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975A -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 Google Patents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975A
KR20110033975A KR1020107014264A KR20107014264A KR20110033975A KR 20110033975 A KR20110033975 A KR 20110033975A KR 1020107014264 A KR1020107014264 A KR 1020107014264A KR 20107014264 A KR20107014264 A KR 20107014264A KR 20110033975 A KR20110033975 A KR 2011003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existing pipe
case
driven gea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995B1 (ko
Inventor
타모츠 야마시타
타이헤이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Publication of KR2011003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23With aperture for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26Imperforate closure removing and holding t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측 개구부를 가지고, 구동 기어 장치(63)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63)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 케이스부(70)가 제1 또는 제2 분할 케이스(21, 22)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기어 케이스부(70)의 상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66)가 기어 케이스부(70)에 체결되며, 커버(66)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66a)으로부터 조작부(67)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커버(66)를 기어 케이스부(7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구동 기어 장치(63)를 기어 케이스부(70)로부터 상측 개구부를 통과시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BRANCH DEVICE FOR UNINTERRUPTED FLOW BORING}
본 발명은 수도나 가스 등의 기설관으로부터 분기를 취출하기에 적합한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홀소우를 구비한 천공기를 사용하여 부단수하에서 기설관의 일부를 천공하는 공법은 주지이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 2002-321109
이러한 종류의 천공 공사의 기본적인 순서 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의 일부를 한 쌍의 분할 케이스(21, 22)로 이루어지는 밀폐 케이스(2)로 덮는다. 상기 제1 분할 케이스(21)에는 칸막이 밸브의 밸브체(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 후, 상기 제1 분할 케이스(21)에 천공기(3)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2B와 같이 천공기(3)를 운전시켜 주축을 돌리면서 선단을 홀소우(4)로 기설관(1)에 원형의 개공(11)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2C와 같이 홀소우(4)를 후퇴시킨 후, 밸브체(100)를 밸브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천공 공사가 종료된 후에 천공기(3)를 분리하고, 제1 분할 케이스(21)에 소정의 분기 배관을 연결한 후에 밸브체(100)를 밸브 개방함으로써 분기 공사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상하운동하는 밸브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큰 밸브 상자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또, 밸브체(100)가 기설관(1)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홀소우(4)를 진퇴시키는 스트로크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천공기(3)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밸브체(100)가 상하운동하기 때문에 밸브의 조작 캡(101)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필요하게 되는 흙덮개가 깊어진다.
하기의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분기공을 가지는 새들과 기설관 사이에 원호형상의 밸브체가 수용된 분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밸브체는 1개의 분할 케이스 내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기공을 폐색한다.
특허문헌2 : 일본특허공개 평6-74387호
특허문헌3 : 일본특허공개 2006-207747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에 있어서는 새들이 대형화한 경우, 무거운 새들의 이면으로부터 구동 수단을 장착한 후에 밸브체를 장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이 번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염가로 또한 짧은 천공 스트로크로, 흙덮개가 얕은 경우에도 공사를 행할 수 있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표는 조립하기 쉬운 분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분기 장치는 홀소우(hole saw)를 구비한 천공기로 기설관(旣設管)의 관벽의 일부를 천공하여 상기 관벽에 개공을 형성하고, 당해 기설관에 분기 배관을 접속하기에 적합한 부단류(不斷流) 천공용 분기 장치로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기설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를 가지는 밀폐 케이스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는 기설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분기하는 분기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주면과 기설관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관부의 분기공을 개폐하는 횡단면 원호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가 밸브 폐쇄시 접촉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장치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회전으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설관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일부가 상기 종동 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측 개구부와,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구동 기어 장치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 케이스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분할 케이스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기어 케이스부의 상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가 상기 기어 케이스부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조작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커버를 상기 기어 케이스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구동 기어 장치를 상기 기어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상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취출(取出)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횡단면 원호형상의 부분이 밀폐 케이스와 기설관의 간극을, 기설관을 따라 회전하므로 밸브 박스와 밸브 덮개 등의 밸브체를 수용하는 부분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가 염가이며 소형이 된다.
또 원호형상의 밸브체는 평판형상의 밸브체에 비해 굽힘 강도도 커진다. 그 때문에 밸브체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밸브체를 수용하는 부분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천공의 스트로크가 짧아진다.
