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544A -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 - Google Patents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544A
KR20110036544A KR1020107029357A KR20107029357A KR20110036544A KR 20110036544 A KR20110036544 A KR 20110036544A KR 1020107029357 A KR1020107029357 A KR 1020107029357A KR 20107029357 A KR20107029357 A KR 20107029357A KR 20110036544 A KR20110036544 A KR 2011003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welding
flange
workpiece
hea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116B1 (ko
Inventor
프랭크 드렉슬러
요아킴 슈나이더
한스-게르트 코르트만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3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0Stud welding
    • B23K9/207Features related to st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터드(10)는 섕크(12); 축방향으로 결합된 플랜지(14); 및 환형 섹션(16)을 가지고,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섕크(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공구(40)에 의해 테스트 토크(T)를 상기 스터드(10)에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외측 주변이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섹션(16)은 상기 플랜지(14)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환형 섹션(16)의 전방 환형 표면(19)은 가공품(32)에 용접될 수 있는 용접 표면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환형 섹션(16)은 상기 플랜지(14)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환형 섹션(16)과 상기 플랜지(14)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외측 직경(D)을 가진 헤드 섹션(20)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14)의 다각형 형태(22)는 상기 환형 섹션(16)을 넘어 최대 상기 전방 환형 표면(19)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STUD FOR STUD WELDING}
본 특허출원은 2008년 7월 9일에 출원된 독일특허출원번호 10 2008 033 373.5호를 우선권주장하며, 이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터드는 섕크; 축방향으로 결합된 플랜지; 및 환형 섹션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섕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환형 섹션은 상기 플랜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환형 섹션의 전방 환형 표면은 가공품에 용접될 수 있는 용접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품과 상기 가공품에 용접된 스터드를 가진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고, 스터드를 가공품에 용접하는 방법 및 스터드를 가공품 상에 용접하기 위한 스터드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터드 용접(stud welding)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용접 공정은 특히 자동차 기술 분야에 상당히 많이 사용된다. 이 경우, 바디 시트(body sheet)에 스터드가 용접되고 플라스틱 조임 부재(클립), 대시보드 등을 위한 고정장치(anchor)로서 사용된다.
최근의 동향은 예를 들어 차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디 시트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다. 현저하게 얇아진 바디 시트 상에 스터드를 용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대개, 스터드는 원뿔 형태로 테이퍼구성된 용접 표면을 가진다. 스터드 용접 동안 이러한 표면을 융해(fuse)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입력 에너지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바디 시트의 "용락(burn-through)"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한 리세스(recess)를 가지며 커패시터 방전 용접(capacitor discharge welding) 용으로 설계된 용접 스터드가 US-A-3,671,710호에서 제안되었다. 이 경우, 스터드의 외측 직경과 함께 리세스로 인해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된다. 이는 용융지(molten pool)의 균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DE 196 11 711 A1호는 환형 플랜지 구조를 가진 용접 부재(welding element)를 기술하고 있다. 이 환형 플랜지는 스터드의 전방 단부에서 대략적으로 선형 에지(linear edge)가 얻어지도록 횡단면에 대해 좁아지는 마진(margin)을 가진다. 이용접 에지는 가공품(workpiece) 상에 형성된다. 그 뒤 이 스터드는 아크(arc)를 형성하기 위해 뒤로 끌어 당겨진다. 마지막으로, 스터드는 완전한 용융지 내로 밀어진다. 대략 전체적으로 환형의 용접 영역이 형성되며, 이 환형 용접 영역의 내부에 있는 가공품과 스터드 사이에 간극(cavity)이 형성된다. 스터드의 형상으로 인하여 드로운-아크 공정(drawn-arc process)에 의해 상대적으로 얇은 시트에 스터드가 용접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WO 2004/033923 A1호는 스터드가 시트 상에(특히 샌드위치형 시트 내에) 용접된 조임 부재를 기술하고 있다. 이 스터드는 정해진 파열 경우를 구현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파단 지점(breaking point)으로서 사용되는 영역을 가진다. 스터드 상에 너트가 조여져 있고 스터드의 강도는 너트의 강도에 적합하게 되어, 스터드가 파열되기 전에 너트가 먼저 파열된다. 너트가 파열되지 않는 경우에서는, 스터드가 시트로부터 찢어지기(torn) 전에 스터드가 먼저 파열된다.
