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713A - 난간 - Google Patents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713A
KR20110026713A KR1020090084477A KR20090084477A KR20110026713A KR 20110026713 A KR20110026713 A KR 20110026713A KR 1020090084477 A KR1020090084477 A KR 1020090084477A KR 20090084477 A KR20090084477 A KR 20090084477A KR 20110026713 A KR20110026713 A KR 2011002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ing
bolt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581B1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9008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5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될 지형의 형상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 보수 및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한 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은, 설치위치에 시공된 연석부(R)에 설치된 앵커볼트(114)가 삽입되는 고정공(112)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상호 대향하고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장볼트(124)가 삽입되고 너트(126)가 체결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 앵커부(120)를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0);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좌, 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앵커부(120)에 상기 장볼트(124) 및 상기 너트(126)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공(122)에 대응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된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쌍을 이루며 쇄정볼트(228)가 삽입되고 너트(229)가 체결되는 체결공(226)이 각각 천공된 제1체결부(222) 및 제2체결부(224)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20)를 구비한 브래킷(200); 상기 브래킷(200)에 하단부가 외삽되어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1체결부(222)에 접하고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며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12)이 형성된 전방부(310)와, 상기 전방부(310)에 대향하고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2체결부(224)에 접하며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고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22)이 형성된 후방부(320)와, 상기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332)이 형성된 제1측부(330)와, 상기 제1측 부(330)에 대향하고 상기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342)이 형성된 제2측부(340)를 구비한 지주(300); 상기 지주(300)의 제1측부(330)의 가이드홈(332) 및 제2측부(340)의 가이드홈(342)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40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볼트(426)가 삽입되어 고정너트(428)가 체결되는 고정공(424)이 형성된 2개의 연결편(422)이 상호 쌍을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420)를 구비한 가이드(400); 및 상기 가이드(400)에 설치되며,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2개의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볼트(426)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너트(42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522)이 형성된 고정부(520)를 구비한 보호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간, 지주, 브래킷, 가이드, 고정플레이트

Description

난간{HAND RAIL}
본 발명은 도로변 혹은 인도변 등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될 지형의 형상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 보수 및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시야 확보성 및 광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혹은 인도변 등에 설치되는 난간은 등록특허 제10-575455호의 조립식 난간이 공지되어 있다. 등록 특허 제10-575455호의 조립식 난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즉, 등록 특허 제10-575455호에 공지된 조립식 난간은, 상부에 수평대(1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대(10)를 지지하도록 된,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1개 이상의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상기 1개 이상의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에는 각각 볼트 나사부 설치용 관통구멍(20s)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상기 1개 이상의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파이프(3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파이프(30) 중 일부의 수평 파이프(30)는 그 좌측 끝단부와 그 우측 끝단부에는 각각 상기 볼트 나사부 설치용 관통구멍(20s)을 통하여 볼트(bolt)(41)와 나사 체결되도록 된 너트(nut)(42)가 끼워 맞춰져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의 하단부와, 상기 1개 이상의 중간 수직 지지대(20-2)의 하단부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상기 1개 이상의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가 각각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하도록 세움 지지 부재(50)가 구비되어 이 세움 지지 부재(50)는 체결용 관통 구멍(20t)(50h)을 통한 볼트(51)와 너트(52)의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되어 설치된 조립식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10)의 기저부(10b)에는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상기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가 각각 상기 수평대(10)의 소정의 위치에서 나사 체결로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너트(nut) 설치용 관통구멍(10h)이 구비되고, 이 너트(nut) 설치용 관통구멍(10h)에는 너트(nut)(12)가 끼워 맞춰져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 수직 지지대(20-2)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의 상단부는 각각 상기 수평대(10)에 구비된 상기 너트 설치용 관통구멍(10h)에 고정 설치된 상기 너트(12)와, 볼트(21)로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용 관통구멍(20h)이 구비된 체결부(2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단 수직 지지대(20-1)와 상기 중간 수직 지지대(20-2)와 상기 우측단 수직 지지대(20-3)는 각각의 상기 체결부(20a)가 상기 수평대(10)에 상기 체결용 관통구멍(20h)을 통하여 상기 너트 설치용 관통구멍(10h)에 고정 설치된 상기 너 트(12)와, 상기 볼트(21)에 의하여 나사 체결로 조립되어 설치되고;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가 나사 체결로 서로 연결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하나의 