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890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890A
KR20110030890A KR1020090088542A KR20090088542A KR20110030890A KR 20110030890 A KR20110030890 A KR 20110030890A KR 1020090088542 A KR1020090088542 A KR 1020090088542A KR 20090088542 A KR20090088542 A KR 20090088542A KR 20110030890 A KR20110030890 A KR 2011003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
transfer
fixing nip
transfer ni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890A/ko
Priority to US12/923,226 priority patent/US8934831B2/en
Publication of KR2011003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유닛과 수평방향에 대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된 정착유닛 사이에서 현상유닛의 전사닙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진행방향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정착유닛의 정착닙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진행방향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 인쇄경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정착닙의 높이는 상기 전사닙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인쇄매체의 후단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가 현상유닛을 통과한 후 정착유닛으로 진입하는 경우 인쇄매체의 후단부의 오염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자사진방식을 채택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급지유닛과, 급지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구비한다.
현상유닛은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이 잠상에 현상제를 투입하여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는 전사롤러를 통해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은 정착유닛을 지나면서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현상유닛과 정착유닛 사이 구간에는 인쇄매체에 현상제가 뿌려진 미정착구간 으로 미세한 현상제 가루들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미세한 현상제 가루들은 현상유닛의 하우징 하단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한편, 인쇄매체가 정착유닛을 통과하는 경우 인쇄매체는 가열롤러와 탄성층을 구비한 가압롤러 사이에서 압착되게 되며, 이 경우 가압롤러의 탄성층의 변형에 의하여 인쇄매체는 후단부가 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의 후단부는 현상유닛의 하우징 하단부의 오염부위와 접촉하게 되므로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인쇄매체에 미정착된 현상제 화상의 경우에는 하우징 하단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화상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쇄매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닙과, 가열원을 구비한 가열부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부재에 가압하는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닙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정착닙의 높이는 상기 전사닙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은 상기 인쇄매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 사이에서 상기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인쇄경로는 상기 전사닙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의 공통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공통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의 위치는 상기 전사닙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의 공통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공통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상기 전사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접선의 길이(L1) 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접선의 길이(L1)와 상기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1.5≤L1/L2≤3.0
또한,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상기 가열부재의 중심 및 상기 가압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사닙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을 형성하는 상기 감광체의 중심 및 상기 전사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급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닙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정착닙의 상부에 마련된 배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인쇄매체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급지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전사닙과, 상기 전사닙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며 가열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가압하는 가압롤러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정착닙과, 상기 정착닙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의 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은 상기 전사닙보다 상대적으 로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인쇄경로는 'S'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는 상기 정착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접선의 길이(L1)와 상기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1.5≤L1/L2≤3.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전사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닙과,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닙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정착닙의 높이는 상기 전사닙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상기 가열롤러의 중심 및 상기 가압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사닙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닙을 형성하는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 및 상기 전사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닙의 변형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후단부가 현상유닛에 접촉함에 따른 화상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인쇄매체(M)의 인쇄경로(S)를 따라 본체(11)의 내부에 마련된 급지유닛(20), 현상유닛(30), 정착유닛(50) 및 배지유닛(6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M)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으로 본체(11)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유닛(30)쪽으로 인쇄매체(M)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M)를 저장하도록 본체(11)에 인출 가능한 카세트 타입의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저장된 인쇄매체(M)를 낱장씩 픽업하여 현상유닛(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27)을 포함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2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M)를 이송유닛(27) 쪽으로 안내하도 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25)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유닛(27)은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부재(28)와, 픽업부재(28)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M)를 현상유닛(30) 쪽으로 이송시키는 롤러 타입의 피드부재(29)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30)은 급지유닛(20) 상부의 인쇄경로(S)에 마련되어 급지유닛(20)으로부터 이송되는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현상유닛(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을 구비하고, 하우징(31) 내부에는 현상에 필요한 주요부품인 감광체(37), 대전롤러(38), 클리닝롤러(39), 현상롤러(40) 및 공급롤러(41) 등이 마련되어 하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은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싱 부재들이 설치되는 현상부(31b)와, 현상부(31b)에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부(31a)와, 현상부(31b)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31c)로 구분될 수 있다.
현상제공급부(31a)에는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함과 동시에 현상부(31b) 쪽으로 공급하는 회전부재(35)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공급부(31a)는 하우징(3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현상부(31b)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7)와, 감광체(37)를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8)와, 대전롤러(38)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 하는 클리닝롤러(39)와, 감광체(37)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40)와, 현상제공급부(31a)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0)에 공급하는 공급롤러(41)가 마련될 수 있다.
