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07A -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07A
KR20190033407A KR1020180012780A KR20180012780A KR20190033407A KR 20190033407 A KR20190033407 A KR 20190033407A KR 1020180012780 A KR1020180012780 A KR 1020180012780A KR 20180012780 A KR20180012780 A KR 20180012780A KR 20190033407 A KR20190033407 A KR 2019003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rightness
electronic device
proces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828B1 (ko
Inventor
김준영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90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59524A1/ko
Priority to EP18859833.8A priority patent/EP3664071A4/en
Priority to US16/648,512 priority patent/US11315521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3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amplitud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09G2360/147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the originated light output being determined for each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센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PIXEL}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픽셀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smartphone),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상기 기능들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픽셀들 각각에는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브 픽셀들 각각을 발광시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 각각의 수명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서브 픽셀의 수명이 적색 서브 픽셀의 수명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청색 서브 픽셀의 밝기는 감소할 수 있다. 청색 서브 픽셀의 밝기가 감소하므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불그스름(reddish)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에 고정된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출력될 경우 서브 픽셀들 간의 수명 차이로 인하여 잔상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통해 장시간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채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채팅 창은 고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채팅 창에 대응되는 서브 픽셀들을 장시간 발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픽셀들 간의 수명은 각각 다르므로, 일부 서브 픽셀들의 밝기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채팅 창 모양의 잔상이 생길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센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중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면 상기 센서가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열화의 정도 기반하여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제 1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및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제 1 밝기 보다 낮은 제 2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디스플레이(120), 차폐층(130), PCB(140), 배터리(150) 및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의 적층 순서는 도 1에 도시된 적층 순서와 다를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제1 면,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면, 제2 면, 및 측면은 각각 커버 글래스(112), 후면 커버(116), 및 측면 하우징(114)으로 참조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2)는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생성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112) 상에서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를 접촉하여 터치(전자 펜을 이용한 접촉을 포함함)를 수행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2)는, 예컨대,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구부러질 수 있는(flexible) 고분자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글래스(112)는 글래스 윈도우(glass window)로도 참조될 수 있다.
측면 하우징(114)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하우징(114) 내부에는 디스플레이(120), 차폐층(130), PCB(140), 배터리(150) 등이 수납될 수 있고, 측면 하우징(114)은 상기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측면 하우징(114)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은 비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노출 영역은 금속 베젤(metal bezel)로도 참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베젤 중 적어도 일부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로 활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6)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즉, 측면 하우징(114)의 밑)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6)는, 강화유리,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116)는 측면 하우징(114)과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커버 글래스(112) 밑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PCB(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텐트(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위젯, 또는 심볼 등)를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예: 터치, 제스처, 호버링(hovering)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 상에는 복수의 픽셀들(122, 124)이 배치될 수 있다.
차폐층(130)은 디스플레이(120)와 측면 하우징(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층(130)은 디스플레이(120)와 PCB(14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디스플레이(120)와 PCB(140) 사이의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폐층(130)은 구리(Cu)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로 이루어진 박막 시트(sheet) 혹은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층(130)이 구리 또는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경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차폐층(130)에 접지될 수 있다.
PCB(140)(또는 인쇄 회로 기판)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전자 부품, 소자, 인쇄회로 등을 실장(moun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140)는 메모리(146)(memory), 및 프로세서(148)(예: AP(application processor) 및/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등을 실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PCB(140)는 메인보드, 또는 PBA(printed board assembly)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CB(140)는 제1 PCB(142) 및 제2 PCB(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142)는 프로세서(148)가 탑재되는 메인 PCB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PCB(144)는 메인 PCB와 연결되는 서브 PCB로 참조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를 양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50)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디스플레이(120) 및 PCB(140)에 탑재된 다양한 구성 혹은 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CB(140)에는 배터리(150)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6)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지정된 일부(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에서 고정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상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컨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ID(또는 식별자),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20)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 구동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8)는 디스플레이(120) 및 센서(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48)는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48)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데이터에 포함되므로, 전자 장치(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면 프로세서(148)는 센서(160)가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148)는 측정된 제2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프로세서(148)는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50℃ 이상이면 프로세서(148)는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8)는 픽셀들(122, 124)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조절하여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8)는 픽셀들(122, 124)의 일단에 인가되는 제1 전압(예: ELVDD)과 픽셀들(122, 124)의 타단에 인가되는 제2 전압(예: ELV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픽셀들(122, 124)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이 감소하므로 픽셀들(122, 124)의 밝기는 감소할 수 있다.
