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147A -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147A
KR20110021147A KR1020090078769A KR20090078769A KR20110021147A KR 20110021147 A KR20110021147 A KR 20110021147A KR 1020090078769 A KR1020090078769 A KR 1020090078769A KR 20090078769 A KR20090078769 A KR 20090078769A KR 20110021147 A KR20110021147 A KR 2011002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spunbond
composite
meltbl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426B1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권경모
허성우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26B1/ko
Priority to JP2010067576A priority patent/JP2011047098A/ja
Publication of KR2011002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 지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하고, 상기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연속된 벨트 상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시키고 열압착이 가능한 칼렌더로 본딩하여 시트형태로 제조한 후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상대적인 신도 상승을 억제하므로 신도 상승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강도의 저하를 막아 촉감이 부드럽고, 액체 차단성이 뛰어나며 내보풀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심초형, 장섬유, 부직포, 다층구조.

Description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Multilayer non-woven fabric having an improved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는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하므로 접착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촉감이 부드럽고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는 화학섬유를 방사 공정에 의해서 만든 부직포를 지칭하는 것으로, 노즐에서 나오는 섬유를 주행하는 컨베이어 위에 날려 서 컨베이어 위에 긴 섬유의 층을 형성하여 제조한 부직포의 일종으로 제조 공정의 능률이 좋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멜트블로운 공정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기에 사용된 웹은 극세섬유이기 때문에 부드럽고 보온성이 우수하며 그리고 고도의 여과성능을 갖는 등 일반 부직포에서 얻을 수 없는 장점을 가지지만 웹 강도가 매우 약한 것이 결점이다. 이러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인 스펀본드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공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원료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이며, 이들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섬유화하고 웹을 형성하여 열접착 방식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에 공지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는 결정영역이 많아 유연하지 못하고, 우수한 촉감을 갖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공기분사 혹은 카딩하여 웹을 만들고 가열된 롤러로 접착시키는 공법, 혹은 에어스루 공법을 통한 단섬유 부직포가 있으나, 이러한 부직포는 감촉은 좋지만 내보풀성과 강도에 문제가 있고, 위생재의 슬림화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물리적 특성의 한계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폴리에틸렌 장섬유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는 비교적 유연하고 양호한 촉감은 가지나, 방사에 어려움이 있고 강도가 떨어지며 또한 신도가 높아서 기저귀나 생리대와 같은 위생재나 산업용으로 적용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12474호는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프로필렌계와 에틸렌계의 복합섬유로 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로서 특정의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하여 균일성이 양호하고, 유연성, 통기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각 층간의 접착 강도가 뛰어난 유연성 부직포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13756호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에 부드러운 촉감과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저융점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섬유가 고융점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심초형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층 사이에 멜트블로운 층을 형성하고 이를 열압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된 부직포는 저융점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장섬유에 의해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멜트블로운 층에 의해서 유연성이 떨어지고 또 스펀본드 부직포층과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못해 박리현상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신도가 증가되어 종래의 신도에 대한 문제점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기저귀나 생리대 등을 생산하는 고속설비에 폭이 수축되어 접착제(glue)가 설비 상에 묻어나거나 사용하는 제품 폭이 수축 폭을 고려하여 커지는 등의 공정상의 손실(loss)이 발생하고, 설비 장애(trouble)에 의한 설비 정대발생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부직포의 제반 문제점에 대한 배경을 기초로 하여 이들 부직포에 대해 해결이 요원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그 주요 목적으로 하여, 부직포의 접착강도의 저하를 막고 상대적인 신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신도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뿐 아니라, 액체 차단성이 뛰어난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심초형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층을 최외층으로 하고,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 사이에 내층을 형성하는 멜트블로운 층의 양을 최적화하여서 열압착하고 이후 특정한 방법으로 열풍에 의한 열처리를 하는 공정을 제공하므로 달성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 지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하고,
상기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연속된 벨트 상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시키고 열압착이 가능한 칼렌더로 본딩하여 시트형태로 제조한 후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는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는 80 내지 110℃임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흡인식 드럼으로 80℃ 이하에서 열처리하면 멜트블로운 층과 스펀본드 부직포 필라멘트의 저융점 중합체의 열적 셋팅 효과가 없어 신도의 증가가 억제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10℃ 이상에서는 소프트한 촉감을 훼손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최외층의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 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심초(SHEATH-CORE)형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층은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들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50 내지 50에서 70 내지 30이 되도록 복합 용융 방사하여 제조되는 복합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중량은 