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124A -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124A
KR20110021124A KR1020090078740A KR20090078740A KR20110021124A KR 20110021124 A KR20110021124 A KR 20110021124A KR 1020090078740 A KR1020090078740 A KR 1020090078740A KR 20090078740 A KR20090078740 A KR 20090078740A KR 20110021124 A KR20110021124 A KR 2011002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sion channel
fixed glass
bracket
assembly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124A/ko
Publication of KR2011002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설치되는 픽스드 글래스의 조립 방법을 개선하여 조립 품질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의 마운팅을 위한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채용하여 조립 자유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조립시 수평방향 조립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조립을 할 수 있는 등 조립 품질 및 조립성 향상은 물론, 부품수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를 제공한다.
리어 도어, 픽스드 글래스, 디비전 채널, 조립, 디비전 채널 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Fixed glas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에 설치되는 픽스드 글래스의 조립 방법을 개선하여 조립 품질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도어에 구비되는 대부분의 글래스는 리어 도어에서 상하 구동되는 메인 글래스와 리어 도어에 고정 장착되는 픽스드 글래스(Fixed glass)로 구성된다.
즉, 리어 도어의 뒷부분은 급격한 경사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형태에 맞춰 도어 글래스를 제작 및 설치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리어 도어에는 픽스드 글래스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픽스드 글래스(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글래스의 상하 구동을 가이드하는 디비전 채널(11)의 한 쪽에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픽스드 글래스(10)의 둘레에는 기밀을 위한 픽스드 글래스 런(12)이 부착되며, 상기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측에는 픽스드 글래스(10)를 포함하는 디비전 채널(11) 전체를 도어 프레임(미도시)측에 고정시켜주는 디비전 채널 브라켓(13)이 마련된다.
도 2는 종래의 픽스드 글래스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4)에는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 지지를 위한 픽스드 브라켓(15)이 6곳의 용접점(16)을 통해 장착되고, 디비전 채널(11)을 포함하는 픽스드 글래스(10) 어셈블리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픽스드 브라켓(15)에 받쳐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디비전 채널 브라켓(13)이 도어 프레임(14)에 볼트로 마운팅되므로서, 디비전 채널과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전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도어 인너 패널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픽스드 글래스 조립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조립 품질에 문제가 있다.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픽스드 브라켓측에 옆으로 밀어서 끼우는 구조이고, 그에 따라 픽스드 글래스 런이나 도어 프레임에 붙는 블랙테이프 밀림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3a).
둘째, 조립성에 문제가 있다.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의 디자인에 따라 조 립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메인 글래스가 선(先)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조립이 불가능하다(도 3b).
셋째, 부품수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마운팅을 위하여 픽스드 브라켓과 디비전 채널 브라켓 2개의 브라켓을 중복 사용하게 되므로, 부품수 절감 측면에서 볼 때 불리하다(도 3c).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의 마운팅을 위한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채용하여 조립 자유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조립시 수평방향 조립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조립을 할 수 있는 등 조립 품질 및 조립성 향상은 물론, 부품수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는 서로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픽스드 글래스와 디비전 채널의 연접부위에 픽스드 글래스의 하단과 디비전 채널의 측단에 걸쳐 장착되는 하나의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마련하고,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조립시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를 상하방향으로 끼워넣은 후에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도어 프레임측에 볼트로 마운팅한 구조로 조립되므로서, 조립 품질 향상 및 조립성 향상과 더불어 부품수 절감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프레임측에 마운팅되는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의 마운팅 부위를 브라켓의 양쪽 단부인 디비전 채널측 연접부위 측단 1곳과 픽스드 글래스측 연접부위 하단 1곳 등 총 2곳을 마련하여,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의 조립상태가 좀더 견고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과 같이 수평방향 조립이 아닌 상하방향 조립이므로 조립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성 향상이라는 무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하방향 조립에 따라 디자인 및 도어 내부 구성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메인 도어가 선(先)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를 상하방향으로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셋째,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 2개의 브라켓(픽스드 브라켓+디비전 채널 브라켓) 대신에 1개의 브라켓(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디비전 채널(11), 픽스드 글래스(10) 및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의 어셈블리 형태를 보여준다.
메인 글래스의 상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디비전 채널(11)이 마련되고, 이 디비전 채널(11)의 한 쪽으로는 픽스드 글래스(10)가 일체식으로 결합된다.
이때의 픽스드 글래스(10)의 둘레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픽스드 글래스 런(12)이 장착된다.
특히,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중에서도 픽스드 글래스 부분을 도어 프레임(14)측에 견고하게 지지시켜주는 수단으로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이 마련된다.
상기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은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픽스드 글래스(10)와 디비전 채널(11) 간의 연접부위 하측 모서리 부분에서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과 디비전 채널(11)의 측단에 걸쳐 장착된다.
이때의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의 길이는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 전체 길이 구간 중 적어도 4/5 정도의 길이 구간을 커버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하나의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이 기존의 디비전 채널 브라켓(13)의 역할은 물론, 기존의 픽스드 브라켓(15)의 역할까지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에는 도어 프레임(14)측, 실질적으로는 도어 인너 패널(17)측에 볼트로 체결되는 마운팅 부위(19a),(19b)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마운팅 부위(19a),(19b)는 브라켓의 양쪽 단부에 해당하는 2곳, 예를 들면 디비전 채널(11)측 연접부위 측단 1곳과 픽스드 글래스(10)측 연접부위 하 단 1곳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에 있는 양쪽 2곳의 마운팅 부위(19a),(19b)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전체는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드 글래스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를 종전의 수평방향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조립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디비전 채널(11)과 픽스드 글래스(10), 그리고 픽스드 글래스 런(12)이 일체식으로 조립된 어셈블리 상태에서 작업자가 어셈블리 전체를 잡고 도어 프레임(14)측에 상하방향으로 끼운다.
즉, 도어 프레임(14)에 마련되어 있는 글래스 설치부위의 후단 영역에 픽스드 글래스(10)의 위치를 맞춘 다음, 도어 프레임(14)의 내외측 패널 사이 공간으로 디비전 채널(11)부터 상하방향으로 끼우고, 글래스 설치부위 내에서 픽스드 글래스(10)의 위치를 바로 잡는다.
이때,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쪽에 있는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은 도어 인너 패널(17)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의 2곳의 마운팅 부위(19a),(19b)를 볼트로 도어 인너 패널(17)상에 체결하면 픽스드 글래스 및 디비전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이때의 디비전 채널(11)은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이외에도 몇 군데가 더 다른 부위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조립시 옆으로 밀어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위에서 아래로 끼우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메인 글래스가 가(假)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혀 간섭없이 위치만 맞춘 다음에 메인 글래스를 피해 위에서 아래로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픽스드 글래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픽스드 글래스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3b,3c는 종래의 픽스드 글래스 조립구조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드 글래스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픽스드 글래스 11 : 디비전 채널
12 : 픽스드 글래스 런 13 : 디비전 채널 브라켓
14 : 도어 프레임 15 : 픽스드 브라켓
16 : 용접점 17 : 도어 인너 패널
18 :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 19a,19b : 마운팅 부위

