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420A - 리튬 전지용 라멜라형 산화물로 형성된 양극 재료 - Google Patents

리튬 전지용 라멜라형 산화물로 형성된 양극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420A
KR20110031420A KR1020107027297A KR20107027297A KR20110031420A KR 20110031420 A KR20110031420 A KR 20110031420A KR 1020107027297 A KR1020107027297 A KR 1020107027297A KR 20107027297 A KR20107027297 A KR 20107027297A KR 20110031420 A KR20110031420 A KR 2011003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ellar
mno
oxide
lithium battery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띠앙 빠뚜
카롤 부르봉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ublication of KR2011003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5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MnO3]n-, e.g. Li2MnO3, Li2[MxMn1-xO3], (La,Sr)MnO3
    • C01G45/1257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MnO3]n-, e.g. Li2MnO3, Li2[MxMn1-xO3], (La,Sr)MnO3 containing lithium, e.g. Li2MnO3, Li2[MxMn1-xO3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20Two-dimension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xLi2MnO3·(1-x)LiM1 aM2 bM3 cO2 (1) 을 갖는 라멜라형 (lamellar-type) 산화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x 는 대략 0.75 이고; M1 은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고; M3 은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학 원소이고; M2 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며, M1 및 M3 과는 상이하고; a + b + c = 1 이고, a, b 및 c 는 0 이 아니며, 이 산화물은 리튬 전지용 활성 양극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식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및 식 0.75Li2MnO3·0.25LiNi0.6Mn0.2Mg0.2O2 가 리튬 전지의 양극용 활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산화물에 의하면, 리튬 전지의 비용량이 개선되고 사이클링 관점에서 안정화된다.

Description

리튬 전지용 라멜라형 산화물로 형성된 양극 재료{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MED FROM A LAMELLAR-TYPE OXIDE FOR A LITHIUM BATTERY}
본 발명은 라멜라형 (lamellar-type) 산화물, 특히 리튬 전지용 양극의 활성 재료로서 사용되는 라멜라형 산화물 및 이러한 산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전지는, 독립된 전력 소스, 특히 휴대 장비에서 독립된 전력 소스로서 니켈-카드뮴 (Ni-Cd) 또는 금속성 니켈-수소화물 (Ni-MH) 전지를 점차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Ni-Cd 및 Ni-MH 전지의 질량 및 체적 에너지 밀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질량 및 체적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리튬 전지의 성능의 계속적인 향상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초기의 Li-이온 타입의 리튬 전지가 약 85 Wh/kg 의 질량 에너지 밀도를 갖는데 반해, 약 200 Wh/kg 의 질량 에너지 밀도가 현재 획득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Ni-MH 전지 및 Ni-Cd 전지 각각은 100 Wh/kg 및 50 Wh/kg 의 질량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그러나, 현재 점점 증가하는 전력이 요구되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을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리튬 전지는 더욱 개선되어야 한다. Li-이온 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키고 그리고 특히 그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새로운 활성 전극 재료에 대한 탐색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현재, 시판용 리튬 전지의 음극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 재료는, 탄소 (그래파이트, 코크스,…), Li4Ti5O12 타입의 스피넬 산화물 또는 Sn 또는 Si 와 같이 리튬과의 합금을 형성하는 금속이다.
일반적으로, 시판용 리튬 전지의 양극에 사용되는 활성 재료는 LiCoO2 및 LiNiO2 산화물과 같은 라멜라형 구조의 화합물, 또는 LiMn2O4 및 그 유도체와 같은 스피넬 구조의 화합물이다.
그러나, Li-이온 전지의 양극의 활성 재료는 현재 질량 에너지 밀도의 증가를 획득하기 위한 제한 요소라고 잘 알려져 있다.
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법은, 양극의 활성 재료의 레독스 전위 (redox potential) 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Li+/Li 쌍의 레독스 전위에 대해 4.2 V (Li+/Li 에 대한 4.2 V 라고도 함) 초과의, 고-전압 전기화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양극용 활성 재료가, Li-이온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지난 수년에 걸쳐 개발되고 있다. 이들 기대되는 새로운 화합물 중에서도, 다음이 주목된다:
- Li+/Li 쌍의 레독스 전위에 대한 4.8 V 및 5.1 V 의 레독스 전위를 각각 갖는 LiCoPO4 및 LiNiPO4 타입의 화합물,
- 그리고 Li+/Li 에 대한 4.7 V 의 레독스 전위를 갖는 LiNi0 .5Mn1 .5O4 타입의 스피넬 산화물.
