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712A - 지엽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취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3712A KR20110023712A KR1020100028393A KR20100028393A KR20110023712A KR 20110023712 A KR20110023712 A KR 20110023712A KR 1020100028393 A KR1020100028393 A KR 1020100028393A KR 20100028393 A KR20100028393 A KR 20100028393A KR 20110023712 A KR20110023712 A KR 201100237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sheet
- cassette
- paper
- guide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폐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폐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로부터 용이하게 삽발할 수 있게 한다.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부(20)와,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지폐 반송부(20)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10)에서,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삽발 가능하게 수용하는 카세트 홀더(60)와, 카세트 홀더(60)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홀더대(62)와, 카세트 홀더(60)의 복수의 지폐 카세트(32)의 수용 입구에 배치되고, 그 수용 입구를 개폐하는 안내 도어(64)와, 안내 도어(64)와 홀더대(62)를 연동 연결하고, 안내 도어(64)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홀더대(62)를 하방 이동시켜, 안내 도어(64)가 카세트 홀더(60)의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을 동일 높이면으로 하는 승강 링크 기구(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객 등의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며, 조작에 따라서 지엽(지폐 등)의 불출 또는 집어넣기를 행하는 지엽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고객 등의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입금 또는 출금 등의 지폐의 수취 또는 불출의 거래를 행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등의 지엽 취급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 지엽 취급 장치에 의해, 지폐를 수취, 불출을 행함으로써, 입금 거래, 출금 거래, 납입 대체 거래 등의 금융 기관에서의 거래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출금 거래의 경우에는,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롤러, 벨트 등의 반송 기구를 이용하여 입출금구로 반송하여, 고객에게 지폐를 불출한다.
입금 거래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지시하고, 입출금구에 투입한 지폐를 장치 내에 집어넣어,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지엽 취급 장치는, 지폐의 투입, 불출을 행하는 입출금구, 지폐의 진위, 금종를 감별하는 감별부, 지폐의 표리를 정렬하기 위한 표리 정렬부,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지폐 카세트),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부, 수납 케이스로부터 조출된 지폐 중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서 인정되지 않았던 지폐를 회수하는 배제 불량권 회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각 부의 구성 중, 수납 케이스는 복수 구비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별부, 일시 보관부, 표리 정렬부, 배제 불량권 회수부 등은 1개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장치 본체의 가동율의 향상과 보수 작업의 능률 향상의 관점에서, 장치 본체 내에 교환 가능한 형태의 복수의 수납 케이스를 수용하도록 한 것이 실용화되어 왔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100)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 조작부(101)와 장치 본체(102)는, 구획 벽(103)으로 구획되어 있다. 지폐 카세트(104)를 꺼내기 위해서는, 작업원이 장치 도어(105)를 열어 장치 본체(102)로부터 지폐 유닛(106)을 인출하고,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지폐 카세트(104)를 인출하여 행하고 있었다.
또한, 지폐 카세트(104)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폐를 수용한 지폐 카세트(104)를 지폐 유닛(106)에 삽입하는 경우, 설치 장소의 백야드(107)가 좁기 때문에,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의 확보가 곤란하였다. 또한, 지폐 카세트(104)가 지폐 유닛(10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폐 카세트(104)의 조작 시에 엉거 주춤하게 되어 자세가 불편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지폐 카세트(104) 그 자체가 중량물이다. 또한, 지폐 카세트(104)를 수용하는 카세트 홀더(도시 생략)와의 감합 위치 정렬이 어려운 등의 이유에 의해, 스무스하게 지폐 카세트(104)를 장착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카세트 등의 인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현금 자동 지불 장치의 캐비넷으로부터 카세트를 꺼낼 때, 중간 도어를 열면, 링크로 결합된 가이드가, 카세트와 오버랩하는 기구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내부의 카세트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봉투 예금기에서, 카세트 저부의 다이(받침판)와 도어를 링크 기구로 연결하고, 다이는 통상은 경사져 있지만, 도어를 열면 다이가 수평으로 되어, 봉투가 쉽게 떼어지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지폐 입출금 장치 등에서, 카세트 착탈 도어를 개방하면, 이와 연동하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지폐를 누르고 있는 지폐 누름이 퇴피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서는, 카세트 챔버로부터의 카세트의 출입에서, 카세트 챔버의 도어의 내면에 레일을 형성하고, 도어를 열면, 카세트를 적재한 테이블이 상술한 레일로 안내되어 반출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특허 문헌 4 중 어느 것이나, 내부의 카세트 등을 쉽게 꺼내기 위해 링크 기구를 설치하고 있지만, 카세트 등을 재치하는 재치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취지의 기재는 없으며, 그 필요성도 없었다.