Claims (3)

  1.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에 있어서,
    서로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픽스드 글래스(10)와 디비전 채널(11)의 연접부위에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과 디비전 채널(11)의 측단에 걸쳐 장착되는 하나의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을 마련하여,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조립시 상하방향으로 끼워넣은 후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을 도어 프레임(14)측에 볼트로 마운팅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의 마운팅 부위(19a),(19b)는 브라켓의 양쪽 단부인 디비전 채널(11)측 연접부위 측단 1곳과 픽스드 글래스(10)측 연접부위 하단 1곳 총 2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은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 전체 구간 중 적어도 4/5 구간을 커버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KR1020090078740A 2009-08-25 2009-08-25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KR20110021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40A KR20110021124A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40A KR20110021124A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24A true KR20110021124A (ko) 2011-03-04

Family

ID=4393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40A KR20110021124A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43A (ko) * 2014-10-06 201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픽스드글라스와 디비전채널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43A (ko) * 2014-10-06 201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픽스드글라스와 디비전채널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8535A1 (en) Door structure for vehicle
US7905531B2 (en) Apparatus for mounting roof rack to sunroof for vehicles
US9555695B2 (en) Vehicle door structure
KR10161927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20090284049A1 (en) Sunroof Mounting Assembly
KR20110021124A (ko)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
KR101481351B1 (ko)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US20100229470A1 (en) Vehicle door
KR20200040119A (ko)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JP4098273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の車体構造
JP2011174337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の取付構造
KR20100011725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JP2016113025A (ja) 車両用ドアガラス取付構造
KR20090020801A (ko)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구조
KR20150053661A (ko)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KR10103388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실링장치
KR100957107B1 (ko) 픽스트 글래스 지지장치
JP2017196957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9980026220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 미러 설치구조
JP2009262617A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080042974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KR20040014681A (ko) 강성을 증대시킨 도어 프레임 연결 구조
KR20130052322A (ko) 차량용 도어 글라스 고정유닛
KR100879096B1 (ko) 프런트 도어 프레임 강성 개선 구조
KR100520554B1 (ko) 도어용 디비젼 채널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