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908B1 -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908B1
KR101293908B1 KR1020110027527A KR20110027527A KR101293908B1 KR 101293908 B1 KR101293908 B1 KR 101293908B1 KR 1020110027527 A KR1020110027527 A KR 1020110027527A KR 20110027527 A KR20110027527 A KR 20110027527A KR 101293908 B1 KR101293908 B1 KR 10129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econdary battery
melting point
polym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837A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0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PMP, MP3 플레이어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이차전지의 절연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의 투과성이 용이한 기공도를 가질 뿐 아니라 제조 공정에 필요한 인장강도 또한 갖는 이차전지 절연재용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이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이종의 폴리머는 저융점 폴리머와 고융점 폴리머로 되며, 상기 저융점 폴리머는 상기 고융점 폴리머 대비 융점이 30 내지 40℃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이고, 상기 부직포는 칼렌더 및 엠보싱 열융착을 통해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장섬유 부직포는 이종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역학적 강도를 확보하고 섬유 간 형성된 기공을 통하여 전해액을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불투과성 시트 사용시에 필요했던 전해액 주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인 주입구를 위한 타공 공정이 제거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부가하여 전해액의 정확한 주입량을 통해서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불량율이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n insulator of the seconda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PMP, MP3 플레이어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이차전지의 절연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의 투과성이 용이한 기공도를 가질 뿐 아니라 제조 공정에 필요한 인장강도 또한 갖는 이차전지 절연재용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차전지란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해서 다시 쓸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현재 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PMP, MP3 플레이어 등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멀티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는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들은 에너지 밀도가 더욱 높아진 이차전지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고기능 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친환경 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핵심 기술 중 하나도 바로 이 이차전지이다. 완전한 전기자동차 개발의 관건도 이차전지에 달려 있다. 이차전지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경제적이고 고속 충전이 가능하며 안전성이 높은 고밀도의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이차전지는 음극이나 양극에 쓰이는 물질에 따라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메탈수소전지, 리튬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리튬전지는 중금속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차세대 전지로서, 작은 부피에도 높은 효율성을 갖춰 휴대폰에서부터 전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리튬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다시 리튬금속전지(LB), 리튬이온전지(LIB), 리튬폴리머전지(LPB), 그리고 리튬이온폴리머전지(LIPB)로 구분된다. 현재 대부분의 휴대폰과 노트북 컴퓨터에 쓰이는 전지는 리튬이온전지이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극(cathode), 음극(Anode), 분리막(Separator), 전해질, 절연재 및 기타 부품으로 구성되어 진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이차전지의 절연재로는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시트(sheet)화 하여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트형 절연제는 불투과성이므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타공을 통한 구멍을 형성시켜야만 하고, 이와 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타공 공정은 이차전지의 생산속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전해액을 주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134549호는 리튬 이차전지의 상절연판은 다수의 홀을 구비하고, 하절연판은 전해액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홈을 구비하여 전해액의 함침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의 하부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하절연판,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하절연판의 적어도 일측 면에는 바둑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와 "상기 하절연판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인 것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차전지에 있어서, 절연재에 전해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는 그 구조 또는 형상적인 변화를 통한 개선책만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 이차전지의 