또한, 밸브체가 상하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기설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그 때문에 밸브의 높이가 낮아진다. 그 결과, 얕은 흙덮개에서도 시공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기어 케이스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기어 케이스부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를 삽입하고 커버로 상기 기어 케이스부를 폐색함으로써 분기 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무거운 분할 케이스의 이면측으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를 삽입하여 조립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상측 개구부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기 장치 조립 작업이 현저히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는 각각 상기 기설관을 따른 곡면부를 가지고, 상기 기어 케이스부는 상기 곡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플랜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기어 케이스부의 측벽의 상단에 커버가 체결되는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방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부착이나 분리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장치는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 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착 작업중에 밸브체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면 장착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 천공 공사의 완료후에 노면을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 진동에 의해 밸브체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 분기공이 의도하지 않게 폐색된다.
본 태양에 의하면 가역성이 없는 웜과 웜 휠로 이루어지는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밸브체가 의도하지 않게 움직일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웜 휠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웜 휠을 미리 커버에 형성한 베어링부에 부착함으로써 커버의 부착과 웜 휠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별도로 웜 휠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스부는 상기 웜의 하단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바닥벽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웜의 하단이 바닥벽부에 접함으로써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므로 별도로 웜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간단한 구조로 기어 케이스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웜이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으므로 장착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기설관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된 오목면과, 상기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에 대향하는 볼록면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상기 종동 기어의 표면보다 상기 기설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밸브 시트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종동 기어의 표면보다 상기 기설관의 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기어가 밸브 시트에 파고들 우려가 없어, 밸브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부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형상의 접촉부에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종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시트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형상의 밸브 시트에 둘러싸인 내측의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 및 상기 하측 개구부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단수 공사에서는 작업중에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단수는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천공 완료후에 밸브체를 폐쇄하고, 폐쇄한 밸브체가 구동 기어 장치의 고장으로 개방되지 않는 것 같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사태에 있어서, 본 태양에서는 루프형상의 접촉부에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에 종동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기어 케이스부 내의 공간에는 수압이 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를 분리해도 물이 분출되지 않고, 그 결과 커버를 분리하여 구동 기어 장치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기 장치는 홀소우를 구비한 천공기로 기설관의 관벽의 일부를 천공하여 상기 관벽에 개공을 형성하고, 당해 기설관에 분기 배관을 접속하기에 적합한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로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기설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를 가지는 밀폐 케이스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는 기설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분기하는 분기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주면과 기설관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관부의 분기공을 개폐하는 횡단면 원호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가 밸브 폐쇄시에 접촉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장치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회전으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설관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덕타일 주철제이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종동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 상기 밸브체의 둘레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상기 종동 기어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종동 기어를 덕타일 주철로 제작한 경우에는 구동 기어 장치가 종동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이 종동 기어의 표면에 시행된 방청 가공이 깎여 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태양에 의하면 종동 기어를 스테인레스 스틸제로 함으로써 종동 기어의 표면이 깎여도 방청 효과가 떨어지지 않는다.
또, 밸브체가 덕타일 주철로 형성되고, 종동 기어만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됨으로써 밸브체 전체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보다 큰 폭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도관 등에 사용하는 밸브 장치는 밸브체를 폐쇄하기 위해 조작부를 왼쪽으로 회전시킬지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킬지와 같은 사양이 발주자마다 정해져 있으며, 이 사양에 기초하여 발주된다.
상기 웜 휠의 각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따라서 밸브체의 종동 기어는 웜 휠에 맞물리도록 헬리컬 기어가 채용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를 폐쇄하는 방향이 좌측 회전인지 우측 회전인지의 사양에 의해 웜 휠을 형성하는 헬리컬 기어의 경사가 역방향이 된다.
따라서 밸브가 왼쪽 잠금인지 오른쪽 잠금인지에 따라서 웜 휠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의 경사가 상이하다.