수평 파이프(30)는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나머지 하나의 수평 파이프(30)를 향하는 끝단부(30-1)에 볼트(bolt)(41)의 헤드가 상기 하나의 수평 파이프(30)의 안쪽을 향하며 끼워 맞춰져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 파이프(30)는, 상기 하나의 수평 파이프(30)의 상기 끝단부에 상응하는 끝단부에 상기 볼트(41)의 나사부(41-b)에 상응하여 나사 체결되는 통상의 상기 너트(42)가 끼워 맞춰져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중간 수직 지지대(20-2)의 상기 볼트 나사부 설치용 관통구멍(20s)에는,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가 상응하여 나사 체결되어 설치되는 상기 중간 수직 지지대(20-2)에 의하여 지지됨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상기 하나의 수평 파이프(30)의 상기 끝단부(30-1)에 고정 설치된 볼트(41)의 나사부(41-b)가 끼워 맞춰져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상기 하나의 수평 파이프(30)의 상기 끝단부(30-1)에 고정 설치된 볼트(41)의 나사부(41-b)와,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 중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 파이프(30)의 상기 끝단부(30-2)에 고정 설치된 통상의 상기 너트(nut)(42)가 서로 상응하여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가 수평 방향으로 순차로 연결되며 상응하는 중간 수직지지대(20-2)의 볼트 나사부 설치용 관통구멍(20s)에 상기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되어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30')와 수평 파이프(30")가 수직 방향으로 순차로 상응하는 중간 수직 지지대(20-2)의 볼트 나사부 설치용 관통구멍(20s)에 상기 나사 체결에 의하여 조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조립식 난간의 제작 공정에서 그 조립이 용이하여 인건비와 제작 시간이 절약되어 제작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을 위한 인건비와 시공 시간이 줄여지며, 아울러 조립식 난간의 규모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어 불필요한 부분의 폐기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평 파이프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조망권을 극대화함이 가능하며, 마모 또는 파손시에는 마모 또는 파손 부위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간에 의하면, 설치될 지면 또는 기반이 평탄한 지역에서만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고 경사진 지역에서는 설치가 곤란하고, 각각의 수평 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수평 파이프의 길이방향에서 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 면의 형상 또는 상황에 무관하게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호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변 혹은 인도변에 시공된 연석부에 설치되어 승객 및 행인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에 있어서, 상기 연석부에 설치된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호 대향하고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장볼트가 삽입되고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앵커부를 구비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좌, 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앵커부에 상기 장볼트 및 상기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쌍을 이루며 쇄정볼트가 삽입되어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각각 천공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구비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하단부가 외삽되어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의 제1체결부에 접하고 상기 체결공에 상응하며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에 대향하고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의 제2체결부에 접하며 상기 체결공에 상응하고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각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 대향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각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측부를 구비한 지주; 상기 지주의 제1측부의 가이드홈 및 제2측부의 가 이드홈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2개의 연결편이 상호 쌍을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의 각각의 연결부재의 2개의 연결편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에 의하면, 지주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도를 지님으로써 지면의 형상 또는 상태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각각의 파이프의 체결작업을 전, 후방에서 실시할 있어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보호부재를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적용성 및 다양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난간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Ⅴ-Ⅴ에 따른 부분 절취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의 보호부재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 명에 따른 난간의 보호부재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은 기본적으로, 지면 또는 기초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좌, 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200)과, 상기 브래킷(200)에 고정되는 지주(300)와, 상기 지주(3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400)와, 양측이 상기 가이드(400)에 고정되는 보호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지면 또는 콘크리트로 시공된 연석부(R)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각각의 코너에는 고정공(112)이 천공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공(112)에는 상기 연석부(R)의 시공시 설치된 앵커볼트(114)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14)에는 너트(116)가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110)를 상기 연석부(R)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14)의 단부에는 볼트캡(118)이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14) 및 상기 너트(116)를 보호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차폐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중앙에는 실제적으로 상기 브래킷(20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호 대향하는 쌍을 이루는 앵커부(120)가 일체로 수직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앵커부(120)에는 전,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22)이 천공된다. 각각의 상기 체결공(122)에는 상기 브래킷(200)을 상기 앵커부(120)에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볼트(124)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물론, 상기 장볼트(124)에는 너트(126)가 체결된다.