그러나, 그 수명이 대략 수십 사이클로 낮기 때문에, 시판용 전지에서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 이들 화합물은 더욱 개선되어야 하고 전극/전해질 계면은 고전압에서 안정화되어야 한다. 게다가, 이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145 와 170 mAh/g 사이에 포함되는 낮은 이론적 비용량을 가진다.
개선을 위한 다른 가능한 방법은, 현재 사용되는 활성 재료보다 더 높은 비용량을 갖는 리튬 전지의 양극용 활성 재료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러나, LiMO2 타입의 라멜라형 산화물 (여기서 M 은 코발트와 같은 전이 원소를 나타낸다) 은, 가장 높은 용량에 속하는 이론적 용량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사실상, 이론적 용량은 전이 원소의 몰질량에 따라 약 270 내지 300 mAh/g 사이에 포함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산화물의 구조적 응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획득되는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50 mAh/g 이다.
따라서, LiMO2 타입의 라멜라 산화물을 대체하기 위해 다른 화합물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라멜라형 산화물에서 몇몇 전이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또한 라멜라형 구조의 LiNi0 .8Co0 .15Al0 .05O2 및 LiNi1 /3Co1 /3Mn1 /3O2 화합물은, 특히 대전된 상태에서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 및 더 낮거나 또는 동등한 비용으로 LiMO2 타입의 산화물과 유사하거나 또는 그 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전기화학적 성능이 획득되도록 한다.
최근 문헌에서 제안된 활성 재료 중에서도, xLi2M'O3·(1-x)LiMO2 타입의 산화물 (여기서:
- x 는 0 과 1 사이에 포함되고
- M 은 Mn, Ni 또는 Co 와 같은 원소이고
- M' 는 Mn, Ti 또는 Zr 과 같은 원소이다)
은, 높은 비용량이 획득되게 하고 그리하여 고 에너지 밀도의 Li-이온 전지가 획득되게 하는 재료로서 제시되어 있다.
특히, Jeom-Soo Kim 등에 의한 논문 ("리튬 전지용 xLi2M'O3·(1-x)LiMn0.5Ni0.5O2 전극의 전기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 (M'=Ti, Mn, Zr; 0 ≤ x ≤ 0.3)", Chem Mater. 2004, 16, 1996-2006) 은, 금속성 리튬 기준 전극과 비교하여 xLi2M'O3·(1-x)LiMn0 .5Ni0 .5O2 타입 (여기서 M'=Ti, Mn, Zr 및 0 ≤ x ≤ 0.3) 의 활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극의 구조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산화물은, 상이한 전이 원소의 산화 정도의 변화와 연관된 다수의 전기화학적 현상을 제시하는 특이성을 가진다. 이는, 특정 경우에 높은 비용량이 획득되게 하여, 특히 매력적인 활성 재료의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사이클링이 발생할 때 이러한 재료에서 비용량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지 않다. 사실상, 비용량의 감소는 충전/방전 사이클의 과정에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화된 높은 비용량이 획득되게 하고 그리하여 개선된 성능을 갖는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양극용 활성 재료를 제안하기 위해, 상당한 진보가 여전히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 특허 출원 WO-A-2004107480 은, 식 LixMnyM1 - yO2 (여기서 x ≤ 0.20) 의 라멜라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Mn 은 +4 산화 상태에 있고, M 은 적어도 전이 금속, 또는 구조를 지나치게 파괴시키지 않고 구조에 삽입될 수 있는 이온 반지름을 갖는 다른 금속 양이온이다.
특허 출원 US2005/0136329 에서, 일반식 Li{Li(1-2x)/3Mn(2-x)/3Nix}O2 를 갖는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상기 재료를 Ca, Cu, Mg 및 Zn 으로부터 선택된 2가의 양이온으로 도핑함으로써 개선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특히 리튬 전지 분야에서, 유리하게 통상의 전위 범위 및 통상 사용되는 모든 사이클링 온도에서, 사이클링에 있어서 안정화되고 높은 비용량이 획득되게 하는 양극용 활성 재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이러한 목적은, 일반식 xLi2MnO3·(1-x)LiM1 aM2 bM3 cO2 의 라멜라형 산화물의 새로운 패밀리에 의해 달성되고,
여기서:
- x 는 약 0.75 이고,
- M1 은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고,
- M3 은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화학 원소이고,
- M2 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며, M1 및 M3 과는 상이하고,
- a + b + c = 1 이고, a, b 및 c 는 0 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라멜라형 산화물은,
식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로 나타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라멜라형 산화물은,
식 0.75Li2MnO3·0.25LiNi0 .6Mn0 .2Mg0 .2O2
로 나타내진다.
