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162A -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 Google Patents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162A
KR20110037162A KR1020090094468A KR20090094468A KR20110037162A KR 20110037162 A KR20110037162 A KR 20110037162A KR 1020090094468 A KR1020090094468 A KR 1020090094468A KR 20090094468 A KR20090094468 A KR 20090094468A KR 20110037162 A KR20110037162 A KR 20110037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sheet
air cap
ba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기 filed Critical 박윤기
Priority to KR102009009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162A/ko
Publication of KR2011003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31B2160/102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btained from essentially rectangular sheet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인쇄시트 공급부, 인쇄시트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에어캡이 내측을 향하도록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폴딩(folding)부, 폴딩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절단부 및 절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조된 인쇄봉투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에어캡, 인쇄시트, 인쇄시트 공급부, 폴딩부, 절단부, 수거부

Description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air cap envelope and Printed air cap envelope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에어캡이 형성되고, 외측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에 관한 것이다.
에어캡 시트는 필름 내부에 공기주머니(이를 에어캡이라고 한다)가 다수 형성된 시트로서 운송되는 박스 등의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을 감싸서 보호하는데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최근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a은 종래의 에어캡 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에어캡 시트(1)는 일면이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이고, 타면에 원형의 볼록한 에어캡(AC)이 형성된 필름(1b)을 합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에어캡 시트(1)로 에어캡 봉투(2)가 제작되기도 하는데, 에어캡 봉투(2) 내에 물건을 넣어 쉽게 포장이 가능하고, 내부의 물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온 또는 보냉 효과까지 가질 수 있다. 도 1b는 종래의 에어캡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에어캡 시트(1)로 에어캡 봉투(2)가 제작되기도 하는데, 에어캡 봉투(2) 내에 물건을 넣어 쉽게 포장이 가능하고, 내부의 물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온 또는 보냉 효과까지 가질 수 있다. 도 1b는 종래의 에어캡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한 장의 에어캡 시트(1)를 에어캡(AC)이 바깥쪽이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압착부(2a)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에어캡(AC)이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제조된 에어캡 봉투(1)는 열 압착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에어캡(AC)이 바깥쪽을 향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흡수에는 유용하나, 내용물이 변형되기 쉬운 경우 내용물의 보호에는 미흡하다.
이와 반대로,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열 압착에 사용되는 열선의 직경은 약 0.8㎜ 내지 1.0㎜의 범위인데, 에어캡(AC)이 내부로 향한 상태에서는 에어캡(AC)의 내부 공기층의 두께 때문에 에어캡(AC)이 터지고 미끄러져 이러한 일반적인 열선에 의해 열압착하여 접합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도록 접은 뒤, 접힌 에어캡 시트(1) 의 양단을 열 압착시켜 에어캡 봉투(2)를 제조하였다고 하더라도 에어캡 봉투(2)의 외측면에 인쇄패턴을 넣기란 불가능하다. 인쇄를 하려면 인쇄롤러에 의해 에어캡 봉투(2)를 가압해야 하는데 에어캡(AC)이 터지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인쇄롤러를 가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에어캡 시트(1)의 필름 중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에 미리 인쇄를 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매끄러운 면을 가진 필름(1a)과 에어캡(AC)이 형성된 필름(1b)을 합지하면서 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패턴이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에어캡(AC)이 안쪽을 향하여 형성된 에어캡 봉투(2)를 수작업이 아닌 대량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제조하기란 매우 어렵다.
한편, 에어캡 봉투(2)의 외면에 품질 표시 등을 위해 깔끔한 인쇄패턴을 형성하려면, 에어캡 봉투(2)마다 각각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 의해 외면에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인쇄봉투를 제작하기도 매우 곤란하다.
