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51B1 -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51B1
KR101481351B1 KR1020130158779A KR20130158779A KR101481351B1 KR 101481351 B1 KR101481351 B1 KR 101481351B1 KR 1020130158779 A KR1020130158779 A KR 1020130158779A KR 20130158779 A KR20130158779 A KR 20130158779A KR 101481351 B1 KR101481351 B1 KR 10148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fixed
protru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윤종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51B1/ko
Priority to US14/293,968 priority patent/US2015016588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8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adjacent to corner pieces, mirror supports or quarte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8Upper door structure fastening window frame or parts of window frame to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에 마련되어 각 글라스를 지지하는 도어 디비젼 채널로써, 양단이 각각 글라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차량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마련되는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및 상기 이너 패널에서 상기 아우터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는 이너 돌출부; 상기 아우터 패널에서 상기 이너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너 돌출부와 결합되는 아우터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Door Division Chann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차량에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관한 것이다.
도어글라스(10,20), 특히 차량의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글라스(10,20)는 통상 픽스드 글라스(10)와 슬라이딩 글라스(20)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픽스드 글라스(10)는 리어도어에서 상기 도어글라스(10,20)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글라스 프레임(4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써, 통상 글라스 프레임(40) 중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글라스(20) 측 테두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가 모두 상기 글라스 프레임(40)에 볼팅 또는 끼움결합됨에 따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20)는 운전자의 작동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하는 부분으로써, 테두리부를 따라 글라스 런 채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글라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글라스(20)의 기밀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20)와 픽스드 글라스(10) 사이에는 두 글라스 사이의 기밀을 담당하고, 상기 픽스드 글라스(10)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디비젼 채널(30)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 디비젼 채널(30)은 상기 글라스 프레임(40)에 고정되고, 픽스드 글라스(10)측으로 픽스드 글라스(10)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픽스드 몰딩과 슬라이딩 글라스(20) 측으로 글라스 런 채널이 일체로 마련되어 픽스드 글라스(10) 및 슬라이딩 글라스(20)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디비젼 채널(30)은 공개번호 KR20-1999-0024558U "리어도어 디비젼채널의 설치구조"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 런 채널 및 픽스드 몰딩이 처음부터 모두 일체로 결합 또는 일물로 사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설치시 상기 픽스드 글라스(10)와 함께 설치되어야 하였던 바, 도 2의 (a)경우와 (b)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 디비젼 채널(30)이 상기 픽스드 글라스(10)와 함께 설치되면서 상기 글라스 프레임(40) 및 슬라이딩 글라스(20)와 접촉되어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조립시의 불편이 크게 가중되었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20-1999-0024558U (1997.07.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 디비젼 채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의 설치가 용이한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은 차량의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에 마련되어 각 글라스를 지지하는 도어 디비젼 채널로써, 양단이 각각 글라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차량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마련되는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상기 이너 패널에서 상기 아우터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는 이너 돌출부; 및 상기 아우터 패널에서 상기 이너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너 돌출부와 결합되는 아우터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돌출부와 아우터 돌출부는 서로 중첩되어 상기 간극을 픽스드 글라스 측 공간과 슬라이딩 글라스 측 공간으로 양분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돌출부와 아우터 돌출부는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픽스드 글라스 측 공간에는 픽스드 글라스의 슬라이딩 글라스 측 테두리부가 끼움 결합하는 몰딩이 위치되어 상기 이너 돌출부 또는 아우터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 측 공간에는 글라스 런 채널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몰딩은 상기 이너 돌출부 및 아우터 돌출부와 함께 볼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따르면, 다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어에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글라스 프레임과 안정적인 결합을 통해 픽스드 글라스와 슬라이딩 글라스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글라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도어 디비젼 채널 설치시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의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의 설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의 단면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은 차량의 슬라이딩 글라스(600)와 픽스드 글라스(500) 사이에 마련되어 각 글라스를 지지하는 도어 디비젼 채널로써, 양단이 각각 글라스 프레임(800)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차량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글라스(600)와 픽스드 글라스(500)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마련되는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 