생산성과 효율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해결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1345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이차전지의 절연재(insulator)에 어떠한 형상의 홈이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전해액을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제조 공정에 필요한 인장강도를 갖는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절연재(Top insulator)를 하기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인 전해액 불투과성에 따른 타공하는 공정의 생략화 및 정확한 전해액 투입 등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달성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는 가공 공정에 적합한 역학적 특성과 원활한 전해액 투입을 위해 기공도(Porosity)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세하게는 역학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용융온도가 다른 이종의 폴리머에 의한 열융착 향상을 통한 역학적 강도 부여 및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와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전해액 투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함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이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이종의 폴리머는 저융점 폴리머와 고융점 폴리머로 되며, 상기 저융점 폴리머는 상기 고융점 폴리머 대비 융점이 30 내지 40℃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이고, 상기 부직포는 칼렌더 및 엠보싱 열융착을 통해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의 내측부(Core)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장섬유를 구성하는 이종의 폴리머는 융점이 190 내지 240℃인 저융점 폴리머가 섬유의 외측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융점이 240 내지 280℃인 고융점 폴리머가 섬유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그 기초중량이 140 내지 180gsm, 더욱 우수하기로는 150 내지 170gsm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2 내지 8데니아이며, 장섬유 부직포의 기공도(Porosity)는 50%를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고융점 폴리머 칩 및 저융점폴리머 칩을 각각 건조하고 각기 다른 익스트르더(Extruder)에서 용융하여 유체화 하는 단계;
상기 유체를 복합방사 구금을 통하여 고융점 폴리에스터는 코아부에 위치되고 저융점 폴리에스터는 시스부에 위치되도록 2종의 폴리머를 복합화하여 특정 형태의 복합섬유로 방사하는 단계;
방사되는 복합섬유를 냉각공기로 결정화 고체화하면서 연신이 되는 이젝터로 공기와 함께 이송하고, 연신된 복합 장섬유를 개섬하여 다공성 벨트 상에 웹으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웹을 상·하 롤이 평활한 열융착 롤에 의해서 결합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장섬유 부직포는 이종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역학적 강도를 확보하고 섬유 간 형성된 기공을 통하여 전해액을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불투과성 시트 사용시에 필요했던 전해액 주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인 주입구를 위한 타공 공정이 제거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부가하여 전해액의 정확한 주입량을 통해서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불량율이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의 절연성 특성과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 및 열압착 정도를 통한 기공도(Porosity)를 조정하고 저융점 및 고융점 폴리머의 양의 조절을 통하여 역학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서 우수한 이차전지 절연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산업적으로 공정의 단순성을 부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은 통상적인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로, 도 1a는 리튬이온 원통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리튬이온 각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절연제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가 사용된 절연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통상적인 이차전지의 절연제로 폴리프로필렌 시트로 된 절연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a는 리튬이온 원통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리튬이온 각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절연제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가 사용된 절연제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제용 부직포는 이차 전지의 상부절연제(Top Insulator; 1) 및 하부절연제(2)의 제조에 사용되어 질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연제용 부직포는 상부절연재(1)에 적용되어 진다. 