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218A -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218A
KR20110033218A KR1020117001380A KR20117001380A KR20110033218A KR 20110033218 A KR20110033218 A KR 20110033218A KR 1020117001380 A KR1020117001380 A KR 1020117001380A KR 20117001380 A KR20117001380 A KR 20117001380A KR 20110033218 A KR20110033218 A KR 2011003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atching
neck
piece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하르트 크레스너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헤드, 작동 헤드에 연결되고 이를 칫솔의 손잡이의 목부에 연결하기 위한 튜브형 연결편, 및 작동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를 갖는, 특히 전동 칫솔용 부착 브러시 형태의 부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부착 브러시의 형태인 부착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부착 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 상기 구동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의 부착 부품 측에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 결합편을 가짐 - 를 포함하는 손잡이인 파지부에 관한 것이다.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은 부착편을 손잡이 목부에 부착할 때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들어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외형부 내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내부 래칭 부재를 갖는다. 칫솔 손잡이는 손잡이 목부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들어가는 부착편의 내부 래칭 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내부 래칭 수단을 그 내측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작동 헤드, 작동 헤드에 연결되고 이를 칫솔 손잡이의 목부에 연결하기 위한 튜브형 연결편, 및 작동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를 갖는, 그러한 전동 칫솔용 부착 부품, 예를 들어 부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파지부, 부착 브러시와 같은 부착 부품에의 결합을 위한 결합 장치를 갖는 손잡이 목부, 및 부착 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 구동 샤프트는 부착 부품 상에서 구동 샤프트에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 결합편을 가짐 - 를 갖는, 그러한 전동 칫솔의 칫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전동 칫솔은 일반적으로 제거가능하고 교체가능한 부착 브러시를 가져, 공통의 손잡이가 그 또는 그녀 자신의 개인 부착 브러시를 각각 갖는 다수의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게 하거나, 부착 브러시의 마모의 경우 전동 칫솔 전체가 아닌 이러한 부착 브러시만이 교체될 필요가 있게 한다. 작동시, 특히 부착 브러시에 작용하거나 반력의 형태로 손잡이에 작용하는 세정력, 구동력, 축방향 힘 및 반경방향 힘을 포함한 다양한 힘이 부착 브러시와 손잡이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달되어야 한다. 손잡이 목부에의 부착 브러시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반경방향 힘이 손잡이 목부에서 흡수되거나 소산되고 축방향 힘이 구동 샤프트에서 흡수되거나 소산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부착 브러시의 튜브형 연결편은 일반적으로 칫솔의 목부 상으로 밀리고, 부착 브러시의 브러시 튜브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는 손잡이 목부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다. 그러한 시스템의 일례가 유럽 특허 제0500537B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반경방향 힘이 보다 양호하게 흡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 목부에는 그리고 대응하는 상호보완적 방식으로 튜브형 연결편에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단면이 제공된다. 축방향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브러시 튜브 내의 구동 샤프트는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 상으로 밀려 그곳에서 래칭(latching) 연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전동 칫솔에 대해, 국제특허공개 WO 00/76420 A1호는 축방향 고정 및 또한 회전에 대항한 고정이 손잡이 목부에서 달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톱니형 고무 립(lip)이 부착 브러시의 튜브형 연결편에 제공되고, 상기 립은 손잡이 목부 상으로 밀릴 수 있고, 그의 형상은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게다가, 손잡이 목부의 외측 원주 표면 위에서 밀릴 수 있고 그곳에서 래칭될 수 있는 튜브형 연결편 상에 래칭 설부(tongue)가 제공되며, 이는 축방향으로의 빠짐에 대항한 추가적인 고정을 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래칭 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추가적인 축방향 고정은 손잡이 목부의 외측 원주가 예를 들어 치약 잔류물 등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에 기인하여 제한된다. 게다가, 칫솔의 목부는 때때로 손가락으로 파지되는데, 이는 래칭 연결부 상의 외부 압력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미국 특허 제6,836,917호는 부착 브러시의 푸시-온(push-on) 연결편 상에 제공된 핀이 내부로 이동하는 L자형 홈을 칫솔의 목부에서 가져 부착 브러시가 베이어닛(bayonet) 결합 방식으로 부착 브러시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칫솔을 제안한다. 게다가, 구동 샤프트들의 결합이 제공된다. 그러나, 반경방향 힘들은 이들 힘이 손잡이에 대해 (말하자면) 올바른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베이어닛 결합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를 야기할 수 있어서, 추가적인 고정 대책이 필요하게 만든다.
게다가, 독일 특허 공개 제102 09 320 A1호로부터, 칫솔 헤드만이 손잡이에 교체가능하게 래칭될 수 있는, 즉 칫솔 헤드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를 갖지 않는 전동 칫솔이 공지되어 있다. 대신에,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는 칫솔 헤드 내로 나사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는 때때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고 구동 샤프트의 특정 구동 이동을 요구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부터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고 종래 기술을 유리한 방식으로 개선하는, 개선된 전동 칫솔, 그러한 전동 칫솔을 위한 개선된 부착 부품, 및/또는 개선된 손잡이를 생성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특히, 축방향 힘 및 반경방향 힘을 신뢰성 있게 흡수하고, 부착 부품을 손잡이 상에서 가능한 한 적은 유격(play)을 가지고 견고하게 유지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플링(coupling)의 용이한 결합 해제를 허용하는 조작하기 쉬운 커플링이 부착 부품과 손잡이 사이에 생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부착 부품, 제28항에 따른 칫솔 손잡이, 제49항에 따른 전동 칫솔, 및 제50항에 따른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따라서, 부착 부품과 손잡이 사이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힘 및 축방향 힘이 손잡이 목부에 작용하여야 한다는 것, 및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과 손잡이 목부 사이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연결부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 재위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은 손잡이에 대한 부착 부품의 형태-폐쇄식 및/또는 힘-폐쇄식 연결을 위한 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은 내부 래칭 요소를 가지며, 내부 래칭 요소는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배치된 때 래칭 요소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이동하여 손잡이 목부의 내측 외형부 상에 래칭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배열된다. 대응하여, 칫솔 손잡이는 손잡이 목부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이동하는 부착 부품의 내부 래칭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에 배열된 내부 래칭 수단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서의 래칭 연결 때문에, 축방향 힘은 신뢰성있게 흡수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부착 부품과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들의 계면이 당기는 힘을 흡수하도록 더 이상 강제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계면의 특별한 설계를 허용한다. 래칭 표면이 오염될 낮은 위험을 갖고 칫솔 손잡이 상의 외부 압력에 기인한 악영향이 없이 이러한 경우에 확실한 결합이 가능하고, 래칭 연결은 축방향 힘 및 반경방향 힘 둘 모두를 흡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은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위치될 때 손잡이 목부의 내부로 이동하여 손잡이 목부의 내측 외형부 상으로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배열되는 내측 클램핑 요소를 갖는다. 대응하여, 칫솔의 손잡이는 손잡이 목부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이동하는 부착 부품의 내측 클램핑 요소와의 클램핑을 위한 내부에 배열된 외형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은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위치될 때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이동하여 손잡이 목부의 내측 외형부 상에 로킹 및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배열되는 내측 래칭 및 클램핑 요소를 갖는다. 대응하여, 칫솔 손잡이는 손잡이 목부가 부착 부품의 내측 래칭 및 클램핑 요소와 결합 및 클램핑하는 내부에 배열된 외형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하기 설명은 전동 칫솔과 그의 손잡이 사이의 커플링이, 설명이 명시적으로 래칭 수단과 같은 형태-폐쇄식 결합 수단만을 기술하고 있을지라도, 형태-폐쇄식 및/또는 힘-폐쇄식 연결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이해될 것이다.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과 손잡이 목부 사이에서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 배열된 내측 래칭 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부착 부품의 내부 래칭 요소는 연결편의 단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예를 들어 칫솔의 손잡이를 향해 돌출하는 래칭 설부를 가질 수 있고, 래칭 설부는 형상이 손잡이 목부의 내측 외형부와 정합되는 래칭 외형부를 갖고, 이 외형부는 예를 들어 래칭 리세스(recess) 또는 래칭 돌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래칭 설부는 후크형 래칭 돌기를 단부에서 갖는 래칭 후크를 형성할 수 있고, 후크형 래칭 돌기는 손잡이 목부 내부에서, 후크형 래칭 돌기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된 래칭 외형부 상에 로킹될 수 있다.