이에 대해, 지엽 취급 장치에서 지폐의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에 대향 배치된 지폐 반송부(108)에 대해 지폐 카세트(104)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일단 지폐 카세트(104)를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고나서가 아니면 수평으로 인출할 수 없다.
왜냐면, 지폐 반송부(108)와 지폐 카세트(104) 사이에서 지폐의 수수를 행할 때에, 지폐의 잼(jam)이 발생한 경우, 지폐 반송부(108)측의 롤러쌍(도시 생략)과 지폐 카세트(104)측의 롤러쌍(도시 생략)에 걸쳐서 지폐가 물린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잼 처리를 위해 지폐 카세트(104)를 화살표 B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출하고자 하여도, 지폐 카세트(104)를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지폐 반송부(108)측의 롤러쌍을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롤러를 퇴피시키는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 퇴피 기구가 복잡화하면,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잼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지폐 반송부(108)와 지폐 카세트(104) 사이에 지폐가 끼지 않도록 지폐 카세트(104)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지폐 카세트(104)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지폐 반송부(108)와 지폐 카세트(104)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특허 문헌 4와 같이, 단순히 내부의 카세트 등을 가로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그 전에 일단 카세트를 하강시키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하강 동작에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면 장치가 대형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엽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엽 수납체를 지엽 수납체 유지 틀로부터 용이하게 삽발할 수 있게 한 지엽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엽을 반송하는 지엽 반송부와, 그 지엽 반송부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엽을 수납하는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삽발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엽 수납체 유지 틀과,
상기 지엽 수납체 유지 틀을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유지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유지 틀의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의 수용 입구에 배치되고, 그 수용 입구를 개폐하는 안내 도어와,
상기 안내 도어와 상기 유지대를 연동 연결하고, 상기 안내 도어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대를 하방 이동시켜, 상기 안내 도어가 상기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을 동일 높이로 하는 승강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링크 기구는, 4절 링크 기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가이드하는 안내 수단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의 하부에, 각각 다른 위치에 핀을 돌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에, 상기 핀을 개별로 가이드하는 안내 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엽 수납체를 지엽 수납체 유지 틀로부터 용이하게 삽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를 상방에서 본 도면.
도 2a는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에서의 지폐 유닛의 정면도.
도 2b는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에서의 지폐 유닛의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지엽 취급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반송 제어부의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지엽 취급 장치의 정면도.
도 8은 지엽 취급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안내 도어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홀더대와 안내 도어를 연동 연결하고 있는 승강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인출한 지폐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안내 도어의 내면에 지폐 카세트를 개별로 가이드하는 안내 홈을 형성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에서의 지폐 유닛의 정면도.
도 2b는 종래의 지엽 취급 장치에서의 지폐 유닛의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지엽 취급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반송 제어부의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지엽 취급 장치의 정면도.
도 8은 지엽 취급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안내 도어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홀더대와 안내 도어를 연동 연결하고 있는 승강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인출한 지폐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안내 도어의 내면에 지폐 카세트를 개별로 가이드하는 안내 홈을 형성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10)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취급 장치(10)는, 고객이 장치의 앞에 섰을 때 고객이 내려다 보면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가장 앞의 위치에, 터치 패널식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고객 조작부(12)가 표면 화면을 위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엽」으로서는, 지폐 외, 어음, 수표, 주권, 채권 등의 유가 증권을 포함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설명의 편의상, 부재명에서 지엽 대신에 지폐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또한, 고객 조작부(12)의 후방측(깊이측)의 상방 좌우로 나뉘어, 오른쪽에 투출부로서의 지폐 투입 취출부(13)가 배치되고, 왼쪽에 경화 투입 취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상방에는, 오른쪽에 카드 삽입 취출구(15)가 배치되고, 왼쪽에 통장 삽입 취출구(16)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지엽 취급 장치(10)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내부 