즉, 반복되는 패턴의 무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인쇄시트의 경우에는 롤 형태로 계속 공급되어도 임의의 지점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인쇄패턴이 일부 잘려도 문제가 없으므로 에어캡 봉투(2)를 제작할 수는 있지만, 인쇄패턴이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의 경우에는 인쇄패턴마다 절단할 장소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절단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는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인쇄시트 공급부; 상기 인쇄시트 공급부에 의해 상기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에어캡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폴딩(folding)부; 상기 폴딩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조된 인쇄봉투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시트 공급부의 전방에는, 용융된 수지액을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형태로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재; 일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재; 상기 공급되는 제1 시트에 에어캡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흡입홈이 형성된 성형롤러; 및 상기 성형롤러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3 시트를 동시에 압착시켜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형성된 인쇄시트로 합지시키는 합지롤러를 구비하는 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인쇄시트를 열선에 의해 열 융착시켜 절단하되, 상기 열선은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폴딩부에 의해 접힌 뒤, 상기 인쇄패턴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패턴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 아이마크(Eye mark)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의 전방에는,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서 상기 아이마크를 판독하는 판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아이마크가 판독되는 순간,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은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에어캡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단계; 및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기 위한 제2 시트, 일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열에 의해 동시에 융착시켜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형성된 인쇄시트로 합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는,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열선에 의해 융착시켜 절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힌 뒤, 상기 인쇄패턴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패턴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 아이마크(Eye mark)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서 상기 아이마크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마크가 판독되는 순간,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켜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는 상기 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에 따르면,
첫째,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열선을 사용하여 열 융착, 절단할 경우, 에어캡이 내측을 향한 인쇄시트를 쉽게 열 융착, 절단할 수 있다.
셋째,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인쇄패턴이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합지시켜 인쇄시트를 제조할 경우, 인쇄시트에 인쇄패턴을 형성시키기 용이하다.
넷째, 인쇄시트가 아이마크를 구비하는 경우,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인 경우에도 아이마크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서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를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다섯째, 에어캡 인쇄봉투의 내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에어캡에 의해 내용물의 보호에 충실함과 동시에 깔끔한 인쇄패턴에 의해 내용물의 품질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에어캡 인쇄봉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독부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에어캡 인쇄봉투(20)의 제조장치(M)는 인쇄시트 공급부(200), 폴딩(folding)부(300), 절단부(400) 및 수거부(600)를 포함한다.
인쇄시트 공급부(200)는 인쇄시트(10)를 연속하여 공급한다. 인쇄시트(10)의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 11a)이 형성되고, 인쇄시트(10)의 타면에는 인쇄패턴(13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인쇄시트 공급부(200)는 인쇄시트(10)가 감겨진 권취롤(MR)에서 인쇄시트(10)를 인출하여 다수의 가이드 롤러(GR) 등을 통해 인쇄시트(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폴딩(folding)부(300)는 인쇄시트 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시트(10)를 에어캡(11a)이 내측을 향하도록 인쇄시트(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역할을 한다. 폴딩부(300)는 프레임 내부에 이송되면서 인쇄시트(10)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구비된 삼각형 형상의 가이드판(310)과 접힌 인쇄시트(10)를 밀착시키는 밀착롤러(320) 등을 포함한다.
이때, 폴딩부(300)는 필요에 따라 인쇄시트(10)를 반으로 접을 수도 있고, 접힌 부분의 한쪽이 약간 길게 되도록 접을 수도 있다. 이때, 인쇄시트(10)의 접힌 부분은 완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에서 개봉부의 반대측이 된다.
한편, 폴딩부(300)에 의해 접힌 뒤 인쇄패턴(13a)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인쇄시트(10)의 인쇄패턴(13a)이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400)는 폴딩부(300)의 후방에 위치하며, 폴딩부(300)에 의해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10)를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20)를 제조한다. 예를 들면, 절단부(400)는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10)를 상하 수직운동에 의해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400)가 인쇄시트(10)를 열 융착하는 경우, 절단부(400)는 피스톤 등에 의해 상하 수직운동이 가능한 구동부(410)와 구동부의 하측에 구비된 열선(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400)가 인쇄시트(10)를 열선(420)에 의해 열 융착시켜 절단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열선(42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약 0.8㎜ 내지 1.0㎜의 범위이면 에어캡(11a)이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열선(420)이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지고, 그 때문에 에어캡(11a)이 터지고 미끄러져 열 융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에어캡(11a)이 원형이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직경 약 10㎜, 높이 약 3 내지 4㎜인 경우를 예를 들면, 열선(420)의 직경(d)은 대략 1.3㎜ 내지 1.5㎜의 범위에 해당되어야만 에어캡(11a)이 차지하는 공간에도 불구하고 열선(420)과 인쇄시트(10)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미끄러지지 않고 순간적으로 열 융착이 가능해진다(도 5 참고).
