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670B1 -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670B1
KR102036670B1 KR1020130057060A KR20130057060A KR102036670B1 KR 102036670 B1 KR102036670 B1 KR 102036670B1 KR 1020130057060 A KR1020130057060 A KR 1020130057060A KR 20130057060 A KR20130057060 A KR 20130057060A KR 102036670 B1 KR102036670 B1 KR 10203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point
polyester
nonwoven fabric
present
thermo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695A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이현우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6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몰딩(plastic moulding) 제품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수한 방음효과와 형태 안정성을 갖는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융점이 250℃ 이상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120 내지 22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가 70~90 : 10~30의 중량비로 웹이 형성되어 니들 펀칭이나 열압착에 의해 100g/㎡ 내지 1000g/㎡의 단위 중량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를 일정량 함유되도록 혼합방사하므로 부직포가 자체적으로 결합력을 가지고 있어서 복합화시키거나 바인더 없이 자체적으로 열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을 줄이고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또한 부직포 시트를 열프레싱 가공하면 형태안정성이 유지되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흡음성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eparing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 thermal-forming property }
본 발명은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몰딩(plastic moulding) 제품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수한 방음효과와 형태 안정성을 갖는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몰딩 제품은 제조 및 성형성에 간편성은 있으나, 이들 원료의 제품은 그 재질의 특성상 완제품에 공극이 없어 방음 등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방음이 요구되는 부분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만족스러운 성형성에 방음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우레탄이라든지 다양한 소재의 펠트 제품을 바인더를 사용하여 복합화시킨 제품들이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00207호에서는, 자동차의 천정 및 보닛 덮개(Bonnet Hood) 등에 적용되어 우수하고 양호한 흡음성과 차음성을 갖도록 한 자동차 내장용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성형기재는 자동차 내장용 성형기재의 제조시 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우레탄 폼이 차체에 접하는 면에 발포 플라스틱층을 접착하고, 반대면(자동차 실내에 접하는 면)에 다공성 부직포를 접착함으로서, 흡음성과 차음성이 동시에 달성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품들은 이들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분진이 많이 발생하고, 또한 유기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환경이 좋지 않으며 재활용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이 기술 분야에서의 문제점이 인식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노력들이 기울어져,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00746호의 자동차용 흡음제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차용 흡차음 성형기재에 있어서, 상기 흡차음 성형기재는 PET섬유(Polyester staple fiber)를 소재로 종류별 특성에 따라 분포도를 달리하여 고밀도층과 저밀도층에 의한 연질층과 경질층으로 세분화하여 다층구조로 된 WEB적층체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009327호에서는 고용융성 섬유 및 접착성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압축된 섬유 웨브에 의해 형성된 열성형 가능한 방음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착성 섬유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용융성 섬유를 코팅하고 섬유 매트릭스 내의 틈새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022130호는 자동차 열성형용 난연 부직포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인계 난연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열성형용 난연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차 열성형용 난연 부직포는 난연성 조성물이 균일하게 살포 및 흡착되어 있고, 아크릴계 바인더가 부직포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어서 열 성형 처리시에 난연 조성물의 가교제가 가교됨으로써 난연성 및 강도가 더욱 향상되고, 부직포가 수축되는 일이 없어 부직포 구조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들은 내부 공극을 갖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방음성 효과를 얻음과 함께 가교제 등을 사용하여 형태안정성을 갖게 하므로 플리스틱 몰딩을 대체하려고 시도된 것으로, 형태안정성과 방음성에 부가하여 생산성의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열성형 가능한 부직포 재질의 성형기재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002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00746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009327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0221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몰딩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성형성 및 안정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방음효과를 가지고 생산성이 우수한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 제조 시 융점이 낮은 섬유를 함께 방사함으로써 그 섬유가 바인더 역할을 하여 열성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플라스틱 몰딩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우수한 형태 안정성과 방음효과를 가지는 구성을 밝혀내어 완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융점이 250℃ 이상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120 내지 22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가 70~90 : 10~30의 중량비로 웹이 형성되어 니들 펀칭이나 열압착에 의해 100g/㎡ 내지 1000g/㎡의 단위 중량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융점이 250℃ 이상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120 내지 22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70~90 : 10~30의 중량비로 동시에 방사한 후 웹으로 형성하여 니들 펀칭하거나 엠보싱롤을 통과시켜 열압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는 융점이 120 내지 180℃의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터의 방사는 섬도 2 내지 10de의 섬도로 방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저융점의 폴리에스터를 일정량 함유되도록 혼합방사하므로 부직포가 자체적으로 결합력을 가지고 있어서 복합화시키거나 바인더 없이 자체적으로 열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을 줄이고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또한 부직포 시트를 열프레싱 가공하면 형태안정성이 유지되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흡음성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흡음재는 흡음 방식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 공명 흡음재, 판상 흡음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공질 흡음재는 유리섬유, 식물성 섬유류, 발포 플라스틱 같이 표면과 내부에 미세한 구멍이 있는 소재로 재료 표면에 입사한 음파가 다공성 흡음재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면서 주변 벽에 마찰이나 저항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흡음을 하는 원리이다.