래칭 설부 상의 래칭 외형부의 배향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방향으로의 래칭 외형부의 배향은, 부착 부품이 축방향으로 밀린 때 래칭 설부가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옴으로써 래칭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래칭 외형부는 래칭 설부의 반경방향 외향 측에 제공된다.
래칭 설부는 유리하게는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의 대략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클립을 형성한다. 래칭 설부의 외측 상에서의 래칭 외형부의 전술된 배열과 관련하여, 이러한 방식에서,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축방향으로 밀릴 때 래칭 설부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의 상호보완적인 래칭 외형부에 도달할 때까지 반경방향으로 먼저 튀어나와, 완전히 밀린 위치에서 이어서 되튀는 것에 의해 로킹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래칭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조작은 내측 래칭 요소의 (튜브형 연결편의 종방향에 대한) 언더컷(undercut) 설계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부착 부품은 단순히 튜브형 연결편 또는 손잡이 목부의 종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밀림으로써, 래칭 장치가 로킹할 수 있게 한다. 역으로, 래칭 연결은 부착 브러시를 축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결합 해제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높은 축방향 힘을 흡수할 수 있는 견고한 래칭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착 브러시가 당겨질 때 래칭 연결의 용이한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 부품의 내부 래칭 요소에는, 결합한 래칭 외형부들이 서로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게 하는 바람직하게는 웨지(wedge) 표면 형태인, 튜브형 연결편의 종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래칭 해제 경사부(unlatching bevel)가 부여될 수 있다. 래칭 외형부들 자체는 이러한 경우에 이들이 또한 더 높은 힘을 견딜 수 있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칭 표면의 형태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부착 부품의 내측 래칭 연결에도 불구하고,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의 외측 원주 표면 상으로 밀리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 상에는 손잡이 목부의 외측 상으로의 배치를 위한 외측 결합편이 제공된다. 외측 결합편은 그의 외측에서 손잡이 목부를 포위하는 포위편(surrounding piece)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부품과 칫솔 손잡이 사이에 경사 방지(tilt-proof) 및 또한 회전 고정식 연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더 큰 브러싱(brushing)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외측 결합편은 유리하게는 형태-폐쇄식 정합 표면을 형성하는 내측 원통형 표면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데, 내측 원통형 표면 단편에 대해 부착 부품의 내부 래칭 요소는 부착 부품이 밀릴 때 손잡이 목부의 벽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갭(gap)에 의해 분리되거나 반경방향 내향으로 후퇴된다. 따라서, 손잡이 목부의 벽은 말하자면 양측으로부터 둘러싸여 있다. 연결편의 외측 결합편은 손잡이 목부의 외측 원주 표면 위에서 이동되는 반면, 연결편의 내부 래칭 요소는 손잡이 목부 내로 그 내측에서 이동한다.
손잡이 상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된 내부 래칭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유형의 래칭 설부가 스프링 클립의 형태로 부착 부품 상에 제공된다면, 내부 래칭 수단은 손잡이 목부 상에 고정 방식으로 제공된 래칭 외형부의 형태로 손잡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형부는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 언더컷되고 적합하게는 그 형상이 래칭 설부의 래칭 외형부에 적합하게 된다. 특히,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는 래칭 돌기가 손잡이 목부의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손잡이 목부의 내부의 내부 래칭 수단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목부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된 탄성 스프링 클립의 형태인 래칭 설부를 가질 수 있다. 부착 부품이 축방향으로 밀릴 때, 이러한 래칭 설부는 되튀는 것에 의해 완전히 밀린 위치에서 로킹할 때까지 탄성 변형으로 부착 부품의 내부 래칭 요소 위에서 활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서의 그러한 래칭 설부는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의 대응하는 되튐을 통해 래칭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래칭 수단이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 및 부착 부품의 구동 샤프트의 샤프트 결합편들 상에 공지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구동 샤프트들은 서로 래칭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래칭 수단은 유리하게는 구동 샤프트들 또는 샤프트 결합편들을 서로 상으로 축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래칭 수단이 함께 래칭되고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샤프트 결합편 상에는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샤프트 결합편 상의 상호보완적인 래칭 외형부에서 래칭할 수 있는 적합한 래칭 외형부를 갖는 래칭 클립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 결합편의 그러한 래칭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샤프트 결합편들은 또한 원추형 끼워맞춤을 가질 수 있는데, 즉 특히 샤프트 결합편들을 서로 상으로 축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유격 없는 끼워맞춤을 달성할 수 있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원추형 클램핑 정합 표면이 샤프트 결합편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부착 부품의 결합으로 인해, 축방향 힘은 구동 샤프트 결합을 통해 반드시 전달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원추형 또는 경사진 클램핑 정합 표면의 경사 각도는 또한 더 크게, 특히 자동적인 결합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 샤프트의 종축에 대한 대략 7° 초과의 경사 각도가 클램핑 정합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짧은 축방향 결합 경로가 사용되는 때에도 유격 없는 결합이 달성될 수 있고, 축방향 힘은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래칭 연결을 통해 또는 선택적으로 샤프트 결합편 상에 추가적으로 제공된 래칭 연결을 통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부착 부품 및/또는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 또는 이에 각각 결합된 샤프트 결합편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구동 샤프트 및/또는 이에 연결된 샤프트 결합편에는 편의 장치(biasing device)가 부여되며, 편의 장치에 의해 부착 부품 상의 샤프트 결합편이 손잡이를 향해 편의되거나, 대안적으로 손잡이 상의 샤프트 결합편이 부착 부품을 향해 편의된다. 특히, 편의 장치는 샤프트 결합편과 관련 구동 샤프트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결합편은 압축 스프링을 통해 구동 샤프트 상에서 지지될 수 있어, 부착 부품 및 손잡이가 서로 접근될 때 샤프트 결합편이 말하자면 약간 압축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부품 및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들의 유격 없는 결합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편의는 원추형 클램핑 정합 표면과 관련하여 그리고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부착 부품의 전술된 내부 결합과 관련하여 특히 유리하지만, 그와는 독립적으로 2개의 구동 샤프트들의 유격 없는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 해제가능한 결합을 달성하는 데 유리하게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튜브형 연결편의 외측 결합편은 칫솔의 목부 또는 그의 외측 원통형 표면 상으로 밀릴 수 있는 푸시-온 링(push-on ring)을 형성할 수 있으며, 푸시-온 링은 폐쇄 방식으로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시-온 링은 유리하게는 원추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고 손잡이 목부의 원추형 외측 원통형 표면에 정합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부품의 튜브형 연결편 상에 바람직하게는 쉘(shell)형인 결합편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결합편은 손잡이 목부 상의 바람직하게는 하프-쉘(half-shell)형인 결합편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쉘형 또는 하프-쉘형 결합편은 말하자면 서로를 완성하여 완전한 손잡이 목부 또는 연결편을 형성하여, 특히 손잡이 상에서의 부착 부품의 비틀림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원주방향의 힘을 신뢰성있게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특히 작은 직경을 갖는 설계가 달성될 수 있다.
손잡이 목부 상에는, 부착 브러시의 연결편과의 형태-폐쇄식 및/또는 마찰식 로킹을 유발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결합편을 갖는 결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편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칫솔의 손잡이의 파지부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부착 부품이 부착되지 않을 때 결합편은 부착 부품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손잡이에 대한 한정된 위치에 배열되게 된다.