또, 상기 브래킷(2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앵커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124) 및 상기 너트(1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210)에는 물론, 상기 장볼트(124)가 삽입되도록 상기 앵커부(120)의 각각의 상기 체결공(122)에 연통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00)의 고정부(210)의 상부에는 상기 지주(300)의 하단이 외삽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220)는 상기 지주(300)의 하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고정되도록 상호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부, 즉 제1체결부(222) 및 제2체결부(224)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체결부(224)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체결공(226)이 천공된다. 각각의 상기 체결공(226)에는 쇄정볼트(228)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물론, 각각의 상기 쇄정볼트(228)에는 너트(229)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지주(300)는 사각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브래킷(2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주(300)는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1체결부(222)에 접하고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며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12)이 형성된 전방부(310)와, 상기 전방부(310)에 대향하며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2체결부(224)에 접하고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며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22)이 형성된 후방부(320)와, 상기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하나의 상기 가이드(4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홈(332)이 형성된 제1측부(330)와, 상기 제1측부(330)에 대향하고 상기 전방 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4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홈(342)이 형성된 제2측부(34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지주(300)의 상부에는 상기 지주(300)의 상부 및 내부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350)가 구비된다.
또, 상기 지주(300)에 고정되는 가이드(400)는 상기 지주(300)의 제1측부(330)의 가이드홈(332) 및 제2측부(340)의 가이드홈(342)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40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41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홈(332;342)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420)가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호 대향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2개의 연결편(422)이 전, 후방향으로 쌍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연결편(422)에는 상호 대향하는 고정공(42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424)에는 고정볼트(426)가 체결된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426)에는 고정너트(4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20) 사이의 상기 고정부재(410)에는 상기 고정부재(410)를 상기 지주(30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트(401)가 삽입되는 고정공(42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400)에 연결되는 상기 보호부재(500)는 안전을 보장하고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시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500)는 복수의 파이프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부재(500)는 각각 원통형 또는 원기둥형의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520)를 지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500)의 고정부(520)에는,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상기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볼트(426) 및 고정너트(428)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연결편(422)에 형성된 고정공(424)에 상응하는 연결공(522)이 천공되어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500)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500)의 몸체(510)와 고정부(520)는 전체적인 보호부재(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는 나선이 형성된 일정 깊이의 체결공(512)이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게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체결공(512)에 깊이가 조절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볼트형 체결로드(524)와 상기 체결로드(524)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공(522)이 형성된 연결편(526)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500)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5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무늬, 모양, 형상 및 이들의 결합으로 시각성 및 광고성을 제공하는 플레이트형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520)를 지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510)는 강화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PMM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몸체(510)의 양측변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각각의 상기 고정부(520)에는 각각의 상기 연결편(422)에 형성된 고정공(424)에 상응하는 체결공(522)이 천공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보호부재(500)는 전술된 