구성은, 도 3의 고객 조작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내부 구성의 후방의 일부는 지엽 취급 장치(10)가 배설되어 있는 벽의 내측, 즉, 은행의 경우이면 은행 내부의 작업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지엽 취급 장치(10)는, 장치 본체의 상방에 위치하고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부(20)와,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반송부(20)는, 입출금부로서의 지폐 투입 취출부(13) 외, 1차 보류부(27), 센서 출력 검출부(28), 감별부(29), 부적격권 수납부(22A, 22B) 등의 각 장치와, 이들 각 장치를 연결하는 화살표 a, b, …, y, z로 반송 방향이 나타내어지는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경화 투입 취출부(14)는, 도 4에서는, 지폐 투입 취출부(13)보다도 단면의 전방측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경화 투입 취출부(14)에 투입되고, 또는 불출된 경화의 반송로 그 밖의 구성은,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 상에는,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복수의 지폐 통과 검지 센서(23), 지폐 투입 취출부(13) 내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지폐 유무 검지 센서(24), 반송로를 2 방향으로 절환하는 반송로 절환기(25), 반송로를 3 방향 이상으로 절환하는 반송로 절환기(26) 등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지폐 수납체 수용부(3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에는, 복수의 지폐 수납체로서의 지폐 카세트(32)(32A, …, 32F)가 삽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는, 지엽 수납체 유지부로서의 카세트 홀더(60)에 수용되어 있다. 지폐 카세트(32)는, 각각 롤러와 절환기를 갖는 간단한 구성의 지엽 조출 수단으로서의 반송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기구(31)는, 지엽 조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엽 조입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지폐 카세트(32)에는, 각각 불량 지엽 회수 수단으로서의 리젝트부(33)가 내장되어 있다. 이 리젝트부(33)의 상부에는, 수수 반송로(21')로부터 반송로 절환기(25)를 통하여 불량 지폐를 리젝트부(33)로 회수하는 롤러쌍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회수 기구(34)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10)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본체 제어부(36)는, 내장하는 기억 장치로서 ROM(Read Only Memory)(37), RAM(Random Access Memory)(38)을 구비하고, 외부 기억 장치로서 HD(Hard Disk)(39), FD(Flexible Disk)(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억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D(Compact Disk),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ROM(37)에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AM(38)에는, 본체 제어부(36) 등으로 연산되는 도중 경과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HD(39)에는, 장기 보관용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FD(40)에는 필요 최저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FD(40)는, 필요에 따라서 은행원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취출되어 사용된다.
상기의 도중 데이터에는, 지폐 반송부(20)의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에 의해 지폐가 반송될 때마다 그 반송 경과가 기록되고, 장기 보관용 데이터, 필요 최저한 데이터 중 어느 것에도 지폐 카세트(32)마다의 지폐의 초기 수용 매수, 고객으로부터 입금 시의 추가 수용 매수 합계, 고객에의 출금 시의 조출 매수의 합계와 불량 지엽의 회수 매수의 합계가 기억(저장,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체 제어부(36)에는, 카드 이미지 리더 프린터부(41), 통장 프린터부(42), 고객 조작 제어부(43), 반송 제어부(44)가 접속되어 있다. 카드 이미지 리더 프린터부(41)는, 카드 리더부(45), 카드 엠보싱 판독부(46), 저널 레시트의 프린터부(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객 조작 제어부(43)는, 고객 조작부(12)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컬러 디스플레이(48)와 터치 패널(4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44)는,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의 반송을 제어하는 주반송로부(50)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각 지폐 카세트(32)의 지폐의 조출과 조입을 제어하는 카세트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제어부(36)에는, 외부로부터 전원(52)이 접속되어 있고, 이 본체 제어부(36)는, 전원(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ROM(37)으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에 따라, 고객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6은, 반송 제어부(44)의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반송 제어부(44)는, 마이크로컴퓨터(MPU)(54)를 구비하고, 각 부를 제어함과 함께, 도 5에 도시한 본체 제어부(36)와 교신하면서, 고객과의 거래를 실행한다.
반송 모터부(55)는, 지폐를 반송하는 도 6의 화살표 a, b, …, z로 나타낸 반송로의 반송 벨트를 동작시키는 반송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게이트 마그네트부(56)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로 구성되는 반송로가 2갈래 이상으로 분기된 부분에서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복수의 반송로 절환기(25, 26)를 구동하는 복수의 게이트용 마그네트의 절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주반송로(21) 및 지폐 수납체 수용부(30)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분기부가 있고, 각 분기부마다 게이트용 마그네트가 사용되고 있다.
펄스 모터부(57)는, 지폐 투입 취출부(13), 일시 보류부(27), 각 지폐 카세트(32)에 적재된 지폐를 1매씩 조출하기 위한 롤러를 회전시키는 펄스 모터의 회전을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DC 모터부(58)는, 지폐 투입 취출부(13) 및 경화 투입 취출부(14)의 셔터를 개폐하는 DC 모터의 회전을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센서 출력 검출부(28)는, 주반송로(21)에 설치된 지폐 통과 검출 센서(23)나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설치된 지폐 유무 검지 센서(24)의 출력을 검지하여, 지폐의 통과나 유무를 검출한다.