0.5 내지 2.0gsm/㎡임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이 0.5gsm/㎡ 미만이면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액체를 차단할 수 없으며 2.0gsm/㎡을 초과하게 되면 조직이 치밀하게 되어 합성수지 투과 차단에 효과적이나 소프트한 축감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 지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 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형성되고 연속된 벨트 상에 적층괴어 웹이 형성되고 열압착이 가능한 칼렌더로 본딩되어 시트형태로 제조된 후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되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의 사이드 게더(side gather), 백 시트(back sheet) 및 친수가공 탑 시트(top sheet)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층 부직포의 배경을 기초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심초형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최외층으로 하고,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 층 사이에 내층을 형성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양을 최적화하는 한편 흡인식 드럼을 사용하여 특정한 온도로 열풍에 의한 열처리를 하여 제조하므로, 상대적인 신도 상승을 억제하므로 신도 상승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강도의 저하를 막아 촉감이 부드럽고, 액체 차단성이 뛰어나며 내 보풀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부직포의 균제도가 양호하고 터치(touch) 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부직포는 종래에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는 각종 용도에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특히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의 사이드 게더(side gather), 백 시트 및 친수가공을 더한 탑 시트 등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제조하는 일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장섬유의 유연한 특성과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의 저신도, 고강력 특성을 조합함으로서 부드럽고 액체 차단성이 뛰어나면서도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적층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 위에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 가적으로 적층한 다음 다시 스펀본드 부직포 층을 적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는 특정한 층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단일층(멜트블로운 층 M, 또는 스펀본드 층 S), 두 층(SS 또는 SM)의 복합물 또는 3개 이상의 층(SMS, SMMS, SSMMS, SSMMSS 웹)의 복합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일 층은 중량(gsm)이 크게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폴리머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이들(올레핀,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기타 모노머)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또는 방사 가능한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복합"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고분자의 균질 혼합물 또는 이성분 섬유(Bi-component)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고분자의 비균질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성분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를 포함하는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 본 발명의 "심초형"이라 함은 두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펀본드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여 섬유의 형태를 심초(sheath-core) 형으로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두 성분의 중합체는 고융점 중합체 및 저융점의 중합체로 대별되는데, 고융점 중합체는 장섬유의 다른 성분 중합체 보다 융점이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 고융점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유연하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이 수지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9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 중합체로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융점 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이외에 폴리에틸렌, 예를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등을 들 수 있다. 저융점 중합체 성분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선택된 올레핀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융온도차 범위에 따라 고융점 성분 중합체보다 낮은 저융점을 갖는 것이면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업적 입수 용이성 때문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블랜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의 구조형태는 고융점 중합체를 중심으로 하여 저융점 중합체가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싸여서 된 심초형형, 측대측(side-by-side)형, 또는 해도(sea in island) 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합 장섬유의 고융점 중합체와 저융점 중합체의 구성비율은 섬유의 전체중량 기준 90/10 내지 10/90으로 될 수 있으며, 우수한 촉감을 나타내기 위해서 시쓰(SHEATH) 형인 저융점 중합체가 30 내지 50이고 우수한 강도를 위해서 코어(CORE) 형인 고융점 중합체가 50 내지 70의 비율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성분 중합체를 용융하여 제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분 중합체는 개별의 익스트루더(EXTRUDER; 1, 2)에서 각각 용융된 폴리머를 혼련시켜 제조된다. 용융된 성분 중합체는 개별의 익스트루더(1, 2)에서 다이(DIE; 3)로 이송되고 분배판(4)에서 섬유형태가 심초형인 경우 고융점 중합체는 7의 위치로, 저융점 중합체는 6의 위치로 인도되어, 여기에서 하부로 모여 노즐 홀(5)을 통해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형태에 따라 분배판을 달리하므로서 용이하게 섬유의 형태를 심초형형, 측대측 형태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모양의 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되고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웹이 형성된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으로, 용융지수(MI) 800 내지 13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다수개의 오리피스로 방사할 때 구금의 양쪽에서 강한 열풍으로 불어주어 극세사를 만들었다. 이때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의 접착강도를 떨어뜨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은 0.3 내지 2gsm/㎡이 바람직하며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gsm/㎡이 효과적이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이 0.3gsm/㎡ 미만이면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액체를 차단할 수 없으며 2gsm/㎡을 초과하게 되면 조직이 치밀하게 되어 합성수지 투과 차단에 효과적이나 소프트한 축감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의 데니어는 5.0d 이하, 바람직하게는 3.0d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d 이하이다.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섬도에서 부직포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1 내지 5㎛의 굵기를 가진다. 