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474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474A
KR20110040474A KR1020090097756A KR20090097756A KR20110040474A KR 20110040474 A KR20110040474 A KR 20110040474A KR 1020090097756 A KR1020090097756 A KR 1020090097756A KR 20090097756 A KR20090097756 A KR 20090097756A KR 20110040474 A KR20110040474 A KR 2011004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lexible display
unit
image
current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379B1 (ko
Inventor
김민수
박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79B1/ko
Priority to US12/900,833 priority patent/US838598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74A/ko
Priority to US13/775,876 priority patent/US93733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일 때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에 위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에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부, 휨 감지 센서부, 안면인식 감지부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WIRELESS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일 때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수첩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문자 정보, 동영상, 정지영상, MP3, 게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해 대형 및 와이어드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기의 소형화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크기 축소를 불러오기 때문에, 두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소개되고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과 같이 얇은 기판에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 것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휨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중 사용자의 시야각을 벗어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중 사용자의 시야각이 벗어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풀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것은 휴대단말기의 전력소모량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일 때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에 위 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에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휨 상태가 감지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이면,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에 위치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에 위치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아니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일 때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시간을 증대시키고, 배터리 전류소모량의 감소로 인하여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부에서 표시부 영역을 사용자 기준으로 자동편집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되는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은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과 대향되는 면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전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와 카메라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도 1a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도 1b와 같이 휘어지면, 카메라부(140)가 장착는 제1 면(A) 및 상기 카메라부(40)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A)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160-1)이 표시되고, 상기 제2 면(B)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2 영역(160-2)이 표시된다.
도 2는 상기 도 1a - 도 1b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부(camera module)(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면에 장착되며, 상기 도 1b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구동되어 이미지를 촬영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는 플라스틱과 같은 얇은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전자종이(e-paper),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도 1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제1 영역(160-1)과 제2 영역(160-2) 및 그 외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미지 촬영여부에 따라 제1 영역(160-1) 또는 제2 영역(160-2)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한다.
메모리(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에서 제1 영역(160-1)과 제2 영역(160-2)을 구분하기 위한 제1 영역 값 및 제2 영역 값을 저장한다.
또한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얼굴이미지가 아닐 때,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의 명도를 판단하는 기준 값을 저장한다.
휨 감지 센서부(12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휜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안면 인식 감지부(13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휜 상태가 될 때,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휜 상태가 될 때,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로 판단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160-1)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영역(160-2)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휜 상태가 될 때,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로 판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영역(160-1)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160-2)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널 데이터(Null data)는 블랙 데이터(Black data)를 나타낸다.상기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전류소모를 감소하는 동작을 도 3을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전류소모를 감소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부(140)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얼굴이미지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선정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팔에 감아져서 상기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 1b와 같이 휜 상태가 되면, 상기 휨 감지 센서부(120) 는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 에게 전송한 다. 상기 휨 감지 센서부(16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40)를 구동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
303단계에서 상기 구동되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안면 인식 감지부(13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얼굴이미지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면 인식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얼굴이미지로 판단되면,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로 판단되었다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가 카메라부(140)가 장착된 제1 면(A)을 바라보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면(A)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160-1)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A)과 대향되는 제2 면(B)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160-2)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0-1)과 제2 영역(160-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면 인식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얼굴이미지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4단계 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아니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카메라부(140)가 장착된 제1 면(A)과 대향되는 제2 면(B)을 바라보는 위치 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면(A)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160-1)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A)과 대향되는 제2 면(B)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160-2)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0-1)과 제2 영역(160-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아니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카메라부(140) 가 장착된 제1 면(A)이 바닥에 닿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3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면(A)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영역(160-1)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A)과 대향되는 제2 면(B)에 위치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160-2)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영역(160-1)과 제2 영역(160-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널 데이터(Null data)는 블랙데이터(Black data)를 나타내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휜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시야각에서 벗어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160-1) 또는 제2 영역(160-2)을 블랙데이터(Black data)로 처리함으로써 전류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체 발광인 OLED방식의 경우에 블랙데이터(Black data)로 처리되면 전류소모를 거의하지 않으며, 블랙데이터(Black data)로 처리할 때 화이트 데이터(White data)에 대비하여 10%이하의 전류만 소모하고 있다. 상기 도 4는 블랙데이터(Black data)로 처리할 때 전류소모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a - 도 1b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전류소모를 감소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디스플레이부를 블랙데이터로 표시할 때 전류소모의 감소를 보이기 위한 도면.