절단부(400)가 하강하여 인쇄시트(10)를 1회 절단하면, 인쇄봉투(20)의 일측면을 열 융착시킴과 동시에 절단하고, 더불어 이웃한 인쇄봉투(20)의 반대측면을 열 융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에어캡 인쇄봉투(20)는 접힌 부분은 기준으로 반대쪽이 개봉부가 되고, 양측이 융착부가 되어 봉투의 형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절단부(400)에 의해 절단되어 제조된 에어캡 인쇄봉투들(20)은 절단부(4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수거부(600)에 의해 수거된다. 수거부(600)는 절단되어 하강되는 에어캡 인쇄봉투들(20)을 단순히 차례대로 수거하여 적재할 수도 있고, 다른 이송롤러 등을 더 구비하여 그를 통해 인쇄봉투(20)를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여 적재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시트(10)에는 필요에 따라 인쇄패턴(13a)과 더불어 인쇄패턴(13a)의 일측에 아이마크(Eye mark; 13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400)가 인쇄시트(10)를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켜 절단하므로, 아이마크(13b)는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단부(400)의 전방에는 판독부(500)가 구비되어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10)에서 아이마크(13b)를 판독한다. 일종의 시각 센서인 판독부(500)는 전기적으로 절단부(400)와 연결되어 아이마크(13b)가 판독되는 순간, 절단부(400)가 인쇄시트(10)를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키도록 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합지부의 종단면도이다.
인쇄시트 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시트(1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별도로 구비된 합지부(100)에 의해 합지되어 권취된 인쇄시트(10)가 인쇄시트 공급부(200)에 권취롤(MR)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인쇄시트 공급부(200) 전방에 일체로 마련된 합지부(100)와 직접 연결되어 인쇄시트 공급부(200)로 공급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합지부(100)는 수지 공급부재(110), 시트 공급부재(120), 성형롤러(130) 및 합지롤러(140)를 포함한다. 수지 공급부재(110)와 시트 공급부재(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성형롤러(130)와 합지롤러(14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성형롤러(130)와 합지롤러(140)는 수지 공급부재(110)와 시트 공급부재(12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지 공급부재(110)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에 의해 용융된 수지액을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의 형태로 가열하여 공급한다. 또한, 시트 공급부재(120)는 일면에 인쇄패턴(13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13)를 공급한다.
성형롤러(130)에는 공급되는 제1 시트(11)에 에어캡(11a)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복수의 흡입홈(130a)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홈(130a)은 내부가 망 사 형태 등으로 되어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흡입장치와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제1 시트(11)가 성형롤러(130)와 맞닿아 흡입홈(130a)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캡(11a)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홈(130a)의 형상은 형성될 에어캡(11a)의 형상이 된다. 이렇게 에어캡(11a)이 형성된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가 융착되면서 에어는 에어캡(11a) 내부에 갇히게 된다.