다공질 흡음재의 경우 소재의 두께나 재질, 통기성 등에 의해 흡음 특성이 변화하며 중, 고 주파수에서는 흡음성능이 좋으나 저주파에서는 성능이 떨어지고 통기성이 저하되면 중, 고 주파수에서도 흡음성능이 떨어진다.
공명 흡음재는 저음 주파수가 심한 곳에 빈 병을 놔두면 울림이 쉽게 없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병 입구에서 공기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면서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흡음을 하는 것으로 보통 70~300Hz 범위에서 일어나며 흡음 주파수와 공명 주파수가 일치 하는지 확인을 하여야 한다.
판상 흡음재의 경우 플라스틱이나 합판 같은 얇은 판상 소재에 음이 입사되면 미세한 진동을 하면서 에너지의 변환이 일어나 흡음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것으로 얇을수록 흡음효과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흡음 특성은 다공질 흡음 방식으로 다공질 흡음 방식의 소재에 막이나 표면에 도장을 할 경우에는 통기성이 떨어져 흡음성능이 현저히 감소된다.
바인더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통기성을 떨어뜨리지 않아 최대한 흡음성능을 유지하면서 열 성형이 가능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아래에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융점이 250℃ 이상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120 내지 22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가 70~90 : 10~30의 중량비로 웹이 형성되어 니들 펀칭이나 열압착에 의해 100g/㎡ 내지 1000g/㎡의 단위 중량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동시에 방사한 후 웹으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부직포 시트를 열프레싱 가공하면 형태안정성이 유지되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흡음성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에 따라 저융점 폴리에스터의 함량에 따라 형태안정성과 흡음성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융점이 250℃ 이상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120 내지 22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70~90 : 10~30의 중량비로 동시에 방사한 후 웹으로 형성하여 니들 펀칭하거나 엠보싱롤을 통과시켜 열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는 융점이 120 내지 180℃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터의 방사는 섬도 2 내지 10de의 섬도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프레싱 기계를 통해 150℃에서 10초간 프레싱을 하여 보드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는 본 발명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융점이 250℃인 고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함)와 융점이 150℃인 저융점 PET의 혼합비를 고융점:저융점=90:10으로 하여 방사를 한다. 방사한 섬유는 이젝터(Ejector)를 통해 연신이 되고 충돌판에 충돌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랜덤하게 적층된다. 이때 단위 중량은 500g/㎡이 되도록 컨베이어 속도를 조정한다. 이렇게 형성된 웹은 카렌다롤에서 프리-본딩(Pre-bonding)을 하여 니들펀칭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부직포를 열프레싱 기계를 통해 150℃에서 10초간 프레싱을 하여 보드형태로 제작을 하였다.
실시예 2.
고융점 PET와 저융점 PET의 혼합비가 70: 30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비교예 1.
고융점 PET와 저융점 PET의 혼합비가 95: 5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비교예 2.
