자(PS1)를 통한 제1감지 전원이 오픈됨을 감지하면, 우선 HVPS(93)의 고전압 출력 및 SMPS(91)의 5V 전압 출력을 각각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각 롤러 구성에 인가되는 고전압과, 노광유닛(40)으로부터의 광빔 출력이 차단된다.
사용자가 도어부재(13)를 개방함에 따라서, 옐로우 다음으로 마젠타에 대한 터미널 단자부재(210M) 및 카트리지 단자(140M)가 오픈된다.
컨트롤러(300)는 제2감지 전원 단자(PS2)를 통한 제2감지 전원이 오픈됨을 감지하면, SMPS(91)의 24V 전압 출력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모터(80)의 작동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사이의 오픈을 감지함으로써 도어부재(13)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전원의 오픈 순서에 따라서 전원공급부(90)의 전원 출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도어부재(13) 및 본체하우징(10) 사이에 물리적인 스위치 구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사 이의 통전 또는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도어부재(13)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도어부재(13)를 폐쇄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사용자가 도어부재(13)를 폐쇄함에 따라서,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순서대로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가 접촉한다.
마젠타에 대한 터미널 단자부재(210M) 및 카트리지 단자(140M)가 접촉함에 따라서, 터미널 제5단자(215M) 및 카트리지 제5단자(145M)가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300)는 제2감지 전원 단자(PS2)를 통한 제2감지 전원이 통전됨을 감지하고, HVPS(93)로부터의 고전압 출력 및 SMPS(91)로부터의 24V 전압 출력을 허용한다.
그리고, 옐로우에 대한 터미널 단자부재(210Y) 및 카트리지 단자(140Y)가 접촉함에 따라서, 터미널 제5단자(215Y) 및 카트리지 제5단자(145Y)가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300)는 제1감지 전원 단자(PS1)를 통한 제1감지 전원이 통전됨을 감지하고, SMPS(91)로부터의 5V 전압 출력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도어부재(13)의 폐쇄가 완료하면, 각 구성의 작동이 재개됨으로써 프린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 및 터미널 제5단자(215Y, 215M)가 옐로우 및 마젠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과,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 및 터미널 제5단자(215Y, 215M)가 각각 두 개로 마련되는 것은 한정된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 불과하다.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 및 터미널 제5단자(215Y, 215M)는 타 색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가 하나 또는 셋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카트리지 제5단자(145Y, 145M) 및 터미널 제5단자(215Y, 215M)가 하나만 적용된 제2실시예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0),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 및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사이의 통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각 색상 별 현상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카트리지 제1단자(141Y, 141M, 141C, 141K), 카트리지 제2단자(142Y, 142M, 142C, 142K), 카트리지 제3단자(143Y, 143M, 143C, 143K) 및 카트리지 제4단자(144Y, 144M, 144C, 144K)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에 대응하여 터미널 제1단자(211Y, 211M, 211C, 211K),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 터미널 제3단자(213Y, 213M, 213C, 213K) 및 터미널 제4단자(214Y, 214M, 214C, 214K)가 도어부재(13)에 설치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옐로우에 대한 카트리지 단자(140Y)는 카트리지 제5단자(145Y)를 더 포함하고, 터미널 단자부재(210Y)는 이에 대응하는 터미널 제5단자(215Y)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300)는 터미널 제5단자(215Y)에 대해 소정 전압 레벨의 감지 전원을 출력하는 감지 전원 단자(PS)를 가진다. 도어부재(13)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컨트롤러(300)는 터미널 제2단자(212Y, 212M, 212C, 212K)를 통해 카트리지 칩(130Y)의 구동 전원을, 터미널 제5단자(215Y)를 통해 감지 전원을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카트리지 제4단자(144Y)는 카트리지 제2단자(142Y) 및 카트리지 제5단자(145Y)와 공통 음극을 구성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러(300)는 카트리지 제5단자(145Y) 및 터미널 제5단자(215Y)를 통한 감지 전원이 오픈되면 도어부재(13)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컨트롤러(300)는 전원공급부(90)의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
반면, 컨트롤러(300)는 카트리지 제5단자(145Y) 및 터미널 제5단자(215Y)를 통한 감지 전원의 통전이 재개되면 도어부재(13)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컨트롤러(300)는 전원공급부(90)의 전원 출력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단자(140Y, 140M, 140C, 140K) 및 터미널 단자부재(210Y, 210M, 210C, 210K)에 감지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 구성을 적용하고, 이 감지 전원의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도어부재(13)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도어부재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터미널 단자부재 및 카트리지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트롤러와 카트리지 칩 사이의 통신 및 전원공급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트롤러, 터미널 단자부재 및 카트리지 단자 사이의 통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트롤러, 터미널 단자부재 및 카트리지 단자 사이의 통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하우징
13 : 도어부재 20 : 매체공급유닛
30 : 감광유닛 31 : 상담지체
33 : 대전롤러 40 : 노광유닛
41 : 광원 43 : 폴리곤 미러
50 : 전사유닛 60 : 정착유닛
70 : 매체배출유닛 80 : 모터
90 : 전원공급부 91 : SMPS
93 : HVPS
100Y, 100M, 100C, 100K : 현상 카트리지
120Y, 120M, 120C, 120K : 현상롤러
130Y, 130M, 130C, 130K : 카트리지 칩
140Y, 140M, 140C, 140K : 카트리지 단자
200 : 터미널 단자부 201 : 터미널기판
210Y, 210M, 210C, 210K : 터미널 단자부재
300 : 컨트롤러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재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상기 본체하우징에 내장되며, 소정의 사용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카트리지 칩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도어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재의 폐쇄 시 상기 카트리지 칩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단자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부재와;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카트리지 단자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칩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카트리지 칩으로부터 상기 사용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프린트 작업을 제어하며, 상기 공급 전원의 통전 또는 오픈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급 전원이 통전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공급 전원이 오픈되면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에 내장되고 시스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칩은 상기 사용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단자는,
    상기 사용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카트리지 제1단자와;
    상기 사용상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상기 카트리지 칩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카트리지 제2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칩에 전달되는 소정의 감지 전원이 인가되는 카트리지 제3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트리지 제3단자에 인가되는 상기 감지 전원이 오픈되면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단자는,