합지롤러(140)는 성형롤러(130)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에어캡(11a)이 형성된 제1 시트(11),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12) 및 인쇄패턴(13a)이 형성된 제3 시트(13)는 성형롤러(130)와 합지롤러(140)의 사이에 동시에 삽입되어 성형롤러(130)와 합지롤러(140)에 의한 가압과 잔열에 의해 동시에 압착된다. 제1 시트(11), 제2 시트(12) 및 제3 시트(13)가 서로 압착되면, 일면에는 에어캡(11a)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13a)이 형성된 인쇄시트(10)로 일체화되어 합지가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성형롤러(130)와 인접한 하측에는 냉각롤러(150)가 더 구비되어 합지된 인쇄시트(10)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렇게 합지된 인쇄시트(10)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GR)에 의해 권취롤(R)로 이동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에어캡 인쇄봉투 제조장치(M)의 인쇄시트 공급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 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의 분해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캡 인쇄봉투(20)의 제조방법은 단계 S10 내지 단계 S5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단계 S10에서는 에어캡(11a)이 형성된 제1 시트(11)와, 에어캡(11a)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기 위한 제2 시트(12)와, 일면에 인쇄패턴(13a)과 아이마크(13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13)를 열에 의해 동시에 융착시킨다(도 9 참고). 물론 필요에 따라 아이마크(13b)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와 제3 시트(13)를 융착시킴으로써 일면에는 에어캡(11a)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13a)과 아이마크(13b)가 형성된 인쇄시트(10)가 합지된다. 에어캡(110a)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단면의 형상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계 S10은 별도의 공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시트(11), 제2 시트(12) 및 제3 시트(13)는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패턴(13a)은 에어캡 인쇄시트(10)의 길이 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인쇄시트(10)가 접힌 뒤 인쇄패턴(13a)이 전후 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인쇄패턴(13a)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을 따라 중심선(C)의 양쪽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에서 인쇄패턴(13a)이 개봉부를 상측으로 하여 글자가 인쇄되기 위해서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글자가 바깥쪽을 상측으로 하여 인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일면에는 에어캡(11a)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13a)과 아이마크(13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10)를 다수의 롤러 등에 의해 연속하여 공급한다(도 10a 참고).
단계 S30에서는 공급되는 인쇄시트(10)를 에어캡(11a)이 내측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다. 이때, 인쇄시트(10)는 필요에 따라 반으로 접을 수도 있고, 접힌 부분의 한쪽이 약간 길게 되도록 접을 수도 있다. 인쇄시트(10)를 접을 때에는 판독부(500)의 판독이 용이하도록 아이마크(13b)가 상측을 향하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b 참고).
단계 S40은 판독부(500)에 의해 이렇게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10)에서 아이마크(13b)를 판독하는 단계이다. 또한, 단계 S50은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10)를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2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단계 S50은 판독위치(A)에서 판독부(500)에 의해 아이마크(13b)가 판독되는 순간에, 절단위치(B)에서 절단부(400)가 전기적 신호를 받아 하강운동을 하여 인쇄시트(10)를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켜서 절단하게 된다. 단계 S50에서는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열선(420)에 의해 열 융착시켜 절단할 수 있다(도 10c 참고).
에어캡 인쇄봉투(20)에는 인쇄패턴(13a)과 아이마크(13b)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인쇄패턴(13a)과 아이마크(13b)를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의 에어캡 인쇄봉투(20)가 잘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면에는 에어캡(11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a)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열선(420)을 사용하여 열 융착, 절단할 경우, 에어캡(11a)이 내측을 향한 인쇄시트(10)를 쉽게 열 융착, 절단할 수 있다. 에어캡(11a)이 형성된 제1 시트(11), 에어캡(11a)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12), 인쇄패턴(13a)이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13)를 합지시켜 인쇄시트(10)를 제조할 경우, 인쇄시트(10)에 인쇄패턴(13a)을 형성시키기 용이하다.