달리 말하면, 조립 동안 플라스틱 조임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실질적으로 스터드 상에 놓일 때까지, 토크가 스터드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때 스터드 및/또는 시트에 영향을 끼치는 결점이 특정 이유로 인해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값비싼 재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시트는 대개 이미 칠해져 있으며 용접 영역의 보수 및 스터드를 다시 제공하는 것은 바디 시트의 복잡한 표면 처리를 수반하게 된다.
사용된 스터드는 함께 헤드 섹션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결합된 환형 섹션과 플랜지 섹션, 섕크를 가진다. (플랜지와 환형 섹션에 의해 형성된)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환형 섹션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50% 미만 특히 25% 내지 35%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헤드 섹션의 수치들의 비율 또는 그 외의 다른 수치들이 매우 중요하다. 헤드 섹션의 외측 직경은 이 경우 둥글게 설계된다.
위에서 기술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효율적인 스터드, 개선된 조임 장치 및 스터드를 가공품 상에 용접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데, 여기서, 상기 가공품은 작은 두께를 가지고, 용접 접합부가 파열되는 경우에 조립 영역에서 값비싼 재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를 사용하여 해결되는데, 상기 스터드는 섕크(shank); 축방향으로 결합된 플랜지; 및 환형 섹션을 가지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섕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공구에 의해 테스트 토크(test torque)를 상기 스터드에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외측 주변이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섹션은 상기 플랜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환형 섹션의 전방 환형 표면은 가공품(workpiece)에 용접될 수 있는 용접 표면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환형 섹션은 상기 플랜지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환형 섹션과 상기 플랜지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외측 직경을 가진 헤드 섹션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다각형 형태는 상기 환형 섹션을 넘어 최대 상기 전방 환형 표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가공품과 상기 가공품에 용접된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를 가진 조임 장치(fastening arrangement)에 의해 구현되는데, 여기서, 상기 가공품은 1mm 미만 특히 0.8mm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목적은 스터드를 가공품에 용접하는 방법 및 용접 접합부(welded joint)의 강도를 체크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데, 상기 스터드를 가공품에 용접하는 방법 및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는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타입의 스터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특히 드로운-아크(drawn-arc) 스터드 용접에 의해 상기 스터드를 가공품 상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및
- 상기 스터드의 상기 헤드 섹션에 공구를 부착하고,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에 미리 결정된 토크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목적은 두께가 1mm 미만 특히 0.8mm 미만인 가공품 상에 용접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사용법(use)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는 얇은 바디 시트와 같은 매우 얇은 가공품 상에 용접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최근의 동향에 따르면, 1mm 미만, 특히 0.8mm 미만 또는 심지어 0.6mm 및 이보다 작은 시트가 제공되어 왔다. 환형 표면으로서 형성된 용접 표면의 형태와 환형 섹션의 형태로 인해, 이 경우 시트의 용락(burn-through) 현상의 위험이 줄어들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입력 에너지를 사용하여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헤드 섹션의 외측 직경에서 다각형 형태로 설계되기 때문에,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바디-인-화이트(body-in-white) 상태" 동안 즉 예를 들어 스터드가 가공품 상에 용접되고 난 바로 직후인 상태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절한 때에, 결함의 가능성을 가지는 어떠한 용접 접합부도 수리될 수 있다. 조립 상태에 동안 수리 시에 필요했었던 값비싼 재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게다가, 매우 놀랍게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전반적인 다각형 형태(환형 섹션을 넘어 최대 전방 환형 표면까지 연장됨)에도 불구하고, 아크(arc)를 형성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어떠한 결점도 유발되지 않는다. 또한, 헤드 섹션에서의 전반적인 다각형 형태로 인해 스터드는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은 완전히 구현된다.
스터드가 금속 특히 스틸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지만, 스터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그 외의 다른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게다가, 스터드가 냉간 포밍 공정(cold forming process) 특히 상대적으로 약간의 포밍 가공만 있는 단일-단계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스터드의 형태를 상대적으로 단순한 디자인으로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헤드 섹션의 전체 외측 주변을 넘어 연장되는 다각형 형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대형-플랜지 스터드(large-flange stud)의 경우, 다-단계 포밍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심지어 다-단계 공정의 경우에도, 포밍에 의해 다각형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더 큰 플랜지가 업셋(upset)되고 데버링(deburred) 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뒤 프레스 공구를 사용하여 또 다른 압연 단계에서 최종 형태가 형성된다.