조도 센서(170)는 외부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외로 나가면 조도 값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면 조도 값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조절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 중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날씨가 어때"라고 발화하면 전자 장치(100)는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동작 2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 203을 통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또는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또는 지정된 일부)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또는 테이블)를 의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ID 어플리케이션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AID 1 페이스 북 메신저, 카카오 톡
AID 2 구글, 네이버
AID 3 유투브
지정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AID 4 Airbnb
<표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페이스 북 메신저를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페이스 북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 ID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페이스 북 메신저의 어플리케이션 ID가 ´AID 1´으로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페이스 북 메신저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2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07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209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제2 데이터와 지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50℃ 이상인지 또는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이 2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측정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2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11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50℃ 이상이면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420nit에서 180nit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이 2시간 이상이면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420nit에서 180nit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중지되면(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오프(off)되면)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 북 메신저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50℃ 이상이면 전자 장치(100)는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420nit에서 180nit로 감소시킬 수 있다. 픽셀들(122, 124)의 밝기가 감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페이스 북 메신저의 동작을 중지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다시 420nit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동작 251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53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 전자 장치(1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255에서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120)의 열화 정도에 기반하여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또는 테이블)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257에서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ID와 메모리에 저장된 ID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가 대응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259를 수행할 수 있다.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가 대응되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26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59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밝기 값으로 콘텐트(content)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일정 밝기 이상의 값으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261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밝기 값으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밝기 미만의 값으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고정된 이미지가 화면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조절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상에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화면들을 캡쳐하고, 캡쳐한 복수의 화면들 각각을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고정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을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동일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데이터와 지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50℃ 이상인지 또는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이 2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측정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3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을 통해 고정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일부 영역에 배치된 픽셀들(122, 124)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픽셀들(122, 124)의 밝기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순서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특정 순서로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면,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동작 303, 동작 305, 동작 301, 및 동작 307 순서대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는 이미지(411) 및/또는 고정된 이미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410)을 통해서는 지속적으로 변하는 이미지(411)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영역(420)을 통해서는 고정된 이미지(42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을 통해서 고정된 이미지(421)가 출력되므로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420)에 배치된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된 이미지(421)가 출력되는 영역의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된 이미지(421)의 위치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영역(410)에 고정된 이미지(421)가 출력되고 제2 영역(420)에 지속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고정된 이미지(42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와 관계 없이 고정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홈 화면, 잠금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화면들에는 고정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화면들(510, 520, 530, 540)(또는 프레임들)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캡쳐한 복수의 화면들(510, 520, 530, 540)을 각각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510), 제2 화면(520), 제3 화면(530), 및 제4 화면(540)을 순서대로 캡쳐할 수 있다. 이 때 제1 화면(510)의 제1 영역(510a), 제2 화면(520)의 제1 영역(520a), 제3 화면(530)의 제1 영역(530a), 및 제4 화면(540)의 제1 영역(540a)을 통해서는 동일한 이미지(511)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화면(510)의 제2 영역(510b), 제2 화면(520)의 제2 영역(520b), 제3 화면(530)의 제2 영역(530b), 및 제4 화면(540)의 제2 영역(540b)을 통해서는 지속적으로 다른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이미지들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 화면들(510, 520, 530, 540)을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510)과 제2 화면(520)을 비교하고, 제2 화면(520)과 제3 화면(530)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3 화면(530)과 제4 화면(540)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1 화면(510) 내지 제4 화면(540) 각각의 제1 영역(510a, 520a, 530a, 540a)에는 동일한 이미지가(511)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510) 내지 제4 화면(540)에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비교하는 화면들의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60개 이상의 화면들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들을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여러 화면들 중 어느 하나를 캡쳐하고, 상기 동작을 지정된 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캡쳐된 화면들을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1초 동안 60개의 화면들 중 어느 하나를 캡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초 동안 캡쳐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고, 총 60개의 화면들을 캡쳐할 수 있다. 60개의 화면들이 캡쳐되면, 전자 장치(100)는 캡쳐된 60개의 화면들을 비교하여 고정된 이미지(51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전자 장치(100)는 여러 화면들(510, 520, 530, 540) 중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데이터(또는 동일한 비트(bit))가 반복될 경우 고정된 이미지(511)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면(510) 내지 제4 화면(540)의 제1 영역(510a, 520a, 530a, 540a)에 "111101"데이터가 반복하여 출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이미지가(511)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 또는 구동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온도 또는 구동 시간이 지정된 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100)는 각 화면들(510, 520, 530, 540)의 제1 영역(510a, 520a, 530a, 540a)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각 화면들(510, 520, 530, 540)의 제2 영역(510b, 520b, 530b, 540b)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밝기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까지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센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픽셀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정된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상에 고정된 이미지가 