손잡이 목부 상의 결합 장치는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 및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작동한다.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은 결합 장치의 작동을 유발하고, 횡방향 이동은 로킹을 유발한다. 칫솔의 손잡이는, 그의 결합 장치가 손잡이의 종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결합편을 갖고, 결합편의 축방향 이동이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결합 장치의 결합 부분의 횡방향 이동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결합편이 장착 및/또는 형성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축방향 작동 이동은 유리하게는 부착 부품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밀리거나 그로부터 당겨질 때 부착 부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부착 부품을 밀거나 당기는 것은 말하자면 손잡이 상에서의 결합 장치의 밀거나 당기는 이동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로킹 이동 또는 로킹 해제 이동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부착 부품은, 그의 결합편이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서, 연결편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배치될 때 손잡이 상의 결합편의 축방향 후방 밀림을 위한 충돌 표면뿐만 아니라 손잡이 상의 결합편의 결합 부분이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외향 배향된 리세스를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부착 부품의 결합편 상의 충돌 표면은, 부착 부품 및 칫솔 손잡이가 함께 배치될 때 충돌 표면이 칫솔 손잡이의 결합편을 포착하고 칫솔의 손잡이의 파지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형상 및 위치와 관련하여 손잡이 상의 결합편에 유리하게 정합되어, 부착 부품이 부착된 때 로킹이 말하자면 자동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결합을 야기하는 손잡이 상의 결합 장치의 결합 부분의 횡방향 이동을 유발하기 위하여, 손잡이 목부와 칫솔의 손잡이의 결합편 사이에 전개 기구(spreading mechanism)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전개 기구에 의해 손잡이 상의 결합 장치의 상기 결합 부분은 손잡이의 본체를 향한 결합편의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전개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경우에서 대응하는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전개 기구에 의해 외향으로 전개되는 것은 결합편 자체이며, 따라서 결합 부분은 결합편 상에 직접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상부에 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장치에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결합 장치의 위치에 따라 칫솔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부여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장치는 결합 장치의 결합 부분이 그의 래칭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칫솔의 구동을 차단, 오프 절환, 지연 또는 제동하는 억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부착 브러시가 손잡이 상에 올바르게 안착되지 않은 때 칫솔 구동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회전식 구동 샤프트로 인한 상해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억제 수단은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억제 수단을 제어 기술 기반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이도록 설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억제 수단의 기계식 설계가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억제 수단은 유리하게는 결합편의 비-로킹 위치에서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와의 결합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구동 샤프트에 대항하여 가압될 수 있는 결합편 상의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억제 수단은 구동 샤프트 상의 평탄 부분 및 손잡이의 결합편 상의 평탄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이들 평탄 부분은 서로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결합편의 평탄 부분이 구동 샤프트의 대응하는 평탄 부분에 대항하여 가압되면, 구동 샤프트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평탄 부분은 유리하게는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억제 수단은 이 경우에서 구동 모터용 전자 스위치-오프 장치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샤프트가 지연될 때 구동 모터를 오프 절환하는 전자 스위치-오프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칫솔의 구동 샤프트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전자 스위치-오프 장치가 인지하자마자, 구동 모터는 모터 및 특히 또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오프 절환된다. 구동 샤프트의 억제 상황의 검출은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 예를 들어 전술된 결합편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편이 억제 위치에 있다면, 구동 모터가 오프 절환된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모터의 오프 절환은 또한 그의 전력 소모에 기초하여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전술된 스위치-오프 장치는 모터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 전류가 소정의 모터 전류 수준을 초과한 때 구동 모터를 오프 절환할 수 있다. 이는 구동 샤프트가 지연 또는 제동된 때 일어난다.
구동 모터의 전자 스위치-오프 장치와 관련하여, 부착 부품이 제거된 때 칫솔의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의 그러한 기계적 억제를 통해, 배터리 보호가 구비된 매우 간단한 여행 로크가 달성될 수 있다. 칫솔의 손잡이가 의도하지 않게 온(on)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지 칫솔의 손잡이로부터 부착 부품을 제거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칫솔이 예를 들어 여행 가방 내에서 느슨하게 배치될지라도, 칫솔의 재충전가능 배터리는 원하지 않는 방전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오염물이 정합 표면 상에 있을 때에도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칫솔의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부착 부품의 배치 및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말하자면 칫솔의 2개의 부품이 서로 상으로 배치될 때 오염물, 부스러기 등의 작은 조각이 내부로 사라질 수 있는 오염물 포획 리세스가 칫솔의 손잡이 목부 및/또는 부착 부품의 연결편 상에 제공될 수 있어, 이들 작은 조각들이 결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이들 오염물 포획 리세스는 특히 손잡이 목부 및 부착 부품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정합 표면 상에, 특히 손잡이 목부의 외측 원통형 표면 및 부착 부품의 연결편의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그러한 오염물 포획 리세스는 또한 결합 과정이 방해되지 않도록 칫솔의 손잡이 및/또는 부착 부품의 억제편 및/또는 그 상부에 제공된 결합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억제편의 전개가 방해되지 않도록 전개가능한 억제편의 외측 표면 및/또는 이와 결합될 수 있는 부착 부품의 내측 표면에 그러한 오염물 포획 리세스가 구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오염물 포획 리세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표면 세로 홈의 형태로, 특히 실질적으로 홈형이고 칫솔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포획 리세스를 갖는 종방향 세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떻게 조합되는지에 상관없이 그들 자체로, 하위 조합으로 또는 서로와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형성할 수 있는 이들 및 추가의 특징부들은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 - 이를 기초로 유리한 실시예들이 기술됨 - 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
도 1은 손잡이 및 손잡이 목부 상으로 밀릴 수 있는 부착 브러시를 갖는 전동 칫솔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의 튜브형 연결편은 손잡이 목부의 내부 내로 이동하고 그곳에서 래칭하는 래칭 후크의 형태인 내부 래칭 요소를 가짐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전동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래칭 후크는 사행(meander) 형상으로 만곡된 스프링 클립을 포함하고,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를 로킹하고 부착 부품의 제거시 구동 샤프트를 억제하기 위한 전개가능 결합/억제편이 칫솔의 손잡이 내에 제공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3>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래칭 후크는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 로킹되며, 래칭 연결이 결합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전개가능 결합/억제편이 손잡이 목부에 제공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 및 손잡이 내의 구동 샤프트들이 원추형 억지-끼워맞춤 표면 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목부가 원추형 방식으로 테이퍼 형성된 외측 원통형 표면을 가짐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5>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의 내부 래칭 요소가 슬리브 형식으로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 위로 밀릴 수 있는 중앙 튜브형 래칭 후크로서 형성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6>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 내의 구동 샤프트의 샤프트 결합편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스프링 장치에 의해 편의되어 구동 샤프트들 사이에서 원추형 클램핑 끼워맞춤 표면 쌍의 유격 없는 안착을 달성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7>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 - 여기서, 별도로 형성된 샤프트 결합편이 부착 브러시의 구동 샤프트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 장치를 통해 예비 장력이 부여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8>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의 내부 래칭 요소는 손잡이 목부를 내부적으로 그리고 외부적으로 포위하는 원추형 결합 링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추형 표면 상에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그리고 유격 없이 안착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9>
도 9는 손잡이 목부의 영역에서의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서의 내부 래칭 수단이 스프링 클립의 형태인 래칭 설부를 가짐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0>
도 10은 손잡이 목부의 영역에서의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서의 내부 래칭 수단은 손잡이 목부 상에 안착되는 시트-금속 삽입체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래칭 설부를 포함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1>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는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된 래칭 외형부들을 갖는 가요성 래칭 설부들의 형태인 2개의 내부 래칭 요소를 포함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2>
도 12는 래칭 설부들 중 하나의 래칭 외형부를 도시하는, 도 11의 "X"로 표시된 세부의 확대 단면도.
<도 13>
도 13은 도 12의 A-A 선에 따른, 도 12로부터의 래칭 설부의 단면도.
<도 14>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손잡이 목부의 내부에서의 내부 래칭 수단은 부착 브러시 상의 튜브형 내부 래칭 요소와 결합하도록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의된 클램핑 링을 포함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5>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부착 브러시의 반경방향 고정이 래칭 연결의 영역에서 죔쇠(clasp) 유형의 클립 요소에 의해 제공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6>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손잡이 목부에 제공된 내부 래칭 수단은 스프링 클립의 형태인 래칭 설부를 포함하고, 부착 브러시의 내부 래칭 요소는 래칭 포켓을 갖는 환형의 반경방향 끼워맞춤 요소를 포함함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17>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 - 이에 따르면, 하프-쉘 형상의 결합편들이 각각의 경우에 부착 브러시의 튜브형 연결편 및 손잡이 목부 상에 제공되고, 이 결합편들은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서로 상에 배치될 수 있음 - 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면에 도시된 칫솔(1)은 손잡이(2), 및 부착 브러시(3) 형태로 손잡이에 연결되는 부착 부품을 포함한다.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손잡이(2)는, 공지된 방식으로, 구동 모터 및 에너지 공급 장치, 예를 들어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수용하며 구동을 온 및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가 상부에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2)의 단부면에서, 손잡이(2)의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볼 때)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절두되거나 절두체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추형인 연결편으로서 형성되고, 자유 단부를 향해 원추형 방식으로 약간 테이퍼 형성될 수 있는 손잡이 목부(4)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회전 진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5)는 손잡이 목부(4)의 단부면으로부터 나온다.