이에 대해 밸브의 사양에 따라 장착해야 하는 종동 기어를 선택함으로써 좌측 회전과 우측 회전 양쪽의 폐쇄 방법의 사양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종동 기어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주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종동 기어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판재에 상기 종동 기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하고 소형이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분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분할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웜 휠의 커버에 대한 부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된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분할 케이스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6A는 밸브체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6B는 고무 링의 고정 방법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부단류 천공 방법을 도시한 분기 장치 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부단류 천공 방법을 도시한 분기 장치 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부단류 천공 방법을 도시한 분기 장치 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부단류 천공 방법을 도시한 분기 장치 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분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종래의 부단류 천공 방법을 도시한 장치 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실시예 3, 4 및 5의 구동 기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실시예 6에 따른 밸브 개방 보조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G는 실시예 7에 관한 도면이며,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종동 기어의 측면도 및 정면도, 15C 및 도 15D는 각각 밸브체의 측면도 및 정면도, 15E 및 도 15F는 각각 상기 밸브체에 상기 종동 기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밸브체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5G는 왼쪽 잠금의 밸브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8에 따른 판재의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실시예 8에 관한 도면이며, 도 17A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종동 기어의 측면도, 17B 및 도 17C는 각각 상기 판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밸브체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7D는 상기 판재가 장착된 밸브체의 측면도, 도 17E는 웜 기어를 도시한 일부 단면한 측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판재를 밸브체에 부착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전개한 판재를 이면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서류를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이해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1은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우선 본 분기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분기 장치(2)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분기 장치(2)는 기설관(1)의 관 내에 유체(예를 들어 물 등)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기설관(1)으로부터 분기를 취출하는 부단류 천공에 사용하는 것이다. 즉, 분기 장치(2)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우(4)를 구비한 천공기(3)로 기설관(1)의 관벽(12)의 일부를 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장치(2)는 기설관(1)을 둘러싸는 밀폐 케이스(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밀폐 케이스(20)는 기설관(1)의 둘레 방향(R)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21, 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분할 케이스(21)에는 기설관(1)의 관 직경 방향(C)으로 돌출되어 분기되는 분기관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 케이스(21, 22)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21, 22)는 분기관부(27)의 축선(27L)에 대략 직교하는 가상 평면(H)을 따라 분할되어 있다. 한 쌍의 상기 분할 케이스(21, 22)는 기설관(1)에 대해서 기설관(1)의 관 직경 방향(C)의 양측방으로부터 외측 끼움 장착되어 결합부(25)가 도시하지 않는 조립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조립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케이스(21, 22)는 기설관(1)의 외주면(13)을 대체로 따라 만곡된 내주면(29)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케이스(21, 22)의 결합부(25)와 내주면(29)에 있어서의 상기 기설관(1)의 관축 방향(L)의 양단부에는 각각 홈형상의 패킹 장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 장착부(24)에는 고무 패킹(26)이 장착되어, 기설관(1)과 분기 장치(2) 사이나 제1 분할 케이스(21)와 제2 분할 케이스(22) 사이가 밀봉된다.
또한, 각 분할 케이스(21, 22)의 관축 방향(L)의 양단부에 도시하지 않는 볼트 삽입통과공을 추가로 설치하여 양단부를 조립 볼트로 체결해도 된다.
분기관부(27)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부(27)의 예를 들어 판형상 플랜지와 같은 이음매부(81)에는 천공기(3)가 부착된다. 홀소우(4)가 회전하면서 분기관부(27)의 분기공(28)을 통과하여 기설관(1)의 관 직경 방향(C)을 향하여 이송됨으로써,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의 관벽(12)이 절삭되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설관(1)에 개공(11)이 천공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우(4)의 회전 중심에는 이 홀소우(4)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센터 드릴(41)이 기설관(1)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5)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설관(1)과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21, 22) 사이에는 각각 제1 및 제2 공간(S1, S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은 둘레 방향(R)으로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횡단면 원호형상의 밸브체(5)를 2개의 분할 케이스(21, 22)에 걸쳐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5)는 분할 케이스(21, 22)의 내주면(29)과 기설관(1)의 외주면(13)을 따라 또한 기설관(1)의 둘레 방향(R)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관부(27)의 분기공(28)을 개폐한다.
즉, 도 7A의 밸브 개방시 및 도 8A의 천공시에 있어서, 밸브체(5)는 상기 제2 공간(S2)에 대부분이 수용되어 있으며, 회전 기구(6)에 의해 회전되어 도 9A 및 도 9B의 밸브 폐쇄시에 대부분이 상기 제1 공간(S1)에 수용되어 분기공(28)을 폐색한다.