고융점 PET와 저융점 PET의 혼합비가 60: 40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실험예
1. 형태안정성: 보드형태로 제작된 물품의 형태안정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X : 사용불가, ○: 사용 가능, ◎: 매우 좋음
2. 소음감소계수: KSF 2805에 기재된 방법에 의거하여 흡음률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항목 원료 비율(%) 형태안정성 소음감소계수
고융점 PET 저융점 PET
실시예 1 90 10 0.56
실시예 2 70 30 0.51
비교예 1 95 5 X 0.58
비교예 2 60 40 0.3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융점 PET섬유의 비율이 10% 이하가 되면 형태안정성이 좋지 않아 사용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30% 이상이 되면 형태안정성은 좋으나 흡음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발포 우레탄을 대신하여 몰딩제품에 적용하기 위해 바인더 없이 열성형되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융점이 250℃인 고융점 폴리에스터와 융점이 120~180℃인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70~90 : 1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방사하는 과정과; 상기 방사한 섬유를 이젝터(Ejector)를 통해 연신하고 충돌판에 충돌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랜덤 적층함으로써 웹을 형성하는 과정과; 이렇게 형성된 웹을 열프레싱하여 보드형태로 제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 방사과정에서는 섬도가 2~10de 가 되도록 하고,
    상기 웹 형성과정에서는 컨베이어 속도를 조절하여 부직포 중량이 100g/m2~1000g/m2 이 되도록 하며,
    상기 열프레싱 과정에서는 먼저 카렌다롤에서 프리-본딩(Pre-bonding)해준다음, 니들펀칭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엠보스롤을 통과하여 열압착해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30057060A 2013-05-21 2013-05-21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3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60A KR102036670B1 (ko) 2013-05-21 2013-05-21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60A KR102036670B1 (ko) 2013-05-21 2013-05-21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95A KR20140136695A (ko) 2014-12-01
KR102036670B1 true KR102036670B1 (ko) 2019-10-25

Family

ID=5245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60A KR102036670B1 (ko) 2013-05-21 2013-05-21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0938B2 (en) 2018-12-20 2021-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laminate including a formed nonwoven substr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85B1 (ko) * 2016-07-29 2018-07-20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1006B1 (ko) * 2016-07-29 2018-09-06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540B1 (ko) * 2017-07-07 2021-03-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320B2 (ja) 2002-04-17 2007-12-05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膜
KR101194358B1 (ko) * 2008-12-19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412B1 (ko) 1999-10-01 2002-10-19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AUPQ883000A0 (en) 2000-07-19 2000-08-10 I.N.C. Corporation Pty Ltd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KR100416100B1 (ko) 2001-06-27 2004-01-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흡차음재
KR20100022130A (ko) 2008-08-14 2010-03-02 (주)한국아이피보호기술연구소 특허침해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3908B1 (ko) * 2011-03-28 2013-08-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절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5414A (ko)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320B2 (ja) 2002-04-17 2007-12-05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膜
KR101194358B1 (ko) * 2008-12-19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0938B2 (en) 2018-12-20 2021-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laminate including a formed nonwoven substrate
US11833805B2 (en) 2018-12-20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laminate including a formed nonwoven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95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059079B2 (en) Deep draw composites and methods of using them
US6204209B1 (en) Acoustical composite headliner
EP1851091B1 (en) The member for interior products of motor vehic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US20130341120A1 (en) Soundproof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US11186931B2 (en) Process for producing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KR102036670B1 (ko)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US20100147621A1 (en) Sound attenuating articles having rebulkable nonwoven web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20150065423A (ko) 경량성 다층 복합 기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05661A1 (en) Thermoplastic formed panel, intermediate panel for the fabr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id panel and said intermediate panel
US20190061311A1 (en) Multi-layer acoustic and/or reinforcing non-woven fabric
JP2019513620A (ja) 自動車の内装用防音トリ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4823376B1 (ja) 複合材料を用いた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5148B1 (ko) 복수의 흡음 구조로 구성된 기체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흡차음재
MXPA03007271A (es) Material laminar acustico termoformable.
KR101357018B1 (ko) 경량성과 강성이 우수한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20276B1 (ko)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KR101582647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다층구조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045636A (ja) 複合吸音材
KR101507100B1 (ko) 고접착성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KR102317518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4178B1 (ko) 단일니들펀칭기를 이용한 상, 하 방향 동시 니들펀칭에 의한 3층 복합부직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