상기 이너 패널(210)에서 상기 아우터 패널(110)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는 이너 돌출부(230); 및 상기 아우터 패널(110)에서 상기 이너 패널(210)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결합되는 아우터 돌출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와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는 차량의 리어도어 또는 프론트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글라스를 구성하는 것으로써, 픽스드 글라스(500)는 도어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글라스 프레임(80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글라스이고,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는 도어 글라스 중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써 운전자의 작동 조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글라스를 말한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은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내려오는 패널로써, 각 패널은 양단이 각각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의 상단 및 하단과 볼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의 하단에는 글라스 프레임(800)의 하방으로 위치한 도어 패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은 서로 대면하는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와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의 테두리부 중 일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너 돌출부(230)는 상기 이너 패널(210) 중 상기 아우터 패널(110) 측과 대면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돌출부(130)는 상기 아우터 패널(110) 중 상기 이너 패널(210) 측과 대면하는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아우터 돌출부(130)는 각각 상기 이너 패널(210) 및 아우터 패널(110)과 일물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각 돌출부가 별물로 마련된 뒤 패널에 접착 또는 융착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재질은 모두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 금속재가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아우터 돌출부(130)는 서로 중첩되어 상기 간극을 픽스드 글라스(500) 측 공간과 슬라이드 글라스 측 공간으로 양분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아우터 돌출부(130)는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의 중간부에 각 패널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데, 두 돌출부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 및 이너 돌출부(230)와 아우터 돌출부(130)가 이루는 단면이 "H" 형상이 됨에 따라,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에는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 및 이너 돌출부(230) 또는 아우터 돌출부(130)로 둘러싸인 픽스드 글라스(500) 측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에는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 및 이너 돌출부(230) 또는 아우터 돌출부(130)로 둘러싸인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아우터 돌출부(130)가 픽스드 글라스(500) 측 및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중 어느 측을 향하도록 중첩되느냐에 따라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 공간 및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공간에 위치되는 돌출부가 결정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돌출부(230)가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을 향하도록 중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 공간에는 픽스드 글라스(500)의 테두리부 중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테두리부가 끼움 결합하는 몰딩(300)이 위치되어 상기 이너 돌출부(230) 또는 아우터 돌출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몰딩(300)은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 및 아우터 돌출부(130)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되고,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을 향한 면에는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의 테두리부 중 일부가 결합되도록 길이를 따라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300)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공간에는 글라스 런 채널(400)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글라스 럼 채널은 상기 아우터 패널(110)과 이너 패널(210) 및 이너 돌출부(230)가 이루는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 측 공간에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글라스 런 채널(400)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몰딩(300)은 상기 이너 돌출부(230) 및 아우터 돌출부(130)와 함께 볼트(700)로 볼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너 돌출부(230)에서 볼트(700)가 삽입되어 아우터 돌출부(130)를 관통하고 몰딩(30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몰딩(300)이 상기 이너 돌출부(230)와 이너 패널(210) 및 상기 아우터 돌출부(130)와 아우터 패널(110)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볼팅시 상기 글라스 런 채널(400)도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글라스 런 채널(400)에서 볼트(700)를 삽입하여 상기 몰딩(300)까지 도달하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딩(300)과 글라스 런 채널(400)의 고정을 배제하고 상기 이너 돌출부(230) 및 아우터 돌출부(130)만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몰딩(300)과 글라스 런 채널(400)이 모두 끼움 결합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의 설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4는 우선 픽스드 글라스(500)를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에 설치하는 모습이다.