이들의 센서(23, 24)는, 광학식 센서이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발광 소자는 상시 또는 적시 발광하고, 수광 소자는 발광 소자가 발광한 광을 수광한다. 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지폐가 통과하고 또는 적재되어 차단한다.
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간의 지폐의 유무에 따라, 수광 소자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변화된다. 이 수광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의 강약으로 출력하고, 이 전기 신호에 의해, 지폐의 유무(통과 중, 잔존 중)를 검출하는 것이다.
감별부(29)는, 지폐의 진위, 파손 상황, 오염 상황, 접혀진 상황, 금종, 표리 등, 지폐의 상황을 광학적, 자기적으로 감별하는 것이다. 광학적으로는, 광학 라인 센서, 자기적으로는 자기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7∼도 11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카세트 홀더(60)에 수용된 복수의 지폐 카세트(32)의 인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지엽 취급 장치(10)의 정면도, 도 8은 그 측면도, 도 9는 안내 도어(64)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홀더대(62)와 안내 도어(64)를 연동 연결하고 있는 승강 링크 기구(70)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인출한 지폐 카세트(32)를 카세트 홀더(60)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와 도 7에서는, 수용된 지폐 카세트(32)의 수가 다르지만, 실질적인 변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에서, 지엽 취급 장치(10)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32A∼32D)를 삽발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엽 수납체 유지 틀로서의 카세트 홀더(60)와, 그 카세트 홀더(60)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유지대로서의 홀더대(62)와, 카세트 홀더(60)의 지폐 카세트(32)의 수용 입구에 배치되고, 수용 입구를 개폐하는 안내 도어(6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지엽 취급 장치(10)는, 홀더대(62)와 안내 도어(64)를 연동 연결하는 승강 링크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도 9에서는, 승강 링크 기구(7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승강 링크 기구(70)는, 안내 도어(64)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홀더대(62)를 하방 이동시켜, 안내 도어(64)가 카세트 홀더(60)의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을 동일 높이면으로 한다.
카세트 홀더(60)는,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카세트 수용부(66)(66A∼66D)를 갖고 있다(도 7 참조). 이 카세트 수용부(66)는, 전면(도 7의 정면)에, 슬라이드에 의해 지폐 카세트(32)를 삽발하기 위한 수용 입구를 갖고 있다. 지폐 카세트(32)는, 이 카세트 홀더(60)에 수용 입구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수용되어 유지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대(62)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그 지지면(62a)에서 카세트 홀더(60)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 홀더대(62)는, 카세트 홀더(6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이 홀더대(62)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승강 링크 기구(7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안내 도어(64)는, 카세트 홀더(60)에 지폐 카세트(32)를 삽입하여 수용한 상태에서는, 카세트 홀더(60)의 수용 입구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안내 도어(64)는, 회동 지점(63)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도어(64)를 닫은 상태(도 8의 상태)로부터 대략 90° 화살표 방향으로 하방으로 회동한 열기 상태(도 9의 상태)에서는, 홀더대(62)는 하방 이동하고(도 9의 화살표 C 방향 참조),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이 동일 높이면으로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링크 기구(70)는, 홀더대(62)와 안내 도어(64)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 승강 링크 기구(70)는, 홀더대(6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2, 75)를 갖는 4절 링크(73)와, 이 4절 링크(73)와 안내 도어(64)의 하단측의 핀(71)을 잇는 연결 부재(74)를 갖고 있다. 또한, 4절 링크(73)의 지지 부재(72)와 지지 부재(75)를 연결하는 부재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지지 부재(72, 75)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상부 접점(72a, 75a)과 하부 접점(72b, 75b)을 갖고 있다. 또한, 안내 도어(64)의 하단측의 핀(71)은 회동 지점(63)보다도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74)는, 한쪽의 지지 부재(72)의 상부 접점(72a)과, 안내 도어(64)의 하단측의 핀(71)을 연결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0에서, 안내 도어(64)를 화살표 D 방향으로 열기 조작하면, 연결 부재(74)가 지지 부재(72)의 상부 접점(72a)을, 하부 접점(72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72, 75)는 직립 상태로부터 경사진다. 이에 수반하여, 지지 부재(72, 75)에 지지된 홀더대(62)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윽고, 안내 도어(64)가 카세트 홀더(60)의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도 10의 일점 쇄선),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이 동일 높이면으로 된다.