    상기 구동 전원 및 상기 감지 전원을 공통 접지하는 카트리지 제4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복수 개가 색상 별로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단자부재는 상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칩에 마련된 상기 카트리지 단자에 대응하게 복수 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 전압 레벨의 시스템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에 따라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제3단자에 인가되는 각각의 상기 감지 전원이 오픈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 전압 레벨의 시스템 전원 출력을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8022A 2009-10-15 2009-10-15 화상형성장치 KR10172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22A KR101720185B1 (ko) 2009-10-15 2009-10-15 화상형성장치
US12/782,243 US8260157B2 (en) 2009-10-15 2010-05-18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22A KR101720185B1 (ko) 2009-10-15 2009-10-15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30A true KR20110041030A (ko) 2011-04-21
KR101720185B1 KR101720185B1 (ko) 2017-03-28

Family

ID=4387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022A KR101720185B1 (ko) 2009-10-15 2009-10-15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0157B2 (ko)
KR (1) KR101720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7024B2 (ja) * 2009-07-02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94823B2 (ja) * 2009-12-02 2012-12-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653127B2 (ja) * 2010-08-19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30051812A (ko) * 2011-11-10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RU2640104C1 (ru) * 2011-11-25 2017-12-26 Рикох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5983253B2 (ja) * 2012-09-28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79572B2 (ja) * 2012-12-05 2015-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支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104169B2 (en) 2013-01-24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969989B (zh) * 2013-01-24 2017-07-14 爱思打印解决方案有限公司 电子照相图像形成设备及显影盒
CN103969990B (zh) 2013-01-24 2017-09-22 爱思打印解决方案有限公司 电子照相图像形成设备及显影盒
US9182739B2 (en) 2013-01-24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058017B2 (en) 2013-01-24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cartridge
JP5941888B2 (ja) * 2013-09-27 2016-06-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29367B2 (en) 2013-10-09 2016-0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having a pivotable cradle and a stationary hold-down feature
US8761639B1 (en) * 2013-11-20 2014-06-2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latching mechanism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KR101585058B1 (ko) * 2014-03-12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388377B2 (ja) * 2014-06-12 2018-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317004B1 (en) 2015-04-10 2016-04-19 Lexmark International, Inc. Handle and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565492B2 (ja) * 2015-08-28 2019-08-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配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98916B2 (ja) * 2015-08-31 2018-10-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693204B2 (ja) * 2016-03-22 2020-05-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6527081B (zh) * 2016-08-10 2023-06-06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JP2019045595A (ja) * 2017-08-31 2019-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KR20210022340A (ko) 2019-08-20 2021-03-0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소모품과 화상 형성 장치 간의 결합 해제
JP2021107900A (ja) * 2019-12-27 2021-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452A (ja) * 1994-03-02 1995-09-19 Brother Ind Ltd 機器のカバー開閉検出装置
JP2007193125A (ja) * 2006-01-19 2007-08-02 Brother Ind Ltd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76281A (ko) * 2007-02-15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863252B1 (ko) * 2008-02-29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4993A1 (de) * 1986-03-31 1987-10-08 Toshiba Kk Bilderzeugungsgeraet
JP3944672B2 (ja) * 1999-08-30 2007-07-11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70067559A (ko) 2005-12-24 200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차단 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321739B1 (en) * 2007-04-30 2008-0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tridge with a handl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452A (ja) * 1994-03-02 1995-09-19 Brother Ind Ltd 機器のカバー開閉検出装置
JP2007193125A (ja) * 2006-01-19 2007-08-02 Brother Ind Ltd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76281A (ko) * 2007-02-15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863252B1 (ko) * 2008-02-29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0157B2 (en) 2012-09-04
KR101720185B1 (ko) 2017-03-28
US20110091222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185B1 (ko) 화상형성장치
JP4789982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74740B2 (ja) 画像形成装置
EP1939697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600469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276910B1 (en) Process cartridge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72188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torage controlling method for information on an improper detachment of a developer cartridge to be written in a cartridge storage means
US8787803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837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2309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81963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剤収容部の着脱規制の解除方法
JP2017167522A (ja) 画像形成装置
US84728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5046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8185971A (ja) 画像形成装置
JP39446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28210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EP242885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43352B2 (ja) 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12221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33890A (ja) 画像形成装置
JP3888139B2 (ja) 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WO2024091295A1 (en) Transferring waste toner removed from intermediate transfer belt
CN116736666A (zh) 触发组件、适配件、盒、盒组、图像形成装置及检测方法
JP202208542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