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513A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513A
KR20110028513A KR1020117001462A KR20117001462A KR20110028513A KR 20110028513 A KR20110028513 A KR 20110028513A KR 1020117001462 A KR1020117001462 A KR 1020117001462A KR 20117001462 A KR20117001462 A KR 20117001462A KR 20110028513 A KR20110028513 A KR 2011002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amino
add
pheny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스팔레크
허버트 바취텔
데보라 빅만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2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61M15/001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located downstream of the dispenser, i.e. traversed by the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xhalation check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1091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being first hold in a loaded state by locking means or the like, then released

Abstract

약물 조제물의 무추진제 분무를 위한 흡입기(1)가 제안된다. 흡입기는 낮은 속도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흡입기는 특히 어린이들을 위해 더 쉬운 흡입을 허용하기 위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중간 저장을 위한 애드-온 디바이스(23)와 조합된다.

Description

흡입기{INHAL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흡입기 및 분무화된 약물 조제물(medicament preparation)의 중간 저장을 위한 챔버를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add-on device)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소위 연무 흡입기(soft mist inhaler: SMI), 즉 단지 비교적 느리게 확산하는 스프레이 미스트(mist)(에어로졸)를 생성하는 유형의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위한 이 종류의 흡입기는 특히 2 m/s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s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m/s 미만(각각의 경우, 분배 노즐로부터 10 cm의 거리에서 측정됨)의 속도에서 전달되는 흡입기이다.
본 발명의 시작점은 원리적으로 WO 91/14468 A1호 및 구체적으로 WO 97/12687 A1호(도 6a, 도 6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흡입기이다. 공지의 흡입기는 분무화될 약물 조제물을 위한 저장조로서 약물 조제물을 수납하는 내부백을 갖는 삽입 가능한 강성 용기 및 약물 조제물을 이송하고 분무하기 위한 구동 스프링을 갖는 압력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분무화는 추진제 가스의 사용 없이, 즉 구동 스프링의 힘에 의해 수행된다. 이 흡입기는 본 발명의 개념에서 SMI이다.
흡입기 및 SMI의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약물 조제물의 분무화의 트리거링(triggering) 및 호흡이 동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개별 사용자에 대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동조는 특히 어린이들에게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연구는 미숙련 사용자 또는 예를 들어 어린이들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종종 적합하게 흡입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WO 2004/091704 A1호는 챔버 내의 분무화된 약물 조제물의 중간 저장을 위한 애드-온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애드-온 디바이스는 소위 계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에 사용된다. MDI는 분무화될 약물 조제물 및 추진제 가스를 수납하는 압축 용기를 포함한다. 작동시에, 약물 조제물은 비교적 높은 압력, 대응적으로 높은 속도 및 높은 유량을 갖는 추진제 가스에 의해 축출된다. 그 결과, 만출(expulsion)이 매우 간략해지고, 특히 0.4 s 미만, 일반적으로 약 0.15 내지 0.36 s 지속된다. 짧은 만출 시간은 흡입을 위한 호흡의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상당히 더 길게 지속되기 때문에 흡입에 대해 단점이 있다. 에어로졸이 일반적으로 MDI에 의해 전달되는 2 m/s 초과, 종종 심지어 8 m/s 초과의 비교적 높은 속도는 또한 에어로졸의 입자(액적)가 직접 흡입 중의 높은 속도의 결과로서 사용자의 목구멍의 벽에 대부분 퇴적되기 때문에 폐 내에서 이를 수용하기에는 단점이 있다.
공지의 애드-온 디바이스는 MDI를 위해 제공되고, 특히 유동 경로를 연장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느리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이유로, 이 종류의 애드-온 디바이스는 또한 스페이서로서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애드-온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생성된 에어로졸의 중간 저장을 위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무화된 약물 조제물의 중간 저장을 위한 챔버를 가져, 이에 의해 심지어 낮은 속도에서 전달된 에어로졸의 흡입을 간단화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흡입기의 작동 및 호흡의 동조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흡입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SMI 및 애드-온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흡입기 또는 청구항 12에 따른 그 사용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은 생성된 에어로졸의 중간 저장을 위한 챔버를 포함하는 애드-온 디바이스를 갖는 SMI 또는 약물 조제물의 무추진제(propellant-free) 분무(nebulisation)를 위한 휴대용 분무기를 조합하는 사상에 기초하고, 챔버는 흡입기의 전달 노즐의 하류측에 배열되어 있다.