부착 브러시(3)는 대략 강모의 종방향으로 향하는 강모 영역 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강모 영역(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음)을 갖는 작동 헤드(6)를 포함한다. 작동 헤드(6)는 전체적으로 튜브형인 형상을 갖고 칫솔 손잡이(2)의 목부(4) 상으로 밀릴 수 있는 연결편(7)에 의해 지탱된다. 튜브형 연결편(7) 내부에서, 부착 브러시(3)는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5)에 회전 일체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푸시-온 샤프트(8)를 갖는다.
손잡이(2)에 부착 브러시(3)를 체결하기 위하여, 튜브형 연결편(7)에는 튜브형 연결편(7)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 안착되도록 배열된 결합 슬리브 또는 결합 링의 형태인 결합 삽입체(9)가 제공된다. 개략적으로 언급하면, 결합 삽입체(9)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약간 원추형 형상이어서, 결합 삽입체(9)가 전체적으로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손잡이의 목부(4) 상으로 축방향으로 밀릴 수 있게 하여, 손잡이(2)에서의 부착 브러시의 정밀한 끼워맞춤에 의한 유격 없는 체결(play-free fastening)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결합 삽입체(9)는, 그의 내측 원통형 표면에 의해,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원주 표면 상으로 밀릴 수 있는 외측 결합편(62)을 형성하고, 이러한 목부를 포위한다. 따라서, 외측 결합편(62)은 경사 방지 방식으로 손잡이의 목부(4)에 부착 브러시(3)를 고정하는 포위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약간 원추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의 목부(4)가 축방향으로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는 손잡이의 목부(4)에 대한 부착 브러시(3)의 래칭 연결이 제공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부착 브러시(3)는 튜브형 연결편(7) 내부에 제공된 내부 래칭 요소(43)를 포함하고, 내부 래칭 요소는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결합 삽입체(9)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부 래칭 요소는 또한 튜브형 연결편(7)의 벽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래칭 요소(43)는 그의 종방향 연장부가 부착 브러시(3)의 종방향(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결합 삽입체(9)의 바닥부(블라인드(blind) 구멍으로서 형성됨)로부터 연결편(7)의 단부면을 향해 또는 손잡이(2)를 향해 돌출하는 래칭 후크(44)의 형태인 래칭 설부로서 형성된다(도 1 참조).
그의 돌출 단부에서, 래칭 후크(4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칭 후크(44)의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부착 브러시(3)의 종방향으로 언더컷되도록 형성된 래칭 돌기 형태의 래칭 외형부(61)를 갖는다.
그의 직경에 관하여, 내부 래칭 요소(43)는 결합 삽입체(9)의 내측 원통형 표면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되어, 내부 래칭 요소(43)의 외부와 결합 삽입체(9)의 내측 원통형 표면 사이에 손잡이의 목부(4)의 벽이 이동할 수 있는 갭을 남긴다(도 1 참조).
내부 래칭 요소(43)의 래칭 외형부(61)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 내부 래칭 수단(70)과 로킹되는데,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내부 래칭 수단은 손잡이의 목부(4)의 벽의 내측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고 종방향(12)에 대하여 언더컷되도록 형성된 래칭 돌기의 형태인 래칭 외형부(48)를 포함한다. 여기서, 래칭 외형부(48)는 손잡이의 목부(4)의 벽에 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래칭 수단(70) 또는 래칭 후크(44)의 언더컷 래칭 외형부(48, 61)들 각각은 종방향(12)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서, 부착 브러시(3)를 강하게 당김으로써 래칭 연결이 결합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래칭 외형부의 경사진 위치는 유격 없는 결합을 보장하는데, 그 이유는 래칭 후크(44)가 손잡이의 목부(4)에서 상호보완적인 래칭 외형부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할 때 이러한 방식으로 축방향 힘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래칭 후크(44)는 유리하게는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는 스프링 클립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기의 기능이 생성된다. 손잡이(2)에 부착 브러시(3)를 결합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목부(2) 상으로 부착 브러시(3)를 그의 튜브형 연결편(7)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단지 미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형 연결편(7)의 외측 결합편(62)은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원통형 표면 위에서 활주한다. 손잡이의 목부(4) 내측에서, 래칭 후크(44)는 손잡이 상의 래칭 외형부(48) 위로 활주하여, 이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멀리 절곡된다. 동시에, 부착 브러시(3)의 구동 샤프트(8)의 샤프트 결합편(63)이 손잡이(2)의 구동 샤프트(5)의 샤프트 결합편(69) 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완전히 밀린 위치에 도달된 때, 래칭 후크(44)는 반경방향으로 되튀어서, 래칭 외형부(48, 61)가 서로와의 결합 상태로 이동하게 한다. 동시에, 구동 샤프트(5)는 부착 부품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8)와 로킹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로와의 결합 상태로 이동하는 2개의 샤프트 결합편(63, 69)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샤프트의 종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되튀는 것에 의해 로킹하는 탄성 래칭 설부의 형태인 래칭 수단(64)을 포함하는 래칭 연결부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손잡이의 목부(4)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의 목부가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의 래칭 연결부는 부착 브러시를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래칭 후크(44)가 축방향으로 로킹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으로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 또한 안내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래칭 후크(44)가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 홈형 포켓 또는 유사한 안내 수단 내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손잡이의 목부(4) 및 이에 상호보완적인 결합 삽입체(9)는 둥글지 않고 회전력을 소산시키도록 작용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회전에 대항한 추가적인 고정 수단이 내부 래칭 요소(63)에 대향하는 측에, 예컨대 칫솔 목부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실질적으로 내부 래칭 요소(43)의 설계를 통해 그리고 손잡이의 목부(4) 내부의 전개가능 결합/억제편(13)의 제공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상이한 칫솔(1)의 기본적으로 유사한 설계를 도시한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구동 샤프트(5)를 차단하기 위한 억제 수단(23)을 형성함과 동시에 부착 브러시 상의 결합 삽입체(9)와 래칭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 상의 결합 장치(10)의 결합편을 형성하는 리브(rib)형 및/또는 대략 하프-쉘형의 결합 및 억제편(13)이 칫솔 손잡이(2)의 목부(4)에 제공된다. 손잡이의 절두체형 목부(4)는 말하자면, 손잡이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손잡이의 실제 목부(4)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구동 샤프트(5)가 차단되는 초기 위치에서 손잡이의 목부(4)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연속시키고 이와 함께 튜브형 연결편(7)이 밀릴 수 있는 연결 절두체를 형성하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억제 및 결합편(13)으로 분할된다. 특히, 초기 위치에서, 억제 및 결합편(13)은 이러한 구동 샤프트를 방해하기 위하여 평탄 부분이 구동 샤프트(5)의 마찬가지로 평탄 섹션 상에 있는 상태로 안착된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억제편(13)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기구(14)는 활주 블록 안내부(34)의 형태의 활주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억제 및 결합편(13)은 단차형 방식으로 구부러지고 종방향 홈의 형상을 갖는 2개의 안내 홈의 형태인 활주 블록 안내부(35)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억제편(13)의 실질적으로 유격 없는 활주 안내를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안내 핀(36)이 안내 홈의 폭에 대략 대응하는 직경을 개입시킨다. 도 2에 도시된 2개의 안내 홈 대신에, 억제편(13)의 추가의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안내 홈만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선택적으로 가능하여, 전개 동안에 이러한 억제편이 추가적으로 피벗 이동을 추가로 겪게 할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2개의 안내 핀(36)을 갖는 활주 블록 안내부가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안내 활주 블록(35)은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 안내 세그먼트(37, 38, 39)를 포함할 수 있어, 억제편(13)의 스트로크 또는 전개 이동이 복수의 단계를 진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덜 심하게 경사진 안내 단부 세그먼트(37, 38) 내로 넘어가는 더 급하게 경사진 중간 안내 세그먼트(39)가 제공된다(도 2 참조). 안내 단부 세그먼트(37, 38)는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안내 핀(36)이 이들 안내 단부 세그먼트(37, 38)의 영역 내에 배열될 때, 억제편(13)의 스트로크 이동은 발생하지 않게 하고, 억제편이 축방향 힘 없이 각각의 전개 정도에서 유지되게 한다. 선택적으로, 안내 단부 세그먼트(37, 38)는 또한 (중앙 안내 세그먼트(39)의 경사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약간 경사질 수 있어서, 단부 위치들이 접근될 때 약간의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게 한다.