다른 이점 및 특성은, 첨부되는 도면에서 나타내지고 단지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양극용 활성 재료로서 0.75Li2MnO3·0.25LiNiO2, 0.75Li2MnO3·0.25LiNi0.6Mg0.2Mn0.2O2, 및 0.7Li2MnO3·0.3LiMn1 /3Ni1 /3Co1 /3O2 을 각각 포함하고 음극용 활성 재료로서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의, 인텐시오스태틱 (intentiostatic) 모드 (C/10 조건, 55 ℃) 에서의, 사이클 수에 대한 방전 비용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 는, 제 1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식 0.75Li2MnO3·0.25LiNi0.9Mn0.05Mg0.05O2 의 화합물의 X-선 회절 다이어그램 (λCuK α) 을 나타낸다.
도 3 은, 제 1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식 0.75Li2MnO3·0.25LiNi0.9Mn0.05Mg0.05O2 의 화합물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에 대응한다.
도 4 는, 온도 55 ℃, Li+/Li 에 대한 3 ~ 4.8 V 를 갖는 C/10 조건하에서 인텐시오스태틱 모드에서 수행된 테스팅 동안, 양극용 활성 재료로서 0.75Li2MnO3·0.25LiNi0.9Mn0.05Mg0.05O2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의 사이클 수에 대한 방전 비용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 는, 온도 55 ℃ 에서의 C/10 조건하에서, Li+/Li 에 대한 2.5 ~ 4.8 V 의 인텐시오스태틱 모드에서 테스팅이 수행될 때, 활성 양극 재료로서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의 100번째 사이클에서의 충전/방전 커브 플롯 (비용량에 대한 전위) 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 은, 각각 온도 55 ℃ 및 20 ℃ 에서의 C/10 조건하에서, Li+/Li 에 대한 2.5 ~ 4.8 V 의 인텐시오스태틱 모드에서 테스팅이 수행될 때, 활성 양극 재료로서 사용되고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획득된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의 제 1 방전의 커브 플롯 (비용량에 대한 전위) 을 나타낸다.
도 8 은 도 6 및 도 7 에서 제 1 방전이 플롯되는 리튬 전지의 사이클 수에 대한 방전 비용량의 변화 (C/10 조건) 를 나타낸다.
하기 일반식의 라멜라형 산화물이 리튬 전지용 활성 양극 재료로서 유리하게 사용되고,
xLi2MnO3·(1-x)LiM1 aM2 bM3 cO2 (1)
여기서:
- x 는 약 0.75 이고;
- M1 은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고;
- M3 은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화학 원소이고;
- M2 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며, M1 및 M3 과는 상이하고;
- a + b + c = 1 이고, a, b 및 c 는 0 이 아니다.
특히, 이러한 산화물이 사이클링에 대한 비용량이 안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충전/방전 사이클에 대한 높은 비용량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xLi2M'O3·(1-x)LiMO2 산화물과 비교하여 그리고 특히 Jeom-Soo Kim 에 의한 상기 서술된 논문에서 보고된 xLi2M'O3·(1-x)LiM0 .5Ni0 .5O2 산화물과 비교하여, 일반식 (1) 의 산화물은, 전기화학적 활성이 전혀 없는 화학 원소라고도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화학적 비활성 화학 원소 (M3) 를 포함한다.
전기화학적 비활성 화학 원소란, 통상의 전위 범위에서, 리튬 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 동안 환원되지 않거나 또는 산화하지 않는 화학 원소를 의미한다. M3 은 보다 구체적으로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화학 원소이다. 따라서, M3 은 또한 상기 서술한 그룹의 화학 원소 중 몇몇의 화학 원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M3 은 사이클링에 대한 비용량이 간접적으로 안정화되도록 한다.
M3 은 또한,
-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부터 선택된 전기화학적 활성 화학 원소 M1 과 연관되고,
- 그리고 화학 원소 M2 와 연관된다. 원소 M2 는 전기화학적 활성일 수 있고, 이 경우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원소 M2 는 전기화학적 비활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부터 선택된다. M2 는 M1 및 M3 과는 상이하도록 또한 선택된다.
