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663A - 차량용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663A
KR20110033663A KR1020090091237A KR20090091237A KR20110033663A KR 20110033663 A KR20110033663 A KR 20110033663A KR 1020090091237 A KR1020090091237 A KR 1020090091237A KR 20090091237 A KR20090091237 A KR 20090091237A KR 20110033663 A KR20110033663 A KR 2011003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nnector
voltage
setting
set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742B1 (ko
Inventor
송해석
김대규
유은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9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742B1/ko
Priority to US12/885,184 priority patent/US8816526B2/en
Priority to DE201010037767 priority patent/DE102010037767A1/de
Publication of KR2011003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10Retrofit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차량용 램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램프 장치는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가 삽입되며,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 및 다수의 배선 중 제1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램프 하우징에 상기 제1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1 램프에 제공하고, 제2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2 램프에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용 램프 장치, LED, 램프 하우징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장치{Automotive lamp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관계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 중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제동등 및 차폭등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램프(Projection Lamp)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션 램프는 램프 자체가 유니트화 되어 있다. 또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프로젝션 램프의 하우징 내에 차폭등의 역할을 하는 램프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램프의 하우징 내에 차폭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 차폭등의 역할을 하는 백열 전구를 내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차폭등의 역할을 하는 백열 전구 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가 제한되며, 백열 전구의 한정된 수명으로 인해 백열 전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폭등으로 사용되는 백열 전구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내부 온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백열 전구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폭등으로 백열 전구 대신 LED를 사용하여 백열 전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폭등으로 백열 전구 대신 LED를 사용함으로써, LED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LED의 긴 수명으로 인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LED의 경우 제조 공정에 따라 제품의 사양이 통일되지 않아 램프에 다른 사양의 LED를 사용할 경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을 교체하여 이에 적합한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에 제공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차량용 램프 장치가 안정적으로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가 삽입되며,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 및 다수의 배선 중 제1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램프 하우징에 상기 제1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1 램프에 제공하고, 제2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2 램프에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LED 광원이 삽입되는 램프 하우징, LED 광원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회로 및 LED 광원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도록 램프 드라이버 회로를 셋팅하는 셋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 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용 램프 장치는 다른 사양을 가지는 LED가 포함되는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을 별도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100),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 및 셋팅부(150) 등을 포함한다.
램프(100)는 차량용 조명 및 신호 기능을 가지며,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예를 들어, 조명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션 램프(projection lamp)이거나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폭등(position lamp)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램프(100)의 종류는 용도 및 필 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램프(100)의 광원으로 LED를 사용할 경우, LED의 사양(예, BIN CODE)에 따라 램프에서 요구되는 정규 전압 및/또는 전류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양산하는 제조 공정에 따라 LED의 사양이 달라져서,
제1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램프(100)는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받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구동되며, 제2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램프(100)는 제1 레벨과는 상이한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받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램프(100)에 제공되는 경우, 차량용 램프 장치는 안정적으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램프(100)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램프(100)가 제1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하며, 제2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LED가 램프(100)에 포함되는 경우라도, 램프(100)에서 요구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부족 또는 과잉 없이 램프(10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셋팅부(150)는 램프(100)에 포함되는 LED의 사양에 따라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를 셋팅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셋팅부(150)는 램프(100)가 제1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에서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하도록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를 셋팅하며, 램프(100)가 제2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에서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하도록 셋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동일한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에서,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효율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셋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램프(100), 램프 하우징(110),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 및 셋팅 커넥터(155) 등을 포함한다.
램프 하우징(110)은 램프(100)가 삽입되어 램프(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램프(100)와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 셋팅 커넥터(155) 등을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111, 115)을 포함한다. 다수의 배선(111, 115) 중 제1 배선(115)은 제1 커넥터(117)를 통하여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과 연결되며, 다수의 배선(111, 115) 중 제2 배선(111)은 제2 커넥터(113)를 통하여 셋팅 커넥터(155)와 연결될 수 있 다.