종래의 소재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액체 불투과성으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시트 상에 주입구(10)를 타공하여야 했으나, 상기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는 다공성으로 전해액이 투과되므로 타공이 필요 없게 되어 획기적으로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제용 부직포는 고유점도(IV)가 0.60 내지 0.70인 폴리에스테르 칩을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100ppm 이하가 되도록 결정화 및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만일, 고유점도(IV)가 0.6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면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고유점도(IV)가 0.7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면 방사가 잘되지 않아 고속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제용 부직포는 섬유 간 융착에 의한 우수한 내구성과 형태안정성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해서 섬유 내 폴리머 구성을 저융점 폴리머를 외측부로 하고 고융점 폴리머를 내측부로 하는 쉬스-코어(Sheath-Core) 복합방사섬유 부직포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의 한 측면을 따라서 저융점 폴리머와 다른 측면은 고융점 폴리머가 구성되는 사이드바이사이트(SIDE-BY-SIDE)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내측의 고융점 폴리머가 한쪽 면의 편심된 편심형 시이스 코아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며, 섬유의 내측부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는 융점이 240 내지 280℃로 고강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섬유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이소프탈릭산(IPA)이 공중합 된 것으로 IAP의 화학식은 C6H4(COOH)2로 나타낸다. 공중합 시 IAP의 함량은 5 내지 20mol%이며, 우수하기로는 8 내지 15mol%이고, 더욱 우수하기로는 10 내지 13mol%이다. 이때, 형성된 공중합 폴리머의 융점은 190 내지 240℃의 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체용 부직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섬유 집합체의 밀집도와 기공도(Porosity)에 따라 이차전지의 전해액의 투과성이 결정되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는 섬유의 폴리머 구성비, 섬도 및 열융착 조건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기공도(Porocity), ε = 1-부직포 밀도(α)
부직포 밀도, α = 섬유의 총 체적/웹의 총 체적
= Vf/Vweb = Wf/ρf/tA = 기초 중량/tρf
여기서,
Vf : 섬유의 체적
Vweb : 웹의 체적
Wf : 웹의 무게
ρf: 폴리어의 밀도
T : 웹의 두께, A : 웹의 면적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섬유의 섬도는 2 내지 8 데니어가 적합하다. 섬도가 낮으면 기공크기가 작게 되어 원활한 전해액 투과가 어렵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성분 폴리머의 구성비에 따라 섬유 간 열융착 특성과 부직포의 역학적 물성이 변화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섬유의 외측부에 해당하는 저융점 폴리머의 구성비를 15 내지 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30중량%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저융점폴리머의 구성비가 15중량%보다 낮으면 섬유 간 접착력이 낮아 역학적 강도도 저하되어 이차전지 절연제로 제조하는 성형공정 이후에 파단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머의 구성비가 40중량%보다 높으면 과도한 섬유가 융착으로 표면이 필름화되어 기공도가 저하되므로 충분한 전해액 투과성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섬유 코아부의 고융점 폴리머의의 비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므로 우수한 강도를 얻을 수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 절연재용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은 고융점 폴리머 칩 및 저융점폴리머 칩이 각각 건조되고 각기 다른 익스트르더(Extruder)에서 용융되어 유체화되고 복합방사 구금을 통하여 고융점 폴리에스터는 코아부에 위치되고 저융점 폴리에스터는 시스부에 위치되어 2종의 폴리머가 복합화되어 시스-코아 형태의 복합섬유로 방사된다. 또한, 상기 시스-코어 형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및 편심된 시크-코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방사되는 노즐(Nozzle)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방사되는 복합섬유는 냉각공기로 결정화 고체화되면서 연신이 되는 이젝터로 공기와 함께 이송된다. 연신된 복합 장섬유(필라멘트)는 개섬되어 다공성 벨트상에 웹으로 적층된다. 형성되는 웹의 중량은 폴리머의 토출량과 벨트 속도에 의해 정해진다. 이차전지 절연재로 적합한 부직포의 중량은 140 내지 180gsm이며 더욱 우수하기로는 150 내지 170gsm이다. 만일 중량이 낮으면 전해액 투과성이 양호하나 역학적 강도가 낮아 공정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중량이 높으면 기공도(Porosity)가 낮아 전해액 투과성이 나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웹은 상·하 롤이 평활한 열융착 롤(칼렌더 롤)에 의해서 결합된다. 칼렌더 롤은 열 매체에 의해서 열이 부여되며 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에 있어 칼렌더의 온도 범위는 130 내지 200℃이며 압력은 40 내지 80kg/cm이다. 칼렌더의 온도 및 압력이 낮으면 저융점 폴리머를 용융할 수 없기 때문에 섬유 간 결합을 시킬 수 없어 낮은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온도 및 압력이 과도하게 높으면 섬유가 평활한 칼렌더 롤 표면에 의해서 과도하게 압착되어 기공도가 과도하게 낮게 되어 전해액 투과가 되지않아 생산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절연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값은 다음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 중량(Weight) : EDANA 40.3 - 90
(2) 인장강신도(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 EDANA 20.2 -89
(3) 두께(Thickness) :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
(4) 기공도(Porosity) : 부직포 내 섬유의 충진도에 따른 기공도
실시예 1
고유점도(IV)가 0.65 정도인 폴리에스테르 칩을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100ppm 이하가 되도록 결정화 및 건조시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결정화되고 건조된 칩을 220 내지 280℃ 온도의 각각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켜 저융점 폴리머는 섬유의 외부층에 고융점 폴리머는 섬유의 내부층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때 형성되는 섬유의 섬도는 약 5데니아가 되도록 연신비를 조절하여야 한다.
방사된 폴리머는 벌집모양의 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약 20℃의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 고화하며, 이때 냉각공기 풍속은 약 30m/min으로 하였다. 냉각된 폴리머를 공기압이 약 5kg/㎠인 이젝터를 통하여 필라멘트를 연신시킨다.