따라서, 잼이 발생한 지폐 카세트(32)를, 카세트 홀더(6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인출하여 잼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잼 처리가 종료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한 지폐 카세트(32)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눌러 슬라이드시켜, 카세트 홀더(60)에 수용한다.
지폐 카세트(32)를 수용한 후는, 안내 도어(64)를 화살표 D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닫기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지지 부재(72, 75)는 경사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복귀하고, 동시에 홀더대(62)는 상방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카세트 홀더(60)도 상승 이동하고, 안내 도어(64)가 완전하게 닫기 조작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는 지폐 반송부(20)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도시되지 않은 복귀 버튼을 누르면, 지엽 취급 장치(10)는 거래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내 도어(64)와 홀더대(62)를 연동 연결하고, 안내 도어(64)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홀더대(62)를 하방 이동시켜, 안내 도어(64)가 카세트 홀더(60)의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을 동일 높이면으로 하는 승강 링크 기구(70)를 구비함으로써, 지폐의 잼 처리 시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폐 카세트(32)를 카세트 홀더(60)로부터 용이하게 삽발할 수 있다.
즉, 안내 도어(64)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홀더대(62)가 하방 이동하므로, 이 하방 이동에 의해, 수수 반송로(21')와 지폐 카세트(32) 사이에서의 지폐의 수수 시에 발생한 잼 지폐는 스무스하게 뽑혀진다. 이 때문에, 그 후의 조작에서, 카세트 홀더(60)로부터 지폐 카세트(32)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홀더대(62)의 지지면(62a) 뿐만 아니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도 지폐 카세트(32)의 삽발 시의 보조대로서 이용함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삽입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안내 도어(64)의 내면에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가이드하는 안내 수단으로서의 안내 홈(65)을 형성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홀더(60)는 4 종류의 금종에 대응한 지폐 카세트(32A∼32D)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 도어(64)의 내면에는, 지폐 카세트(32A∼32D)를 가이드하는 안내 홈(65A∼65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지폐 카세트(32A∼32D)의 저부(하부)에는, 금종에 대응한 각 지폐 카세트(32)마다 다른 위치에 핀(67A∼67D)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핀(67A∼67D)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지폐 카세트(32A)에는, 도면의 우단 근방에 핀(67A)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지폐 카세트(32D)에는, 도면의 좌단 근방에 핀(67D)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핀(67A∼67D)은, 안내 도어(64)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 홈(65A∼65D)에 의해 개별로 가이드된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폐 카세트(32A∼32D)를 안내 홈(65A∼65D)을 따라서 화살표 G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각 지폐 카세트(3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카세트 홀더(6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카세트(32)를 가이드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안내 도어(64)의 내면에 안내 홈(65)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폐 카세트(32)의 안내용의 가이드 돌기를 설치하여도 되고, 혹은 가이드 레일 등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지폐 카세트(32)의 저부에 감합 오목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10)의 기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입금 거래 시에는, 고객에 의해 고객 조작부에서 입금 거래가 선택되면, 카드 삽입 취출구(15)에 카드가 삽입되고, 그 삽입된 카드의 정당성이 확인된 후, 지폐 투입 취출부(13)에의 지폐의 입금이 가능하게 된다.
이 입금에서는, 지폐 투입 취출부(13)의 셔터가 개방되어(도 1은 셔터가 닫혀 있을 때의 상태), 고객에 의한 지폐 투입 취출부(13)에의 지폐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고객이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지폐를 투입하고, 투입이 종료된 것을, 고객 조작부(12)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버튼을 터치 조작하여 본체 제어부(36)에 통지하면, 셔터가 폐쇄된다.
계속해서, 지금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투입된 지폐가, 화살표 a, h, b, c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감별부(29)에 반입된다. 지폐는, 감별부(29)를 통과하면서 감별된다. 즉, 지폐의 진위, 파손 상황, 오염 상황, 접혀진 상황, 금종, 표리 등, 지폐의 상태에 대한 감별이 행해진다.
감별 결과에 이상이 없는 지폐는, 화살표 d, e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일단 1차 보류부(27)에 적재된다. 그리고, 감별 처리가 종료되고, 1매라도 감별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1차 보류부(27)로부터, 화살표 f, h, b, c, d, w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투입 지폐 전액이 지폐 투입 취출부(13)로 반환된다. 또한, 이 때, 지폐는 감별부(29)를 통과하지 않고 지폐 투입 취출부(13)까지 반송된다.