감광체(37)는 현상제 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로서 드럼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광체(37)는 화상정보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노광유닛(70,도1참조)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롤러(38)는 감광체(37)의 외면에 접촉하여 마찰구동을 하면서 감광체(37)의 외면에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37)의 외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현상롤러(40)는 감광체(37)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37)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한다. 이러한 현상롤러(40)는 접촉 또는 비접촉방식으로 감광체(37)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1)는 현상제공급부(31a)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0)로 공급한다. 현상롤러(40)에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부재(32)를 통해 현상제 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전롤러(38)에 의해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37)의 표면에는 노광유닛(7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제공급부(31a)에 저장된 현상제는 공급롤러(41) 및 현상롤러(40)를 통해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되게 되어 감광체(37)에는 현상제 분말로 이루어지는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본체(11)에는 감광체(37)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M)의 표면으로 전사 되도록 인쇄매체(M)를 감광체(37)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42)가 마련된다.
전사롤러(42)는 본체(11)에 현상유닛(30)이 장착되는 경우 현상유닛(30)의 감광체(37)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감광체(37)와 전사롤러(42)의 접촉점에는 전사닙(TN)이 형성되게 된다.
전사닙(TN)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타입의 감광체(37)와 전사롤러(42)가 구름접촉하도록 상대운동 하는 경우 접촉점에 있어서 공통접선(T1T1')에 수직한 공통법선(N1N1') 상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M)는 감광체(37)와 전사롤러(4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전사닙(TN)에 의하여 감광체(37)의 가시화상이 인쇄매체(M)에 전사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폐현상제저장부(31c)에는 클리닝블레이드(33)에 의해 감광체(37)로부터 제거된 후 회수된 현상제를 교반시키거나 이송시키는 회전부재(3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폐현상제저장부(31c)는 하우징(3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현상유닛(30)을 통과하여 가시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 방향의 인쇄경로(S) 상에 배치된 가이드부재(12)를 따라 정착유닛(50)으로 안내된다.
정착유닛(50)의 입구에는 정착유닛(50)으로 진입하는 인쇄매체(M)를 안내하는 인풋 가이드(51)가 설치될 수 있다.
정착유닛(50)은 인쇄매체(M)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가열 정착하기 위한 것으 로 가열원(53)이 내장된 가열부재(52)와, 인쇄매체(M)를 가열부재(52)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54)를 포함한다.
가열부재(52)는 가압롤러(5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원(53)은 가열부재(52)를 가열하도록 히터, 발열램프 및 열선 등과 같은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재(52)는 가열원(53)이 내장된 롤러 타입의 가열롤러로 이루어지거나, 가열원(53)에 가열되는 벨트 타입의 가열밸트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54)는 가열부재(52)와 밀착되어 가압롤러(54)와 가열부재(52)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탄성부재(5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가압롤러(54)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착유닛(50)은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 사이로 인쇄매체(M)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M)에 전사된 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시화상이 인쇄매체(M)에 융착되게 한다.
즉, 이러한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의 접촉점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닙(FN)이 형성되고, 정착닙(FN)은 가압롤러(54)의 가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가압롤러(54)가 가열부재(52)에 압착되어 밀착되게 된다.
정착닙(FN)은 롤러 타입의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가 구름접촉 하도록 상대운동 하는 경우 접촉점에 있어서 공통접선(T2T2')에 수직한 공통법선(N2N2') 상 에 형성된다.
공통접선(T2T2')은 현상유닛(30)을 통과한 인쇄매체(M)가 정착유닛(50) 쪽으로 들어가는 인쇄경로(S)의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과 정착유닛(50)은 인쇄경로(S)인 수평선 방향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또한,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인쇄매체(M)는 정착유닛(50)의 상부의 인쇄경로(S)를 따라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는 인쇄매체(M)가 급지유닛(20)으로부터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되기 까지 인쇄경로(S)는 대략 'S'자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본체(11)의 내부에 수평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현상유닛(30)과 정착유닛(50) 사이의 인쇄경로(S) 상에 위치한 인쇄매체(M)에는 미 정착된 상태의 가시화상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31d)에는 미세한 현상제 가루들이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현상유닛(30)을 통과한 인쇄매체(M)가 정착유닛(50) 쪽으로 이송되어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가압롤러(54)는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간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변형되게 된다.