양 분할 케이스(21, 22)에는 상기 원호형상의 밸브체(5)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55)(도 5 참조)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5)를 기설관(1)의 둘레 방향(R)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 밸브체(5)를 도 7A에 도시한 밸브 개방 위치와 도 9A에 도시한 밸브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분기관부(27)를 가지는 제1 분할 케이스(21)에는 상기 분기관부(27)의 분기공(28) 및 후술하는 기어 케이스부(70)의 둘레를 따라 대략 원주형상으로 밀봉을 위한 고무 링(밸브 시트의 일례)(56)이 고무 링 장착홈(57)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체(5)가 도 9A에 도시한 밸브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하면 도 6의 밸브체(5)에 있어서의 그물망 표시점으로 도시한 제1 접촉부(5f)가 도 5의 그물망 표시점으로 도시한 고무 링(56)의 제2 접촉부(56f)에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공(28)이 폐색되어, 분할 케이스(21, 22) 및 밸브체(5)에 의해 기설관(1)의 개공(11)의 주위가 밀폐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케이스(21)에 더브테일 홈(21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무 링(56)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21a)에 끼워맞추는 볼록부(56a)가 이 고무 링(5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폐쇄된 밸브체(5)를 개방하면 물이 격렬하게 분출되어 물의 흐름으로 고무 링(56)이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밸브체(5)의 양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5)에 관통공을 설치함으로써 관통공에 후크 등을 통과시켜 밸브체(5)를 매달아 올려 분체 도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밸브체(5)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기구(6)
도 2에 도시한 상기 밀폐 케이스(20)에는 밸브체(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기구(6)는 밀폐 케이스(20)의 외부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67)와, 상기 조작부(67)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장치(63)와, 상기 밸브체(5)에 형성되어 구동 기어 장치(63)의 회전으로 이 밸브체(5)를 기설관(1)의 둘레 방향(R)을 따라 회전시키는 종동 기어(5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 기어 장치(63)는 상기 조작부(67)와 일체로 회전하는 웜(61)과, 웜(6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 휠(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웜(61)과 웜 휠(62)은 맞물려 있고, 웜 휠(62)에는 종동 기어(51)가 맞물려 있다. 또한 웜(61)의 축선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5)의 관축 방향(L)의 대략 중앙에는 종동 기어(5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오목부(73)(도 3)로부터 제1 공간(S1)을 향하여 웜 휠(62)이 돌출되어 있다. 종동 기어(51)는 상기 웜 휠(62)에 맞물려, 이 웜 휠(62)의 회전으로 상기 둘레 방향(R)으로 회전함으로써 밸브체(5)를 회전시킨다.
즉, 조작자가 조작부(67)를 회전시키면 웜(61) 및 웜 휠(62)을 통하여 종동 기어(51)가 회전됨으로써 밸브체(5)가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부(67), 구동 기어 장치(63)(웜(61), 웜 휠(62)) 및 종동 기어(51)는 밸브체(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6)를 구성하고 있다.
기어 케이스부(70)
제1 분할 케이스(21)의 상부에는 기어 케이스부(70)가 이 제1 분할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부(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Z2)을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웜 휠(62)이 상기 종동 기어(51)에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측 개구부(74d)와, 상방(Z1)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측 개구부(74u)를 가진다. 상기 기어 케이스부(70)는 상기 구동 기어 장치(63)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73)를 형성한다. 상기 상측 개구부(74u)로부터 상기 구동 기어 장치(63)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21, 22)는 각각 상기 기설관(1)을 따른 곡면부(30)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케이스부(70)는 제1 분할 케이스(21)의 곡면부(3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측벽(71)과, 상기 측벽(7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66)가 체결되는 플랜지(7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66)는 플랜지(72)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볼트에 의해 기어 케이스부(70)에 체결되어, 이 기어 케이스부(70)의 상측 개구부(74u)를 폐색한다. 또한, 커버(66)와 플랜지(72) 사이에는 고무 패킹(도시 생략)이 삽입된다.
구동 기어 장치(63)의 커버(66)에 대한 부착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67)는 웜(61)의 상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66)의 하부에는 지지부(6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66b)에는 베어링부(구멍)(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65)에는 웜 휠(62)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64)이 삽입통과된다.
상기 회전축(64)이 웜 휠(62) 및 베어링부(65)에 삽입통과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62)이 커버(66)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커버(66)에는 이 커버(66)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6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6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웜 휠(62)에 맞물리도록 커버(66)의 관통공(66a)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웜(61)을 커버(66)에 부착하면 웜(61)의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67)가 상기 관통공(66a)으로부터 상방(Z1)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커버(66)에 웜(61) 및 웜 휠(62)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어 장치(63)와 조작부(67)를 미리 부착할 수 있다. 당해 부착은 공장 출하시에 행해지는데, 공사현장에서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커버(66)의 장착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73)에는 하방(Z2)을 향하여 개구하는 하측 개구부(74d)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개구부(74u)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63)를 오목부(73)에 삽입하여 조립하면, 상기 하측 개구부(74d)로부터 웜 휠(62)의 일부가 밸브체(5)를 향해 돌출되어, 웜 휠(62)과 밸브체(5)의 종동 기어(51)가 맞물린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케이스부(70)에는 웜(61)의 하단(61d)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바닥벽부(7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66)를 기어 케이스부(70)에 장착하면, 웜 휠(62)에 종동 기어(51)가 맞물림과 아울러 웜(61)의 하단(61d)이 제1 분할 케이스(21)의 바닥벽부(7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본 태양에 있어서는, 웜 휠(62)은 베어링부(65)에 삽입통과되는 회전축(64)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웜(61)의 하단(61d)은 제1 분할 케이스(21)의 바닥벽부(6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개구부(74d)로부터 구동 기어 장치(63)(웜(61), 웜 휠(62))가 낙하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구동 기어 장치(63)(웜(61), 웜 휠(62))를 밀폐 케이스(2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커버(66)를 상방(Z1)을 향하여 분리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6)에는 구동 기어 장치(6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커버(66)를 기어 케이스부(70)로부터 분리하면 구동 기어 장치(63)가 기어 케이스부(70)로부터 상기 상방의 상측 개구부(74u)를 통과하여 취출된다.