2가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예컨대 액자형, 격자형, 창틀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플레이트부(110)의 각각의 코너에 형성된 고정공(112)을 기초 또는 지면에 시공된 연석부(R)에 설치된 앵커볼트(114)에 삽입한 후, 각각의 상기 앵커볼트(114)에 너트(116)를 체결하여, 기초 또는 연석부(R)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앵커부(120)에 상기 브래킷(200)의 고정부(210)를 삽입하고, 상기 앵커부(120)의 각각의 체결공(122)과 상기 고정부(210)의 관통공(212)을 일치시켜 연통시킨 후, 상기 장볼트(124)를 삽입하고, 상기 장볼트(124)에 일정 범위까지 너트(126)를 체결하여, 상기 브래킷(200)을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지주(300)의 하단부를 상기 브래킷(200)의 체결부재(220)에 삽입하고, 상기 지주(300)의 전방부(310)의 하단에 형성된 연통공(312)과 상기 지주(300)의 후방부(320)의 하단에 형성된 연통공(322)을 일치시켜 연통시키며, 그 각각의 연통공에 쇄정볼트(228)를 삽입한 후 너트(228)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가이드(400)의 고정부재(410)를 마주하는 상기 지주(300)의 제1측부(330)의 가이드홈(332)과 제2측부(340)의 가이드홈(342)에 삽입하여 배치한 후 복수의 볼트(401)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보호부재(500)의 각각의 몸체(510)에 구비된 고정부(520)를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2개의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편(422)의 각각의 고정공(424)과 상기 고정부(520)의 체결공(522)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26)를 삽입 한 후 고정너트(428)를 체결하여 보호부재(5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주(300)가 고정된 상기 브래킷(200)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대해 회동될 수 있으므로, 즉 상기 브래킷(200)의 고정부(2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앵커부(120)에 느슨하게 또는 임시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래킷(200) 및 그 브래킷(200)에 고정된 상기 지주(300)가 좌, 우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보호부재(5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면이 경사지거나 평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주(300)를 적절하게 기울여 상기 보호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보호부재(500)의 각각의 몸체(510)에 구비된 고정부(520)와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연결편(422)을 상기 고정볼트(426)와 고정너트(428)로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26)와 고정너트(428)를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된 전, 후방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지주(300)사이에 상기 보호부재(500)의 연결이 완료되며, 상기 장볼트(124)와 상기 너트(126)를 최종적으로 체결 고정시켜 상기 브래킷(200)을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완전 고정시켜 난간의 설치를 완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부재(5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보호부재(500)의 몸체(51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공(512)에 상기 고정부(520)의 체결로드(524)를 설정된 체결깊이로 체결하고, 상기 고정부(520)의 연결편(526)을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2개의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하며, 상기 연결편(422)의 각각의 고정공(424)과 상기 고정부(520)의 연결편(526)의 체결공(522)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26)를 삽입 한 후 고정너트(428)를 체결하여 보호부재(500)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이후의 난간 설치방법은 전술된 과정과 동일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500)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보호부재(500)의 플레이트형 몸체(510)의 양측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고정부(520)를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2개의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편(422)의 각각의 고정공(424)과 상기 고정부(520)의 체결공(522)을 연통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426)를 삽입하고 고정너트(428)를 체결하여 보호부재(500)를 설치한다. 물론, 이후의 난간 설치방법은 전술된 과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난간이 설치될 지형에 무관하게 보호부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호부재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보호부재를 신속하게 치할 수 있으며, 보호부재를 목적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난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Ⅱ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난간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Ⅴ-Ⅴ에 따른 부분 절취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의 보호부재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의 보호부재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고정플레이트 200: 브래킷
300: 지주 400: 가이드
500: 보호부재

Claims (4)

  1. 도로변 혹은 인도변에 시공된 연석부(R)에 설치되어 승객 및 행인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에 있어서,
    상기 연석부(R)에 설치된 앵커볼트(114)가 삽입되는 고정공(112)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상호 대향하고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장볼트(124)가 삽입되고 너트(126)가 체결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 앵커부(120)를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0);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좌, 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앵커부(120)에 상기 장볼트(124) 및 상기 너트(126)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공(122)에 대응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된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쌍을 이루며 쇄정볼트(228)가 삽입되어 너트(229)가 체결되는 체결공(226)이 각각 천공된 제1체결부(222) 및 제2체결부(224)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20)를 구비한 브래킷(200);