애드-온 디바이스에 의해, 심지어 비교적 장시간, 바람직하게는 1초 초과 및/또는 비교적 낮은 속도, 바람직하게는 2 m/s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m/s 미만(전달 노즐로부터 10 cm의 거리에서 측정됨)에 걸쳐 흡입될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입기에서, 특히 동조의 문제점을 갖는 작은 어린이들 또는 다른 사람들에 있어서 활성 물질의 향상된 흡입이 놀랍게도 성취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흡입기의 작동의 동조(coordinating), 즉 에어로졸의 생성 및 호흡이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에어로졸은 흡입기에 의해 생성되고, 애드-온 디바이스의 챔버 내에 스프레이된다. 사용자는 이어서 동조 또는 동기화의 임의의 강제 없이 가능한 한 깊게 들숨 호흡(breathing in)함으로써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은 최종 분석에서 평균이 높고 그리고/또는 덜 변동하는 활성 물질의 함량을 갖는 활성 물질의 더 양호한 규정된 흡입을 허용하고, 이 활성 물질은 폐 내에 퇴적된다. 이는 어린이들의 향상된 요법 및/또는 징후의 확장 또는 다른 약물 조제물의 사용을 허용한다. 따라서, 최종 분석에서, 무추진제 흡입기 또는 SMI가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흡입기 또는 챔버 내로 날숨 호흡(breathing out)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즉 애드-온 디바이스의 전달측으로부터 챔버 내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특성 및 양태는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속도에서 전달된 에어로졸의 흡입을 간단화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흡입기의 작동 및 호흡의 동조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흡입기 및 애드-온 장치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비인장 상태에서의 흡입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인장 상태에서의 도 1에 대해 90°회전된 흡입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애드-온 디바이스가 부착되어 있는 도 1에 대응하는 흡입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상이한 부속품을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 및 분무기의 개략 분해도.
도 5는 테스트 결과의 개략도.
도면에서, 관련 설명이 반복되지 않더라도 대응 또는 상응하는 특성 및 장점이 성취되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비인장 상태(도 1) 및 인장 상태(도 2)에서의 약물 조제물(2)의 무추진제 분무를 위한 제안된 휴대용 흡입기(1)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약물 조제물(2)을 유지하는 용기(3)를 갖는 흡입기(1)를 도시한다.
약물 조제물(2)의 분무 중에,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또는 환자(미도시)에 의해 들숨 호흡되거나 흡입될 수 있는 액체의 호흡 가능 에어로졸(14)(도 1)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흡입은 적어도 1일 1회, 그러나 특히 1일 수회, 바람직하게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더 특히 환자가 겪고 있는 호소 증상에 따라 실시된다.
흡입기(1)는 약물 조제물(2)을 유지하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가능한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한 용기(3)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3)는 분무될 약물 조제물(2)을 위한 저장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3)는 약물 조제물(2)의 다수의 투여량을 위한, 즉 다수의 분무 또는 적용을 허용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약물 조제물(2) 또는 활성 물질을 수납한다. WO 96/06011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용기(3)는 약 2 내지 10 ml의 체적을 유지한다. 용기(3)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 WO 00/49988 A2호를 참조한다.
용기(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카트리지 형상이고, 개방된 후에 선택적으로 교환된 후에 아래로부터 흡입기(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구조이고, 약물 조제물(2)은 특히 용기(3) 내의 붕괴 가능한 백(4) 내에 수납되어 있다.
흡입기(1)는 또한 특히 각각의 경우에 미리 결정된 및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투여량으로 약물 조제물(2)을 이송하고 분무하기 위한 이송 디바이스, 특히 압력 발생기(5)를 포함한다.
흡입기(1) 또는 압력 발생기(5)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를 해제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관련 체결 요소(8)를 갖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관련 구동 스프링(7) 및 용기(3)용 홀더(6)와, 선택적 밸브, 특히 비리턴 밸브(10)를 갖는 이송 요소, 바람직하게는 모세관의 형태의 이송 튜브(9), 압력 챔버(11) 및/또는 특히 마우스피스(13)의 영역의 전달 노즐(12)을 포함한다.
용기(3)는 홀더(6)에 의해, 특히 클램핑 또는 래칭 작용에 의해 흡입기(1)에 고정되어, 이송 튜브(9)가 용기(3) 내로 돌출하게 된다. 홀더(6)는 용기(3)가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스프링(7)이 축방향으로 인장될 때, 용기(3) 및 이송 튜브(9)를 갖는 홀더(6)는 도면에서 하향으로 이동되고, 약물 조제물(2)-또는 더 정확하게는 다음 투여량-이 용기(3)로부터 비리턴 밸브(10)를 통해 압력 발생기(5)의 압력 챔버(11) 내로 흡인된다.
체결 요소(8)의 작동 후에 후속의 인장의 해제 중에, 압력 챔버(11) 내의 약물 조제물(2)은 비리턴 밸브(10)가 이제 폐쇄된 상태로 구동 스프링(7) 상의 인장을 해제함으로써 이송 튜브(9)를 재차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하에 배치되어, 이 이송 튜브(9)가 이제 압력 램(ram)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 압력은 전달 노즐(12)을 통해 약물 조제물(2)을 축출하고, 여기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호흡 가능한 에어로졸(14) 내로 분무된다.
사용자 또는 환자(미도시)는 에어로졸(14)을 흡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공급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기 개구(15)를 통해 마우스피스(13) 내로 흡인될 수 있다.
분무 프로세스 중에, 용기(3)는 구동 스프링(7)에 의해 그 원래 위치로 재차 이동된다. 따라서, 용기(3)는 인장 프로세스 중에 그리고 분무 프로세스 중에 상승 이동을 수행한다.
흡입기(1)는 특히 제 1 하우징부(상부 부분)(16)와, 상부 부분(17a) 및 하부 부분(17b)(도 1)을 갖는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도 2) 내부 부분(17)을 포함하고, 특히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한 제 2 하우징부(하부 부분)(18)가 바람직하게는 안전 마개 또는 보유 요소(19)에 의해 내부 부분(17) 상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데, 특히 압박된다. 특히, 안전 마개 또는 보유 요소(19)는 흡입기(1)의 우발적인 개방 또는 제 2 하우징부(18)의 제거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 2 하우징부(18)를 해제하기 위해, 보유 요소(19)는 스프링력에 대해 가압되어야 한다. 용기(3)를 삽입하고 그리고/또는 교체하기 위해, 제 2 하우징부(18)는 흡입기(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부(18)는 바람직하게는 캡형 하부 하우징부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용기(3)의 하부 자유 단부 주위에 결합된다.