밸브체(5) 및 고무 링(56)
상기 밸브체(5)는 기설관(1)의 외주면(13)을 따라 만곡된 오목면(53)과,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밸브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28)에 대향하는 볼록면(5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5)는 도 2에 도시한 밸브 폐쇄 위치에 있어서, 볼록면(52)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 링(56)의 제2 접촉부(56f)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5f)가 상기 종동 기어(51)의 표면보다 기설관(1)의 관 직경 방향(C)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폐쇄 위치(도 2)에 있어서, 상기 고무 링(56)(도 5)이 접촉하는 제1 접촉부(5f)(그물망 표시점으로 나타낸 부분)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루프형상의 제1 접촉부(5f)(그물망 표시점으로 나타낸 부분)의 내측의 영역(5a)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5)에 종동 기어(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웜 휠(62)은 웜(61)에 맞물리도록 기설관(1)(도 2)의 관축 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된 헬리컬 기어(62a)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5)의 종동 기어(51)는 웜 휠(62)(도 4)에 맞물리도록 헬리컬 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5)에 형성된 종동 기어(51)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동 기어(51)가 웜 휠(62)에 맞물림으로써 커버(66)에 회전력이 작용한다. 이 커버(66)의 회전을 방지하려면 커버(66)의 지지부(66b) 등이 오목부(73)에 걸어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 기어(51)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타르에폭시 수지 등이 도포되어 있으며, 또한 종동 기어(51)를 제외한 밸브체(5)의 부위에는 분체 도장이 시행되어 있다.
부단류 천공 방법
우선 도 2의 기설관(1)내에 유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당해 기설관(1)의 외주면(13)을 둘러싸도록 분기 장치(2)를 부착한다. 이 부착후 조작자는 상기 조립 볼트에 의해 양 분할 케이스(21, 22)를 조립한다.
또한, 상기 밸브체(5)는 우선 분기관부(27)의 분기공(28)을 막은 밸브 폐쇄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 밸브 폐쇄 상태의 밀폐 케이스(20)와 기설관(1) 사이에 물을 주입하여 누수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밀 시험을 행해도 된다.
그 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를 개방하고, 또한 조작자는 분기관부(27)의 이음매부(81)에 천공기(3)의 이음매부(31)를 볼트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분기 장치(2)는 기설관(1)의 일부를 기밀 상태로 둘러싼다.
상기 둘러싼 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우(4)를 회전시키면서 기설관(1)을 향하여 천공 방향(C1)으로 이동시키면 센터 드릴(41)이 기설관(1)의 관벽(12)을 절삭하고, 이 센터 드릴(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홀소우(4)가 기설관(1)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그 후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우(4)에 의해 기설관(1)의 관벽(12)의 일부가 절취된 개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 드릴(41) 및 홀소우(4)에 의한 천공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우(4)를 퇴피 방향(C2)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조작자가 조작부(67)를 회전시키면 웜(61)에 맞물리는 웜 휠(62)이 회전하고, 웜 휠(62)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51)에 의해 밸브체(5)가 안내부(55)(도 5)에 안내되어 상기 분기공(28)의 밸브 폐쇄 방향(R1)으로 회전되고, 밸브 개방 위치의 밸브체(5)가 도 9A에 도시한 밸브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밸브체(5)의 밸브 폐쇄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밸브체(5)가 고무 링(56)의 표면에 밀착하여 분기공(28)이 폐색된다.
이 폐색후, 천공기(3)를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장치(2)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천공기(3)의 분리후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배관(90)의 이음매부(91)를 도시하지 않는 볼트를 사용하여 이 분기관부(27)의 이음매부(81)에 접속한다.