섕크는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스레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레드는 미터 나사(metric thread)일 수도 있으나 특히 보통 나사(coarse thread)일 수 있다.
다각형 형태는 팔각형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구체예에서, 스터드는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이미 용접된 스터드 위에 테스트 토크를 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다각형 형태는 육각형 형태 또는 또 다른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서 용어 "다각형 형태(polygonal shape)"는 외측 주변이 톱니형(toothed) 구성이거나 또는 원형이 아닌 또 다른 형태를 가진다는 사실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헤드 섹션의 외측 직경에 대한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1/7 내지 3/4 범위 내에 있으며 특히 표준형 스터드의 경우 1/3 내지 3/4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대형-플랜지 스터드의 경우 1/6 내지 1/2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는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스트 토크를 가하기 위해 공구를 부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3/10 내지 5/10 범위 내에 있다.
이런 방식으로, 환형 섹션은 플랜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무게가 절약될 수 있다. 둘째, 헤드 섹션은 전반적으로 낮은 전체 높이가 얻어지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특히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이 5/10 미만인 경우에 적용된다.
대형-플랜지 스터드의 경우, 헤드 섹션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대개 5/10보다 훨씬 더 낮다.
큰 플랜지 직경을 가진 스터드의 경우, 조립(나사 조임 또는 부속물 장착)하고 용접 설비 내로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치 지점(locating point)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배치 지점은 헤드 섹션의 맞은편에 있는 섕크 단부면 상에 제공되며 섕크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게다가, 대형-플랜지 스터드에는 사전-완료된 플라스틱 부품(플라스틱 너트, 플라스틱 구성부품 등) 또는 금속 부품(캡 너트, 금속 구성부품 또는 그라운드(groudn) 스터드용 플랜지 너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접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특징들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특징들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자체 또는 그 외의 다른 조합들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체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스터드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터드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따른 스터드 및 가공품을 사용하는 조임 장치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의 한 구체예가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스터드(10)는 플랜지(14)가 축방향으로 결합된 섕크(12)를 가진다. 환형 섹션(16)이 축방향으로 상기 플랜지(14)에 결합되며,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리세스(17)가 이 환형 섹션(16) 내에 위치된다.
상기 스터드(10)의 종축은 도면부호(18)로 표시된다.
상기 환형 섹션(16)의 전방 단부 상에 전방 환형 표면(18)이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17)는 상기 전방 환형 표면(19)으로부터 최대 상기 플랜지(14)까지 연장된다.
대체로, 상기 플랜지(14)와 환형 섹션(16)은 헤드 섹션(20)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섹션(20)의 외측 주변은 다각형 형태(22)를 가지는데, 본 출원에서는 팔각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섕크(12) 상에 보통 나사(24)가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10)의 전체 길이는 L로 표시된다. 상기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는 도 1에서 K로 표시된다. 플랜지 섹션의 축방향 길이는 도 1에서 F로 표시된다. 상기 헤드 섹션(20)의 외측 직경은 D로 표시되며, 상기 리세스(17)의 내측 직경은 A로 표시된다.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K)에 대한 플랜지(14)의 축방향 길이(F)의 비율은 3/10 내지 5/10 범위 내에 있는데, 본 출원에서는 대략 4.5/10 내에 있다.
헤드 섹션(20)의 외측 직경(D)에 대한 리세스(17)의 내측 직경(A)의 비율은 5/10 내지 8/10 범위 내에 있는데, 6/10 내지 7/10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스터드(10)의 전체 길이(L)에 대한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K)의 비율은 1/10 내지 4/10 범위 내에 있는데, 1.5/10 내지 3/10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비율이 대략 2/10이다.