유리하게, 일반식 (1) 에서, M1 은 니켈이고, M2 는 망간이고, M3 은 마그네슘이다. 또한, b 는 c 와 바람직하게 동일하다.
따라서, 리튬 전지의 양극은 활성 재료로서 일반식 (1) 의 산화물을 다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양극은 유리하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아크릴로니트릴-계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폴리머, 및 탄소와 같은 전기-전도성 첨가물과 같은 유기 바인더를 소수의 양으로 포함한다.
리튬 전지는 또한, 임의의 공지된 타입일 수 있는 활성 재료의 음극을 포함한다. 예컨대, 음극의 활성 재료는 금속 형태의 리튬일 수 있고, 또는 Li+ 이온을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그래파이트 형태의 탄소, Li4Ti5O12 와 같은 산화물 또는 실리콘 또는 주석과 같이 리튬과의 합금을 형성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튬 전지의 전해질은, 예컨대, LiClO4, LiAsF6, LiPF6, LiBF4, LiRFSO3, LiCH3SO3, LiN(RFSO2)2, LiC(RFSO2)3,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LiTFSl 이라고도 함), 리튬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LiBOB 라고도 함), 리튬 비스(퍼플루오로에틸술포닐)이미드 (LiBETI 라고도 함), 또는 리튬 플루오로알킬포스페이트 (LiFAP) 로부터 선택된 리튬 염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RF 는 1 ~ 8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불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다. 또한, 리튬 염은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에 바람직하게 용해된다. 예컨대, 이 염은 전지의 2 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 엘리먼트에 의해 유지되고, 그후 분리 엘리먼트는 전해질에 의해 흡수된다.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의 경우, 리튬 염은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옥시드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고체 폴리머 복합체에 용해된다.
게다가, 높은 비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전지의 전압 사이클링 한계는, 하한으로서 Li+/Li 에 대한 약 2 ~ 3 V 이고 상한으로서 Li+/Li 에 대한 약 4.6 ~ 4.8 V 이여야 한다. 평균 동작 전압은 일반적으로 방전시에 Li+/Li 에 대한 약 3.4 ~ 3.8 V 이다.
제 1 예시 실시형태 (이후, 실시예 n01 이라 함) 에 따르면, 0.75Li2MnO3·0.25LiNi0.6Mn0.2Mg0.2O2 화합물을 합성한 후, "버튼셀(buttoncell)" 포맷의 리튬 전지에서 테스팅하였다.
특히, 0.75Li2MnO3·0.25LiNi0 .6Mn0 .2Mg0 .2O2 화합물은, 미리 합성된 전구체 A 의 2g 과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502g 을 치밀하게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900 ℃ 에서 가열한 후, 그것을 주변 온도에서 매우 신속하게 냉각 (퀀칭 (quenching)) 함으로써 획득된다. 특히, 전구체 A 는,
- 황산 망간 (MnSO4) 의 12.095g, 황산 니켈 (NiSO4·3.95H2O) 의 3.389g 및 황산 마그네슘 (MgSO4·7H2O) 의 1.232g 을 함유하는 수용액 0.1 L
- 그리고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6.450g 을 함유하는 수용액 0.1 L 로부터 미리 합성되었다.
이들 2 가지 용액은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0.070g 을 함유하는 제 3 수용액 0.25L 에 동시에 첨가되고, 침전물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 교반하에서 유지되었다. 그후, 이 침전물은 여과되고, 증류수로 수회 세정되고, 100 ℃ 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되어 전구체 A 를 획득하였다. 전구체 A 는 일반식 Mn0.8Ni0.15Mg0.05(OH)2 로 나타내진다.
퀀칭 동작 이후에 획득되는 생성물의 특징은, 0.75Li2MnO3·0.25LiNi0.6Mn0.2Mg0.2O2 화합물의 합성 및 그것의 라멜라형 구조를 확인시킨다.
그후, "버튼셀" 포맷 리튬 전지는,
- 집전 장치 (current collector) 로서 작용하는 니켈 디스크 상에 증착되는, 직경 16 mm 및 두께 135 ㎛ 를 갖는 리튬 음극,
- 미리 합성된 0.75Li2MnO3·0.25LiNi0 .6Mn0 .2Mg0 .2O2 재료 (80 중량%), 카본 블랙 (10 중량%) 및 폴리비닐리덴 헥사플루오라이드 (10 중량%) 를 포함하는 두께 25 ㎛ 를 갖는 복합체 필름으로부터 취해진 직경 14 mm 인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 양극으로서, 그 전체가 두께 20 ㎛ 인 알루미늄 포일에 의해 형성된 집전 장치 상에 증착되는, 상기 양극,
-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 (1/1/3 중량비) 의 혼합물의 용액에서의 LiPF6 염-계 (1 mol/L) 액체 전해질에 의해 흡수되는 세퍼레이터
로 달성된다.