여기서, 제1 배선(115)의 제1 커넥터(117)가 돌기형으로 형성된 경우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의 커넥터는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배선(115)의 제1 커넥터(117)가 오목형으로 형성된 경우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의 커넥터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배선(111)의 제2 커넥터(113)가 돌기형으로 형성된 경우 셋팅 커넥터(155)는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배선(111)의 제2 커넥터(113)가 오목형으로 형성된 경우 셋팅 커넥터(155)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돌기형 커넥터"는 다수의 돌출된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일 수 있으며, "오목형 커넥터"는 상기 돌출된 핀이 삽입되어 상기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핀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일 수 있다.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은 제1 배선(115)을 통하여 램프(100)에 연결되며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램프(100)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분배 회로(133) 및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분배 회로(133)는 셋팅 커넥터(155)와 함께 도 1의 셋팅부(150)를 형성하며, 제2 배선(111)에 연결되는 셋팅 커넥터(155)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분배 회로(133)는 정전압(VDD)과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스트링 저항(Rd1~Rd4)과, 상기 스티링 저항(Rd1~Rd4)의 일단에 연결되며 노이즈를 제거하는 안정화 커패시터(C1~C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전압 분배 회로(133)가 4개의 스트링 저항(Rd1~Rd4)과 3개의 안정화 커패시터(C1~C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전압 분배 회로(133)의 출력 값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셋팅 커넥터(155)는 제1 및 제2 배선(111, 115)을 통하여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의 전압 분배 회로(133)와 연결되어 전압 분배 회로(133)에 포함된 각 저항(Rd1~Rd4)의 연결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셋팅 커넥터(155)는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형(type)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양의 LED가 램프(100)에 포함된 경우 제1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연결되어 전압 분배 회로(133)에 포함된 각 저항(Rd1~Rd4)을 제1 형태로 연결하는 반면, 제2 사양의 LED가 램프(100)에 포함된 경우 제2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연결되어 전압 분배 회로(133)에 포함된 각 저항(Rd1~Rd4)을 제2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셋팅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우선, 제1 사양의 LED가 램프에 포함된 경우 제1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제2 커넥터(11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의 셋팅 커넥터(155)는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에서 제1 및 제2 노드(N1, N2)와 제3 노드(N3) 사이를 개방시 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연결된 경우,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는 도 4a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즉, 정전압(VDD)과 출력 노드(또는 제3 노드, N3) 사이에 스트링 저항 Rd1, Rd2, Rd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 노드(N3)의 전압은 "VDD x Rd4/(Rd1+Rd2+Rd3+Rd4)"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사양의 LED가 램프에 포함된 경우 제2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제2 커넥터(11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형의 셋팅 커넥터(155)는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에서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는 개방시키며,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는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연결된 경우,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는 도 4b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즉, 정전압(VDD)과 출력 노드(N3) 사이에 스트링 저항 Rd1, Rd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 노드(N3)의 전압은 "VDD x Rd4/(Rd1+Rd2+Rd4)"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사양의 LED가 램프에 포함된 경우 제3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제2 커넥터(11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형의 셋팅 커넥터(155)는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에서 제1 및 제2 노드(N1, N2)와 제3 노드(N3)를 서로 단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연결된 경우, 도 3의 전압 분배 회로(133)는 도 4c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즉, 정전압(VDD)과 출력 노드(N3) 사이에 스트링 저항 Rd1만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 노드(N3)의 전압은 "VDD x Rd4/(Rd1+Rd4)"일 수 있다.