제 2 하우징부(18)는 제 1 하우징부(16)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 부분(17)이 또한 회전된다. 이 방식으로, 구동 스프링(7)은 홀더(6) 상에 작용하는 기어(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음)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된다. 인장 중에, 용기(3)가 도 2에 도시된 단부 위치를 점유할 때까지, 용기(3)는 축방향으로 하향으로 또는 그 단부가 제 2 하우징부(18) 내에 (더) 있는 상태로 또는 그 단부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스프링(7) 또는 흡입기(1)가 클램핑되거나 체결된다.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용기(3)를 강제로 환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다.
인장이 최초 발생할 때, 용기(3)는 바람직하게는 그 베이스에서 관통되거나 개방된다. 특히, 하우징부(18) 내에 배열된 축방향 작용 스프링(20)은 용기 베이스(21) 상에 접촉하게 되고, 관통 요소(22)가 용기(3)를 관통하고 또는 특히 기밀 밀봉부가 접촉이 최초 이루어질 때 환기 목적으로 베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강제 환기를 위한 디바이스가 스프링(20)에 의해 유지되거나 형성된 관통 요소(22)에 의해 이 경우에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관통 중에 환기 목적을 위해 단지 용기(3)의 외장(outer shell)만이 개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약물 조제물(2)을 수납하는 백(4)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된다. 약물 조제물(2)이 백(4)으로부터 이송 튜브(9)를 통해 제거될 때, 가요성 백(4)이 붕괴된다. 얍력 평형화를 위해, 주위 공기가 환기 또는 관통 개구를 통해 용기(3)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기(1)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용기(3)가 삽입되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 2 하우징부(18)를 제거하거나 견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용기(3)는 이어서 내부 부분(17)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압박된다. 동시에, 용기(3)는 헤드 단부에서 개방되거나 부착된다. 이는 용기(3)의 헤드 단부에 바람직하게 제공된 밀봉부를 관통하는 이송 요소, 즉 이송 튜브(9)에 의해 수행되고, 이어서 용기(3)의 헤드 단부에 있는 격막(septum)을 통해 백(4)의 내부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송 튜브(9)를 거친 압력 발생기(5) 또는 압력 챔버(11)로의 용기(3) 사이 , 또는 더 정확하게는 용기(3) 내의 백(4) 사이의 유동 연결이 생성된다.
다음, 제 2 하우징부(18)가 재차 압박된다. 흡입기(1)는 이제 최초로 인장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용기(3)는 이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관통 요소(22)에 의해 그 베이스에서 관통되는데, 즉 강제로 환기된다.
최초로 사용되기 전에 용기(3)가 삽입되어 유동 접속된 후에,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다수회 인장되고 작동된다. 소위 프라이밍(priming)은 이송 튜브(9) 및 압력 발생기(5) 내의 약물 조제물(2)에 존재하는 임의의 공기를 전달 노즐(12)로 변위시킨다. 다음, 흡입기(1)는 흡입의 준비가 된다.
스프레이 또는 분무 프로세스마다 전달된 약물 조제물(2)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μl 내지 50 μl, 더 특히 약 10 μl 내지 20 μ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μl이다.
구동 스프링(7)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스프링 압력을 성취하기 위해 편의 상태로 설치된다. 제안된 흡입기(1)에서, 분무 프로세스 중의 약물 조제물(2)의 압축 및 이송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력에 의해서만, 더 특히 구동 스프링(7)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발생기(5) 내의 또는 압력 챔버(11) 내의 약물 조제물(2)이 전달 중에 5 MPa 내지 60 MPa, 특히 약 10 MPa 내지 50 MPa의 압력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물 조제물(2)의 전달 또는 분무 중에, 약 5 MPa 내지 60 MPa, 더 특히 약 10 내지 30 MPa의 압력이 전달 노즐(12)에 또는 그 노즐 개구에서 도달한다. 다음, 약물 조제물(2)은 에어로졸(14)로 변환되고, 에어로졸의 액적은 최대 20 ㎛, 바람직하게는 약 3 ㎛ 내지 10 ㎛의 공기 역학 직경을 갖는다. 분무 활동 또는 분무 효과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노즐(12)에 의해 전달되는 제트를 가로막음으로써 성취되거나 더 지원된다.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14)이 낮은 속도, 특히 2 m/s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 m/s 이하의 속도[각각의 경우에 전달 노즐(12)로부터 10 cm의 거리에서 측정됨]에서 전달된다. 따라서,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SMI의 형태이다. 낮은 전달 속도는 전달 노즐(12)에 의해 및/또는 스프링력의 적합한 선택에 의해 전달되는 약물 조제물(2)의 제트를 가로막음으로써 얻어지거나 지원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흡입기(1)의 구성은 에어로졸 발생이 0.7 s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 s, 특히 적어도 1.5 s 지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투여량을 분무하거나 흡입기(1)를 작동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0.7 s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 s, 더 특히 1.5 s 초과이다.