이러한 리튬 전지에 대응하는 사이클 수에 대한 비용량의 변화는 도 1 의 플롯 A 로 나타내진다. 비교를 위해, 도 1 은 또한, 활성 양극 재료로서 0.7Li2MnO3·0.3LiMn1 /3Ni1 /3Co1 /3O2 및 0.75Li2MnO3·0.25LiNiO2 을 각각 구현하는 2 개의 유사한 전지에 대한, 사이클 수에 대한 비용량의 변화에 대응하는 플롯 B 및 C 를 포함한다. 플롯 A 는, 0.75Li2MnO3·0.25LiNi0 .6Mn0 .2Mg0 .2O2 산화물로 획득된 비용량은 사이클 수가 어떠하더라도 비교적 일정하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종래기술에 따른 0.75Li2MnO3·0.25LiNiO2 화합물 및 종래 기술의 그 화합물과 유사한 0.7Li2MnO3·0.3LiMn1 /3Ni1 /3Co1 /3O2 화합물에 대해, 비용량은 급속하게 감소된다 (플롯 C 및 B).
제 2 예시 실시형태 (이후, 실시예 n02 라 함) 에 따르면, 0.75Li2MnO3·0.25LiNi0.9Mn0.05Mg0.05O2 화합물을 합성한 후, 실시예 n01 에서 제조된 리튬 전지와 유사한 "버튼셀" 포맷 리튬 전지에서 테스팅하였다.
특히,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화합물은, 미리 합성된 전구체 A' 의 1.50g 과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11g 을 치밀하게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매우 신속하게 냉각 (퀀칭) 하기 전에 24 시간 동안 1000 ℃ 에서 가열함으로써 합성된다. 특히, 전구체 A' 는,
- 황산 망간 (MnSO4) 의 11.528g, 황산 니켈 (NiSO4·3.95H2O) 의 5.083g 및 황산 마그네슘 (MgSO4·7H2O) 의 0.308g 을 함유하는 수용액 0.1 L
- 그리고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6.450g 을 함유하는 수용액 0.1 L 로부터 미리 합성되었다.
이들 2 가지 수용액은 수산화 리튬 LiOH·H2O 의 10.070g 을 함유하는 제 3 수용액 0.25L 에 동시에 첨가되고, 기계적 교반하에서 유지되었다. 침전물 형태는, 여과되기 전에, 증류수로 수회 세정된 후, 100 ℃ 에서 60 시간 동안 건조되어 전구체 A' 를 획득하였다. 전구체 A' 는 일반식 Mn0 .7625Ni0 .225Mg0 .0125(OH)2 로 나타내진다.
이와 같이 합성된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화합물은 X-선 회절 (도 2) 및 주사형 전자 현미경 관찰 (도 3) 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도 2 는 합성된 화합물의 조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도 3 은 화합물의 라멜라형 구조를 확인시킨다.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실시예 n01 에서 제조된 전지와 유사한 "버튼셀" 포맷 리튬 전지에서의 양극의 활성 재료로서 사용되었다. 실시예 n01 에 따른 리튬 전지에서 양극의 활성 재료만이 대체되었다.
도 4 및 도 5 는 이러한 리튬 전지에 대응하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설명한다. 따라서, 도 4 에서는 리튬 전지의 비용량이 사이클링에 대해 안정적이다고 관찰될 수 있다. 사실상, 비용량의 값 (플롯 D) 은 적용되는 사이클 수가 어떠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사실상, 사이클당 용량의 평균 손실은 첫번째 80 사이클에 대해 단지 0.01% 로 평가된다. 비교를 위해, 이러한 손실은 일반적으로 시판용 리튬 전지에 대해 약 0.04% 이다.
게다가, 도 4 는 Li+/Li 에 대한 3 ~ 4.8 V 로 변하는 전위에 대해, 온도 55 ℃에서 C/10 조건하에서, 인텐시오스태틱 모드에서 수행되는, 전지의 제 1 방전 (플롯 E) 을 나타내는 삽입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롯 E 는, 비용량에 대한, Li+/Li 쌍의 전위에 관한 전위의 변화에 대응한다. 그리하여, Li+/Li 에 대한 3V 전위에 대해, 전지의 비용량은 제 1 방전에서 200 mAh/g 이다.