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를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에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 전에 상기 아우터 패널(110)과 아우터 돌출부(130) 및 상기 몰딩(300)이 함께 가결합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이 때 상기 아우터 패널(110)의 양단을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를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의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 측 테두리부가 상기 아우터 패널(110)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우터 패널(110) 및 상기 아우터 돌출부(130)와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에 상기 간격에 상기 글라스 런 채널(40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를 설치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물로 형성된 이너 돌출부(230)와 이너 패널(210)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이너 돌출부(230)가 상기 아우터 돌출부(130)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킨 뒤 이너 돌출부(230)의 상하 길이를 따라 상기 이너 돌출부(230)에서 상기 몰딩(300)을 향해 다수개 볼팅함으로써 상기 픽스드 글라스(500)가 상기 아우터 패널(110)과 상기 이너 패널(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이너 패널의 양단은 상기 글라스 프레임(800)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 런 채널(400)을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600)와 상기 아우터 패널(110)과 상기 이너 패널(210) 및 상기 이너 돌출부(23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모든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에 따르면, 이너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110)을 독립적인 구성으로 마련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글라스 프레임(800)과 안정적인 결합을 통해 픽스드 글라스(500)와 슬라이딩 글라스(60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0 : 아우터 패널 130 : 아우터 돌출부
210 : 이너 패널 230 : 이너 돌출부
300 : 몰딩 400 : 글라스 런 채널
500 : 픽스드 글라스 600 : 슬라이딩 글라스
700 : 볼트 800 : 글라스 프레임

Claims (6)

  1. 차량의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에 마련되어 각 글라스를 지지하는 도어 디비젼 채널로써,
    양단이 각각 글라스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고, 차량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각각 슬라이딩 글라스와 픽스드 글라스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마련되는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상기 이너 패널에서 상기 아우터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는 이너 돌출부; 및
    상기 아우터 패널에서 상기 이너 패널로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너 돌출부와 결합되는 아우터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돌출부와 아우터 돌출부는 서로 중첩되어 상기 간극을 픽스드 글라스 측 공간과 슬라이딩 글라스 측 공간으로 양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 돌출부와 아우터 돌출부는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픽스드 글라스 측 공간에는 픽스드 글라스의 슬라이딩 글라스 측 테두리부가 끼움 결합하는 몰딩이 위치되어 상기 이너 돌출부 또는 아우터 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글라스 측 공간에는 글라스 런 채널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몰딩은 상기 이너 돌출부 및 아우터 돌출부와 함께 볼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KR1020130158779A 2013-12-18 2013-12-18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KR10148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779A KR101481351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US14/293,968 US20150165884A1 (en) 2013-12-18 2014-06-02 Door division channel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779A KR101481351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51B1 true KR101481351B1 (ko) 2015-01-12

Family

ID=5258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779A KR101481351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5884A1 (ko)
KR (1) KR101481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7664B (en) * 2016-12-15 2020-05-06 Jaguar Land Rover Ltd A support structure for a movable windowpane for a door for a vehicle
CN106945493B (zh) * 2017-03-14 2019-10-1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玻璃的包边总成
WO2019116818A1 (ja) * 2017-12-12 2019-06-20 Agc株式会社 樹脂製枠体付き固定ウインドウ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7369357B2 (ja) * 2020-02-26 2023-10-26 Agc株式会社 ディビジョンバー付き固定ウインドウガラ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126A (ja) * 1998-03-18 1999-09-2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取付構造
JP2003136963A (ja) * 2001-11-08 2003-05-14 Kinugawa Rubber Ind Co Ltd 自動車用ドア及びその組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9524B2 (ja) * 2012-12-20 2016-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126A (ja) * 1998-03-18 1999-09-2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取付構造
JP2003136963A (ja) * 2001-11-08 2003-05-14 Kinugawa Rubber Ind Co Ltd 自動車用ドア及びその組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5884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51B1 (ko) 차량의 도어 디비젼 채널
US10520206B2 (en) Window air conditioner
RU2011148981A (ru) Окон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US9950595B2 (en) Vehicle door
KR101188812B1 (ko)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KR101072957B1 (ko) 고단열 커튼 월 시스템
US20190169921A1 (en) Removable profile structure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KR101177265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창호의 구조
CN103978873B (zh) 汽车全景天窗顶盖内衬的安装结构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JP6388810B2 (ja) 建具ユニット
KR20050027062A (ko) 플러쉬 글레이징 피팅 방법
KR10195507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20160061677A (ko) 단열형 창틀 조립체
KR20110027091A (ko) 창호 시스템
CN203258956U (zh) 冰箱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20170060743A (ko) 고단열 개폐창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창 시스템
KR101401047B1 (ko) 슬라이드 개폐형 창문틀의 커먼 프레임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KR20130005858U (ko) 레일에 밀착되는 창의 구조
JP2015132149A (ja) 改修用サッシ
CN202220509U (zh) 一种汽车玻璃导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