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19A -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19A
KR20200040119A KR1020180120002A KR20180120002A KR20200040119A KR 20200040119 A KR20200040119 A KR 20200040119A KR 1020180120002 A KR1020180120002 A KR 1020180120002A KR 20180120002 A KR20180120002 A KR 20180120002A KR 20200040119 A KR20200040119 A KR 2020004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vehicle
rail
rail portion
fix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721B1 (ko
Inventor
이혁지
최승일
김진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21B1/ko
Priority to US16/196,346 priority patent/US10876338B2/en
Priority to CN201811408850.XA priority patent/CN111002800A/zh
Publication of KR2020004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7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ashless windows, i.e. for frameless windows forming a seal directly wi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9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flush-glass windows, i.e. for windows flush with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는, 도어패널; 도어 패널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벽; 상기 고정벽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레일; 상기 고정벽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고정벽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는 도어글래스;를 가진다.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고정벽에 의해 한정된 차량의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기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글래스의 외부표면 및 상기 고정벽의 외부표면은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DOOR GLASS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글래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passenger vehicle)의 사이드 도어는 윈도우 개구를 가진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윈도우 개구를 개폐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도어 글래스와, 도어 글래스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는 차체의 루프, 웨더스트립 벨트, 차체의 필러 등으로 인해 도어 프레임의 외면과 도어 글래스의 외부표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도어 글래스가 도어 프레임에 대해 함몰된다(door glass is recessed relative to door frame). 이러한 단차로 인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되고, 차량의 주행 시에 와류(turbulence), 바람소리(wind noise) 등이 생성됨으로써 공력성능 및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패널은 도어 글래스 및 도어 레귤레이터를 수용하는 충분한 수용공간을 가짐에 따라 도어 패널의 폭이 커져 차량의 실내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진다.
최근에는 도어 글래스가 도어 프레임(또는 차량의 외부표면)과 동일면에 위치하는(door glass is flush with door frame or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플러쉬 글래스 구조(flush-glass arrangement)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플러쉬 글래스 구조는 도어 글래스의 플러쉬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글래스 사이의 갭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도어 글래스의 수직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어 프레임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고가의 부품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그 조립작업이 어려움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성부품의 최소화하는 플러쉬 글래스 구조(flush-glass arrangement)를 구현하고, 도어글래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는,
도어패널;
도어 패널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벽;
상기 고정벽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레일;
상기 고정벽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고정벽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고정벽에 의해 한정된 차량의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기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글래스의 외부표면 및 상기 고정벽의 외부표면은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은 상기 고정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상측레일부, 상기 제1상측레일부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1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2상측레일부를 연결하는 제3상측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은 상기 고정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하측레일부, 상기 제1하측레일부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1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2하측레일부를 연결하는 제3하측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글래스의 내부표면에 부착된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직가이드레일 사이에 연결된 상측 가이드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롤러 및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2롤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의 내부표면 사이에 연결된 하측 가이드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3롤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상측레일부는 상기 제1상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상측레일부는 상기 제3상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2상측레일부는 상기 고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측레일부는 상기 제1하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측레일부는 상기 제3하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2하측레일부는 상기 고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상기 고정벽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상측 서포트; 및
상기 고정벽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하측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서포트는 상기 제1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1상측지지부와, 상기 제2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2상측지지부와, 상기 제3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3상측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서포트의 상단에 연결된 상측 평탄부; 및
상기 상측 평탄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은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 가장자리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서포트는 상기 제1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1하측지지부와, 상기 제2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2하측지지부와, 상기 제3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3하측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서포트의 상단에 연결된 하측 평탄부; 및
상기 하측 평탄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은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 가장자리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벽의 전방 가장자리의 내부표면에는 인테리어 트림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테리어 트림은 도어글래스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글래스가 상측 가이드레일, 수직가이드레일, 및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도어글래스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가 도어 패널 내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 패널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증대할 수 있고, 도어 패널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및 수납공간 등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 가이드레일의 제2상측레일부 및 하측 가이드레일의 제2하측레일부가 고정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됨과 더불어 고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함에 따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플러쉬 글래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관미(exterior styling), 공력성능 및 NVH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도어 모듈, 도어 레귤레이터, 센터 필러(center pillar) 및 도어 프레임 등과 같은 구성부품을 대폭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를 가진 차량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글래스 조립체가 차량의 도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를 가진 차량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글래스가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를 가진 차량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글래스가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완전히 개방하는 완전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10)는, 도어 패널(11)과, 도어 패널(11)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벽(12)과, 고정벽(1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도어글래스(25)를 포함한다.