포함되는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해당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외한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은 제2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중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면 상기 센서가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복수의 화면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지정된 영역에 동일한 이미지가 출력되면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 상에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열화의 정도 기반하여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제 1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및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제 1 밝기 보다 낮은 제 2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온도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온도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2 밝기 값을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시간을 확인하고, 및 상기 사용 시간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2 밝기 값을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지정된 프레임 동안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중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에 대응되는 제1 밝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보다 어두운 제2 밝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도 값은 제1 조도 값에 해당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조도 값 보다 낮은 제2 조도 값이 측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2 밝기보다 어두운 제3 밝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조도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고 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 및 상기 측정된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a는 조도 값 및 디스플레이(120)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변경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6a에서 그래프(610)는 조도 값이 100,000 lux 일 경우, 그래프(620)는 조도 값이 60,000 lux 일 경우, 그래프(630)는 조도 값이 50,000 lux 일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조도 값이 측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에 대응되는 밝기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외로 이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조도 값이 10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644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프(6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644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100,000 lux일 경우 디스플레이(120)가 644 nit 밝기로 t2 (예: 10 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644 nit 밝기로 t2 이상 구동하면, t3 구간에서 디스플레이(120)가 558 nit 밝기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조도 값이 6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601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프(6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601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60,000 lux일 경우 디스플레이(120)가 601 nit 밝기로 t2 (예: 10 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601 nit 밝기로 t2 이상 구동하면, t3 구간에서 디스플레이(120)가 558 nit 밝기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그래프(610) 및 그래프(620)에서 설명한 내용은 그래프(6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할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되는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b는 조도 값이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변경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6a에서 t1 내지 t3 구간까지 설명한 내용은 도 6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도 값이 100,000 lux(60,000 lux 또는 50,000 lux)에서 3,000 lux로 바뀌면 전자 장치(100)는 t4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430 nit가 될 때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감소되면 전자 장치(100)는 t5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조도(lux) 초기(nit) 10분 후(nit)
3000 430 430
4000 451 451
5000 472 472
10000 494 494
20000 515 515
30000 536 536
40000 558 558
50000 580 558
60000 601 558
80000 622 558
100000 644 558
<표 2> 및 도 6b를 참조하여 t1 내지 t5 구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조도 값이 측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에 대응되는 밝기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값이 10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t1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644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50,000 lux 이상이고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예: 580 nit)로 t2 (예: 10 분) 이상 구동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558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경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예: 558 nit)는 조도 값이 변경되기 전(예: t3 동안)까지 유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도 값이 50,000 lux에서 3,000 lux로 바뀌면 전자 장치(100)는 t4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430 nit가 될 때까지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감소되면 전자 장치(100)는 t5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증가율과 t4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감소율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즉, 도 6b에서 t1 에 대응하는 기울기의 절대 값과 t4에 대응하는 기울기의 절대 값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증가율과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감소율을 거의 유사하게 제어함으로써, 조도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더라도 밝기 변화가 거의 유사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도 6b 및 <표 2>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 6a, 도 6b 및 <표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도 값이 100,000 lux에서 디스플레이(120)가 644 nit로 10 분 이상 구동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558 nit가 아닌 536 nit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프로세서(148)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외로 이동하면, 프로세서(148)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148)는 지정된 주기(예: 10 s)로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에 대응되는 밝기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값이 5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580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50,000 lux일 경우 디스플레이(120)가 580 nit 밝기로 10 분 이상 구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면, 동작 607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580 nit 밝기로 10 분 이상 구동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558 nit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하지 않으면, 동작 6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가 580 nit 밝기로 5 분 정도 구동한 상태이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는 580 nit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가 최대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할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되는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 예는 조도 값이 50,000 lux 이상일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조절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다. 이하 도 7에서 설명할 실시 예는 조도 값이 40,000 lux 이하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조절하는 실시 예와 관련된다. 도 7에서 그래프(710)는 조도 값이 40,000 lux 일 경우, 그래프(720)는 조도 값이 20,000 lux 일 경우, 그래프(730)는 조도 값이 5,000 lux 일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조도 값이 측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에 대응되는 밝기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값이 4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558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프(7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558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값이 40,000 lux에서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기 전(예: t2 동안)까지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558 nit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도 값이 3,000 lux로 바뀌면 전자 장치(100)는 t3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430 nit가 될 때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감소되면 전자 장치(100)는 t4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증가율과 t3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감소율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t1 에 대응하는 기울기의 절대 값과 t3에 대응하는 기울기의 절대 값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증가율과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감소율을 거의 유사하게 제어함으로써, 조도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더라도 밝기 변화가 거의 유사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조도 값이 20,000 lux일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515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프(7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t1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최대 515 ni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값이 20,000 lux에서 전자 장치(100)는 조도 값이 변경되기 전(예: t2 동안)까지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515 nit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도 값이 3,000 lux로 바뀌면 전자 장치(100)는 t3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430 nit가 될 때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감소되면 전자 장치(100)는 t4 동안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그래프(710) 및 그래프(720)에서 설명한 내용은 그래프(7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도 값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되는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다. 