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161A -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 Google Patents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161A
KR20110037161A KR1020090094467A KR20090094467A KR20110037161A KR 20110037161 A KR20110037161 A KR 20110037161A KR 1020090094467 A KR1020090094467 A KR 1020090094467A KR 20090094467 A KR20090094467 A KR 20090094467A KR 20110037161 A KR20110037161 A KR 20110037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sheet
printing
patter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기 filed Critical 박윤기
Priority to KR102009009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161A/ko
Publication of KR2011003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2Materials
    • B65D2581/055Plastic in general, e.g. foamed plastic, molded plastic, extruded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에 의해 시트의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조하기 용이하다.
에어캡, 인쇄패턴, 인쇄시트, 인쇄봉투

Description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Printed air cap sheet and Printed air cap envelop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측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에 관한 것이다.
에어캡 시트는 필름 내부에 공기주머니(이를 에어캡이라고 한다)가 다수 형성된 시트로서 운송되는 박스 등의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을 감싸서 보호하는데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최근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a은 종래의 에어캡 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에어캡 시트(1)는 일면이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이고, 타면에 원형의 볼록한 에어캡(AC)이 형성된 필름(1b)을 합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에어캡 시트(1)로 에어캡 봉투(2)가 제작되기도 하는데, 에어캡 봉투(2) 내에 물건을 넣어 쉽게 포장이 가능하고, 내부의 물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온 또는 보냉 효과까지 가질 수 있다. 도 1b는 종래의 에 어캡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한 장의 에어캡 시트(1)를 에어캡(AC)이 바깥쪽이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압착부(2a)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에어캡(AC)이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제조된 에어캡 봉투(1)는 열 압착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에어캡(AC)이 바깥쪽을 향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흡수에는 유용하나, 내용물이 변형되기 쉬운 경우 내용물의 보호에는 미흡하다.
이와 반대로,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열 압착에 사용되는 열선의 직경은 약 0.8㎜ 내지 1.0㎜의 범위인데, 에어캡(AC)이 내부로 향한 상태에서는 에어캡(AC)의 내부 공기층의 두께 때문에 이러한 일반적인 열선에 의해 열압착하여 접합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였다고 하더라도 에어캡 봉투(2)의 외측면에 인쇄패턴을 넣기란 불가능하다. 인쇄를 하려면 인쇄롤러에 의해 에어캡 봉투(2)를 가압해야 하는데 에어캡(AC)이 터지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인쇄롤러를 가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에어캡 시트(1)의 필름 중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에 미리 인쇄를 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과 에어캡(AC) 이 형성된 필름(1b)을 합지하면서 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패턴이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여 형성된 에어캡 봉투(2)를 수작업이 아닌 대량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제조하기란 매우 어렵다.
한편, 에어캡 봉투(2)의 외면에 품질 표시 등을 위해 깔끔한 인쇄패턴을 형성하려면, 에어캡 봉투(2)마다 각각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 의해 외면에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인쇄봉투를 제작하기도 매우 곤란하다.
즉, 반복되는 패턴의 무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인쇄시트의 경우에는 롤 형태로 계속 공급되어도 임의의 지점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인쇄패턴이 일부 잘려도 문제가 없으므로 에어캡 봉투(2)를 제작할 수는 있지만, 인쇄패턴이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의 경우에는 인쇄패턴마다 절단할 장소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절단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는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캡 인쇄시트는, 일면에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일면이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어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타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면이 상기 제2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는 제3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에어캡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Eye mark)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쇄패턴과 상기 아이마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는 시트를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와 직교하는 양쪽 선단을 융착하여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는 봉투로서, 상기 시트의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 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는, 일면에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일면이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어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일면이 상기 제2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되, 타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쇄패턴과 상기 아이마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에 따르면,
첫째,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에 의해,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조하기 용이하다.
둘째,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인쇄패턴이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합지시켜 인쇄시트를 제조할 경우, 인쇄시트에 인쇄패턴을 형성시키기 용이하다.
셋째, 인쇄시트가 아이마크를 구비하는 경우,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인 경우에도 아이마크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서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작하 기가 매우 용이하다.
넷째, 에어캡 인쇄봉투의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에어캡에 의해 내용물의 보호에 충실함과 동시에 깔끔한 인쇄패턴에 의해 내용물의 품질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 및 에어캡 인쇄봉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에어캡 인쇄시트(100)는 일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캡 인쇄시트(100)는 제1 시트(110), 제2 시 트(120) 및 제3 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110), 제2 시트(120) 및 제3 시트(130)는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시트(110)의 일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된다. 에어캡(110a)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단면의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제2 시트(120)의 일면은 제1 시트(110)의 타면에 합지되어 형성된 에어캡(110a)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킨다. 제3 시트(130)의 타면에는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그 일면은 제2 시트(120)의 타면에 합지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인쇄패턴(130a)은 에어캡 인쇄시트(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인쇄시트(100)가 접힌 뒤 인쇄패턴(130a)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인쇄패턴(130a)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을 따라 중심선(C)의 양쪽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완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0)에서 인쇄패턴(130a)이 개봉부를 상측으로 하여 글자가 인쇄되기 위해서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글자가 바깥쪽을 상측으로 하여 인쇄되어야 한다.
인쇄패턴(130a)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Eye mark; 130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인쇄패턴(130a)과 아이마크(130b)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캡 인쇄봉투(200)는 인쇄시트(100)로 제작되며, 융착부(200a), 접힘부(200b), 개봉부(200c)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쇄시트(100)의 내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0a)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패턴(130a)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130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시트(100)를 반으로 접어서 접힘부(200b)가 형성되고, 접힘부(200b)와 직교하는 양쪽 선단을 융착하여 융착부(200a)가 형성된다. 이때, 접힘부(200b)의 반대측에는 접힘부(200b)와 융착부(200a)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봉부(200c)가 형성된다. 개봉부(200c)는 내용물을 포장하는 현장에서 에어캡 인쇄봉투(200)에 내용물을 삽입한 뒤, 소형 융착기 등을 통해 차후 밀봉될 수 있다.
에어캡 인쇄봉투(200)를 제작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3개의 시트로 구성된 에어캡 인쇄시트(1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면에 에어캡(110a)이 형성된 제1 시트(110), 일면이 제1 시트(110)의 타면에 합지되어 에어캡(110a)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120) 및 일면이 제2 시트(120)의 타면에 합지되고, 타면에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에어캡 인쇄시트(100)에 의해 에어캡 인쇄봉투(200)를 제조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일면에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타면에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100)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공급되는 인쇄시트(100)를 에어캡(110a)이 내측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접는다. 이때, 인쇄시트(100)를 필요에 따라 반으로 접을 수도 있고, 접힌 부분의 한쪽이 약간 길게 되도록 접을 수도 있다. 접힌 부분은 완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0)에서 접힘부(200b)가 된다. 인쇄시트(100)를 접을 때에는 아이마크(130b)를 상측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아이마크(130b)가 상측을 향하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고 나서,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판독위치(A)에서 센서 등에 의해 아이마크(130b)가 판독되는 순간에, 절단위치(B)에서 판독 신호를 받아 하강운동을 하여 인쇄시트(100)를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켜서 절단함으로써 에어캡 인쇄봉투(200)가 하나씩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인쇄패턴(130a)과 아이마크(130b)를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의 에어캡 인쇄봉투(200)가 잘 나타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100)에 의해, 내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0a)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0)를 제조하기 용이하다. 에어 캡(110a)이 형성된 제1 시트(110), 에어캡(110a)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120), 인쇄패턴(130a)이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130)를 합지시켜 인쇄시트(100)를 제조할 경우, 인쇄시트(100)에 인쇄패턴(130a)을 형성시키기 용이하다. 인쇄시트(100)가 아이마크(130b)를 구비하는 경우,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100)인 경우에도 아이마크(130b)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서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패턴(130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0)를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에어캡 인쇄봉투(200)의 내면에는 에어캡(110a)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0a)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에어캡(100a)에 의해 내용물의 보호에 충실함과 동시에 깔끔한 인쇄패턴(130a)에 의해 내용물의 품질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a은 종래의 에어캡 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에어캡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에어캡 인쇄시트 110...제1 시트
120...제2 시트 130...제3 시트
200...에어캡 인쇄봉투 200a...융착부
200b...접힘부 200c...개봉부