그 이유는 굵기가 굵게 되면 강도 및 촉감저하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다층구조 부직포는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 상에 스펀본드 부직포 층이 적층되고, 스펀본드 부직포 층 위에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이 적층되며, 최종적으로 스펀본드 부직포 층이 적층된다. 이렇게 적층된 부직포는 역학적 특성 및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여 열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열 칼렌더 롤을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 받아서 열점착되고 시트화 된다. 이때, 칼렌더 롤의 구성은 접착면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쪽은 통상적으로 접착면적이 10 내지 20%을 가지는 엠보스 롤(Emboss roll) 면, 다른 한쪽은 표면이 매끄러운 롤로 구성되며, 이때의 열적 온도는 120℃ 내지 16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와 같이 열적 본딩이 끝난 부직포 시트는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열처리에 의하여 스펀본드 층 내에 분산된 멜트블로운 층과 스펀본드 부직포 필라멘트의 시쓰형을 이루고 있는 저융점 중합체가 열적으로 셋팅(setting) 되어 저융점 중합체의 고 유의 물성인 부드러운 촉감은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이때의 열풍의 온도는 70℃ 내지 12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이다. 80℃ 이하에서는 멜트블로운 층과 스펀본드 부직포 필라멘트의 저융점 중합체의 열적 셋팅 효과가 없어 신도의 증가가 억제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110℃ 이상에서는 소프트한 촉감을 훼손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여 심초형 복합 용융 방사를 실시하여,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60/40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을 0.8gsm/㎡으로 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층으로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층시킨 후 열압착 후 온도가 100℃이며 60%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여 심초형 복합 용융 방사를 실시하여,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60/40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을 1.2gsm/㎡으로 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층으로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층시킨 후 열압착 후 온도가 100℃이며 60%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3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여 심초형 복합 용융 방사를 실시하여,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60/40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을 1.5gsm/㎡으로 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층으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층시킨 후 열압착 후 온도가 100℃이며 60%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4
고융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여 심초형 복합 용융 방사를 실시하여,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60/40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을 1.8gsm/㎡으로 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층으로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층시킨 후 열압착 후 온도가 100℃이며 60%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 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를 하지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2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를 하지않고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3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를 하지않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중 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4
열풍 흡인식 드럼 방식으로 열처리를 하지않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중량이 15gsm/㎡인 부직포를 얻었다.
실험예
상기에서 기술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제조된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에 대한 각종 특성치의 측정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이 측정 및 평가 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1) 인장 강신도
instron사의 인장 강신도 측정 설비를 사용하여 EDANA 20.2-89법에 의하여 시험편 사이즈(size)를 5cm(폭)×20cm(장)으로 하여 인장속도가 500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2) 내수압
FX-3000 시험기를 이용하여 DIN53,886 방법으로 농업용 부직포를 대상으로 내수압(Hydrostatic Head)을 측정하였다.
(3) 강연도
BENDING LENGTH 측정기를 이용하여 WSP90.5 Nonwovens bending length 방법으로 강연도를 측정 하였다.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중량 (g/㎡) 15 15 15 15 15 15 15 15
강도
(N/2.5cm)
MD방향 15.4 16.6 15.6 13.7 13.7 15.2 14.2 11.7
CD방향 7.3 8.3 7.4 6.8 6.9 7.8 7.3 6.3
5% 강도
(N/2.5cm)
MD방향 4.8 5.0 5.0 4.7 4.5 4.7 4.3 4.2
CD방향 1.3 1.5 1.3 1.0 0.8 0.9 0.7 0.6
신도
(%)
MD방향 69 65 75 79 95 100 105 108
CD방향 84 80 90 93 110 120 124 130
강연도
(mm)
MD방향 42 44 47 49 42 45 46 47
CD방향 32 33 34 36 31 32 34 35
내수압
(mmH2O)
- 135 145 155 165 120 137 141 145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를 제조하는 일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익스트루더 4 --- 분배판
5 --- 노즐 홀 6, 7 --- 중합체

Claims (7)

  1.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 지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을 이루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저융점 중합체가 고융점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하고,
    상기 심초형 장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연속된 벨트 상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시키고 열압착이 가능한 칼렌더로 본딩하여 시트형태로 제조한 후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는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는 80 내지 110℃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의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고융 점 중합체로는 230℃에서 용융지수(MI)가 30 내지 6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저융점 중합체로는 190℃에서 용융지수(MI) 25 내지 35g/10분이고 밀도가 0.9515 내지 0.9565인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SHEATH-CORE)형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층은 초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들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가 50 내지 50에서 70 내지 30이 되도록 복합 용융 방사하여 제조되는 복합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 사이의 멜트블로운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중량은 0.5 내지 2.0gsm/㎡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7.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의 사이드 게더(side gather), 백 시트(back sheet) 및 친수가공된 탑 시트(top sheet)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청구항 6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KR1020090078769A 2009-08-25 2009-08-25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69A KR101212426B1 (ko) 2009-08-25 2009-08-25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67576A JP2011047098A (ja) 2009-08-25 2010-03-24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複合スパンボンド長繊維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69A KR101212426B1 (ko) 2009-08-25 2009-08-25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47A true KR20110021147A (ko) 2011-03-04