동작 80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작 205에서 설명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페이스 북 메신저, 카카오 톡, 구글, 네이버, 유투브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할 경우 조도 값을 큰 값(예: 100,000 lux)을 가질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할 경우 조도 값은 작은 값(예: 30,000 lux)을 가질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조도 값과 지정된 값(예: 40,000 lux)을 비교할 수 있다.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보다 크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807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809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보다 크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또한 측정된 조도 값에 비례하여 매우 밝게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매우 밝은 상태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픽셀의 열화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8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는 측정된 조도 값에 비례하여 다소 어두울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다소 어두우면 픽셀의 열화 가능성 또한 낮아지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조도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되는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할 경우 조도 값을 큰 값(예: 100,000 lux)을 가질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할 경우 조도 값은 작은 값(예: 30,000 lux)을 가질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동작 207에서 설명한 내용은 동작 90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조도 값을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120)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를 측정한 후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온도와 조도 값을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조도 값과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지정된 값(예: 40,000 lux, 50 ℃)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조도 값과 온도가 지정된 값보다 크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907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된 조도 값 또는 온도가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909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조도 값 및 온도가 지정된 값보다 크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또한 측정된 조도 값에 비례하여 매우 밝게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매우 밝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온도가 높으면 픽셀의 열화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는 측정된 조도 값에 비례하여 다소 어두울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가 다소 어두우면 픽셀의 열화 가능성 또한 낮아지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온도가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이 매우 짧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구동 시간이 매우 짧으면 픽셀의 열화 가능성 또한 낮아지므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도 값과 디스플레이(120)의 온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되는 픽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0)에서 전자 장치(1001)는 제 1 네트워크(10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서버(10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입력 장치(1050), 음향 출력 장치(1055), 표시 장치(1060), 오디오 모듈(1070), 센서 모듈(1076), 인터페이스(1077), 햅틱 모듈(1079), 카메라 모듈(1080), 전력 관리 모듈(1088), 배터리(1089), 통신 모듈(1090), 가입자 식별 모듈(1096), 또는 안테나 모듈(10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060) 또는 카메라 모듈(10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0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0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0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0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0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0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0)는 메인 프로세서(10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023)은 메인 프로세서(10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023)는 메인 프로세서(10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0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0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와 함께,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060),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0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080) 또는 통신 모듈(10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 또는 센서모듈(10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휘발성 메모리(10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0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040)은 메모리(10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042), 미들 웨어(1044) 또는 어플리케이션(10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50)는,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60)는 전자 장치(10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070)은, 입력 장치(10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055), 또는 전자 장치(10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6)은 전자 장치(10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0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77)는 전자 장치(10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0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0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0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0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0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88)은 전자 장치(10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089)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0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전자 장치(1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프로세서(10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90)은 무선 통신 모듈(10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0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0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0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098)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0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0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0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0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0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0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099)에 연결된 서버(10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2, 1004) 각각은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02, 1004, or 10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60)는 디스플레이(11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11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1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131), 메모리(11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1135), 또는 맵핑 모듈(11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11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1131)을 통해 전자 장치 10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020)(예: 메인 프로세서(10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0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1130)는 터치 회로(1150) 또는 센서 모듈(10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11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11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11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11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11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0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11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60)는 터치 회로(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1150)는 터치 센서(11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11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11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1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1153)는 