분기 배관이 완전히 완료된 후 조작자가 조작부(67)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0B에 도시한 밸브 개방 위치까지 밸브체(5)를 밸브 개방 방향(R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물이 분기 배관(90)으로 통수된다.
또한, 만일 구동 기어 장치(63)에 문제가 발생하여 밸브체(5)를 밸브 개방 방향(R2)으로 회전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커버(66)를 분리하여 구동 기어 장치(63)를 취출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선단 부분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분기 배관(소위 내진 이음매)을 접속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관부(27A)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에서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 장치(63)가 한 쌍의 베벨 기어(63a, 63b) 및 스퍼 기어(63c)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에서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 장치(63)가 하나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동 기어는 루프형상의 접촉부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외측의 영역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종동 기어는 밸브체의 관축 방향의 일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종동 기어에 의한 밸브체의 회전력이 밸브체의 일방의 단부에 가해진다. 그 때문에 밸브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 5
그래서 본 실시예 5에서는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51)가 밸브체(5)의 관축 방향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 쌍의 종동 기어(51, 51)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서 관축 방향으로 긴 샤프트(63d)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종동 기어(51)가 밸브체(5)의 접촉부(5f)의 상기 내측의 영역에 형성된 경우에는 해소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종동 기어(51)를 포함하는 밸브체(5)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덕타일 주철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밸브체(5)가 덕타일 주철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밸브체(5)는 분체 도장 등 적당한 도장이 시행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 6에서는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케이스(21)에 형성된 관통공(21h)에 나사결합하는 푸셔(40)가 설치되어 있다. 푸셔(40)의 주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21h)에는 푸셔(40)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셔(40)의 밸브체(5)측의 단부에는 반구형상의 푸셔 헤드(40h)가 이 푸셔(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에 개공(11)이 형성된 후 밸브체(5)가 폐쇄되어 수압이 부하되면 밸브체(5)의 오목면에만 수압이 가해져, 도 14B의 밸브체(5)를 밸브 개방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4B의 푸셔(4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40)의 푸셔 헤드(40h)로 밸브체(5)를 누른 후에 밸브체(5)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또한 푸셔(40) 및 이 푸셔(40)가 나사결합하는 제1 분할 케이스(21)의 관통공(21h)은 밸브 개방 보조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7
도 15A 내지 도 15G는 실시예 7을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5)와 종동 기어(51A)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 종동 기어(51A)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주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기어(51A)는 원호형상 또한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C 및 도 15D에 도시한 밸브체(5)는 덕타일 주철제이며, 이 밸브체(5)에는 상기 종동 기어(51A)를 장착하기 위한 홈(50)이 이 밸브체(5)의 둘레 방향(R)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도 15E 및 도 1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 기어(51A)는 밸브체(5)의 상기 홈(50)에 장착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62)의 헬리컬 기어(62a)는 웜(61)에 맞물리도록 기설관(1)의 관축 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51A)의 각 기어는 상기 관축 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이 도 15F의 종동 기어(51A) 및 도 2의 웜(61)은 오른쪽 잠금의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2의 조작부(67)가 좌측 회전으로 밸브체(5)가 폐쇄되는 「왼쪽 잠금」의 사양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각 부분이 형성된다. 웜(61)의 나사산이 좌측 나사에 형성되고, 이 웜(61)에 맞물리는 웜 휠(62)의 헬리컬 기어(62a)가 도 4에 도시한 관축 방향(L)에 대한 경사와 역방향의 경사로 형성된다. 도 1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51A)의 헬리컬 기어도 도 15F에 도시한 종동 기어(51A)와 반대의 경사로 형성된다.
따라서 큰 밸브체(5)를 공통의 부품으로서 왼쪽 잠금 및 오른쪽 잠금의 사양에 대응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도 16 내지 도 19는 실시예 8을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51A)는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판재(7)에 복수의 관통공(7c)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7c)은 관축 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7)는 원호형상이며 또한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상면이 볼록면(52)이 된 상태에서 판재(7)가 구부러져 이루어진다.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한 밸브체(5)는 덕타일 주철제이며, 이 밸브체(5)에는 상기 종동 기어(51A)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장착홈(50a, 50b)이 이 밸브체(5)의 둘레 방향(R)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7)는 밸브체(5)에 장착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7)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볼트 삽입통과공(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7)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제1 장착홈(50a)에 장착됨과 아울러 볼트(7b)에 의해 판재(7)가 제1 장착홈(50a)에 고정된다.