전방 환형 표면(19)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형 섹션(16)의 내측 주변은 횡단면이 원형인 형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 장치(30)를 도시하며, 상기 조임 장치(30)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타입의 스터드(10)를 가지고, 상기 스터드(10)는 가공품(32) 상으로 용접된다. 상기 가공품(32)은 금속 시트(metal sheet)이며, 스터드(10)와 동일한 재료 또는 스터드(10)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품(32)은 1.0mm 미만 특히 0.8mm 미만의 두께(W)를 가진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두께(W)는 대략 0.6mm이다.
도 3에 도식적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스터드(10)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것과 같이, 플라스틱 조임 부재(fastening element) 또는 클립(34) 용으로 적합하다. 상기 클립(34)은 예를 들어 구성부품(38)용 리셉터클(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부품(38)은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 하네스, 브레이크 라인 또는 연료 라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립(34)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섕크(12)를 향해 가리키는 플랜지(14)의 측면(side) 상에서 지탱된다.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상기 클립(34)은 일반적으로 "조립 영역(assembly area)" 내에서 스터드(10)에 조여진다. 이 경우, 자동차의 바디 쉘(body shell)이 형성되며 스터드(10)를 포함하는 가공품(32)은 대개 필수 부착(requisite attahment) 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이미 칠해져 있다. 스터드(10)는 "바디-인-화이트(body-in-white) 상태" 전에 가공품(32) 상으로 용접된다.
바디-인-화이트 상태 바로 후에 및 추가적인 처리 단계 전에, 스터드(10)와 가공품(32) 사이에 용접 접합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지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디-인-화이트 상태 동안 또는 조립 상태 전에, 공구(40)(도 3에 도식적으로 도시됨)에 의해 종축(18) 주위로 스터드(10)에 토크(T)가 가해진다. 공정에서, 공구(40)는 다각형 형태인 헤드 섹션(20)에 작동한다. 이 경우, 가해진 토크(T)는 가공품(32)에 정확하게 용접된 스터드(10)가 용접 결합부 및/또는 스터드(10)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흡수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토크이다.
또한, 다각형 형태를 가진 헤드 섹션(14)은, 적절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때, 장착된 구성부품 또는 플라스틱 조임 부재(클립(34))가 정확한 위치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하거나 또는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다각형 형태(22)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스터드(10)는 일반적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터드(10)에는 사전-완료된 플라스틱 부품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전-완료된 플라스틱 부품이 없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가공품에 스터드(10)의 용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를 들어 본체 밑에 조이는 것이 유리한 것과 같이 플라스틱 조임 부재는 스터드(10)에 이미 미리 끼워져 있음).
이 구체예에서, 미리 끼워진 플라스틱 조임 부재는 바디-인-화이트 상태에서 테스트 토크를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헤드 섹션(20)의 다각형 형태(22)의 적어도 일부분을 자유로운 상태로 둘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스터드(10)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미리 끼워진 플라스틱 부품 없이 가공품(32) 상에 용접될 수 있다. 클립(34)과 같은 플라스틱 조임 부재는 예를 들어 조립 영역에서 가공품에 조여질 수 있다.
스터드(10)는 드로운 아크(drawn arc)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에 의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정에서, 환형 표면(19)은 가공품(32) 상에 형성된다. 그 후 전기식 파일럿 전류(electric pilot current)가 스위치-온 된다. 스터드(10)는 가공품(32)으로부터 다시 올라가고, 이 과정에서 아크가 튄다. 그 후, 필요시에 클리닝 전류(cleaning current)가 스위치 온 된다(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 마지막으로, 파일럿 전류보다 훨씬 더 높은 용접 전류(welding current)가 스위치 온 되고, 이 에너지는 전방 환형 표면(19)과 이에 상응하는 가공품(32) 상의 짝 표면(mating surface)을 융해(fuse)시키기에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스터드(10)는 가공품(32) 상으로 다시 내려가며, 이 과정에서 용융지(molten pool)가 함께 융해된다. 그 뒤 용접 전류가 스위치 오프 된다. 완전한 용융지가 경화되고 스터드(10)는 가공품(32)에 통합적으로 연결된다.