또한, 도 5 의 플롯 F 는,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화합물의 경우에 그리고 100 충전/방전 사이클 이후에:
- 방전 용량 271.7 mAh/g,
- Li+/Li 에 대한 평균 방전 전위 3.406V,
- 그리고 재료의 질량 에너지 925 Wh/kg 을 획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 질량 에너지는 현재 시판되는 전지에서 사용되는 활성 재료에 의해 획득되는 질량 에너지 (일반적으로 약 600 Wh/kg) 와 비교해서 매우 높고, 다수의 사이클 이후에 획득되기 때문에 더욱더 그러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 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0.75Li2MnO3·0.25LiNi0.6Mn0.2Mg0.2O2 및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산화물, 그리고 더욱 일반적으로 xLi2MnO3·(1-x)LiM1 aM2 bM3 cO2 타입의 산화물 패밀리는 다수의 충전/방전 사이클에 대해 양호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고 용량이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LiCoO2 산화물과 같이 리튬 전지에 사용되는 양극용 활성 재료와 비교해서 100% 의 증가를 나타내는, 300 mAh/g 이상의 비용량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 n01 및 n02 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은, 적어도 800 ℃ 인 온도에서 그리고 종종 약 900 ℃ ~ 1000 ℃ 의 온도에서, 수산화 리튬 LiOH·H2O 과 미리결정된 비율로 원소 M1, M2 및 M3 의 소스를 형성하는 전구체를 혼합하여 획득되는 분말을 열처리함으로써 유리하게 제조된다. 특히, 그 전구체는 일반식 MnxM1 a (1-x)M2 b (1-x)M3 c (1-x)(OH)2 로 나타내진다. 일단 열처리가 완료되면, 분말을, 예컨대 퀀칭을 수행함으로써 매우 신속히 냉각시킨다.
게다가, 일단 합성되면, 그 산화물을 약한 산성 수용액에서 후처리하여 그것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그에 따른 리튬 전지의 비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3 예시 실시형태 (이후, 실시예 nO3 이라 함) 에 따르면, 실시예 nO2 에 따라 획득된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화합물의 10g 을 pH 5.5 인 수용액 250 mL 와 혼합한다. 예를 들면, 수용액은 물이며, H2SO4 또는 HNO3 와 같은 산을 첨가하여 pH 를 조절한다. 그후, 혼합물을 30 분간 교반한 후, 10 분간 초음파 탱크에 두었다. 마지막으로,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자기적 교반 (magnetic stirring) 하였다. 물에 의한 3번의 세정으로 이루어진 원심분리 동작은 분말이 회수되도록 하고, 그후 분말은 24 시간 동안 50 ℃에서 건조된다. 최종적으로, 분말을 공기중에서 3 시간 동안 온도 350 ℃ 에서 열처리하였다.
그후,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화합물은 사이클링 온도 20 ℃ 및 55 ℃ 를 각각 갖는 "버튼셀" 포맷 전지에서의 양극용 활성 재료로서 테스팅된다. 전지는 실시예 no1 및 no2 에 따라 제조된 전지와 유사하다. 따라서, 그것은 양극의 활성 재료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no1 및 no2 에 따라 제조된 전지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 no3 에 대응하는 전기화학적 특성은 도 6 내지 도 8 에 보고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 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텐시오스태틱 모드에서의 C/10 조건에 대해, 비용량은 사이클링 온도 55 ℃ 에 대해 317 mAh/g 과 동일하고 (플롯 G), 사이클링 온도 20 ℃ 에 대해 252 mAh/g 이다 (플롯 H).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양극용 활성 재료로 사이클링 온도 20 ℃ 에 대해 획득된 비용량은 더 낮다. 예컨대, xLi2MnO3·(1-x)LiMO2 타입의 화합물에 대해, 20 ℃ 에서 약 150 mAh/g 이다. 또한, 방전시 평균 전위는 20 ℃ 에서 Li+/Li 에 대한 3.656 V (즉, 재료의 921 Wh/kg 의 에너지 밀도) 이고, 55 ℃ 에서 Li+/Li 에 대한 3.563 V (즉, 재료의 1129 Wh/kg 의 에너지 밀도) 이다. 또, 도 8 의 플롯 I (사이클링 온도 = 55 ℃) 및 플롯 J (사이클링 온도 = 20 ℃)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클링 온도 55 ℃ 및 20 ℃ 둘다에 대해, 방전 비용량은 사이클 수가 어떠하더라도 안정적이다.