    상기 브래킷(200)에 하단부가 외삽되어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1체결부(222)에 접하고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며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12)이 형성된 전방부(310)와, 상기 전방부(310)에 대향하고 하단부의 내측이 상기 브래킷(200)의 제2체결부(224)에 접하며 상기 체결공(226)에 상응하고 상기 체결볼트(228)가 관통되는 연통공(322)이 형성된 후방부(320)와, 상기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332)이 형성된 제1측부(330)와, 상기 제1측부(330)에 대향하고 상기 전방부(310) 및 후방부(320)의 각각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방향 전체를 따라 가이드홈(342)이 형성된 제2측부(340)를 구비한 지주(300);
    상기 지주(300)의 제1측부(330)의 가이드홈(332) 및 제2측부(340)의 가이드홈(342)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40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볼트(426)가 삽입되어 고정너트(428)가 체결되는 고정공(424)이 형성된 2개의 연결편(422)이 상호 쌍을 이루며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420)를 구비한 가이드(400); 및
    상기 가이드(400)에 설치되며,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부재(420)의 2개의 연결편(422)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볼트(426)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너트(42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522)이 형성된 고정부(520)를 구비한 보호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500)의 몸체(510)는 안전을 보장하고 시야를 확보하도록 복수의 파이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500)의 상기 몸체(510)의 양단에 는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5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체결공(512)에 깊이가 조절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볼트형 체결로드(524)와, 상기 체결로드(524)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공(522)이 형성된 연결편(5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50)의 몸체(510)는 강화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50)의 고정부(520)는, 상기 가이드(400)의 각각의 연결편(422)에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510)의 양측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KR1020090084477A 2009-09-08 2009-09-08 난간 KR10111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77A KR101111581B1 (ko) 2009-09-08 2009-09-08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77A KR101111581B1 (ko) 2009-09-08 2009-09-08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13A true KR20110026713A (ko) 2011-03-16
KR101111581B1 KR101111581B1 (ko) 2012-02-13

Family

ID=4393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77A KR101111581B1 (ko) 2009-09-08 2009-09-08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78B1 (ko) * 2012-06-19 2013-08-08 이성재 파이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58B1 (ko) 2019-03-06 2019-07-15 김오형 우수한 조립강도로 설치의 완성도를 보장하는 난간 구조물
KR102257184B1 (ko) 2020-11-18 2021-05-27 블루텍 주식회사 아케이드 구조물의 난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695A (ja) * 1998-06-09 1999-12-21 Sekisui Chem Co Ltd 手 摺
KR100510870B1 (ko) * 2003-01-23 2005-08-26 이도춘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KR100499530B1 (ko) * 2003-11-20 2005-07-0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78B1 (ko) * 2012-06-19 2013-08-08 이성재 파이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581B1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1651A (zh) 模块化可拆卸安全板及其装配方法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111581B1 (ko) 난간
KR102157134B1 (ko) 조립식 난간구조물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152420B1 (ko) 조립식 목재 울타리
KR102135147B1 (ko)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JP5680321B2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KR102026260B1 (ko)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KR200421851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도로용 가드레일
CN204326565U (zh) 临边防护栏
CN204510652U (zh) 多角度旋转栏杆立柱
KR20120134851A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1203953B1 (ko) 조립형 휀스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200227077Y1 (ko) 낙석방지책의 지주 고정장치
KR100961525B1 (ko) 도로용 안전 펜스
CN220815019U (zh) 一种无需立柱的临边护栏网
CN104499724A (zh) 临边防护栏
CN215405774U (zh) 马路防护栏
KR102670724B1 (ko)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CN218596889U (zh) 一种桥上多功能易拼装的防护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