흡입기(1)는 도 3에 개략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1)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14)의 중간 저장을 위한 챔버(24)를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23)를 갖는다.
챔버(24)는 전달 노즐(12)의 하류측에 배열되거나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 챔버는 흡입기(1)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14)을 수용하거나 중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그 챔버(2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원통형, 세장형 또는 원주형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챔버(24)는 흡입기(1)의 마우스피스(13)보다 큰 단면을 갖고, 그리고/또는 챔버는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전달 단부 또는 자유 단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된다. 이는 에어로졸(14)이 최소 가능한 영역에 걸쳐 챔버(24)의 벽을 타격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방식으로, 챔버의 벽 상에 분무된 약물 조제물(2)의 퇴적 또는 침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챔버(24)는 바람직하게는 0.1 l 초과, 특히 0.2 l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0.6 l의 체적을 갖는다. 특히,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챔버(24)의 크기는 흡입기(1)의 작동시에 생성되는 에어로졸(14)이 에어로졸(14) 또는 분무된 약물 조제물(2)이 본질적으로 챔버의 내부벽 상에 퇴적되거나 침전되지 않고 챔버(24)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흡입기(1)에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애드-온 디바이스(23)는 특히 세장형 및/또는 원통형 구성인 하우징(25)을 포함한다.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그 하우징(25)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 구성이다. 그러나, 애드-온 디바이스(23), 챔버(24) 또는 하우징(25)은 또한 특히 사용되지 않을 때 점유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운반 목적으로 이론적으로는 가요성, 팽창성 및/또는 신축성 구성일 수 있다.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하우징(25)은 바람직하게는 흡입기(1), 특히 그 마우스피스(13)에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26)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연결 부재(26)는 특히 클램핑 효과에 의해 마우스피스(13) 상에 끼워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흡입기(1) 또는 마우스피스(13)로부터 재차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애드-온 디바이스(23)는 필요하다면 고정 또는 제거 불가능한 방식으로 흡입기(1)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1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기 개구(15)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기 개구(15)는 애드-온 디바이스(23)가 부착될 때, 특히 끼워질 때 개방 유지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정지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디자인 특징에 의해 마우스피스(13)의 대응 원추형 디자인 및 연결 부재(26)의 상보형 디자인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디바이스(23)는 흡입기(1)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 않다. 이는 연결 부재(26)가 이에 따라 정합되는 비원형의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외부 윤곽을 갖는 흡입기(1)의 마우스피스(13)를 설계함으로써 실시예에서 성취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하우징(25)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14)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27)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27)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26)에 대향하는 하우징(25) 또는 챔버(24)의 단부에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26) 및 전달 부재(27)가 하우징(25)과 단일편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챔버(24) 또는 하우징(2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또는 완전히 투명한 구성이다. 이는 특히 세척을 지원한다.
애드-온 디바이스(23)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단부에, 공기가 챔버(24)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28)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가 날숨을 호흡할 때 공기가 챔버(24)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날숨 호흡은 예를 들어 부착된 마우스피스(13) 및 공급 공기 개구(15)를 통해 에어로졸(14)을 강제로 나오게 할 수 있다.
밸브(28)는 바람직하게는 비리턴 밸브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밸브(28)는 연결 부재(27) 내에 통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밸브(28)는 예를 들어 세척을 위해,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하우징(25)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밸브(28)에 추가하여, 제안된 흡입기(1)는 공기가 챔버(24)로부터 마우스피스(13)를 통해 그리고 공급 공기 개구 또는 개구들(15)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우스피스(13) 및/또는 공급 공기 개구 또는 개구들(15)의 영역에 밸브 디바이스(미도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게다가, 애드-온 디바이스(23)는 챔버(24) 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공기가 유출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연결 부재(26)와 마우스피스(13) 사이에 추가의 밸브 디바이스(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공기 개구(15)는 전적으로 생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애드-온 디바이스(24)에 의해 덮이거나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디바이스(23)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날숨 호흡된 공기를 불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32)를 포함한다. 특히, 도 3은 개방 상태의 2개의 이러한 밸브(32)를 도시한다. 밸브 플랩이 관련 출구 개구로부터 상승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32)는 바람직하게는 절단 단부에 있고, 특히 전달 부재(27) 상에 배열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미도시)가 들숨 호흡할 때, 밸브(28)는 도 3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밸브(32)는 폐쇄된다. 에어로졸(14)은 챔버(24)로부터 흡인되어 전달 부재(27)를 통해 방출된다. 사용자가 날숨 호흡할 때, 밸브(28)는 폐쇄하거나 폐쇄된다. 밸브(32)는 개방되고 이 공기가 챔버(24) 내로 유동하거나 에어로졸(14)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날숨 호흡된 공기가 불어내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그 전달 부재(27)는 도 4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애드-온 마우스피스(29), 튜브(30) 및/또는 안면 마스크(31)를 전달 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애드-온 마우스피스(29), 튜브(30) 및/또는 안면 마스크(31)와 같은 상이한 엔드 피스(end piece)가 가장 바람직하게는 끼워맞춤에 의해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그 전달 부재(27)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테스트는 흡입기(1)를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제안된 사용, 즉 충분히 큰 챔버(24) 내의 흡입기(1)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14)의 제안된 중간 저장이 실질적으로 동조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더 높은 비율의 활성 물질이 흡입에 의해 폐 내에 수용되는 것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는 상이한 흡입기에 대한 전체 투여량의 함수로서 전체로서 폐를 위해 공급된 활성 물질의 비율(DeT) 및 목구멍 내에 퇴적된 활성 물질의 비율(Throat)을 도시한다.
