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000A - 거품분출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거품분출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000A
KR20110039000A KR1020090096246A KR20090096246A KR20110039000A KR 20110039000 A KR20110039000 A KR 20110039000A KR 1020090096246 A KR1020090096246 A KR 1020090096246A KR 20090096246 A KR20090096246 A KR 20090096246A KR 20110039000 A KR20110039000 A KR 2011003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cap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748B1 (ko
Inventor
김유섭
황선규
손세훈
최대구
김태용
정해영
기범창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09009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7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분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튜브몸체와, 상기 제1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제1튜브네크로 구성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에어홀이 형성되는 제2튜브네크가 상부에 결합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2에어홀이 형성되는 내부캡; 상기 제2튜브네크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캡에 결합되되,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이며, 그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3에어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캡; 상기 중공의 직상방에서 상기 지지캡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내부캡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에어홀의 하단 및 상기 지지캡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되, 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홀 또는 제3에어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에어밸브; 상기 내부캡을 감싸며 결합되되 중앙부 하단에 거품망이 구비되는 외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감싸며 공기층을 형성하는 외용기의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외용기의 가압 여부에 따라 에어홀을 개폐하는 에어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만큼의 거품발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내용기, 외용기, 에어밸브, 거품망

Description

거품분출 튜브용기{Tube vessel for bubble spouting}
본 발명은 거품분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감싸며 공기층을 형성하는 외용기의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외용기의 가압 여부에 따라 에어홀을 개폐하는 에어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만큼의 거품발생이 용이한 거품분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품분출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튜브몸체를 사용자가 가압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를 혼입시켜 거품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39576호 "용액분출용 뚜겅의 구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후렉시블한 벽면(11)을 가지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캡형상으로서 중앙에 튜브(30)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튜브관통원통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관통원통부(130)의 주위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에어유통구멍(140)들이 형성된 안쪽캡(100)과; 상기 안쪽캡(100)의 튜브관통원통부(130)와 연결되어 통하는 튜브장착원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장착원통부(310)에 용기(10)내의 수용액을 외부로 추출할 수 있는 용액분출구멍(320)이 형성된 안쪽아래캡(300)과; 상기 안쪽캡(100)과 안쪽아래캡(300)의 사이에 긴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쪽아래캡(300)의 용액분출구멍(420)과의 거품생성공간(410)의 간격을 두고 용액분출구멍(420)이 형성된 안쪽윗캡(400)과; 상기 안쪽캡(100)의 바깥둘레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쪽윗캡(400)의 용액분출구멍(420)과 대향하는 부위에 거품배출구(230)가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를 용기(10)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에어유통구가 형성된 바깥쪽캡(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품분출 튜브용기는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만큼의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의 역류를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용기가 거꾸로 뒤집히게될 경우, 외부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누액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감싸며 공기층을 형성하는 외용기의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외용기의 가압 여부에 따라 에어홀을 개폐하는 에어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만큼의 거품발생이 용이한 거품분출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와 에어밸브의 이중밸브 구조를 통하여 용기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도 누액을 차단할 수 있으며, 원활한 거품의 분출이 가능한 거품분출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튜브몸체와, 상기 제1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제1튜브네크로 구성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에어홀이 형성되는 제2튜브네크가 상부에 결합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2에어홀이 형성되는 내부캡; 상기 제2튜브네크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캡에 결합되되,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이며, 그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3에어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캡; 상기 중공의 직상방에서 상기 지지캡의 하부에 결합 되어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내부캡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에어홀의 하단 및 상기 지지캡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되, 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홀 또는 제3에어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에어밸브; 상기 내부캡을 감싸며 결합되되 중앙부 하단에 거품망이 구비되는 외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밸브는 상기 내부캡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에어홀을 개폐하는 제1개폐판과, 상기 지지캡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제3에어홀을 개폐하는 제2개폐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3에어홀과 맞닿는 부분이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기와 지지캡 사이에는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감싸며 공기층을 형성하는 외용기의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외용기의 가압 여부에 따라 에어홀을 개폐하는 에어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만큼의 거품발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크밸브와 에어밸브의 이중밸브 구조를 통하여 용기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도 누액을 차단할 수 있으며, 원활한 거품의 분출이 가능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에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는 내용기(100), 외용기(200), 내부캡(300), 지지캡(400), 에어밸브(500), 외부캡(600)이 포함된다.
상기 내용기(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튜브몸체(110)와, 상기 제1튜브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공(121)이 형성되는 제1튜브네크(120)로 구성된다. 