중앙 안내 세그먼트(39)의 경사는 유리하게는 결합 장치(10)의 특성, 특히 구동 샤프트(5)의 평탄 부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목부의 직경 및 푸시-온 이동의 길이에 부합된다. 도 2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45° 내지 80° 범위의 경사각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기의 기능이 생성된다: 부착 브러시(3)가 손잡이의 목부(4) 상으로 밀릴 때, 우선 억제 및 결합편(13)은 내향 이동된 비-래칭 단부 위치에 유지된다. 결합 삽입체(9)는 리세스(25)까지의 그의 삽입 영역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볼 때, 억제편(13)의 래칭 노우즈(nose, 18)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더 큰 내측 간극을 갖는다(도 2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브러시(3)는 부착 브러시의 래칭 노우즈(18)가 리세스(25)의 영역 내에 놓이게 될 때까지 억제 및 결합편(13) 위에서 밀릴 수 있다. 그러나, 부착 브러시(3)가 더욱 밀릴 때, 억제 및 결합편(13)은,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면에 제공된 충돌 표면(20)에 의해, 결합 삽입체(9)의 작동 돌기(28) 상의 충돌 표면(26)에 대해 충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억제 및 결합편(13)은 부착 브러시(3)가 더욱 밀리게 됨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억제편(13)이 활주 블록 안내부(34) 내에서 이동하게 한다. 경사진 중앙 안내 세그먼트(39)를 통해, 억제편(13)은 이러한 배열에서 외향으로 반경방향으로 가압되어, 그의 래칭 노즈(18)가 부착 브러시(3)의 윈도우형 리세스(25) 내로 이동하게 한다(도 2 참조).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억제 및 결합편(13)을 이동시키는 부착 브러시(3)의 작동 돌기(28)는 완전히 밀린 위치에서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 래칭되어 이러한 정도로 래칭 장치 또는 내부 래칭 요소(43)를 형성하는 스프링 클립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래칭 후크(44)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로 이동할 때, 먼저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와 손잡이 상의 목부 외형부 위로 활주할 수 있다. 단부 위치에 도달된 때, 래칭 후크(44)는 언더컷 리세스 내로 로킹되어 되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기서 래칭 후크(44)에는 손잡이의 목부(4) 상에 제공된 래칭 리세스 내로 이동하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래칭 노우즈가 제공된다(도 2 참조). 이는 밀린 위치에서 부착 브러시(3)의 추가적인 보유를 달성한다.
부착 브러시(3)가 당겨질 때, 억제편(13)은 반대 방향으로 그의 내측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결합 삽입체(9) 상에 제공된 동반 표면(27)은 억제 및 결합편(13)에 제공된 동반 표면(21)을 이동시키고, 따라서 억제편(1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작동 돌기(28)는 그의 래칭 노우즈(40) 상의 경사부(45)를 통해 로킹 해제된다(도 2 참조). 잡아당김이 계속됨에 따라, 억제 및 결합편(13)은 부착 브러시(3)의 내측 외형부가 억제편(13)의 래칭 노우즈(18) 위로 당겨질 수 있기에 충분히 멀리 활주 블록 안내부(34) 내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한다(도 2 참조). 동시에, 억제 및 결합편(13)의 내측 평탄 부분(24)은 구동 샤프트(5)의 평탄 부분(31)에 대항하여 안착되고, 이에 의해 구동 샤프트가 차단된다.
유리하게는, 먼지, 오염물 입자 등의 작은 조각들이, 결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말하자면, 이들이 내부로 사라질 수 있는 오염물 포획 리세스(41)가 칫솔 손잡이 및 부착 부품의 정합 표면에 제공된다. 특히, 종방향 홈의 형상인 세로 홈(24)이 억제편(13)의 외측 표면 상에 및/또는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표면 상에 오염물 포획 리세스(42)로서 제공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3은 기본적으로 유사한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여기서 래칭 후크(44)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행 형상으로 만곡되지 않으며, 오히려, 로킹된 위치에서 외측 측부(90)가 손잡이 상의 래칭 외형부(48)의 내측 표면에 반경방향으로 기대어 있는 직선 래칭 설부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아암(arm)의 형태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래칭 외형부(48)는 여기서 래칭 후크(44)의 래칭 돌기가 튀어들어가는 포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래칭 후크가 또한 원주방향으로 안내되어 원주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한다. 다른 측면에서,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도 2에 따른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따라서 그의 추가적인 설명이 참조된다.
도 4는 칫솔(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전 도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래칭 후크(44)로서 역시 형성되는 내부 래칭 요소(43)는 별도의 결합 삽입체(9)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튜브형 연결편(7)의 벽 상에 직접 제공되고, 특히 일편으로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된 도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 삽입체(9)를 갖는 설계가 물론 여기서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전 도면과의 본질적인 차이는 구동 샤프트(5, 8)의 샤프트 결합편(63, 69)의 설계뿐만 아니라 외측 결합편(62)의 설계 및 이와 상호보완적인 손잡이의 목부(4)의 외형부를 포함한다.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원통형 표면은 원추형, 특히 테이퍼형이어서, 종방향(12)에 대한 경사각이 대략 7°보다 클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자동적인 결합의 가능성을 본질적으로 방지한다. 이는 심지어 짧은 푸시-온 경로를 가정하여도 유격 없는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의 부착 브러시(3)의 축방향 고정은 전술된 방식으로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에서의 결합에 의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구동 샤프트(5, 8)의 계면은 원추형이고, 함께 끼워질 수 있는 샤프트 결합편(63, 69)들 상에 상호보완적인 클램핑 정합 표면(65, 73)들이 제공되는데, 부착 브러시(3)의 종방향(12)에 대한 이들 정합 표면의 경사각이 또한 대략 7° 초과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5, 9)들 사이의 정밀한 끼워맞춤을 갖는 유격 없는 연결이 심지어 짧은 작동 경로를 가정하여도 함께 축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편(63, 69)의 그러한 원추형 또는 테이퍼형 실현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8 및/또는 5)의 축방향 편의(biasing)와 관련하여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손잡이의 목부(4)에의 튜브형 연결편(7)의 결합과 관련하여,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행되고, 따라서 그의 설명을 참조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7) 상에는 래칭 후크(44)의 형태인 내부 래칭 요소(43)가 제공된다(도 6 참조).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징은 편의 장치(66)인데, 편의 장치에 의해 부착 브러시 상의 구동 샤프트(8)의 샤프트 결합편(63)이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5)의 샤프트 결합편(69) 상으로 클램핑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여기서 2개의 샤프트 결합편(63, 69)은 종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고 마찬가지로 약 7° 초과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는 클램핑 정합 표면(65, 73)을 포함한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브러시 상의 샤프트 결합편(63)은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프링 클립을 갖는 상부 성형된(molded-on) 압축 스프링의 형태인 스프링 장치(67)에 의해 관련 구동 샤프트(8)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도 6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샤프트 결합편(63)은 스프링 장치(67)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부착 브러시(3)가 손잡이(2) 상으로 밀릴 때, 스프링 장치(67)는 말하자면 압축되어, 샤프트 결합편(69)에 대항한 샤프트 결합편(63)의 편의를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샤프트 결합편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된다. 스프링 장치(67)의 축방향 힘은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에서 래칭 연결에 의해 보상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실현을 도시하지만, 여기서 상부 성형된 압축 스프링은 사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샤프트 결합편(63)은 구동 샤프트(8)와 별도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안 종방향 안내부(75)에 의해서 구동 샤프트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안내된다. 종방향 안내부(75)는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활주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스플라인 연결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편의 장치(66)는, 여기서 또한 유리하게는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8)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샤프트 결합편(63)에 예비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샤프트 결합편(63)과 구동 샤프트(8) 사이에서 블라인드 구멍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스프링 장치(67)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말하자면) 운동학적 반전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5) 및/또는 그의 샤프트 결합편(69)의 변위가능성 또는 축방향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의 내부 래칭과 관련하여, 더욱 유리한 특정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는 슬리브로서 형성된 부착 브러시(3)의 튜브형 연결편(7) 내의 내부 래칭 요소(43) 및/또는 활주 슬리브의 형식으로 손잡이(2)의 구동 샤프트(5) 위에서 밀릴 수 있는 튜브형 중앙 래칭 후크(44)를 도시한다. 이러한 튜브형 래칭 후크(44) 또는 슬리브 유형의 설계에는 슬릿들이 제공될 수 있어서, 부착 부품(3)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반경방향으로 각각 튀어나와서 로킹할 수 있는 복수의 래칭 설부가 제공되게 한다. 이와 상호보완적으로, 손잡이의 목부(4)의 내측 벽은 복수의 대응하는 래칭 외형부(48)를 포함한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내부 래칭 요소(43) 상의 래칭 외형부(61)는 다양한 축방향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즉 래칭 후크(44)는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튜브형 중앙 래칭 후크(44)는 앞서 설명된 결합 삽입체(9) 상에 제공된다.