디스플레이(11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11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0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11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11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1130), 또는 디스플레이(11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0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0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60)는 센서 모듈(10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0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1110) 또는 DDI(1130)) 또는 터치 회로(11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0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1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0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1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1151) 또는 센서 모듈(1076)은 디스플레이(11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036) 또는 외장 메모리(10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0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센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픽셀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상에 고정된 이미지가 포함되는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해당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외한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은 제2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타입 어플리케이션들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condition)와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중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면 상기 센서가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복수의 화면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지정된 영역에 동일한 이미지가 출력되면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 상에 상기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17.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지정된 일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픽셀들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열화의 정도 기반하여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제 1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및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제 1 밝기 보다 낮은 제 2 밝기 값으로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온도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온도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2 밝기 값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 시간을 확인하고, 및
    상기 사용 시간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2 밝기 값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지정된 프레임 동안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중 고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2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에 대응되는 제1 밝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밝기로 지정된 시간 이상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보다 어두운 제2 밝기로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값은 제1 조도 값에 해당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조도 값 보다 낮은 제2 조도 값이 측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2 밝기보다 어두운 제3 밝기로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로 유지시키는, 전자 장치.
  2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조도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일부에 포함되면,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2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고 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조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 값 및 상기 측정된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KR1020180012780A 2017-09-21 2018-02-01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6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031 WO2019059524A1 (ko) 2017-09-21 2018-08-08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18859833.8A EP3664071A4 (en) 2017-09-21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IXEL DEGRADATION
US16/648,512 US11315521B2 (en) 2017-09-21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rightness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1610 2017-09-21
KR1020170121610 201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07A true KR20190033407A (ko) 2019-03-29
KR102563828B1 KR102563828B1 (ko) 2023-08-07

Family

ID=6589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80A KR102563828B1 (ko) 2017-09-21 2018-02-01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64071A4 (ko)
KR (1) KR102563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952A (ko) * 2019-12-31 2021-07-09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번인 방지 방법
WO2023027356A1 (ko) * 2021-08-24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0831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Corp 携帯端末、表示方法
JP2008197675A (ja) * 2002-03-04 2008-08-2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12013942A (ja)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輝度制御装置、輝度制御方法、及び輝度制御プログラム
JP2013117831A (ja) * 2011-12-02 2013-06-13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輝度制御方法
US20160379584A1 (en) * 2014-03-11 2016-12-29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9877A (ja) * 1997-10-20 1999-04-30 Fujitsu Ltd 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6047617A (ja) * 2004-08-04 2006-02-16 Hitachi Displays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293367B2 (ja) * 2009-04-17 2013-09-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自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49783B1 (ko) * 2012-09-28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도 변화에 따른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675A (ja) * 2002-03-04 2008-08-2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7150831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Corp 携帯端末、表示方法
JP2012013942A (ja)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輝度制御装置、輝度制御方法、及び輝度制御プログラム
JP2013117831A (ja) * 2011-12-02 2013-06-13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輝度制御方法
US20160379584A1 (en) * 2014-03-11 2016-12-29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952A (ko) * 2019-12-31 2021-07-09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번인 방지 방법
WO2023027356A1 (ko) * 2021-08-24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4071A1 (en) 2020-06-10
EP3664071A4 (en) 2020-09-16
KR102563828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8817B (zh) 电子装置及用于驱动电子装置的显示器的方法
KR102400628B1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CN111699525B (zh) 用于补偿显示器的颜色的电子设备
KR20200144827A (ko) 주파수 별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 동작 사이클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90027234A (ko)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4477B1 (ko) 압력 센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16976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b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11295871B (zh) 根据外部附件的连接控制麦克风的设备和方法
US201903120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ndable display
KR102578096B1 (ko)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0162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26128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
KR102309160B1 (ko) 클럭을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KR20190088159A (ko) 지문 센서가 시각적 인식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6380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미지가 표시된 누적 시간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상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US113155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rightness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KR102563828B1 (ko)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91670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20481A (ko) 센서 및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88800A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US1149048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elements of optical sensor module based on display signal line voltag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210158110A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416A (ko)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