상기 내용기(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배출시에 거품이 생성될 수 있도록 많은 양의 비누성분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용기(200)는 상기 내용기(100)의 외부에서 내용기(100)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기(100)의 제1튜브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제2튜브몸체(210)와, 상기 제2튜브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튜브네크(120)와 결합되는 제2튜브네크(2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네크(220)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에어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1에어홀(221)은 상기 제1튜브몸체(110)와 제2튜브몸체(210)가 형성하는 공간의 상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2튜브몸체(2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부캡(300)은 상기 외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후술할 지지캡(4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캡(40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제2튜브네크(220)의 내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캡(400)의 고정부(410)와 결합되는 지지편(32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320)에는 지지캡(40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기(3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300)의 상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2에어홀(31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2에어홀(310)은 내부캡(300)과 후술할 외부캡(600)이 형성하는 공간(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용기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캡(400)은 상기 제2튜브네크(220)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캡(300)에 결합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내부캡(300)의 지지편(3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의 내측에서 연결부(430)를 통하여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420)로 구성되는대, 상기 연결부(430)는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410)에는 상기 내부캡(300)의 지지편(320)에 형성되는 돌기(321)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기(321)와 맞닿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20)의 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3에어홀(42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3에어홀(421)은 후술할 에어밸브(600)의 개방시에 상기 제1에어홀(221)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에어홀(421)을 통과한 공기는 후술할 거품망(6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400)의 하부 내측에는 체크밸브(44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중공(121)의 직상방에 체크밸브(440)가 구비되어 용기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외용기(200)를 가압할 경우에만 체크밸브(440)가 개방되며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내용물의 누액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캡(400)의 돌출부(420) 내부에는 용기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경우, 내용물이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와의 적절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적은량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는 구형상의 구슬(미도시)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용기(100)와 지지캡(400) 사이에는 상기 내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개스킷(7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밸브(500)는 상기 내부캡(300)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에어홀(310)의 하단 및 상기 지지캡(400)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어 공기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캡(30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에어홀(310)을 개폐하는 제1개폐판(510)과, 상기 지지캡(400)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제3에어홀(421)을 개폐하는 제2개폐판(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밸브(500)는 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홀(310) 또는 제3에어홀(421)을 개폐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되는대, 상기 제2개폐판(520)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제3에어홀(421)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에어홀(421)과 맞닿는 부분이 절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캡(600)은 상기 내부캡(300)을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과 상기 제1에어홀(221) 및 제3에어홀(42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될때,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하 도록 중앙부 하단에 거품망(6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캡(600)은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부(62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캡(300)에 결합되는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300)과 외부캡(600) 사이에 소정의 공간(a)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에어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외용기(200)를 가압할 경우에는 상기 제1에어홀(221)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개폐판(510)이 상기 제2에어홀(310)에 밀착되어 제2에어홀(310)을 폐쇄하게 되며, 상기 제2개폐판(520)은 압력에 의해 제3에어홀(421)로부터 이격되어 제3에어홀(421)을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에어홀(221)을 통하여 이동된 공기가 제3에어홀(421)을 통과한 후, 거품망(610)을 거쳐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외용기(200)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내용기(100) 및 외용기(20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내용기(100)와 외용기(200)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대, 이로 인하여, 상기 제1개폐판(510)이 상기 제2에어홀(310)로부터 이격되어 제2에어홀(31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내부캡(300)과 외부캡(600)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에어홀(221)을 통해 상기 내용기(100)와 외용기(200)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이동 하게 되며, 상기 제2개폐판(520)은 흡입력에 의해 제3에어홀(421)에 밀착되어 제3에어홀(421)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에어홀(310) 및 제3에어홀(421)을 개폐시키는 에어밸브(600)가 구비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 거품망(610)의 하단부 공간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안내하여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절개사시도,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분출 튜브용기의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에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용기 110: 제1튜브몸체
120: 제1튜브네크 121: 중공
200: 외용기 210: 제2튜브몸체
220: 제2튜브네크 221: 제1에어홀
300: 내부캡 310: 제2에어홀
320: 지지편 321: 돌기
400: 지지캡 410: 고정부
420: 돌출부 421: 제3에어홀
430: 연결부 440: 체크밸브
500: 에어밸브 510: 제1개폐판
520: 제2개폐판 600: 외부캡
610: 거품망 620: 고정부
700: 개스킷

Claims (3)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튜브몸체와, 상기 제1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제1튜브네크로 구성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기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에어홀이 형성되는 제2튜브네크가 상부에 결합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2에어홀이 형성되는 내부캡;
    상기 제2튜브네크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캡에 결합되되,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이며, 그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3에어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캡;
    상기 중공의 직상방에서 상기 지지캡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내부캡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에어홀의 하단 및 상기 지지캡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되, 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홀 또는 제3에어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에어밸브;
    상기 내부캡을 감싸며 결합되되 중앙부 하단에 거품망이 구비되는 외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분출 튜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브는 상기 내부캡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에어홀을 개폐하는 제1개폐판과, 상기 지지캡의 중앙부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제3에어홀을 개폐하는 제2개폐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3에어홀과 맞닿는 부분이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분출 튜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와 지지캡 사이에는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분출 튜브용기.
KR1020090096246A 2009-10-09 2009-10-09 거품분출 튜브용기 KR10106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46A KR101067748B1 (ko) 2009-10-09 2009-10-09 거품분출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46A KR101067748B1 (ko) 2009-10-09 2009-10-09 거품분출 튜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000A true KR20110039000A (ko) 2011-04-15
KR101067748B1 KR101067748B1 (ko) 2011-09-28