Claims (11)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에 위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에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값과 제2 영역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휨 상태를 감지하는 휨 감지 센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가 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를 인식하는 안면인식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휨 감지 센서부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휨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면인식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로 감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촬영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도 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널 데이터(Null data)는 블랙데이터(Black 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휨 상태가 감지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이면,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된 제1 면에 위치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2 면에 위치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아니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휨 상태는 휨 감지 센서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이미지는 안면인식 감지부를 통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이미지가 아니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 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영역에 널 데이터(Null data)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정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널 데이터(Null data)는 블랙데이터(Black 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방법.
KR1020090097756A 2009-10-14 2009-10-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KR10161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56A KR101615379B1 (ko) 2009-10-14 2009-10-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US12/900,833 US8385987B2 (en) 2009-10-14 2010-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US13/775,876 US9373307B2 (en) 2009-10-14 2013-02-25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56A KR101615379B1 (ko) 2009-10-14 2009-10-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74A true KR20110040474A (ko) 2011-04-20
KR101615379B1 KR101615379B1 (ko) 2016-04-26

Family

ID=4385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756A KR101615379B1 (ko) 2009-10-14 2009-10-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85987B2 (ko)
KR (1) KR10161537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931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9006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26186A (ko)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2483A (ko) * 2013-09-18 2015-03-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US9007315B2 (en) 2012-05-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warpage of the same
KR20160085225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89139A (ko) * 2019-07-22 2019-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6321A (ko) * 2013-06-21 2019-08-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KR20200060322A (ko) * 2020-05-22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16381B2 (en) 2015-01-07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related to an image display according to bending motion of th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1790B2 (en) 2009-08-17 2013-05-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as acoustic input device
US8624878B2 (en) 2010-01-20 2014-01-07 Apple Inc. Piezo-based acoustic and capacitive detection
KR101292974B1 (ko) *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9240137B2 (en) * 2011-02-09 2016-01-19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based reduction of display power
US8716932B2 (en)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US8816977B2 (en) 2011-03-21 2014-08-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9178970B2 (en) 2011-03-21 2015-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US9866660B2 (en) 2011-03-21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US8787016B2 (en)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9400576B2 (en)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8804347B2 (en) 2011-09-09 2014-08-12 Apple Inc. Reducing the border area of a device
US8723824B2 (en)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10245776B2 (en) 2011-09-30 2019-04-02 Apple Inc.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US9098242B2 (en) 2011-09-30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10088863B2 (en) 2011-09-30 2018-10-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9098069B2 (en) 2011-11-16 2015-08-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orienting output on a display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88349B2 (en) *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8947382B2 (en) * 2012-02-28 2015-02-0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US9349342B2 (en) * 2012-03-05 2016-05-2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357292B1 (ko) * 2012-03-12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692252B1 (ko)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U2016238947B2 (en) * 2012-04-08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8724304B2 (en) 2012-04-20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having fastened bent edges
US8970455B2 (en) 2012-06-28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ntent displayed on a flexible display
US9110320B2 (en) 2012-08-14 2015-08-18 Apple Inc.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KR102042211B1 (ko) * 2012-08-20 2019-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상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195108B2 (en) 2012-08-21 2015-11-24 Apple Inc. Displays with bent signal lines
KR101940104B1 (ko) * 2012-08-24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601557B2 (en) 2012-11-16 2017-03-21 Apple Inc. Flexible display