한편,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장착홈(50b)은 상기 제1 장착홈(50a)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고,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웜 휠(62)의 기어가 판재(7)의 관통공(7c)에 들어가, 종동 기어(51A)에 맞물리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도 1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62)의 기어(62a)가 종동 기어(51A)에 맞물린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한 판재(7)를 도 19와 같이 뒤집는 것으로, 종동 기어(51A)의 관축 방향(L)에 대한 경사가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왼쪽 잠금용으로 형성된 웜 휠(62)의 기어(62a)에 종동 기어(51A)가 맞물림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재(7)의 표면과 이면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좌측 회전과 우측 회전 양쪽의 폐쇄 방법의 사양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밀폐 케이스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의 2분할로 했지만, 밀폐 케이스는 3분할 이상이어도 된다.
또, 밀폐 케이스는 주조품이어도 되고, 강판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밀폐 케이스를 강판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를 임시로 조립한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2개의 분할 케이스를 일체로 하여 밀폐 케이스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고무 패킹은 분할 케이스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고무 패킹은 밸브체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기어 케이스부는 제2 분할 케이스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는 수도와 가스 등의 기설관으로부터 분기를 취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1…기설관
2…분기 장치
3…천공기
4…홀소우
5…밸브체
6…회전 기구
7…판재
11…개공
12…관벽
20…밀폐 케이스
21…제1 분할 케이스
22…제2 분할 케이스
28…분기공
30…곡면부
50…홈
50a…제1 장착홈
50b…제2 장착홈
51…종동 기어
52…볼록면
53…오목면
56…고무 링(밸브 시트의 일례)
61…웜
62…웜 휠
63…구동 기어 장치
65…베어링부
66…커버
66a…관통공
67…조작부
70…기어 케이스부
71…측벽
72…플랜지
73…오목부
74u…상측 개구부
75d…하측 개구부
90…분기 배관
R…둘레 방향

Claims (10)

  1. 홀소우를 구비한 천공기로 기설관의 관벽의 일부를 천공하여 상기 관벽에 개공을 형성하고, 당해 기설관에 분기 배관을 접속하기에 적합한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로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기설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를 가지는 밀폐 케이스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는 기설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분기하는 분기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주면과 기설관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관부의 분기공을 개폐하는 횡단면 원호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가 밸브 폐쇄시 접촉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장치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회전으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설관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일부가 상기 종동 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측 개구부와,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구동 기어 장치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 케이스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분할 케이스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기어 케이스부의 상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가 상기 기어 케이스부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조작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커버를 상기 기어 케이스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구동 기어 장치를 상기 기어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상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는 각각 상기 기설관을 따라 곡면부를 가지고,
    상기 기어 케이스부는 상기 곡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플랜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장치는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웜 휠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스부는 상기 웜의 하단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바닥벽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기설관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된 오목면과, 상기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에 대향하는 볼록면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상기 종동 기어의 표면보다 상기 기설관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형상의 접촉부에 둘러싸인 내측의 제1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형상의 밸브 시트에 둘러싸인 내측의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 및 상기 하측 개구부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8. 홀소우를 구비한 천공기로 기설관의 관벽의 일부를 천공하여 상기 관벽에 개공을 형성하고, 당해 기설관에 분기 배관을 접속하기에 적합한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로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기설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를 가지는 밀폐 케이스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는 기설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분기하는 분기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주면과 기설관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기설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기관부의 분기공을 개폐하는 횡단면 원호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 분할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가 밸브 폐쇄시에 접촉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장치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 장치의 회전으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설관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덕타일 주철제이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종동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 상기 밸브체의 둘레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상기 종동 기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주조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판재에 상기 종동 기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KR1020107014264A 2008-10-27 2009-09-25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KR101040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75088 2008-10-27