Family

ID=4404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246A KR101067748B1 (ko) 2009-10-09 2009-10-09 거품분출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74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485A1 (ko) * 2012-03-22 2013-09-26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395878B1 (ko) * 2013-12-30 2014-05-16 배창국 2중 플라스틱용기 캡조립체
KR101514811B1 (ko) * 2014-06-02 2015-04-2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WO2015099338A1 (ko) * 2013-12-26 2015-07-02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KR200479136Y1 (ko) * 2014-06-19 2016-01-04 (주)영진팩 체크 밸브 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KR101705593B1 (ko) * 2015-10-13 2017-02-1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101701773B1 (ko) * 2015-10-13 2017-02-1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WO2017116050A1 (ko) * 2015-12-31 2017-07-06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WO2018182331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WO2018182332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WO2023008658A1 (ko) * 2021-07-27 2023-02-02 최정구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9655B1 (en) * 2013-06-28 2019-02-27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KR101576977B1 (ko) 2015-05-19 2015-12-16 이서준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KR101737866B1 (ko) 2015-09-30 2017-05-19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KR102622766B1 (ko) * 2018-06-18 2024-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토출용기
KR102356611B1 (ko) * 2020-09-10 2022-02-08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383616B1 (ko) * 2020-09-10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7A (ja) 1996-04-20 1998-01-06 Kao Corp 泡吐出容器
JP5131456B2 (ja) * 2007-12-19 2013-01-30 花王株式会社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2857B2 (en) 2012-03-22 2016-07-19 Yonwoo Co., Ltd. Container provided with a vacuum pump for cream-type cosmetics
CN104254263B (zh) * 2012-03-22 2017-05-10 株式会社衍宇 具有真空泵的膏型化妆品容器
CN104254263A (zh) * 2012-03-22 2014-12-31 株式会社衍宇 具有真空泵的膏型化妆品容器
WO2013141485A1 (ko) * 2012-03-22 2013-09-26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JP2015516190A (ja) * 2012-03-22 2015-06-11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真空ポンプが具備され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KR101364450B1 (ko) * 2012-03-22 2014-02-20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WO2015099338A1 (ko) * 2013-12-26 2015-07-02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CN105873832A (zh) * 2013-12-26 2016-08-17 衍宇株式会社 泡沫喷出管容器
KR101395878B1 (ko) * 2013-12-30 2014-05-16 배창국 2중 플라스틱용기 캡조립체
KR101514811B1 (ko) * 2014-06-02 2015-04-2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CN106458392B (zh) * 2014-06-02 2018-05-18 阿波罗工业株式会社 挤压容器用泡沫发生器
WO2015186922A1 (ko)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CN106458392A (zh) * 2014-06-02 2017-02-22 阿波罗工业株式会社 挤压容器用泡沫发生器
KR200479136Y1 (ko) * 2014-06-19 2016-01-04 (주)영진팩 체크 밸브 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KR101701773B1 (ko) * 2015-10-13 2017-02-1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WO2017065439A1 (ko) * 2015-10-13 2017-04-2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WO2017065441A1 (ko) * 2015-10-13 2017-04-2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CN108025842A (zh) * 2015-10-13 2018-05-11 阿波罗工业株式会社 挤压容器用泡沫发生器
CN108025843A (zh) * 2015-10-13 2018-05-11 阿波罗工业株式会社 倒立型挤压容器泡沫发生器
KR101705593B1 (ko) * 2015-10-13 2017-02-1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US10112747B2 (en) 2015-10-13 2018-10-30 Apollo Industrial Co., Ltd.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s
US10765590B2 (en) 2015-10-13 2020-09-08 Apollo Industrial Co., Ltd. Foam generator for inverted compression receptacles
WO2017116050A1 (ko) * 2015-12-31 2017-07-06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WO2018182331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WO2018182332A1 (ko) * 2017-03-29 2018-10-04 주식회사 대웅제약 튜브 캡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형 용기
WO2023008658A1 (ko) * 2021-07-27 2023-02-02 최정구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KR20230016956A (ko) * 2021-07-27 2023-02-03 최정구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748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48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KR101598113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EP2527272B1 (en) Pump type foam discharge container
JP5430297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737866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KR101125511B1 (ko)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JP2000219254A (ja) 泡噴出容器
KR100858366B1 (ko) 거품 분출 펌핑장치
JP6310838B2 (ja) スクイズ容器
KR101910060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KR20120113347A (ko) 연질의 내용기가 구비된 진공 화장품용기
JP2001149827A (ja) 泡噴出器
KR20170027528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6552205B2 (ja) 泡噴出容器
JP2013133134A (ja) 泡噴出容器
KR200265028Y1 (ko)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JP2016008049A (ja) 液体容器
JP6474704B2 (ja) 泡噴出容器
KR102622766B1 (ko) 내용물 토출용기
JP6363045B2 (ja) 二重容器
KR20130001110U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101980306B1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JP2018167887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