래칭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반경방향 위치설정 표면(90)을 가질 수 있고, 말하자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 연결편(7)의 중심설정을 일으키는 바람직하게는 약간 원추형인 중심설정 슬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내부 래칭 요소(43)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내부 래칭 요소(43)는 부착 브러시(3)의 튜브형 연결편(7) 내로 배치될 수 있는 프로파일 링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프로파일 링은 전술된 결합 삽입체(9)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 삽입체(9)로서 작용하는 이러한 프로파일 링은 한편으로는, 연결편(7)의 단부면을 향해 확장하고 손잡이의 목부(4)의 원추형으로 테이퍼 형성된 외측 표면 상에서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안착되는 원추형 외측 슬리브를 포함한다. 손잡이의 목부(4)는 여기서 유리하게는, 파지부를 향한 그의 단부에서, 포켓(77), 특히 결합 삽입체(9)의 외측 슬리브 섹션(78)이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내부로 이동하는 환형 홈의 형상인 포켓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차형 연장부(76)를 포함한다(도 8 참조).
다른 한편, 결합 삽입체(9)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래칭 후크가 제공되는 내측 슬리브 섹션(79)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측 슬리브 섹션(79)의 나머지로부터 종방향 슬릿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내부 래칭 후크(44)와는 별도로, 내측 슬리브 섹션(79)은 손잡이의 목부(4)의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안착되는 원추형 외측 원통형 표면을 가질 수 있어서(도 9 참조), 튜브형 연결편(7)이 말하자면 이중 끼워맞춤으로 손잡이의 목부(4) 상에 유지되게 한다.
래칭 후크(44)에 의한 결합은 전술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손잡이의 목부(4)의 벽 상에 일체로 형성된 래칭 돌기 대신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핀(80)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또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핀 위에서 래칭 후크(44)의 래칭 외형부(61)가 이동하여 결합된다.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에서의 래칭 연결부는 말하자면 또한 역으로 될 수 있다. 특히, 손잡이 상에 제공된 내부 래칭 수단(70)은 또한 손잡이의 목부(4)의 종방향(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의 형태인 래칭 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클립(71)의 형태인 래칭 설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와서 로킹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는 래칭 돌기의 형태인 래칭 설부 또는 스프링 클립(71)의 돌출 단부에 적합한 래칭 외형부(48)가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브러시(3)의 내부 래칭 요소(43)는 이러한 배열에서, 단부면에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이동할 수 있는 원래 강성인 돌기로서 형성된다. 내부 래칭 요소(43)를 형성하는 돌기는 여기서 스프링 클립(71) 상의 래칭 돌기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래칭 리세스의 형태인 래칭 외형부(61)를 포함한다(도 9 참조).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 복수의 스프링 클립(71)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스프링 클립은 손잡이의 목부(4) 상에 안착된 슬리브 유형의 삽입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된다. 여기서, 손잡이 목부 상의 삽입체(81)의 외측 섹션(82)은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원통형 표면 상에 놓이고, 래칭 갈고리(83)에 의해 그 상부에 고정 로킹된다. 삽입체(81)의 외측 섹션(82) 상에는, 바람직하게는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갖는 (대략 말하면) 슬리브 형상의 삽입체를 형성하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연장되는 내측 섹션(8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내측 섹션 상에는 손잡이의 목부(4)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래칭 돌기의 형태로 종방향에 대해 언더컷인 대응하는 래칭 외형부(61)를 갖는 래칭 설부 또는 스프링 클립(71)이 제공된다. 삽입체(81)는 예를 들어 시트 금속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어, 스프링 클립(71)이 래칭 외형부(48)를 갖는 시트 금속 클립을 형성하도록 한다. 부착 브러시(3)의 튜브형 결합편(7)은 스프링 클립(71)과 래칭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방식과 유사하게 결합편의 내부 래칭 요소(43)와 함께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반경방향의 고정 및 동시에 축방향 유격의 없음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이하게 형성된 내부 래칭 요소(43) 또는 상이하게 형성된 내부 래칭 수단(70)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종방향(12)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된 래칭 외형부(61)를 갖는 래칭 후크(44)가 제공될 수 있는데, 외형부는 종방향(12)에 또한 직각으로 배향된 손잡이의 목부(4) 상의 래칭 외형부(48)와 결합한다. 다른 한편, 종방향(12)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고, 예각으로 상호보완적인 형식으로 경사진 손잡이의 목부(4) 상의 래칭 표면(48)과 로킹하는 래칭 표면을 래칭 외형부(61)로서 갖는 래칭 후크(44)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비스듬히 위치된 래칭 외형부(48, 61) 쌍을 통해서, 래칭 연결은 유격 없이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 부착 브러시(3)의 연결편(7)를 유지하는 축방향 힘 성분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연결편(7) 및 손잡이의 목부(4)의 둥글지 않은 단면에 더하여, 부착 브러시(3)와 손잡이의 목부(4) 사이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 및/또는 반경방향 이동은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의 래칭 연결의 적합한 설계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래칭 외형부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 래칭 수단(70)의 래칭 외형부(48)는 원주방향으로 언더컷된, 즉 원주방향에서 보았을 때 시작 및 단부 벽(85)들을 갖는 포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래칭 후크(44)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래칭 리세스 내로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래칭 후크(44)는 유리하게는 서로로부터 멀리 전개될 수 있고 원주방향으로 제한 표면들에 대항하여 위치설정 표면(91)에 의해 적용되는 2개의 래칭 후크 부분(44A, 44B)을 가질 수 있다(도 13 참조). 래칭 후크 부분은 예를 들어 연장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리 예비 장력이 부여되는 클램핑된 단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슬릿에 의해 분할된 래칭 설부는 또한, 손잡이 목부의 내측 벽 상의 래칭 외형부(61)의 포켓형 래칭 리세스 내로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이동하는 2개의 돌출하는 래칭 설부 단부들이 존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서의 래칭은 또한,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손잡이의 목부(4)의 내측 원주 표면에서 환형 홈의 형태인 리셉터클 포켓(86) 내에 안착되고 이완된 상태에서 내측 원통형 표면을 지나 내향으로 돌출하는 클램핑 링(85)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인장 링(85)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리셉터클 포켓(86) 내에 수용되어서, 인장 링이 확장된 때 내측 원통형 표면을 지나서 내향으로 돌출하는 거리가 적어도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부착 브러시(3)에 제공된 내부 래칭 요소(43)는 이러한 배열에서 유리하게는 구동 샤프트(5) 위에서 밀릴 수 있고 원주방향 홈의 형태인 래칭 외형부(61)를 외측 원주 상에서 갖는 돌출 래칭 슬리브로서 형성되고, 래칭 외형부는 브러시가 완전히 밀린 때 (대략 말하면) 리셉터클 포켓(86)과 일치하여 인장 링(85)이 래칭 외형부(61)의 원주방향 홈 내로 튀어들어갈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내부 래칭 요소(43) 상의 원주방향 홈 및/또는 인장 링(85)의 래칭 표면은 축방향으로 유격이 없는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웨지 표면의 형식으로 형성되거나 종방향(12)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다. 래칭 슬리브는 또한 연결편(7)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중심설정 슬리브를 형성할 수 있고/있거나 원추형 외측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포켓(86)은 클램핑 링(85)을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 링(87)에 의해 일 단부에서 구속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대안적으로, 배열은 또한, 특히 클램핑 링(85)이 튜브형 내부 래칭 요소(43) 내의 리셉터클 포켓(86) 내에 안착되어 그 내부로 튀어들어갈 수 있고 손잡이의 목부(4)의 내측 원통형 표면의 원주방향 홈 내로 확장에 의해 튀어들어가거나 래칭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역으로 될 수 있다.