또한, 감별 처리가 종료되고, 1매도 감별 결과에 이상이 없으면, 1차 보류부(27)로부터, 화살표 f, h, b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 중의 지폐가, 5000엔 또는 2000엔의 지폐일 때는, 차회 고객에게 불출하는 리사이클 지폐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리사이클 부적격권이므로, 예를 들면 5000엔 지폐의 경우는 화살표 n의 반송로로부터 부적격권 수납부(22A)에 수납된다.
또한, 예를 들면 2000엔 지폐의 경우이면, 화살표 n, o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통하여 부적격권 수납부(22B)에 수납된다.
또한, 부적격권 수납부(22A, 22B)에 수납되는 지폐를 2000엔권, 5000엔권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0000엔권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며, 운용에 맞춰서 적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살표 f, h, b로 나타내는 반송로로 반송 중인 지폐가, 가장 많이 거래되는 10000엔 지폐의 경우는, 차회 고객에게 불출하는 리사이클 지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폐이므로, 화살표 c, d, i, j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지폐 카세트(32A)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또한, 지폐 카세트(32A)가, 본체 제어부(36)에 의한 지폐 출입의 연산에 의해, 지폐가 가득찬 것이 판명되어 있을 때는,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반송로 상으로 반송되어, 인접하는 지폐 카세트(32B)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또한, 일례로서, 지폐 카세트(32A), 지폐 카세트(32B)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용에 맞춰서 지폐 카세트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카세트(32A) 및 지폐 카세트(32B)를 10000엔 지폐의 적재용으로 하고, 지폐 카세트(32C) 및 지폐 카세트(32D)를 1000엔 지폐의 적재용으로 하고, 지폐 카세트(32E) 및 지폐 카세트(32F)는,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출입이 간편한 예비용 지폐 카세트로 하고 있다.
예비용 지폐 카세트에의 조입 적재는, 화살표 n, o, p, s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지폐 카세트(32F)에, 또는 화살표 n, o, p, t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인접하는 지폐 카세트(32E)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수수 반송로(21')와 지폐 카세트(32)와의 사이의 지폐의 수수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알람이 작동된다. 이 때, 수수 반송로(21')의 롤러쌍과 지폐 카세트(32)의 롤러쌍에 걸쳐서 지폐가 물린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는, 지폐 카세트(32)를 수평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도어(64)를 회동 지점(6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열기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이에 기초하여, 연결 부재(74)가 지지 부재(72)의 상부 접점(72a)을, 하부 접점(72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72, 75)는 직립 상태로부터 경사지고, 지지 부재(72, 75)에 지지된 홀더대(62) 및 카세트 홀더(60)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윽고, 안내 도어(64)가 수평 위치(도 10의 일점 쇄선)로 조작된 상태에서, 홀더대(62)의 지지면(62a)과 안내 도어(64)의 내면(64a)이 동일 높이면으로 된다.
이 때, 카세트 홀더(6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수수 반송로(21')와 지폐 카세트(32)에 걸쳐서 물린 상태의 잼 지폐는 이탈된다. 이렇게 하여, 오퍼레이터는 잼이 발생한 지폐 카세트(32)를 카세트 홀더(60)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동일 높이면으로 된 홀더대(62) 및 안내 도어(64)를 가이드로 하여, 잼이 발생한 지폐 카세트(32)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인출하고, 잼 지폐를 빼낸다.
잼 처리를 종료하면, 그 지폐 카세트(32)를 눌러 슬라이드시켜, 카세트 홀더(60)의 소망의 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안내 도어(64)를 화살표 D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닫기 조작하면, 지지 부재(72, 75)는 경사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복귀하고, 동시에 홀더대(62) 및 카세트 홀더(60)도 상방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는 수수 반송로(21')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도시되지 않은 복귀 버튼을 누르면, 장치는 거래 가능 상태로 된다.
또한, 출금 거래 시에는, 고객에 의해 고객 조작부(12)에서 출금 거래가 선택되면, 카드 삽입 취출구(15)에 카드가 삽입되고, 또한 고객 조작부(12)의 표면 화면으로부터 암증 번호가 입력되고, 카드 및 암증 번호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고객에 의해 지정된 금액의 지폐가, 6개의 지폐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지폐 카세트(32)로부터 지폐 투입 취출부(13)에서 불출된다.