이러한 정착닙의 변형에 의해 현상유닛(30)의 전사닙을 통과한 인쇄매체(M)는 정착유닛(50) 쪽으로 진입되는 인쇄경로(S)를 벗어나게 되므로 인쇄매체(M)의 후단부는 인쇄경로(S)의 상부 측으로 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31d)에 접촉하게 되어 발생하는 화상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우징(31)의 하면(31d) 양측에는 가이드리브(3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는 인쇄매체(M)가 정착유닛(50)을 통과하는 경우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들리는 현상에 따라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31d)에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유닛(30) 및 정착유닛(50)은 본체(11)의 내부에 수평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현상유닛(30)과 정착유닛(50) 사이에서 인쇄매체(M)가 이송되는 인쇄경로(S)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M)가 현상유닛(30)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인쇄경로(S)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인쇄매체(M)가 정착유닛(50)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쇄경로(S)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는 인쇄매체(M)가 현상유닛(30)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인쇄매체(M)는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부 쪽으로 이송되고, 정착유닛(50)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인쇄매체(M)는 본체(11)의 상부 쪽으로 이송되어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의 감광체(37)의 중심(O1)은 전사롤러(42)의 중심(O1')보다 x축 방향에 대하여 정착유닛(50)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정착유닛(50)의 가열부재(52)의 중심(O2)은 가압롤러(54)의 중심(O2')보다 x축 방향에 대하여 현상유닛(30)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현상유닛(30)의 감광체(37)가 전사롤러(4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정착유닛(50)의 가열부재(52)가 가압롤러(5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전사롤러(42) 및 가압롤러(54)가 각각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사롤러(42)의 중심(O1')이 감광체(37)의 중심(O1)보다 x축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착유닛(50)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가압롤러(54)의 중심(O2')이 가열부재(52)의 중심(O2)보다 x축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현상유닛(30)에 가깝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30)의 전사닙(TN)의 위치(y1)는 정착유닛(50)의 정착닙(FN)의 위치(y2)보다 현저히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사닙(TN)의 위치와 정착닙(FN)의 위치는 y축 방향에 대하여 Δy 만큼의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이(Δy)는 정착유닛(50)으로 인쇄매체(M)가 들어가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인쇄경로(S)를 벗어나 들리게 되어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31d)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닙과 전사닙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정착닙(FN)의 변형에 의하여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하우징(31)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높이차이(Δy)의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의 전사닙(TN)은 정착유닛(50)의 정착닙(FN)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y축 방향에 대하여 높게 위치한다.
또한, 감광체(37)와 전사롤러(42)의 공통접선을 연장한 전사닙접선(T1)과 가열부재(52)와 가압롤러(54)의 공통접선을 연장한 정착닙접선(T2)의 교차점(P)이 현상유닛(30)의 전사닙(TN)보다 상대적으로 정착유닛(50)의 정착닙(FN)에 가깝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사닙(TN)과 교차점(P)까지의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는 정착닙(FN)과 교차점(P)까지의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는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보다 최소 1.5배의 길이를 갖거나 최대 3배를 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2배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즉, 전사닙(TN)과 정착닙(FN) 사이의 거리는 최소 용지 크기로 인해 제한적 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가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보다 3배 이상인 경우에는 정착유닛(50)의 정착닙(FN)으로 인쇄매체(M)가 바로 진입하게 되어 이송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가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보다 1.5배 이하인 경우에는 정착닙(FN)의 각도와 정착닙(FN)으로 진입하는 인쇄매체(M)의 각도가 다르게 되므로 인쇄매체(M)는 인풋 가이드(51)에 밀착하지 못하여 균일한 진입을 못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현상유닛(30)을 통과한 인쇄매체(M)가 정착유닛(50) 쪽으로 이송되어 정착닙(FN)을 통과하는 경우, 정착닙(FN)의 변형에 의하여 전사닙(TN)을 벗어난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들리게 되더라도 인쇄매체(M)의 후단부는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31) 하면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4)에 의하여 인쇄매체(M)의 가장자리 부분이 닿도록 함으로써 인쇄매체(M)의 화상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가이드리브(34)는 화상이 전사되지 않은 인쇄매체(M)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접촉 하도록 마련되므로 가이드리브(34) 사이 공간의 하우징(31) 하면(31d)과 인쇄매체(M)의 접촉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사닙(TN)과 정착닙(FN)간의 구조에 의해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과 접촉함에 따른 인쇄매체(M)의 후단부의 화상 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사닙(TN)과 정착닙(FN)간의 구조에 의한 경우에는 정착닙(FN)의 변형에 의해 인쇄매체(M)의 후단부가 현상유닛(30)의 하우징(31)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리브(34)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정착유닛(50)을 통과하여 가시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M)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유닛(60)을 통해 본체(11)의 상부로 배출된다.
배지유닛(60)은 'S'자 형태의 인쇄경로(S)를 형성하도록 정착유닛(50)의 상부에 마련된 제1배지롤러(61)와 제2배지롤러(6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는 일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다시 현상유닛(30)으로 반송하는 양면인쇄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양면인쇄유닛(80)은 인쇄매체(M)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일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다시 현상유닛(30)으로 반송한다.