인쇄시트(10)가 아이마크(13b)를 구비하는 경우, 대량 생산을 위해 연속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는 인쇄시트(10)인 경우에도 아이마크(13b)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서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a)이 형성된 에어캡 인쇄봉투(20)를 제작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에어캡 인쇄봉투(20)의 내면에는 에어캡(11a)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일정 구획이 설정된 인쇄패턴(13a)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에어캡(11a)에 의해 내용물의 보호에 충실함과 동시에 깔끔한 인쇄패턴(13a)에 의해 내용물의 품질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a은 종래의 에어캡 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에어캡 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독부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합지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캡 인쇄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인쇄시트 20...인쇄봉투
100...합지부 200...인쇄시트 공급부
300...폴딩부 400...절단부
500...판독부 600...수거부

Claims (11)

  1. 일면에는 에어캡(Air cap)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인쇄시트 공급부;
    상기 인쇄시트 공급부에 의해 상기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에어캡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폴딩(folding)부;
    상기 폴딩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조된 인쇄봉투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 공급부의 전방에는,
    용융된 수지액을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형태로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재;
    일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재;
    상기 공급되는 제1 시트에 에어캡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흡입홈이 형성된 성형롤러; 및
    상기 성형롤러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3 시트를 동시에 압착시켜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형성된 인쇄시트로 합지시키는 합지롤러를 구비하는 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인쇄시트를 열선에 의해 열 융착시켜 절단하되, 상기 열선은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폴딩부에 의해 접힌 뒤, 상기 인쇄패턴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패턴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 아이마크(Eye mark)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의 전방에는,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서 상기 아이마크를 판독하는 판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아이마크가 판독되는 순간,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6.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시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에어캡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쇄시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는 단계; 및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융착시켜 절단하여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에어캡이 형성된 제1 시트, 상기 에어캡 내부의 공기를 밀봉시키기 위한 제2 시트, 일면에 인쇄패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시트를 열에 의해 동시에 융착시켜 일면에는 에어캡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인쇄패턴 이 형성된 인쇄시트로 합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는,
    직경이 1.3㎜ 내지 1.5㎜의 범위인 열선에 의해 융착시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힌 뒤, 상기 인쇄패턴이 전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패턴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는,
    상기 인쇄패턴의 일측에 아이마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혀서 공급되는 인쇄시트에서 상기 아이마크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며,
    상기 인쇄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마크가 판독되는 순간,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융착시켜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KR1020090094468A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KR20110037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8A KR20110037162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8A KR20110037162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62A true KR20110037162A (ko) 2011-04-13

Family

ID=4404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68A KR20110037162A (ko) 2009-10-06 2009-10-06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1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867B1 (ko) * 2013-05-28 2013-08-02 양대용 비닐 수납백 제조장치
KR101486934B1 (ko) * 2013-07-12 2015-01-27 주식회사 큐도테크 제품보호용 포장 봉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164B1 (ko) * 2015-04-06 2016-09-26 이복현 포장지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867B1 (ko) * 2013-05-28 2013-08-02 양대용 비닐 수납백 제조장치
KR101486934B1 (ko) * 2013-07-12 2015-01-27 주식회사 큐도테크 제품보호용 포장 봉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164B1 (ko) * 2015-04-06 2016-09-26 이복현 포장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79182B (en) Packing materials for small parts, packing method and packing apparatus as well as the packing method for electronic parts
JP4612740B2 (ja) 製袋機
JP5150433B2 (ja) 積層フィルムの加工方法
JP6635564B2 (ja) 縦型製袋充填機、内容物入りフィルム包装袋の製造方法
JP4545187B2 (ja) 飲食品包装袋用の液体注出ノズルの製造方法
EP201456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g having three-dimensional design
KR101466256B1 (ko)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JP6741557B2 (ja) シート材容器の製造方法
KR20110037162A (ko) 에어캡 인쇄봉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캡 인쇄봉투
US20110268371A1 (en) Method for configurationally heat soldering plastic packaging and tamper evident plastic packagings
JP2012508663A (ja) プラスチックバッグに熱溶着をおこなって立体形状を形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17391B2 (ja) 包装用フィルムへの注出ノズルの取付け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取付け装置
KR20110037161A (ko) 에어캡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인쇄봉투
KR200385535Y1 (ko) 봉합 영역을 갖는 봉투 제조 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봉투
KR200455837Y1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종이 봉투컵 제조장치 및 그 종이 봉투컵
JP2009107702A (ja) 商品陳列用包装体並びに商品陳列用包装体における袋体及び台シート並びに商品陳列用包装体の製造装置
JP4622559B2 (ja) 製袋機
WO200206622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for vacuum packaging bag, and vacuum packaging bag manufactured using the film
JP2022022862A (ja) 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ガゼット袋
JP2007197033A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包装シート
KR20060106426A (ko) 진공포장용 필름 제조장치 및 그 필름
JP6969937B2 (ja) スパウト装着装置
JP2005067062A (ja) ヒートシール製袋機
JP2015067295A (ja) 包装袋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JP3469210B2 (ja) 商品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商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