수직축은 실제로 전달된 각각의 투여량의 백분율 양을 도시하고, DeT는 흡입시에 폐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는 비율을 도시하고, Throat는 목구멍 내에 퇴적된 비율을 지시한다. 활성 물질의 퇴적은 핀레이(Finlay) 목구멍 모델을 사용하여 공표된 내용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전체로서 0.5 l의 흡입된 체적이 기초로서 취해졌다.
테스트는 수평축 상에 플롯팅된 바와 같이 상이한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에 대해 상이한 유량에서 수행되었다. RMT는 애드-온 디바이스(23)가 없는 흡입기(1)의 결과를 지시한다. RMT+AC는 흡입기(1)가 애드-온 디바이스(23)와 조합될 때의 결과를 지시한다. pMDI+AC는 통상의 MDI가 애드-온 디바이스(23)와 조합될 때 결과를 제공한다. 숫자 5, 10, 20 및 30은 각각 l/min의 단위의 유량을 지시한다.
도 5는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사용이 목구멍 퇴적물의 감소를 유도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목구멍 내에 퇴적된 활성 물질이 일반적으로는 용법에 기여하지 않고 대신에 (계통적인) 부작용을 유도하기 때문에 소아과 용례에 적당하다.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사용은 목구멍 내의 약간의 퇴적물이 애드-온 디바이스(23)가 사용될 때 단지 20 l/min의 유량을 초과하여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하다. 모든 유량에서, 애드-온 디바이스(23)와 흡입기(1)(SMI)의 제안된 조합에 의한 목구멍 내의 퇴적은 흡입기(1)(SMI) 단독에서의 것보다 낮다. DeT는 가능한 요법 효과와 상관될 수 있다. 애드-온 디바이스(23)와 흡입기(1)(SMI)의 제안된 조합은 항상 애드-온 디바이스(23)를 갖는 통상의 MDI보다 높은 DeT를 갖는다. 애드-온 디바이스(23)가 없는 제안된 흡입기(1)와 비교하여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사용에 의한 DeT의 손실이 검출 가능하지만, 통상의 MDI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것으로서 추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 폐에 도달하는 더 높은 효용 또는 더 높은 비율의 활성 물질이 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완성하기 위해 그리고 흡입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WO 91/14468 A1호 및 또한 WO 97/12687 A1호의 모든 개시 내용을 주의하여 본 명세서에 참조한다.
독립형 기기 등과 대조적으로, 제안된 흡입기(1)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으로 설계되고 특히 이동식 휴대형 디바이스이다.
그 원통형 형상 및 9 내지 15 cm 길이 및 2 내지 4 cm 폭의 적당한 크기에 의해, 흡입기(1)는 항상 환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다. 분무기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14)을 형성하기 위해 소형 노즐을 통한 높은 압력의 인가에 의해 약물 조제물(2)의 규정된 체적을 스프레이한다.
제안된 흡입기(1)는 특히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흡입기(1)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이론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특히, 표현 "이송 디바이스" 또는 "압력 발생기"는 매우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달 및 분무를 위해 요구되는 압력은 또한 추진제 가스, 펌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안된 흡입기(1)는 예를 들어 1회 내지 2회의 호흡에 대해 특히 약물 조제물(2)의 간략한 분무를 위해 설계된다. 그러나, 이 흡입기는 더 길거나 또는 연속적인 분무를 위해 설계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조제물(2)의 몇몇 바람직한 성분,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이 이하에 열거된다.
이하에 열거된 화합물이 그 자체로 또는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 언급된 화합물에서, W는 약물학적 활성 물질이고, (예를 들어) 베타 흥분성 물질,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LTD4-길항제, EGFR-억제제, 도파민 효능제, Hl-항히스타민제, PAF-길항제 및 PI3-키나아제 억제제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이, W의 2중 또는 3중 조합이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W의 조합은 예를 들어,
- W는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베타 흥분성 물질을 나타내고,
- W는 베타 흥분성 물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항콜린제를 나타내고,
- W는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나타내고,
- W는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PDE4-억제제를 나타내고,
- W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EGFR-억제제를 나타낸다.