KR101212426B1 KR101212426B1 (ko) 2012-12-13

Family

ID=4383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69A KR101212426B1 (ko) 2009-08-25 2009-08-25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47098A (ko)
KR (1) KR1012124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08B1 (ko) * 2011-03-28 2013-08-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2804B1 (ko) * 2011-04-06 2013-09-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183B1 (ko) * 2011-08-02 2013-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20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멜트 블로잉 공정에서 단사(斷絲)의 가능성을 합성 수지의 유변학적 물성으로부터 예측하는 방법
KR20180056892A (ko) * 2016-11-21 2018-05-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3042B (zh) * 2009-12-09 2016-03-02 博纳有限公司 地毯基底布
CN103556400B (zh) * 2013-10-28 2016-06-08 深圳市中纺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型防辐射复合无纺布的制造方法
KR102163071B1 (ko) 2017-07-06 2020-10-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신율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88654B (zh) * 2017-12-19 2020-08-04 广东蒙泰高新纤维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pe-pp双组份皮芯结构复合长丝及其制备方法
CN108823812B (zh) * 2018-07-30 2020-07-31 大连华阳百科科技有限公司 一种涤锦复合纺粘热轧热风固结非织造布生产方法
JP7253769B2 (ja) * 2019-01-17 2023-04-07 関西電子株式会社 積層シート体の製造装置
KR102249578B1 (ko) 2019-12-30 2021-05-10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후크 체결력이 우수한 장섬유 부직포 루프
KR102249579B1 (ko) 2019-12-30 2021-05-10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다중 후크 체결부재용 장섬유 부직포 루프
CN113914014A (zh) * 2021-10-25 2022-01-11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丝柔细旦无纺布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017B2 (ja) * 1990-04-03 2001-01-15 チッソ株式会社 熱接着性繊維および不織布
US5817584A (en) * 1995-12-22 1998-10-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efficiency breathing mask fabrics
JP3844390B2 (ja) 1997-11-26 2006-11-08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WO1999049120A1 (fr) * 1998-03-24 1999-09-30 Mitsui Chemicals, Inc. Stratifie de non-tisse flexible
JP2005036321A (ja) * 2003-07-15 2005-02-10 Chisso Corp 熱接着性複合繊維、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製品
KR100579438B1 (ko) * 2004-12-09 2006-05-1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JP4804337B2 (ja) * 2006-12-27 2011-11-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08B1 (ko) * 2011-03-28 2013-08-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2804B1 (ko) * 2011-04-06 2013-09-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183B1 (ko) * 2011-08-02 2013-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20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멜트 블로잉 공정에서 단사(斷絲)의 가능성을 합성 수지의 유변학적 물성으로부터 예측하는 방법
WO2018074732A1 (ko) *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멜트 블로잉 공정에서 단사의 가능성을 합성 수지의 유변학적 물성으로부터 예측하는 방법
US10976229B2 (en) 2016-10-17 2021-04-13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a synthetic resin filament in a melt blowing process from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resin
KR20180056892A (ko) * 2016-11-21 2018-05-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47098A (ja) 2011-03-10
KR101212426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26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9183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P0754796B1 (en) Nonwoven laminate fabric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KR100640138B1 (ko) 복합 부직 시트 재료
EP1980390B1 (en) Nonwoven-fabric laminate, moisture-permeable nonwoven-fabric laminated sheet comprising nonwoven-fabric laminate, and sanitary supply employing these
KR20110027973A (ko)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3955650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479888B2 (en)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JP2004501287A (ja) メルトブローンウェブ
US10767296B2 (en) Multi-denier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0268113B (zh) 液压处理的非织造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837204B1 (ko)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594B1 (ko) 볼륨감이 우수한 친수 장섬유 부직포
KR102118719B1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KR10187470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4918A (ko)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1277B1 (ko) 멜트블로운 폴리락트산을 포함한 다층 구조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79438B1 (ko)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KR101646338B1 (ko)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EP3749517B1 (en) Lofty nonwoven fabrics
KR20040013756A (ko)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6137B1 (ko) 다층 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54993A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KR101833494B1 (ko) 다층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