Claims (9)

  1. 일반식 xLi2MnO3·(1-x)LiM1 aM2 bM3 cO2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lamellar-type) 산화물.
    (여기서:
    - x 는 약 0.75 이고,
    - M1 은 Mn, Ni, Co, Fe, Ti, Cr, V 및 Cu 로 이루어진 제 1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고,
    - M3 은 Mg, Zn, Al, Na, Ca, Li, K, Sc, B, C, Si, P 및 S 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화학 원소이고,
    - M2 는 상기 제 1 그룹 및 상기 제 2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원소이며, M1 및 M3 과는 상이하고,
    - a + b + c = 1 이고, a, b 및 c 는 0 이 아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 M1 = Ni 이고,
    - M2 = Mn 이고,
    - M3 =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0.75Li2MnO3·0.25LiNi0 .9Mn0 .05Mg0 .05O2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0.75Li2MnO3·0.25LiNi0 .6Mn0 .2Mg0 .2O2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멜라형 산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식 MnxM1 a (1-x)M2 b (1-x)M3 c (1-x)(OH)2 의 전구체와 수산화리튬을 혼합함으로써 획득되는 분말의 800 ℃ 이상의 온도에서의 열처리, 그후 상기 분말의 매우 급속한 냉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의 합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우 급속한 냉각 이후에, 상기 분말을 약한 산성 수용액에서 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산화물의 합성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멜라형 산화물로 이루어진 활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9. 제 8 항에 기재된 양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KR1020107027297A 2008-06-05 2009-05-28 리튬 전지용 라멜라형 산화물로 형성된 양극 재료 KR20110031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3139 2008-06-05
FR0803139A FR2932175B1 (fr) 2008-06-05 2008-06-05 Materiau d'electrode positive forme d'un oxyde de type lamellaire pour accumulateur au lith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20A true KR20110031420A (ko) 2011-03-28

Family

ID=4038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297A KR20110031420A (ko) 2008-06-05 2009-05-28 리튬 전지용 라멜라형 산화물로 형성된 양극 재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23532B2 (ko)
EP (1) EP2318315B1 (ko)
JP (1) JP5512662B2 (ko)
KR (1) KR20110031420A (ko)
CN (1) CN102056844B (ko)
AT (1) ATE533732T1 (ko)
BR (1) BRPI0913629A2 (ko)
ES (1) ES2377602T3 (ko)
FR (1) FR2932175B1 (ko)
PL (1) PL2318315T3 (ko)
WO (1) WO2009147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51A (ko)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손잡이를 갖는 퍼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5641B2 (ja) * 2010-12-16 2014-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FR2970376B1 (fr) * 2011-01-07 2013-01-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d'electrode positive biphase pour accumulateur au lithium et son procede de synthese
JP5586532B2 (ja) * 2011-06-23 2014-09-1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5686378B2 (ja) * 2011-12-07 2015-03-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水素含有リチウムシリケート系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車両
CN102522590B (zh) * 2011-12-26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水有机电解液、包含它的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和终端通讯设备
EP2973802B1 (en) 2013-03-12 2023-08-30 Apple Inc. High voltage, high volumetric energy density li-ion battery using advanced cathode materials
JP6490109B2 (ja) * 2014-03-12 2019-03-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正極活物質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9716265B2 (en) 2014-08-01 2017-07-25 Apple Inc. High-density precursor for manufacture of composite metal oxide cathodes for Li-ion batteries
WO2016075921A1 (ja) * 2014-11-10 2016-05-19 ソニー株式会社 ガラスセラミックス、リチウムイオン導電体、電池、電子機器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JP6422742B2 (ja) * 2014-11-11 2018-11-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電池システム
CN107431202A (zh) * 2015-03-04 2017-12-01 日挥触媒化成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正极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05576202B (zh) * 2015-12-21 2018-03-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富锂锰硒基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73532B1 (ko) * 2015-12-31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채용한 양극과 리튬 전지
US20170214045A1 (en) * 2016-01-22 2017-07-27 Apple Inc. High-energy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CN115395008A (zh) 2016-03-14 2022-11-25 苹果公司 用于锂离子电池的阴极活性材料
EP3281915B1 (en) * 2016-08-10 2019-02-20 Umicore Precursors for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cath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WO2018057584A1 (en) 2016-09-20 2018-03-29 Apple Inc. Cathode active materials having improved particle morphologies
KR102223565B1 (ko) 2016-09-21 2021-03-04 애플 인크. 리튬 이온 배터리용 표면 안정화된 캐소드 재료 및 이의 합성 방법
US11695108B2 (en) 2018-08-02 2023-07-04 Apple Inc. Oxide mixture and complex oxide coatings for cathode materials
US11749799B2 (en) 2018-08-17 2023-09-05 Apple Inc. Coatings for cathode active materials