베타 흥분성 물질로서 사용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알부테롤, 아포모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이소에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메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토드린, 살메파몰, 살메테롤, 소테레놀, 설폰테롤, 테르부탈린, 티아라미드, 톨루부테롤, 진테롤, CHF-1035, HOKU-81, KUL-1248 및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2(3H)-벤조티아졸론
-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족사진-3-(4H)-온
-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테르트-부틸아미노)에탄올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메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에틸 4-페녹시-아세테이트)-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페녹시-아세트산)-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1,1-디메틸-2-(2,4,6-트리메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하이드록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이소프로필-페닐)-1,1 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틸-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4-(4-{2-[2-하이드록시-2-(6-하이드록시-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1,4]옥사진-8-일)-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페녹시)-부틸산
- 8-{2-[2-(3.4-디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1-(4-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테르트-부틸아미노)에탄올
- 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벤즈알데히드
- N-[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페닐]-포름알데히드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6-메톡시-바이페닐-3-일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6-펜에틸아미노-헥실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5-[2-(2-{4-[4-(2-아미노-2-메틸-프로폭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5-메틸-페닐]-요소
- 4-(2-{6-[2-(2,6-디클로로-벤질옥시)-에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3-(3-{7-[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헵틸옥시}-프로필)-벤질설폰아미드
- 4-(2-{6-[4-(3-사이클로펜탄설포닐-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N-아다만탄-2-일-2-(3-{2-[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아세트아미드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옥시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플루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이프라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글리코피로늄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트로스퓸 염,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염, 톨테로딘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전술된 염에서, 양이온이 약물학적 활성 성분이다. 음이온으로서, 전술된 염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가 반대 이온으로서 바람직하다. 모든 염 중에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및 메탄설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조성식 AC-1의 염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01
여기서, X-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는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또는 수산화물의 형태의 단일 네거티브 전하를 갖는 음이온,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단일 네거티브 전하를 갖는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중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을 나타낸다. 특히 중요한 것은 조성식 AC-1-en의 에난티오머를 포함하는 이들 약학적 조합물이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X-는 전술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조성식 AC-2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데,
Figure pct00003
여기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X-는 전술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조성식 AC-2의 화합물이 또한 자유 염기 AC-2-염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4
다른 지정된 화합물은,
- 트로펜올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에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이다.
전술된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메토브로마이드 대신에 메토-X 염이 사용되고, X는 X"에 대해 상기에 제공된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서,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베클로메타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부틱소코르트, 시클레소나이드, 데플라자코르트, 덱사메타손, 에티프레드놀, 플루니소라이드, 플루티카손, 로테프레드놀, 모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로플레포나이드, 트리암시오노론, RPR-106541, NS-126, ST-26 및
- (S)-플루오로메틸 6,9-디플루오로-17-[(2-퓨란일카르보닐)옥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카르보티오네이트
- (S)-(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S-일)6,9-디플루오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17-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카르보티오네이트,
- 시아노메틸 6α,9α-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2,2,3,3-테르타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복실레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에 대한 임의의 기준은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염 또는 유도체, 수산화물 또는 용해 화합물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스테로이드의 가능한 염 및 유도체의 예는,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퓨로에이트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PDE4-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엔프로필린, 테오필린, 로플루밀라스트, 아리플로(실로밀라스트), 토피밀라스트, 푸마펜트린, 릴리밀라스트, 아로필린, 아티조람, D-4418, Bay-198004, BY343, CP-325.366, D-4396(Sch-351591), AWD-12-281 (GW-842470), NCS-613, CDP-840, D-4418, PD-168787, T-440, T-2585, V-11294A, C1-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및
-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즈아미드
-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로리돈
-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로리돈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산]
- 2-카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온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로리딘-2-이리덴]아세테이트
-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로리딘-2-이리덴]아세테이트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 -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테르트-부틸)-9H-피라졸로[3,4- 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록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몬테루카스트, 프란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MCC-847(ZD-3523), MN-001, MEN-91507(1M-1507), VUF-5078, VUF-K-8707, 1-733321 및
-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린일)에텐일)페닐)-3-(2-(2-하이드록시-2-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텐일)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2-[[2-(4-테르트-부틸-2-티아졸일)-5-벤조퓨란일]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록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LTD-4길항제가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염 또는 유도체라는 것은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희토류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퓨로에이트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EGFR-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세툭시맙, 트라스트주맙, ABX-EGF, Mab ICR-62 및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2-메톡시메틸-6-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N-to-(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에틸-아미노]-1 -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 -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사이클로프로필-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7-to-(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3-(모르폴린-4-일)-프로필옥시]- 6-[(비닐카르보닐)아미노]-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 -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 4-{ [3-클로로-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아미노}-6-(5-{[(2-메탄설포닐-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 -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to-(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6-[(S)-(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테르트-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톡시메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7-하이드록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아세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메탄설포닐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아미노카르보닐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아세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테르트-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사n-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4-메틸-피페라진-1 -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폴린-4-일)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로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이소프로필옥시카르복실-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2-메톡시-아세틸)- 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스-2,6-디메틸-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틸-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S,S)-(2-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트-5-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메톡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퓨-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도파민 효능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알파-디하이드로에르고크립틴, 리슈라이드, 페르고라이드, 프라미펙솔, 록신돌, 로피니롤, 탈리펙솔, 테르구리드 및 비오잔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H1-안티히스타민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에피나스틴, 세티리진, 아제라스틴, 펙소페나딘, 레보카바스틴, 로라타딘, 미조라스틴,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디메틴덴, 클레마스틴, 바미핀, 섹스클로페니라미딘, 페니라민, 독시라민, 클로로페녹사민, 디멘하디르니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에바스틴, 데스로라티딘 및 메클로진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게다가, EP 1 003 478 A1호 또는 CA 2297174 A1호에 개시된 흡입성 거대분자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또는 이들의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및/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 트립탄, CGRP-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V 억제제 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의 예는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및 에르고타민이다.