이 필라멘트를 일정한 각도와 속도로 충돌판에 충돌시켜 필라멘트를 분산시키고, 이동되는 스핀벨트 위에 균일하게 하부의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시켜 웹을 형성시킨다. 상기 웹의 기본 중량은 폴리머의 토출량과 스핀벨트의 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70g/㎡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웹은 상하 평활한 칼렌더 롤에 의해서 두께를 조절하고 엠보싱 열융착을 통해서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부직포를 생산하고,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초중량 및 섬유의 구성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에서 기초중량 및 섬유의 구성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기초 중량(g/㎡) 170 150 200 80
섬유구성비(%) HP 85 80 85 100
LMP 15 20 3 -
칼렌더 온도(℃) 160 160 180 150
압력(kg/cm) 70 70 70 50
물성
Porosity(%) 63 63 50 96
강도
(kg/5cm)
MD 90 68 96 42
CD 58 48 62 25
신도
(%)
MD 58 41 58 45
CD 58 42 57 44
두께(mm) 0.051 0.044 0.044 0.032
전해액 투과성 우수 우수 불량 우수
공정 중 파단 현상 없음 없음 없음 발생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 절연재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기초 중량의 범위, 다공성 및 역학적 강도가 특정한 범위로 확보되게 하여, 생산성과 절연성을 우수한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 상부 절연제
2 --- 하부 절연제
3 --- 양극
4 --- 세퍼레이터
5 --- 음극
10 --- 주입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이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이종의 폴리머는 융점이 190 내지 240℃인 저융점 폴리머가 섬유의 외측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융점이 240 내지 280℃인 고융점 폴리머가 섬유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부직포는 칼렌더 및 엠보싱 열융착을 통해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그 기초중량이 140 내지 180gsm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2 내지 8데니아이며, 장섬유 부직포의 기공도(Porosity)는 50%를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절연재용 부직포.
  6. 삭제
KR1020110027527A 2011-03-28 2011-03-28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27A KR101293908B1 (ko) 2011-03-28 2011-03-28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27A KR101293908B1 (ko) 2011-03-28 2011-03-28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37A KR20120109837A (ko) 2012-10-09
KR101293908B1 true KR101293908B1 (ko) 2013-08-06

Family

ID=4728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527A KR101293908B1 (ko) 2011-03-28 2011-03-28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70B1 (ko) * 2013-05-21 2019-10-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286A (ko) * 1998-03-31 1999-10-15 구광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20040013756A (ko) * 2002-08-08 2004-02-1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80217A (ko) * 2006-01-25 2008-09-02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KR20110021147A (ko) * 2009-08-25 2011-03-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286A (ko) * 1998-03-31 1999-10-15 구광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20040013756A (ko) * 2002-08-08 2004-02-1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80217A (ko) * 2006-01-25 2008-09-02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열접착성 적층 부직포
KR20110021147A (ko) * 2009-08-25 2011-03-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37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qas et al. Recent development in separators for high‐temperature lithium‐ion batteries
US20130300033A1 (en) Fibrous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ing method thereof
KR102226140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다층 하이브리드 전지 분리막
JP6052813B2 (ja) 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5678201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り形成した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JP5658758B2 (ja) 積層多孔性フィルム、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電池
KR100927570B1 (ko) 적층 다공성 필름 및 전지용 세퍼레이터
JP6208663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形成された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
US11557812B2 (en) Separators, batteries, systems,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KR101735510B1 (ko)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20251853A1 (en) Fibrous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37794A (ko)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전지, 그리고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CN107210407A (zh) 用于锂离子二次电池的改进的多层微孔膜隔板及相关方法
JP6154585B2 (ja) 積層多孔性フィルム
JP5130011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CN103782436B (zh) 包括绝缘体的二次电池
KR20040040471A (ko) 납축전지용 강화 다층 격리판
KR101490883B1 (ko) 이차전지용 복합부직포 분리막 및 제조방법
CN104684732A (zh) 具有均匀的孔隙度和增强的耐击穿性的微孔隔膜-薄膜
CN105374969A (zh) 一种带夹层锂电池隔膜、锂电池及锂电池隔膜制造方法
KR101293908B1 (ko)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6117493B2 (ja) 積層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1910222B1 (ko) 이차 전지용 고내열성 다층 분리막
CN104752662A (zh) 具有优良渗透性的多层隔膜
KR101816764B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