도 15는 클램핑 링(85)에 의한 내부(6) 내에서의 래칭 연결의 유사한 설계를 도시한다. 또한, 래칭 연결에서 회전에 대항한 고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 링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며 유리하게는 접선방향으로 배열된 스프링 요소(88)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요소와 정합하도록 형성된 래칭 홈 내로 튀어들어갈 수 있다.
도 16은 다른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에 따르면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는 래칭 돌기가 돌출 단부에 제공된 래칭 설부로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의 목부(4)에 체결되는 스프링 클립(71)이 제공되며, 상기 돌기는 스프링 클립의 U자형 앵글(angle)에 의해 형성된다(도 16 참조).
여기서, 부착 브러시(3)의 튜브형 연결편(7)은 또한 단부면을 향해 돌출하고 손잡이의 목부(4) 내로 이동하는 내부 래칭 요소(43)를 포함한다. 래칭 요소(43)는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측 원통형 표면 섹션 내로 정밀한 끼워맞춤으로 이동하는 외측 원통형 표면 섹션(89)을 갖는 프로파일 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의 목부(4)의 외측 원통형 표면의 원추형 설계 및 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된 외측 결합편(62)과 관련하여, 유격 없는 반경방향 끼워맞춤이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유격이 없는 고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래칭 수단(70)의 스프링 클립(71)의 래칭 외형부(48) 및 내부 래칭 요소(43)의 래칭 외형부(61)는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정합될 수 있다. 특히, 내부 래칭 수단(70)의, 스프링 클립(71)의 U자형 곡률에 의해 형성된 래칭 돌기는, 그 자체가 U자형 절곡부에 비해 너무 작은 내부 래칭 요소(43) 상의 래칭 리세스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 클립(71)이 내부 래칭 요소(43) 상의 래칭 리세스 내로 스냅될 때, 스프링 클립은 래칭 리세스의 에지에 대항하여 양측에서 가압되어, 유격 없는 축방향 고정을 초래한다(도 16 참조).
상기 설계가 선택적으로 또한 역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데, 즉 스프링 클립(71)의 U자형 부분이 상부에서 스냅되는 내부 래칭 요소(43) 상에 대응하는 돌기가 제공된다. 부착 브러시(3)의 유격 없는 축방향 고정은, 스프링 클립(71) 상의 2개의 테이퍼 형성되거나 비스듬히 위치된 경사 표면 또는 웨지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 래칭 요소(43) 상의 상호보완적인 원추형 및/또는 경사 표면, 그리고 이들 함께의 탄성 가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7은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에 따르면 손잡이의 목부(4) 및 튜브형 연결편(7)은 폐쇄된 환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각이 부착 브러시(3)의 체결이 부착 브러시의 회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달성되도록 서로를 완성하기 위해 함께 위치될 수 있는 하프-쉘형 결합편(68)을 형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여기서 손잡이의 목부(4)는 부착 브러시(3)의 튜브형 연결편(7) 내로 이동하는 하프-쉘형 결합편(68)을 형성할 수 있다. 내향으로 돌출하는 결합 플랜지(98)가 하프-쉘형 결합편(68)의 에지 상으로 이동하는 결합편(7)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하프-쉘형 결합편의 에지 단부 표면 및/또는 이와 연결편(7)의 결합 상태로 이동하는 결합 돌기에는 결합편(7)에서 손잡이의 목부(4)의 중심설정을 일으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V자형 홈 또는 도브테일(dovetail) 프로파일의 형태인 중심설정 외형부(97)가 제공된다. 여기서, 따라서 하프-쉘형 결합편(68)은 한편으로는 그 원주에서 연결편(7)에 의해 포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지 단부에서 중심설정 방식으로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중심설정은 또한 손잡이의 목부(4)의 단부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하프-링형 중심설정 외형부가 연결편(7) 상에 그리고 하프-쉘형 결합편(68)의 단부면 상에, 예를 들어 V자형 홈 및/또는 도브테일 프로파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도 17 참조).
도 17에 도시된 배열과는 역으로, 연결편(7)은 또한 하프-쉘형 결합편(68)을 포함할 수 있고, 하프-쉘형 결합편은 이어서 상호보완적인 방식으로 손잡이의 목부(4) 상으로 밀린다.
도 1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마찬가지로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에 배열되는 래칭 연결은 래칭 후크(44)에 의해 제공된다.

Claims (20)

  1. 작동 헤드(6), 칫솔의 손잡이(2)의 목부(4)에의 연결을 위해 작동 헤드(6)에 연결된 튜브형 연결편(7), 및 작동 헤드(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8)를 갖는 전동 칫솔(1)용 부착 부품에 있어서,
    연결편(7)은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이동하여 손잡이의 목부(4)에 대한 부착 부품의 결합 해제가능한 형태-폐쇄식 및/또는 힘-폐쇄식 연결을 생성하기에 적합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래칭 요소(43)를 갖고, 내부 래칭 요소(43)는 그의 직경과 관련하여 연결편(7)의 내측 원통형 표면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되어, 내부 래칭 요소(43)의 외부와 내측 원통형 표면 사이에 갭이 남게 하며, 갭은 손잡이의 목부(4)의 벽이 갭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적합하게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래칭 요소(43)는 연결편의 단부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칭 설부(latching tongue)를 갖고, 래칭 설부는 예를 들어 래칭 후크(44)이며, 래칭 후크는 외형부(61), 예를 들어 래칭 리세스(recess) 또는 래칭 돌기를 갖는 부착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래칭 설부(44)를 갖는 부착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래칭 설부(44)의 래칭 외형부(61)는 다양한 축방향 위치에서 배열되는 부착 부품.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외형부(61)는 내부 래칭 요소(43)의 반경방향 외향 측에 배열되는 부착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래칭 요소(43)는 원주방향으로 언더컷을 갖고/갖거나, 손잡이의 목부(4) 상에서의 부착 부품(3)의 회전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회전 방지 표면(91)을 갖는 부착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8)는 파지부 상의 구동 샤프트(5)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샤프트 결합편(63)을 갖고, 샤프트 결합편(63)은 원추형 클램프 정합 표면(65)을 갖는 부착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클램프 정합 표면(65)은 구동 샤프트(8)의 종축에 대해 약 3.5°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7° 초과의 테이퍼 형성 각도로 경사진 부착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8) 및/또는 샤프트 결합편(63)은 튜브형 연결편(7)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8) 및/또는 샤프트 결합편(63)을 연결편(7)의 단부면을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장치(biasing device, 66)가 제공되는 부착 부품.
  11. 파지부를 가지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 부품(3)을 결합하기에 적합한 결합 장치(10)를 갖는 손잡이의 목부(4)를 가지며, 부착 부품(3)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구동 샤프트(5)를 갖는 전동 칫솔(1)의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의 목부(4)는 손잡이의 목부(4)의 내부(60) 내로 이동될 수 있는 부착 부품(3)의 요소(43)와 결합 및/또는 클램핑하기 위한 내부에 배열된 래칭 및/또는 클램핑 수단(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의 손잡이.
  12. 제11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5)의 샤프트 결합편(69)은 원추형 클램프 정합 표면(73)을 갖는 칫솔 손잡이.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램프 정합 표면(73)은 약 3.5°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7° 초과의 테이퍼 형성 각도로 구동 샤프트(5)의 종방향에 대해 경사진 칫솔 손잡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5) 및/또는 샤프트 결합편(69)은 손잡이의 목부(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칫솔 손잡이.