1: 흡입기 2: 약물 조제물
3: 용기 4: 백
5: 압력 발생기 6: 홀더
7: 구동 스프링 8: 체결 요소
9: 이송 튜브 10: 비리턴 밸브
11: 압력 챔버 12: 전달 노즐
13: 마우스피스 14: 에어로졸
15: 공급 공기 개구 16: 제 1 하우징부(상부 부분)
17: 내부 부분 17a: 내부 부분의 상부 부분
17b: 내부 부분의 하부 부분 18: 제 2 하우징부(하부 부분)
19: 보유 요소 20: 스프링(하부 하우징부 내의)
21: 용기 베이스 22: 관통 요소
23: 애드-온 디바이스 24: 챔버
25: 하우징 26: 연결 부재
27: 전달 부재 28: 밸브
29: 애드-온 마우스피스 30: 안면 마스크
32: 밸브

Claims (12)

  1. 약물 조제물(2)의 무추진제 분무를 위한 휴대용 흡입기(1)로서, 바람직하게는 펌프로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압력 발생기(5)를 갖고, 특히 마우스피스(13) 내로 에어로졸(14)로서 분무된 상기 약물 조제물(2)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노즐(12)을 갖는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는 상기 에어로졸(14)의 중간 저장을 위한 챔버(24)를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23)를 갖고, 상기 챔버(24)는 상기 전달 노즐(12)의 하류측에 배열되거나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디바이스(23)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에 의해 상기 마우스피스(13) 상에 끼워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흡입기(1) 또는 상기 마우스피스(13)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디바이스(23) 또는 상기 챔버(2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통형, 세장형 또는 원추형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4)는 적어도 0.1 l 초과, 바람직하게는 0.2 l 초과, 더 특히 약 0.2 내지 0.6 l 초과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3)는 상기 애드-온 디바이스(23)가 부착될 때, 특히 압박될 때 개방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기 개구(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디바이스(23)는 특히 상기 전달 단부에, 상기 챔버(24) 및/또는 상기 마우스피스(13) 내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기 에어로졸 내에서 흡인하기 위한 밸브(28) 및/또는 흡입된 공기를 불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디바이스(23)는 애드-온 마우스피스(29), 튜브(30) 및/또는 안면 마스크(31)를 구비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는 상기 에어로졸(14)이 상기 전달 노즐(12)로부터 10 cm의 간격으로 낮은 속도, 특히 2 m/s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6 m/s 이하의 속도로 축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는 각각의 작동시에 또는 투여량으로서 적어도 1 s, 특히 1.5 s의 기간에 걸쳐 10 내지 50 μl의 약물 조제물(2)을 전달하고 분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는 10 내지 60 MPa의 압력 하에서 규정된 양의 상기 약물 조제물(2)을 분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발생 또는 분무는 스프링력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휴대용 흡입기(1) 내에 챔버(24)를 갖는 애드-온 디바이스(23)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흡입기(1)는 펌프로서 구성된 압력 발생기(5)에 의해 약물 조제물(2)의 무추진제 분무를 위해 설계되고, 상기 약물 조제물(2)은 상기 전달 노즐(2)로부터 10 cm의 거리에서 2 m/s 미만의 속도로 에어로졸(14)로서 전달 노즐(12)을 통해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챔버(24)는 분무된 상기 약물 조제물(2)의 중간 저장을 위해 상기 전달 노즐(12)의 하류측에서 상기 흡입기(1)에 연결되는 애드-온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
KR1020117001462A 2008-06-20 2009-06-19 흡입기 KR20110028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11228.7 2008-06-20
EP08011228A EP2135632A1 (de) 2008-06-20 2008-06-20 Inh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513A true KR20110028513A (ko) 2011-03-18

Family

ID=3992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62A KR20110028513A (ko) 2008-06-20 2009-06-19 흡입기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20090314287A1 (ko)
EP (2) EP2135632A1 (ko)
JP (1) JP5719291B2 (ko)
KR (1) KR20110028513A (ko)
CN (1) CN102065941A (ko)
AR (1) AR072215A1 (ko)
AU (1) AU2009259631A1 (ko)
BR (1) BRPI0914817A2 (ko)
CA (1) CA2728044C (ko)
CL (1) CL2010001482A1 (ko)
CO (1) CO6280506A2 (ko)
DK (1) DK2326374T3 (ko)
EA (1) EA201100026A1 (ko)
EC (1) ECSP10010728A (ko)
ES (1) ES2787252T3 (ko)
IL (1) IL209233A (ko)
MA (1) MA32402B1 (ko)
MX (1) MX2010013429A (ko)
NZ (1) NZ589928A (ko)
PE (1) PE20110034A1 (ko)
SG (1) SG193869A1 (ko)
TW (1) TW201004663A (ko)
UA (1) UA103028C2 (ko)
UY (1) UY31915A (ko)
WO (1) WO2009153049A1 (ko)
ZA (1) ZA201007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4589T3 (es) 2007-12-14 2013-02-04 Aerodesigns, Inc Suministro de productos alimenticios transformables en aerosol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US10011906B2 (en) 2009-03-31 2018-07-03 Beo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component
EP3508239B1 (de) * 2009-05-18 2020-12-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seinrichtung und zerstäuber
JP5715640B2 (ja) 2009-11-25 2015-05-13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EP2504051B1 (en) 2009-11-25 2019-09-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585151B1 (en) 2010-06-24 2018-04-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694220B1 (de)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GB201113662D0 (en) * 2011-08-08 2011-09-21 Prosonix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GB201210580D0 (en) * 2012-06-14 2012-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tered dose dispensing valve