즉, 전압 분배 회로(133)는 셋팅 커넥터(155)의 형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을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이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램프가 제공되더라도,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로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즉, 서로 다른 사양의 LED를 포함하는 램프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을 교체하지 않고, 단지 램프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셋팅 커넥터(155)를 달리함으로써 램프(10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배선(115) 및 제2 배선(111)뿐만 아니라,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3)가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3)가 하나의 커넥터로 형성되어, 하나의 커넥터 내에 제1 커넥터에 대응하는 핀 및 제2 커넥터에 대응하는 핀이 포함되거나, 하나의 커넥터 내에 제1 커넥터에 대응하는 핀 삽입부 및 제2 커넥터에 대응하는 핀 삽입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와 달리, 램프 드라이버 모듈(130_1)이 전압 분배 회로(133) 대신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부(133_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램프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의 셋팅 커넥터(155)가 램프 하우징에 연결되는 경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를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PWM 제어부(133_1)에서 제공되는 신호의 펄스 폭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와 달리, 램프 드라이버 모듈이 전압 분배 회로 대신에 주파수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램프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의 셋팅 커넥터가 램프 하우징에 연결되는 경우, 이에 따라 서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램프 드라이버 회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 회로는 주파수 변조기에서 제공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램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와 달리 셋팅 커넥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와 달리 램프 드라이버 모듈(131) 내부 의 저항 회로(134)와 램프(100)의 LED 내부에 포함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Rts)이 함께 전압 분배기(132)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사양의 LED의 경우 서로 다른 레벨의 NTC 저항(Rnts)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양의 LED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벨의 NTC 저항(Rnts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사양의 LED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벨의 NTC 저항(Rnts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램프 드라이버 모듈(131)에 포함된 저항 회로(134)가 동일한 저항 레벨을 가지더라도, 상기 저항 회로(134)와 램프(100)의 NTC 저항(Rnts1, Rnts2)이 함께 형성하는 전압 분배기(132)의 출력은 램프(100)에 포함된 LED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 회로(135)는 전압 분배기(132)에서 제공되는 신호의 출력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광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셋팅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셋팅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램프 130: 램프 드라이버 모듈
133: 저항 분배 회로 135: 램프 드라이버 회로
150: 셋팅부 155: 셋팅 커넥터 (3pin Connector)

Claims (9)

  1. 제1 램프 또는 제2 램프가 삽입되며,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 및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제1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램프 하우징에 상기 제1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1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1 램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2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2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상기 제2 램프에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제2 배선에 연결되는 셋팅 커넥터로서,
    상기 셋팅 커넥터는 상기 램프 하우징에 상기 제1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연결되는 제1 셋팅 커넥터와 상기 제2 램프가 삽입되는 경우 연결되는 제2 셋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셋팅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셋팅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셋팅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셋팅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PWM(Puse Width Modulation)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셋팅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셋팅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주파수 변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는 제1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을 가지고 상기 제2 램프는 상기 제1 NTC 저항과 상이한 제2 NTC 저항을 가지며,
    상기 램프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NTC 저항 또는 상기 제2 NTC 저항과 연결되는 저항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회로는 상기 제1 NTC 저항 또는 상기 제2 NTC 저항이 연결될 경우,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7. LED 광원이 삽입되는 램프 하우징;
    상기 LED 광원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는 램프 드라이버 회로; 및
    상기 LED 광원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상기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램프 드라이버 회로를 셋팅하는 셋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램프의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형을 가지는 셋팅 커넥터와
    상기 셋팅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셋팅 커넥터의 형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다수의 LED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KR20090091237A 2009-09-25 2009-09-25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08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1237A KR101087742B1 (ko) 2009-09-25 2009-09-25 차량용 램프 장치