  15. 제14항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5) 및/또는 샤프트 결합편(69)을 손잡이로부터 멀리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장치가 제공되는 칫솔 손잡이.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의 연결편(7)과의 형태-폐쇄식 및/또는 마찰식 결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분(11)을 갖는 결합 장치(10)가 손잡이의 목부(4) 상에 제공되고, 결합 장치(10)는 손잡이의 종방향(12)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결합편(13)을 갖는 칫솔 손잡이.
  17. 제16항에 있어서, 결합편(13)은 결합편(13)의 축방향 이동이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결합 부분(11)의 횡방향 이동을 생성하도록 장착 및/또는 형성되는 칫솔 손잡이.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목부(4)와 결합 부분(11) 사이에 전개 기구(spreading mechanism, 14)가 제공되고, 전개 기구에 의해 결합 부분(11)은 손잡이의 본체를 향한 결합편(13)의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향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전개 기구(14)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목부(4)와 결합편(13) 사이에 제공되어, 손잡이의 본체를 향한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결합편(13)이 외향으로 전개될 수 있게 하는 칫솔 손잡이.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장치(10)의 결합 부분(11)이 로킹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칫솔 구동의 억제, 차단, 제동 및/또는 오프 절환(switching off)을 위한 억제 수단(23)이 제공되는 칫솔 손잡이.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잡이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부착 부품을 갖는 전동 칫솔.
KR1020117001380A 2008-06-20 2009-06-12 전동 칫솔 KR20110033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11210.5 2008-06-20
EP08011210A EP2135580A1 (de) 2008-06-20 2008-06-20 Elektrische Zahnbür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218A true KR20110033218A (ko) 2011-03-30

Family

ID=3992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380A KR20110033218A (ko) 2008-06-20 2009-06-12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71492B2 (ko)
EP (1) EP2135580A1 (ko)
JP (1) JP5410516B2 (ko)
KR (1) KR20110033218A (ko)
CN (1) CN102065793B (ko)
AU (1) AU2009259670A1 (ko)
BR (1) BRPI0914873A2 (ko)
CA (1) CA2727572C (ko)
MX (1) MX2010014349A (ko)
TW (1) TW201012440A (ko)
WO (1) WO2009152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42097A1 (en) 2011-07-12 2013-01-17 Colgate-Palmolive Company Vibratory and oscillatory toothbrush and refill head for the same
EP2550936B1 (en) * 2011-07-25 2014-12-17 Braun GmbH Oral hygiene implement and oral hygiene device
JP5799646B2 (ja) * 2011-08-08 2015-10-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CA2848208A1 (en) * 2011-09-15 2013-03-2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refill head therefor
AU2014232399C1 (en) 2013-03-15 2017-11-02 Water Pik, Inc.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US9468511B2 (en) * 2013-03-15 2016-10-18 Water Pik, Inc. Electronic toothbrush with vibration dampening
WO2015059660A1 (en) * 2013-10-25 2015-04-30 Koninklijke Philips N.V. Attachment for an electric toothbrush handle and method of attaching
EP2883517A1 (en) 2013-12-12 2015-06-17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EP2883516A1 (en) 2013-12-12 2015-06-17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USD766581S1 (en) 2013-12-19 2016-09-20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USD769626S1 (en) 2013-12-19 2016-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Refill head for electric toothbrush
USD776435S1 (en) 2013-12-19 2017-01-17 Colgate-Palmolive Company Head portion of a toothbrush
ES2606660T3 (es) * 2014-05-07 2017-03-27 Braun Gmbh Utensilio para el cuidado bucal
CN205568226U (zh) 2015-07-08 2016-09-14 洁碧有限公司 刷牙装置
USD794333S1 (en) 2015-11-25 2017-08-15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brush head
USD790860S1 (en) 2015-11-25 2017-07-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brush head
US10561480B2 (en) 2016-05-09 2020-02-18 Water Pik, Inc. Load sensing for oral devices
TWI634615B (zh) * 2016-05-26 2018-09-01 恩特葛瑞斯股份有限公司 用於一基板容器的閂鎖機構
USD845636S1 (en) 2016-12-15 2019-04-16 Water Pik, Inc. Toothbrush handle
USD844997S1 (en) 2016-12-15 2019-04-09 Water Pik, Inc. Toothbrush handle
AU2017378474B2 (en) 2016-12-15 2022-06-02 Water Pik, Inc. Brushing device with illumination features
US10864065B2 (en) 2017-06-27 2020-12-15 Braun Gmbh Refill for electric toothbrush
KR102401906B1 (ko) 2017-06-27 2022-05-26 브라운 게엠베하 전동 칫솔
US10869742B2 (en) 2017-06-27 2020-12-22 Braun Gmbh Coupling mechanism for electric toothbrush
USD893881S1 (en) 2017-11-17 2020-08-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apparatus
USD858997S1 (en) 2017-11-17 2019-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Tracking module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D858105S1 (en) 2017-11-17 2019-09-0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14652476A (zh) * 2019-04-15 2022-06-24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牙刷的刷头和具有其的电动牙刷
EP3865088B1 (de) * 2020-02-17 2023-07-26 Trisa Holding AG Aufsteckbürstenvorrichtung
US20230055906A1 (en) * 2021-08-20 2023-02-23 Paula J. CRASHLEY Mixing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5042A (de) * 1971-02-26 1973-03-31 Woog Inst Rech Steckvorrichtung an einem insbesondere zur Körperpflege dienenden Handgerät zur Befestigung auswechselbarer Behandlungsinstrumente
DE3937853A1 (de) * 1989-11-14 1991-05-16 Braun Ag Elektrische zahnbuerste mit loesbarem buerstenteil
DE19745876A1 (de) * 1997-10-17 1999-04-22 Braun Ag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US6381795B1 (en) * 1998-11-02 2002-05-07 Raimund Hofmann Brush part for electrical toothbrush
AU6149500A (en) 1999-06-10 2001-01-02 Gimelli Produktions Ag Slip-on brush designed for a hand part of an electric toothbrush
KR100735645B1 (ko) * 2001-03-14 2007-07-06 브라운 게엠베하 치아 세정 장치 및 방법
HU226504B1 (en) * 2001-03-14 2009-03-02 Braun Gmbh Handle section and brush section and electric dental cleaning device thereof
US6836917B2 (en) 2001-05-07 2005-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placeable head electric toothbrush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for
DE10209320A1 (de) 2002-03-02 2003-09-25 Braun Gmbh Zahnbürstenkopf einer elektrischen Zahnbürste
DE10352993A1 (de) * 2003-11-13 2005-06-16 Braun Gmbh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US7020925B1 (en) * 2004-12-22 2006-04-04 Avtipus Patents & Inventions Ltd. Mechanical toothbrush
JP4836474B2 (ja) * 2005-03-25 2011-12-1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2996A1 (de) 2009-12-23
JP5410516B2 (ja) 2014-02-05
CN102065793A (zh) 2011-05-18
CN102065793B (zh) 2013-07-10
US20110083288A1 (en) 2011-04-14
MX2010014349A (es) 2011-02-21
EP2135580A1 (de) 2009-12-23
CA2727572A1 (en) 2009-12-23
AU2009259670A1 (en) 2009-12-23
US8671492B2 (en) 2014-03-18
TW201012440A (en) 2010-04-01
CA2727572C (en) 2015-03-24
JP2011524221A (ja) 2011-09-01
BRPI0914873A2 (pt)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3218A (ko) 전동 칫솔
KR20100024485A (ko) 칫솔
KR102401908B1 (ko) 전동 칫솔용 리필품
JP529019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付属品
KR20090096697A (ko) 칫솔 및 칫솔용 부착물
CN110996844B (zh) 用于电动牙刷的联接机构
KR100254719B1 (ko) 칫솔
RU2014131061A (ru) Сменная головка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50245895A1 (en) Electric toothbrush
JP5073661B2 (ja) 電動歯ブラシ用ハンドピース及び充電ユニット
JP2008194769A (ja) 無端ベルト式研削工具
JP7049523B6 (ja) 口腔ケア装置のためのワークピース保持機構
JP3544204B1 (ja) 光コネクタの雌プラグ
JP3214692U (ja) 布地手入れ用具
KR101874787B1 (ko) 가이드 영역이 확장된 스핀들
KR20160002322U (ko) 에어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