EP2835146B1 (en) 2013-08-09 2020-09-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5018904A1 (en) 2013-08-09 2015-02-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BR112016023932B1 (pt) 2014-05-07 2022-1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ador
JP6580070B2 (ja) 2014-05-07 2019-09-25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容器、ネブライザ、及び使用
HUE055604T2 (hu) 2014-05-07 2021-12-28 Boehringer Ingelheim Int Porlasztó
CN106983937A (zh) * 2017-05-10 2017-07-28 深圳市立德瑞光电科技有限公司 雾化给药装置
EP3806939B1 (en) * 2018-06-13 2024-04-10 Puff-Ah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delivering respiratory drugs
CN110882453A (zh) * 2018-09-10 2020-03-17 微邦科技股份有限公司 吸入器吹嘴和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8647D0 (en) * 1989-04-17 1989-06-01 Glaxo Group Ltd Device
SG45171A1 (en) 1990-03-21 1998-01-16 Boehringer Ingelheim Int Atomising devices and methods
SE9400257D0 (sv) * 1994-01-27 1994-01-27 Astra Ab Spacer
US5848588A (en) * 1994-05-25 1998-12-15 Trudell Medical Group Backpiece for receiving an MDI adapter in an aerosolization spacer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AU697676B2 (en) * 1994-09-21 1998-10-15 Nektar Therapeu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rsing dry powder medicaments
US5499750A (en) * 1995-01-17 1996-03-19 Manifold; William J. Spray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and replaceable bladder
AUPN417395A0 (en) * 1995-07-14 1995-08-10 Techbase Pty. Ltd. An improved spacer
DE19536902A1 (de) 1995-10-04 1997-04-10 Boehringer Ingelheim Int Vorrichtung zur Hochdruckerzeugung in einem Fluid in Miniaturausführung
DE19733651A1 (de) 1997-08-04 1999-02-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Wässrige Aerosolzubereitungen enthaltend biologisch aktive Markomolekü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ntsprechender Aerosole
ZA9811257B (en) * 1998-12-09 2001-01-31 App Sub Cipla Ltd 8 8 2000 Inhalation device.
DE19940713A1 (de) 1999-02-23 2001-03-01 Boehringer Ingelheim Int Kartusche für eine Flüssigkeit
DE29920790U1 (de) * 1999-11-16 2000-05-18 Vwp Maschinenbau Und Service G Einrichtung zum Vernebeln von Reagenzien zur inneren Applikation dieser Reagenzien
US6644305B2 (en) * 2000-04-14 2003-11-11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Nasal inhaler
US6904908B2 (en) * 2002-05-21 2005-06-1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Visual indicator for an aerosol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and system
AU2003263077B2 (en) * 2002-09-06 2010-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ering valve for a metered dose inhaler providing consistent delivery
US7360537B2 (en) * 2003-04-16 2008-04-2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Antistatic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AU2004263251B2 (en) * 2003-07-16 2010-04-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 process for producing microfluidic arrangements from a plate-shaped composite structure
CA2557020A1 (en) * 2004-02-24 2005-09-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tomiser
CN2871190Y (zh) * 2005-11-17 2007-02-21 蔡明财 杆体
EP1792660A1 (en) * 2005-12-02 2007-06-0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DE102006025871A1 (de) * 2006-06-02 2007-12-0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DE102006025884A1 (de) * 2006-06-02 2007-12-0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dapter mit einem Anschluss für einen Zerstäu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Y31915A (es) 2010-01-29
EA201100026A1 (ru) 2011-06-30
ZA201007973B (en) 2011-07-27
PE20110034A1 (es) 2011-02-09
CA2728044A1 (en) 2009-12-23
JP2011524228A (ja) 2011-09-01
CA2728044C (en) 2018-05-22
WO2009153049A1 (en) 2009-12-23
MX2010013429A (es) 2010-12-21
EP2326374B1 (en) 2020-03-04
CN102065941A (zh) 2011-05-18
WO2009153049A8 (en) 2010-02-25
BRPI0914817A2 (pt) 2015-10-27
EP2326374A1 (en) 2011-06-01
SG193869A1 (en) 2013-10-30
AR072215A1 (es) 2010-08-11
NZ589928A (en) 2014-01-31
US20090314287A1 (en) 2009-12-24
TW201004663A (en) 2010-02-01
EP2135632A1 (de) 2009-12-23
ECSP10010728A (es) 2011-02-28
MA32402B1 (fr) 2011-06-01
AU2009259631A1 (en) 2009-12-23
ES2787252T3 (es) 2020-10-15
IL209233A (en) 2013-10-31
CL2010001482A1 (es) 2011-09-02
IL209233A0 (en) 2011-01-31
CO6280506A2 (es) 2011-05-20
DK2326374T3 (da) 2020-05-18
JP5719291B2 (ja) 2015-05-13
UA103028C2 (ru)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8767B2 (ja) アダプタ、吸入器具及びアトマイザ
JP5719291B2 (ja) 吸入器
JP6067784B2 (ja) 吸入器
JP5299723B2 (ja) アトマイザ及び流体を噴霧化する方法
JP5681492B2 (ja) ノズル、吸入器及びノズルの製造方法
JP2009538656A (ja) アトマイザ
JP2009538655A (ja) アトマイザ用のアタッチメント付きアダプタ
JP5504156B2 (ja) 吸入器
JP5812354B2 (ja) 吸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