10 : 지엽 취급 장치
12 : 고객 조작부
13 : 지폐 투입 취출부
14 : 경화 투입 취출부
15 : 카드 삽입 취출구
16 : 통장 삽입 취출구
18A, 18B : 롤러쌍
19A, 19B 롤러쌍
20 : 지폐 반송부
21 : 주반송로
21' : 수수 반송로
22 : 부적격권 수납부
23 : 지폐 통과 검지 센서
24 : 지폐 유무 검지 센서
25 : 반송로 절환기
26 : 반송로 절환기
27 : 1차 보류부
28 : 센서 출력 검출부
29 : 감별부
30 : 지엽 수납체 수용부
31 : 반송 기구
32 : 지폐 카세트
33 : 리젝트부
34 : 회수 기구
36 : 본체 제어부
37 : ROM
38 : RAM
39 : HD
40 : FD
41 : 카드 리더 이미지 프린터부
42 : 통장 프린터부
43 : 고객 조작 제어부
44 : 반송 제어부
45 : 카드 리더부
46 : 카드 엠보싱 판독부
47 : 프린터부
48 : 컬러 디스플레이
49 : 터치 패널
50 : 주반송로부
51 : 카세트부
52 : 전원
54 : MPU
55 : 반송 모터부
56 : 게이트 마그네트부
57 : 펄스 모터부
58 : DC 모터부
60 : 카세트 홀더
62 : 홀더대
62a : 지지면
63 : 회동 지점
64 : 안내 도어
64a : 내면
65 : 안내 홈
66 : 카세트 수용부
67 : 핀
70 : 승강 링크 기구
71 : 핀
72 : 지지 부재
72a : 상부 접점
72b : 하부 접점
73 : 4절 링크
74 : 연결 부재
75 : 지지 부재
75a : 상부 접점
75b : 하부 접점
12 : 고객 조작부
13 : 지폐 투입 취출부
14 : 경화 투입 취출부
15 : 카드 삽입 취출구
16 : 통장 삽입 취출구
18A, 18B : 롤러쌍
19A, 19B 롤러쌍
20 : 지폐 반송부
21 : 주반송로
21' : 수수 반송로
22 : 부적격권 수납부
23 : 지폐 통과 검지 센서
24 : 지폐 유무 검지 센서
25 : 반송로 절환기
26 : 반송로 절환기
27 : 1차 보류부
28 : 센서 출력 검출부
29 : 감별부
30 : 지엽 수납체 수용부
31 : 반송 기구
32 : 지폐 카세트
33 : 리젝트부
34 : 회수 기구
36 : 본체 제어부
37 : ROM
38 : RAM
39 : HD
40 : FD
41 : 카드 리더 이미지 프린터부
42 : 통장 프린터부
43 : 고객 조작 제어부
44 : 반송 제어부
45 : 카드 리더부
46 : 카드 엠보싱 판독부
47 : 프린터부
48 : 컬러 디스플레이
49 : 터치 패널
50 : 주반송로부
51 : 카세트부
52 : 전원
54 : MPU
55 : 반송 모터부
56 : 게이트 마그네트부
57 : 펄스 모터부
58 : DC 모터부
60 : 카세트 홀더
62 : 홀더대
62a : 지지면
63 : 회동 지점
64 : 안내 도어
64a : 내면
65 : 안내 홈
66 : 카세트 수용부
67 : 핀
70 : 승강 링크 기구
71 : 핀
72 : 지지 부재
72a : 상부 접점
72b : 하부 접점
73 : 4절 링크
74 : 연결 부재
75 : 지지 부재
75a : 상부 접점
75b : 하부 접점
Claims (5)
-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엽을 반송하는 지엽 반송부와, 그 지엽 반송부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엽을 수납하는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삽발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엽 수납체 유지 틀과,
상기 지엽 수납체 유지 틀을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유지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유지 틀의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의 수용 입구에 배치되고, 그 수용 입구를 개폐하는 안내 도어와,
상기 안내 도어와 상기 유지대를 연동 연결하고, 상기 안내 도어의 열기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대를 하방 이동시켜, 상기 안내 도어가 상기 하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을 동일 높이로 하는 승강 링크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링크 기구는, 4절 링크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가이드하는 안내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의 하부에는, 각각 다른 위치에 핀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핀을 개별로 가이드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00412 | 2009-08-31 | ||
JP2009200412A JP5342965B2 (ja) | 2009-08-31 | 2009-08-31 | 紙葉取扱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712A true KR20110023712A (ko) | 2011-03-08 |
KR101165517B1 KR101165517B1 (ko) | 2012-07-16 |
Family
ID=4381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8393A KR101165517B1 (ko) | 2009-08-31 | 2010-03-30 | 지엽 취급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342965B2 (ko) |
KR (1) | KR101165517B1 (ko) |
CN (1) | CN10200508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03904B2 (en) * | 2019-05-20 | 2022-08-02 | Glory Ltd. | Coin handl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67321A (zh) * | 2012-06-28 | 2014-09-24 | 沃泰克斯能源私人有限公司 | 收出钞系统和方法 |
JP6447012B2 (ja) * | 2014-10-30 | 2019-01-0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処理装置 |