양면인쇄유닛(80)은 인쇄매체(M)의 반송경로를 형성하는 양면인쇄 가이드(81)와, 인쇄매체(M)의 반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일련의 반송롤러(8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양면인쇄 시에는 일면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가 제2배지롤러(63)에 의해 배지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반전되어 양면인쇄 가이드(81)로 안내되고, 반송롤러(83)들에 의해 다시 현상유닛(30)으로 이송되어 현상유닛(30) 및 정착유닛(50)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반대측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과 정착유닛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화상형성장치, 11: 본체,
20: 급지유닛, 30: 현상유닛,
37: 감광체, 42: 전사롤러,
50: 정착유닛, 52: 가열부재,
54: 가압롤러, 60: 배지유닛,
70: 노광유닛, 80: 양면인쇄유닛,
TN: 전사닙, FN: 정착닙.

Claims (16)

  1. 본체;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닙;과,
    가열원을 구비한 가열부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부재에 가압하는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닙;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정착닙의 높이는 상기 전사닙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은 상기 인쇄매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 사이에서 상기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인쇄경로는 상기 전사닙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의 공통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공통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의 위치는 상기 전사닙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의 공통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공통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상기 전사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접선의 길이(L1) 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접선의 길이(L1)와 상기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L1/L2≤3.0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상기 가열부재의 중심 및 상기 가압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사닙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을 형성하는 상기 감광체의 중심 및 상기 전사롤러의 중심 중 상 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급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닙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정착닙의 상부에 마련된 배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본체;와,
    인쇄매체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급지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전사닙;과,
    상기 전사닙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며 가열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가압하는 가압롤러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정착닙;과,
    상기 정착닙을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의 접선과 상기 정착닙의 접선이 만나는 교차점은 상기 전사닙보 다 상대적으로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인쇄경로는 'S'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접선(T1)의 길이(L1)는 상기 정착닙과 상기 교차점 사이에 형성된 정착닙접선(T2)의 길이(L2)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접선의 길이(L1)와 상기 정착닙접선의 길이(L2)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L1/L2≤3.0
  15. 감광드럼과 전사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닙;과,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닙;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닙과 상기 정착닙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정착닙의 높이는 상기 전사닙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고,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상기 가열롤러의 중심 및 상기 가압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사닙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닙을 형성하는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 및 상기 전사롤러의 중심 중 상부에 위치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정착닙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88542A 2009-09-18 2009-09-18 화상형성장치 KR20110030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42A KR20110030890A (ko) 2009-09-18 2009-09-18 화상형성장치
US12/923,226 US8934831B2 (en) 2009-09-18 2010-09-09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inting path guid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42A KR20110030890A (ko) 2009-09-18 2009-09-1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90A true KR20110030890A (ko) 2011-03-24

Family

ID=4375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542A KR20110030890A (ko) 2009-09-18 2009-09-1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34831B2 (ko)
KR (1) KR20110030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99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80B1 (ko) * 2011-11-01 2017-09-2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JP6272049B2 (ja) * 2013-02-18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87706B2 (ja) * 2014-07-01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23330A (ja) * 2021-02-12 2022-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483A (ja) * 1986-01-27 1987-07-30 Minolta Camera Co Ltd 転写紙分離ガイド装置
JPH0741204A (ja) * 1993-07-29 1995-02-10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62079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72137B2 (ja) * 1998-04-28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00953B2 (ja) * 1998-12-28 2004-12-15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
JP2002323823A (ja) * 2001-04-25 2002-11-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011990B2 (ja) * 2001-07-13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該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020431B2 (en) * 2002-10-24 2006-03-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fferent transport speeds in transfer unit and fixing unit
JP2006146117A (ja) * 2004-10-20 2006-06-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20090003729A (ko) * 2007-07-03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99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0002A1 (en) 2011-03-24
US8934831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420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toner scatter preventing sheet having roughened contact end and photoelectr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030890A (ko) 화상형성장치
JP4013148B2 (ja) 画像形成装置
EP2650241B1 (en) Sheet load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2010197458A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146403A1 (en) Paper dust collect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US8977183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carri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JP4552819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67519A (ko) 화상형성장치
JP20100089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18777A (ja) 画像形成装置
JP571728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20150241814A1 (en) Storage, toner pass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23744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315643A1 (en) Cleaning device for image carri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leaning portion for image carrier
JP544876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32981B2 (ja) 稼働中の取り出しのための安全遮蔽機構を有するシート複写原稿作成マシン
US202201971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39056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61185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110629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604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2847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22027A (ko)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1702695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