비록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체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 구체예들에 대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이들의 설명에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로서, 상기 스터드(10)는:
    - 섕크(12)를 가지며;
    - 축방향으로 결합된 플랜지(14)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섕크(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공구(40)에 의해 테스트 토크(T)를 상기 스터드(10)에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외측 주변이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및
    - 환형 섹션(16)을 가지며, 상기 환형 섹션(16)은 상기 플랜지(14)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환형 섹션(16)의 전방 환형 표면(19)은 가공품(32)에 용접될 수 있는 용접 표면으로서 구성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에 있어서,
    상기 환형 섹션(16)은 상기 플랜지(14)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환형 섹션(16)과 상기 플랜지(14)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외측 직경(D)을 가진 헤드 섹션(20)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14)의 다각형 형태(22)는 상기 환형 섹션(16)을 넘어 최대 상기 전방 환형 표면(19)까지 연장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금속 특히 스틸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냉간 포밍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12)는 스레드(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형태(22)는 팔각형 형태(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섹션(20)의 외측 직경(D)에 대한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K)의 비율은 1/7 내지 3/4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K)에 대한 상기 플랜지(14)의 축방향 길이(F)의 비율은 3/10 내지 5/10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섹션(20)의 축방향 길이(K)에 대한 상기 플랜지(14)의 축방향 길이(F)의 비율은 5/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10).
  9. 가공품(32)과 상기 가공품(32)에 용접된 스터드(10)를 가진 조임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32)은 1mm 미만 특히 0.8mm 미만의 두께(W)를 가지며, 상기 스터드는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터드(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장치(30).
  10. 스터드(10)를 가공품(32)에 용접하는 방법 및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를 가공품(32)에 용접하는 방법 및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는 방법은: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터드(10)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특히 드로운-아크(drawn-arc) 스터드 용접에 의해 상기 스터드(10)를 가공품(32) 상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및
    - 상기 스터드(10)의 상기 헤드 섹션(20)에 공구(40)를 부착하고,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10)에 미리 결정된 토크(T)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터드(10)를 가공품(32)에 용접하는 방법 및 용접 접합부의 강도를 체크하는 방법.
  11. 두께(W)가 1mm 미만 특히 0.8mm 미만인 가공품(32) 상에 용접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터드(10) 사용법(use).
KR1020107029357A 2008-07-09 2009-07-09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 KR101600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3373A DE102008033373A1 (de) 2008-07-09 2008-07-09 Bolzen für das Bolzenschweißen
DE102008033373.5 2008-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544A true KR20110036544A (ko) 2011-04-07
KR101600116B1 KR101600116B1 (ko) 2016-03-04

Family

ID=4150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357A KR101600116B1 (ko) 2008-07-09 2009-07-09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178670B1 (ko)
JP (1) JP5580820B2 (ko)
KR (1) KR101600116B1 (ko)
CN (1) CN102089110B (ko)
AT (1) ATE523282T1 (ko)
BR (1) BRPI0915501A2 (ko)
DE (2) DE102008033373A1 (ko)
ES (1) ES2370596T3 (ko)
WO (1) WO20100061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90B1 (ko) * 2015-04-22 2016-02-26 전하철 타격조립형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2372A1 (de) 2012-11-15 2013-08-01 Daimler Ag Schweißbolzen
CN105339122B (zh) * 2013-07-02 2018-02-23 青山省司 凸出螺栓的焊接方法
KR101836195B1 (ko) * 2016-12-19 2018-03-08 주식회사 신영 스터드 저항 용접용 스터드 전극 모듈, 및 스터드 전극 모듈 공급장치
CN111766148B (zh) * 2020-07-15 2022-12-30 兰州交通大学 不同直径螺柱焊接头拉伸试验测试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872U (ja) * 1993-02-19 1994-09-20 川崎製鉄株式会社 積層金属板へ溶接するスタッドの形状