JP2016146142A (ja) * | 2015-02-09 | 2016-08-12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葉類処理機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
CN108292458B (zh) * | 2015-12-22 | 2020-06-02 | 冲电气工业株式会社 | 介质处理装置和介质交易装置 |
CN107301721B (zh) * | 2017-07-21 | 2023-01-17 | 江苏大学 | 一种智能型清分机械及其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4586A (ja) * | 1981-10-15 | 1983-04-16 |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自動入出金機 |
US4434931A (en) * | 1981-11-12 | 1984-03-06 | Umc Industries, Inc. | Cash box for paper currency |
JPH058273Y2 (ko) * | 1986-02-14 | 1993-03-02 | ||
JPH0199191A (ja) * | 1987-10-12 | 1989-04-18 | Oki Electric Ind Co Ltd | 紙幣自動支払い装置 |
JP2521087Y2 (ja) * | 1990-06-04 | 1996-12-25 |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紙幣出金機 |
JP2503818Y2 (ja) * | 1990-10-15 | 1996-07-03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出金機の金庫設定機構 |
US5641157A (en) * | 1995-06-02 | 1997-06-24 | Diversified Technologies, Inc. | Secure currency stacker box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
JP2001006018A (ja) * | 1999-06-25 | 2001-01-12 | Hitachi Ltd | 紙幣取扱装置 |
JP2001088907A (ja) * | 1999-09-20 | 2001-04-03 | Advantest Corp | 電子部品試験装置 |
JP3959297B2 (ja) * | 2002-04-10 | 2007-08-15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取扱装置 |
KR101094344B1 (ko) * | 2005-06-01 | 2011-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프레임 |
KR20060127478A (ko) * | 2005-06-07 | 2006-12-1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리싸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유동방지장치 |
KR20070028058A (ko) * | 2005-09-07 | 2007-03-1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저장부 |
CN101269765B (zh) * | 2008-05-05 | 2010-07-21 | 潍坊浩田印刷机械有限公司 | 单张纸配页机 |
-
2009
- 2009-08-31 JP JP2009200412A patent/JP534296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3-30 KR KR1020100028393A patent/KR1011655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3-31 CN CN2010101369443A patent/CN10200508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03904B2 (en) * | 2019-05-20 | 2022-08-02 | Glory Ltd. | Coin handl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005080B (zh) | 2013-06-12 |
JP5342965B2 (ja) | 2013-11-13 |
CN102005080A (zh) | 2011-04-06 |
KR101165517B1 (ko) | 2012-07-16 |
JP2011053801A (ja) | 2011-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7741B1 (ko) | 지엽 취급 장치 | |
KR101066750B1 (ko) | 지폐처리기 | |
JP5795990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6483281B2 (ja) | 自動取引装置 | |
KR20120031931A (ko) | 지폐 입출금기 | |
KR101165517B1 (ko) | 지엽 취급 장치 | |
WO2014155645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KR100399828B1 (ko) | 지폐류 수납 지폐카세트 및 자동거래장치 | |
JP6051060B2 (ja) | 紙幣取扱装置 | |
KR940003024B1 (ko) | 자동인출장치 | |
WO2014155644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2017049634A (ja) | 紙幣処理機 | |
JP5789562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KR101121905B1 (ko) | 지엽 취급 장치 | |
KR101280658B1 (ko) |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 |
JPH036794A (ja) | 紙弊入出金装置 | |
JPH04205088A (ja) | 自動入出金取引装置 | |
JP2001236548A (ja) | 紙幣入出金装置 | |
JP4750308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2864481B2 (ja) | 現金管理システム | |
JP2615197B2 (ja) | 現金入出金装置 | |
JP2908545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2908544B2 (ja) | 自動取引装置及び入出金装置に対する補充紙幣の金額確定方法 | |
JP2726409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JP2539510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