Claims (9)

  1.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 인쇄시트는,
    일면에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일면이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어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타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면이 상기 제2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는 제3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패턴은,
    상기 에어캡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시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Eye mark)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쇄패턴과 상기 아이마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시트.
  6. 시트를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와 직교하는 양쪽 선단을 융착하여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는 봉투로서,
    상기 시트의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일면에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일면이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어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일면이 상기 제2 시트의 타면에 합지되되, 타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는,
    절단을 위한 아이마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쇄패턴과 상기 아이마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
KR1020090094467A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KR20110037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7A KR20110037161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7A KR20110037161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61A true KR20110037161A (ko) 2011-04-13

Family

ID=4404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67A KR20110037161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0Y1 (ko) 2019-04-25 2019-12-11 홍호선 에어 캡 파우치
KR200492619Y1 (ko) 2020-01-10 2020-11-11 주식회사 에다포스코리아 형상변경이 자유로운 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0Y1 (ko) 2019-04-25 2019-12-11 홍호선 에어 캡 파우치
KR200492619Y1 (ko) 2020-01-10 2020-11-11 주식회사 에다포스코리아 형상변경이 자유로운 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9990T3 (es) Complejo compuesto por láminas planas, método para la obtención de dicho complejo, método para fabricar un envase y método para envasar un objeto
KR910009515B1 (ko) 시이트형태 또는 웨브형태의 가요한 포장지와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포장지로부터 제조되는 포장용기
JP7138091B2 (ja) 軟包材容器用中間材の製造方法、軟包材容器の製造方法及び軟包材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
MX2011002013A (es) Metodo y aparato correspondientes a un material de envoltura flexible teniendo lineas de pliegue formadas por laser.
UA117678C2 (uk) Упаковка з відділеннями та способи її формування
RU2011119644A (ru) Гибкий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с вкладышем в форме пакета
RU267572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с клапаном из полимерной ткани и мешок, изготовленный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CN103561945A (zh) 用于制造基于盒用纸板或者纸板的包装容器的、具有可探测标记的包装材料
JP2024003243A (ja) 包装袋
US11945621B2 (en) Packag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110037161A (ko)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ES2903358T3 (es) Material de envasado y método para proporcionar un material de envasado
KR101623549B1 (ko) 포장용 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753084B1 (ko) 이중 구조의 완충 포장백
CN107000896B (zh) 包装容器
JP6195102B2 (ja) 包装袋
KR20110037162A (ko)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KR101544545B1 (ko) 스트로우 파우치
JP2009107702A (ja) 商品陳列用包装体並びに商品陳列用包装体における袋体及び台シート並びに商品陳列用包装体の製造装置
JP2015067295A (ja) 包装袋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US20160318681A1 (en) Wrapper for soap bar
KR100320552B1 (ko) 비닐포장재를 사용하는 포장용 성형기
WO2022215750A1 (ja) 包装容器用賦形部材、包装容器、内容物入り包装容器、及び内容物入り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4244302B2 (ja) 易開封包装袋
JP2018171849A (ja) 積層体、包装体材料、包装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