JP2008275088 2008-10-27
JPJP-P-2008-321923 2008-12-18
JP2008321923 2008-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975A true KR20110033975A (ko) 2011-04-04
KR101040995B1 KR101040995B1 (ko) 2011-06-16

Family

ID=4212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264A KR101040995B1 (ko) 2008-10-27 2009-09-25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2992B2 (ko)
JP (1) JP4631067B2 (ko)
KR (1) KR101040995B1 (ko)
CN (1) CN102149956B (ko)
WO (1) WO20100501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19A (ko) * 2013-03-21 2016-01-08 요네 가부시키가이샤 분수전 형성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는 분수전 설치용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2078B2 (en) * 2009-03-31 2014-01-07 TETRA Applied Technologies, L.L.C. Apparatus of hot tapping multiple coaxial or nested strings of underwater piping and/or tubing for overturned wells or platforms
US8726928B2 (en) 2009-12-22 2014-05-20 Suiken Co., Ltd.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JP5746481B2 (ja) * 2010-05-17 2015-07-08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接続手段
EP2809470B1 (en) 2012-02-03 2020-01-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otary hammer
JP6029881B2 (ja) * 2012-07-19 2016-11-24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分岐装置
JP6203504B2 (ja) * 2013-02-18 2017-09-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分岐装置
US20160195212A1 (en) * 2015-01-07 2016-07-07 Tim Zanelli Obstructive Tap and Sleeve
KR101707207B1 (ko) 2015-01-26 2017-02-15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공법
US11162625B2 (en) * 2017-06-15 2021-11-02 PowerSeal Pipeline Products Corporation Water main tapping devices and methods
JP6371890B2 (ja) * 2017-08-03 2018-08-08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分岐装置
CN108533844B (zh) * 2018-04-25 2020-04-28 吉林建筑大学 给水管组件
JP7141698B2 (ja) * 2018-10-09 2022-09-26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筐体装置
CN110701408A (zh) * 2019-10-12 2020-01-17 上海友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通水管道不断水开梯的密封方法
CN112709885B (zh) * 2021-01-06 2024-05-17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螺纹的带压油管补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525A (en) * 1892-02-12 1900-10-23 A P Smith Mfg Company Method of and means for forming branch connections with water-mains.
US990580A (en) * 1910-11-23 1911-04-25 Mueller Mfg Co H Pipe-tapping machine.
GB8719594D0 (en) * 1987-08-19 1987-09-23 Water Res Centre Hole saw device
JPH07109274B2 (ja) 1987-10-16 1995-11-22 矢野技研株式会社 既設流体輸送管に対する分岐管の接続用装置
JP2681241B2 (ja) * 1992-08-24 1997-11-26 株式会社エスティム 流体開閉弁
US5896885A (en) * 1996-06-11 1999-04-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Tapping saddle pipe fitting
JP3989187B2 (ja) 2001-04-25 2007-10-10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既設管穿孔設備の切屑排出構造及び既設管穿孔設備の切屑排出方法
JP2006207747A (ja) * 2005-01-31 2006-08-10 Esuteimu:Kk 流体開閉弁
KR100784591B1 (ko) * 2006-04-20 2007-12-11 김제현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JP2010116929A (ja) * 2007-06-21 2010-05-27 Jaehyun Kim 不断流穿孔用の分岐装置
US8726928B2 (en) * 2009-12-22 2014-05-20 Suiken Co., Ltd.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19A (ko) * 2013-03-21 2016-01-08 요네 가부시키가이샤 분수전 형성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는 분수전 설치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31067B2 (ja) 2011-02-16
CN102149956A (zh) 2011-08-10
WO2010050115A1 (ja) 2010-05-06
CN102149956B (zh) 2013-02-20
US8402992B2 (en) 2013-03-26
KR101040995B1 (ko) 2011-06-16
JPWO2010050115A1 (ja) 2012-03-29
US20110192469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995B1 (ko) 부단류 천공용 분기 장치
JP5564686B2 (ja) 不断流穿孔用の装置
CN101688631B (zh) 不断流穿孔用分支装置
US6622747B2 (en) Cutting, valve insertion and corrosion-resistant works without fluid supply interruption
JP464251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仕切弁設置方法及び仕切弁設置装置
JP6829792B2 (ja) 不断流工法および装置
JPH0459514B2 (ko)
US8726928B2 (en)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JP3964385B2 (ja) 不断水式流体制御弁設置工法用フィダー装置
JP2007309474A (ja) 分岐管接続装置と分岐管接続工法
JP5275845B2 (ja) 制水体設置装置及び制水体設置方法
JP2010144817A (ja) 分岐装置
JP2013170641A (ja) 流体管分岐装置及び流体分岐方法
JP2517497B2 (ja) 不断水挿入流体制御弁装置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5663217B2 (ja) 制流弁
JP5474388B2 (ja) 管切断装置
JPH0460295A (ja) 不断水挿入流体制御弁装置
JP2008183660A (ja) 不断流穿孔システムおよび穿孔工法
JP3393083B2 (ja) 配管の不断水施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5484758B2 (ja) 管切断装置
JP4120995B2 (ja) 管接続装置
JP2020063828A (ja) 筐体装置
JP2009127687A (ja) 分岐管接続装置、接続アダプタ及び分岐管接続工法
JP2020060234A (ja) 筐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