US12/885,184 US8816526B2 (en) 2009-09-25 2010-09-17 Automotive lamp device
DE201010037767 DE102010037767A1 (de) 2009-09-25 2010-09-24 Lamp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1237A KR101087742B1 (ko) 2009-09-25 2009-09-25 차량용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663A true KR20110033663A (ko) 2011-03-31
KR101087742B1 KR101087742B1 (ko) 2011-11-30

Family

ID=4377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1237A KR101087742B1 (ko) 2009-09-25 2009-09-25 차량용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16526B2 (ko)
KR (1) KR101087742B1 (ko)
DE (1) DE1020100377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460A (ko) 2017-12-28 2019-07-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led 구동장치
KR20190080454A (ko) 2017-12-28 2019-07-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led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3314B (zh) * 2011-08-02 2018-07-24 飞利浦灯具控股公司 模块化照明组件适配器零件
JP5464204B2 (ja) * 2011-12-2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発光駆動装置
US9366409B2 (en) * 2012-05-06 2016-06-14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Tunable lighting apparatus
US9577423B2 (en) * 2013-04-11 2017-02-21 Eaton Corporation Power system including a load panel protecting a facility from a broken or missing neutral of a split phase electrical distribution configuration
US9335363B2 (en) * 2013-04-11 2016-05-10 Eaton Corporation Missing or broken neutral monitoring circuit for split phase electrical distribution configurations
DE102014221360A1 (de) * 2014-10-21 2016-04-21 Ridi Leuchten Gmbh Leuchte mit Lampe
DE102014221361A1 (de) * 2014-10-21 2016-04-21 Ridi Leuchten Gmbh Leuchte mit Stablampe
US10820385B2 (en) 2017-01-31 2020-10-27 Rohm Co., Ltd. LED drive circuit, LED drive device, and LED drive system
KR20200112198A (ko) 2019-03-21 2020-10-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20200113986A (ko) 2019-03-27 2020-10-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20220133550A (ko) 2021-03-25 2022-10-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20220133551A (ko) 2021-03-25 2022-10-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2721C2 (de) * 1978-03-23 1984-1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chalt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JP2626155B2 (ja) * 1990-04-20 1997-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
JP3216779B2 (ja) * 1995-02-23 2001-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不完全挿入矯正方法及び矯正用治具
JP3866383B2 (ja) * 1997-07-30 2007-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装置
US6586890B2 (en) * 2001-12-05 2003-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D driver circuit with PWM output
DE60330153D1 (de) * 2002-07-16 2009-12-31 Odelo Gmbh Weiss-led-scheinwerfer
US7188984B2 (en) * 2003-04-17 2007-03-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ED headlamp array
JP4500172B2 (ja) 2005-01-31 2010-07-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Led駆動装置、照明装置、照明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460A (ko) 2017-12-28 2019-07-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led 구동장치
KR20190080454A (ko) 2017-12-28 2019-07-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led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4294A1 (en) 2011-03-31
KR101087742B1 (ko) 2011-11-30
DE102010037767A1 (de) 2011-04-21
US8816526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742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US6786625B2 (en)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KR100804880B1 (ko) Led 교체 전구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7040790B2 (en) Two circuit LED light bulb
CN107426852B (zh) 点亮装置和具有点亮装置的车辆照明系统
JP2010129612A (ja) 点灯装置
KR20160111975A (ko) 어드레스된 led들을 갖는 led 기반 조명
JP2012508962A (ja) 複数のled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US20080037262A1 (en) Loaded LED bulbs for incandescent/flourescent/neon/xenon/halogen bulbs replacement in load sensitive applications and more
US8517583B2 (en) Loaded LED bulbs for incandescent/fluorescent/neon/xenon/halogen bulbs replacement in load sensitive applications and more
KR20090132807A (ko)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KR102037438B1 (ko) Led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실내등
WO2021206145A1 (ja) 車両用灯具および点灯回路
JP5492350B2 (ja) 照明用光源
JP6704097B1 (ja) 自動車用led照明モジュール
CN105683648A (zh) 照明设备和灯具
KR102543456B1 (ko) 차량용 램프 led 구동장치
US20200370740A1 (en) Lighting apparatus
US9192010B2 (en) Dimming control apparatus, light system driving apparatus and dimming control method
JP2018034699A (ja) 車両用方向指示灯
CN210771934U (zh) 汽车信号灯及汽车
JP5940902B2 (ja) 車両用照明装置
CN220554120U (zh) 一种动态效果好的led灯具
US9155152B2 (en) Intensity control of LEDs interfacing three-way sockets
JP7320750B2 (ja) 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