CN109119628B (zh) * 2018-08-21 2021-07-30 中南大学 一种共掺杂改性的高镍三元材料及制备方法
US11757096B2 (en) 2019-08-21 2023-09-12 Apple Inc. Aluminum-doped lithium cobalt manganese oxide batteries
EP3800708A1 (en) * 2019-10-01 2021-04-07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Use of a transition metal sulphide compound in a positive electrode for solid state batteries
CN112687866A (zh) * 2019-10-18 2021-04-20 Ecopro Bm有限公司 锂二次电池正极活性物质、其的制备方法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JP7408794B2 (ja) * 2019-10-18 2024-01-05 エコプロ ビーエ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CN113422039A (zh) * 2021-06-24 2021-09-21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三元系复合氧化物基体材料、三元正极材料及制备方法与由其制备的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954B2 (ja) * 1992-09-25 2001-12-1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JP3539518B2 (ja) * 1995-08-11 2004-07-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6680143B2 (en) * 2000-06-22 2004-01-20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US6677082B2 (en) * 2000-06-22 2004-01-13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WO2004107480A2 (en) * 2003-05-28 2004-12-0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US7238450B2 (en) * 2003-12-23 2007-07-03 Tronox Llc High voltage laminar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578870C (en) * 2004-09-03 2016-01-26 The University Of Chicago Manganese oxide composite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JP4691711B2 (ja) * 2006-03-20 2011-06-0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64332B1 (ko) * 2006-09-20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캐소드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10665892B2 (en) * 2007-01-10 2020-05-26 Eocell Limited Lithium batteries with nano-composit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JP5484771B2 (ja) * 2008-09-26 2014-05-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
JP5392813B2 (ja) * 2008-10-31 2014-01-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とその使用方法
JP5272870B2 (ja) * 2009-04-17 2013-08-28 株式会社Gsユアサ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51A (ko)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손잡이를 갖는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6844B (zh) 2013-09-04
ES2377602T3 (es) 2012-03-29
ATE533732T1 (de) 2011-12-15
PL2318315T3 (pl) 2012-04-30
EP2318315A1 (fr) 2011-05-11
JP5512662B2 (ja) 2014-06-04
CN102056844A (zh) 2011-05-11
EP2318315B1 (fr) 2011-11-16
FR2932175A1 (fr) 2009-12-11
WO2009147315A1 (fr) 2009-12-10
US20110089369A1 (en) 2011-04-21
BRPI0913629A2 (pt) 2015-11-24
JP2011522383A (ja) 2011-07-28
US8323532B2 (en) 2012-12-04
FR2932175B1 (fr)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3532B2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med by a lamellar-type oxide for a lithium battery
US7927506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EP1909345B1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US7309546B2 (en)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TWI429132B (zh) 具有高比容量及優異循環之層層富含鋰的複合金屬氧化物
US8999579B2 (en) Surface treated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7754384B2 (en) High-voltag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having a spinel structure based on nickel and manganese for lithium cell batteries
EP2477258B1 (en) Cathode active material,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KR101320390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극과 리튬 전지
JP5308675B2 (ja) 電池に最適な陽極物質、その製造方法、電極、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バッテリー
US7608365B1 (en) Positiv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using same
KR101754800B1 (ko)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KR101297259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160074236A (ko) 복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양극 및 리튬 전지
JP5987401B2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
JP2007194202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22049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0170762B2 (en) Lithium metal oxides with multiple phases and stable high energy electrochemical cycling
US20210126256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of, cathode includ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athode
WO2005013395A1 (en) Lithium ion battery having an improved conserved property at a high temperature
CN103210532B (zh) 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和使用其的二次电池
KR10122461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리튬 이차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8338031B2 (en)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3021610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11176444A (ja) リチウム−クロム−マンガン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