KR102070773B1 (ko) * 2013-03-14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019170B2 (en) 2013-03-14 2015-04-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09207B2 (en) 2013-04-09 2015-12-08 Apple Inc. Flexible display with bent edge regions
JP6376355B2 (ja) * 2013-05-22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
KR101584590B1 (ko)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JP2015035209A (ja) * 2013-07-12 2015-0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76889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274506B2 (en) * 2014-01-29 2016-03-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867749B1 (ko) * 2014-05-16 2018-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용 도전 시트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US9606966B2 (en) * 2014-07-16 2017-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and effort efficient reading sessions
CN104157214B (zh) * 2014-08-07 2016-08-17 英业达科技有限公司 配戴式挠曲显示装置
US9600112B2 (en) 2014-10-10 2017-03-21 Apple Inc. Signal trace patterns for flexible substrates
WO2016059514A1 (en)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JP2016085457A (ja) *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10185363B2 (en) 2014-11-28 2019-0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9941918B2 (en)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US20160239091A1 (en) * 2015-02-12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KR102374479B1 (ko) 2015-08-13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479462B1 (ko) 2015-12-07 2022-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D850443S1 (en) 2015-12-22 2019-06-04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41612S1 (en) 2016-03-31 2019-02-26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618319B1 (ko) 2016-09-20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6851170A (zh) * 2016-12-23 2017-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80075733A (ko) 2016-12-26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7957749A (zh) * 2017-11-30 2018-04-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25167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238B (fi) 1997-02-21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laitteet
US6922488B2 (en) * 2001-02-16 2005-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launch by identifying a user via a digital camera, utilizing an edge detection algorithm
US7002593B2 (en) * 2001-11-01 2006-02-21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used by emissive display devices
JP2005221907A (ja) * 2004-02-09 2005-08-1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100630888B1 (ko) 2004-11-23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암부인식률 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6774B1 (ko) * 2008-07-29 201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31687B1 (en) * 2009-02-02 2014-09-09 Dominic M. Kotab Two-sided dual screen mobile phone devi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7315B2 (en) 2012-05-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warpage of the same
KR20140025931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54566B2 (en) 2012-08-23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937346B2 (en) 2012-08-2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99006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26186A (ko)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096321A (ko) * 2013-06-21 2019-08-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KR20230014804A (ko) * 2013-06-21 2023-01-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KR20150032483A (ko) * 2013-09-18 2015-03-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US11516381B2 (en) 2015-01-07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related to an image display according to bending motion of the display device
KR20160085225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89139A (ko) * 2019-07-22 2019-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60322A (ko) * 2020-05-22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2526A1 (en) 2013-06-27
US9373307B2 (en) 2016-06-21
US20110086680A1 (en) 2011-04-14
US8385987B2 (en) 2013-02-26
KR101615379B1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47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장치 및 방법
US11373054B2 (en)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11069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based on frequency operation cyc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frequency
CN111194462B (zh) 用于切换显示器的操作模式的方法和电子设备
AU201423017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152286B2 (en)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87365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9979336B (zh) 电致发光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10057501B2 (en) Imaging apparatus, flicker detection method, and flicker detection program
CN107990978A (zh) 环境光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641743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r operations of a camera
US10104309B2 (en) Imaging apparatus, flicker detection method, and flicker detection program
US9667867B2 (en) Low power smart image capture
JP2009116205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20130293759A1 (en) Image capture method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96935A1 (en) Method of Updating Luminance of Light Emitting Elements according to Ambient Light Intensity Sensed by Image Capturing Uni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0290331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终端
CN110287903B (zh) 一种皮肤检测方法及终端
US2015005500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556215B2 (ja) 携帯機向けカメラを用いた表示部の画質調整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50364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WO2023061325A1 (zh) 画面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US20090009648A1 (en) Display device having camera
KR20190033407A (ko)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5182921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