JP2006167739A (ja) * 2004-12-14 2006-06-29 Nippon Stud Welding Co Ltd スタッド及びこのスタッドに対するトルク付加用工具
JP2008073770A (ja) * 2006-09-20 2008-04-03 Ejot Gmbh & Co Kg 平坦なアルミニウム構成要素への回転対称の鋼製締付要素の接続
JP2008093734A (ja) * 2006-10-05 2008-04-24 Newfrey Llc スタッド・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7573A (en) * 1970-01-02 1971-08-03 Warren Fastener Corp Welding stud and ferrule-stud assemblies
US3671710A (en) 1970-06-17 1972-06-20 John A Stephens Welding stud and method
US5207588A (en) * 1980-02-02 1993-05-04 Multifastener Corporation Electrical grounding stud
IT1270169B (it) * 1994-06-06 1997-04-29 Termoplastic Fbm Srl Elemento per il collegamento di un recipiente da cucina con un elemento di presa,presentante una porzione di saldatura poligonale,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ell'elemento di collegamento
DE19611711A1 (de) 1996-03-25 1997-10-02 Emhart Inc Verfahren zum Lichtbogenschweißen und zugehöriger Bolzen mit einem sich verjüngenden ringförmigen Schweißrand
WO2002056422A1 (en) * 2001-01-10 2002-07-18 Newfrey Llc Electrical capped contact stud and method of fastening an electrical contact
CN1703585B (zh) * 2002-10-07 2010-12-08 纽飞利有限公司 可断裂的固定系统
JP2005233268A (ja) * 2004-02-18 2005-09-02 Toyota Motor Corp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ナット
DE102004054675A1 (de) * 2004-11-12 2006-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utomatische Bolzenprüfung
CN101143402A (zh) * 2007-11-08 2008-03-19 上海交通大学 用于胶粘接头修补的螺柱塞焊复合连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872U (ja) * 1993-02-19 1994-09-20 川崎製鉄株式会社 積層金属板へ溶接するスタッドの形状
JP2006167739A (ja) * 2004-12-14 2006-06-29 Nippon Stud Welding Co Ltd スタッド及びこのスタッドに対するトルク付加用工具
JP2008073770A (ja) * 2006-09-20 2008-04-03 Ejot Gmbh & Co Kg 平坦なアルミニウム構成要素への回転対称の鋼製締付要素の接続
JP2008093734A (ja) * 2006-10-05 2008-04-24 Newfrey Llc スタッド・ホル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90B1 (ko) * 2015-04-22 2016-02-26 전하철 타격조립형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3373A1 (de) 2010-04-01
JP5580820B2 (ja) 2014-08-27
ATE523282T1 (de) 2011-09-15
EP2178670A4 (en) 2010-08-25
KR101600116B1 (ko) 2016-03-04
CN102089110B (zh) 2014-04-09
CN102089110A (zh) 2011-06-08
DE202008017727U1 (de) 2010-05-27
JP2011527738A (ja) 2011-11-04
EP2178670A1 (en) 2010-04-28
WO2010006124A1 (en) 2010-01-14
EP2178670B1 (en) 2011-09-07
ES2370596T3 (es) 2011-12-20
BRPI0915501A2 (pt)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548B2 (en) Method of welding a weld stud to a workpiece and of checking th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
EP2283959A1 (en) Fastener assembly for fastening an attachment member to a workpiece to be welded
JP4624792B2 (ja) 分離式締結システム
US8622672B2 (en) Press-in element, component assembly consisting of a press-in element and a sheet metal part and also methods for the manufacture and attachment of a self-piercing press-in nut
CN103502660B (zh) 盲操作式铆钉螺栓
KR101600116B1 (ko) 스터드 용접용 스터드
US20120003059A1 (en) Clinch bolt
US20060056937A1 (en) Method for chea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between and electric terminal device such as a cable shoe and a sheet metal part, fixing element and assembled component
US9803678B2 (en) Arc weld stud having a forming thread
US8998549B2 (en) Weld stud
US7083479B2 (en) Fastener for an electric contact
US11498160B2 (en) Bolt for fastening components, or the ground connection of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on a vehicle body, a bolt arrangement having a bolt,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bolt arrangement
US10777914B2 (en) Earthing pin for a motor vehicle
US20190226508A1 (en) Component joining structure
JP6824352B1 (ja) カシメナット
JPH07269530A (ja) 自動車構造材の締結構造
JP4857110B2 (ja) 圧入接合用のナット、その圧入接合構造及びその圧入接合方法
JP2005233268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ナット
EP3115124A1 (en) Frp plate fastening structure
KR20150029255A (ko) 용접 너트 및 용접 볼트
KR20160080158A (ko) 웰드너트
JP2007315441A (ja) リベット締めによってシートメタル部に取り付け可能な部材と部品アッセンブリ並びにその部品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