도어 패널(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터패널(11a), 인너패널(11b), 도어 트림(11c)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벽(12)의 하단은 도어 패널(11)의 아웃터 패널(11b)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글래스 조립체(10)는 차량(1)의 도어 개구(2)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은 도어 글래스(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도어 글래스(25)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은 도어 패널(11) 및 고정벽(1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1,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은 도어 패널(11)의 상단 가장자리 및 고정벽(12)의 전방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25)는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11 참조) 및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도 1 참조)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25)는 구동기구(5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어글래스(25)는 구동기구(50)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구동기구(50)는 선루프용 구동기구와 유사하게 도어글래스(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모터(미도시) 및 동력전달기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구동기구(50)는 고정벽(12)의 하단측에 인접한 도어 패널(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두께를 종래에 비해 슬림하게 할 수 있다.
도어글래스 조립체(10)가 차량의 도어 개구(2)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벽(12)은 차량의 실내측 공간 및 실외측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벽(12)의 상단(top end)에는 상측 가이드레일(21, upper guide rail)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측 가이드레일(21)은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고정벽(12)의 하단(bottom end)에는 하측 가이드레일(22, lower guide rail)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측 가이드레일(22)은 고정벽(12)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측 가이드레일(21) 및 하측 가이드레일(22)은 도어글래스(25)가 수평방향을 이동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는 그 후방측에 형성된 곡률부(12f)를 가질 수 있고, 상측 가이드레일(21)은 고정벽(12)의 곡률부(12f)에 대응하는 곡률부(21f)를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벽(12)의 상단에는 상측 서포트(13, upper support)가 마련될 수 있고, 상측 서포트(13)는 상측 가이드레일(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가이드레일(21)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상측 서포트(13)에 결합됨으로써 상측 가이드레일(21)이 상측 서포트(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측 서포트(13) 및 상측 가이드레일(21)은 고정벽(12)의 내면(12b)으로부터 차량의 실내측 공간을 향해(화살표 IN방향 참조) 이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가이드레일(21)은 고정벽(12)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상측레일부(21a, first upper rail section)와, 제1상측레일부(21a)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상측레일부(21b)(second upper rail section which is offset from first upper rail section toward interior space of vehicle)와, 제1상측레일부(21a) 및 제2상측레일부(21b)를 연결하는 제3상측레일부(21c, third upper rail s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측레일부(21a)는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상측레일부(21b)는 제1상측레일부(21a)에 제3상측레일부(21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상측레일부(21c)는 제1상측레일부(21a) 및 제2상측레일부(21b) 사이에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상측레일부(21c)는 제1상측레일부(21a)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상측레일부(21b)는 제3상측레일부(21c)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3상측레일부(21c) 및 제2상측레일부(21b)는 고정벽(12)의 전방단(12g)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도 3의 화살표 FR 방향 참조) 돌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과 같이 도어글래스(25)가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폐쇄한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2상측레일부(21b)는 도어글래스(25)의 후방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고, 도어글래스(25)의 외부표면(25a) 및 고정벽(12)의 외부표면(12a)은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a external surface 25a of the door glass 25 may be flush with a external surface 12a of the fixed wall 1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상측레일부(21b)이 고정벽(12)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됨과 더불어 고정벽(12)의 전방단(12g)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함에 따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플러쉬 글래스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서포트(13, upper support)는 제1상측레일부(21a)를 지지하는 제1상측지지부(13a, first upper support section)와, 제2상측레일부(21b)를 지지하는 제2상측지지부(13b, second upper support section)와, 제3상측레일부(21c)를 지지하는 제3상측지지부(13c, third upper support s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측지지부(13a)는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상측지지부(13b)는 제1상측지지부(13a)에 제3상측지지부(13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상측지지부(13c)는 제1상측지지부(13a) 및 제2상측지지부(13b) 사이에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측레일부(21a)는 제1상측지지부(13a)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측레일부(21b)는 제2상측지지부(13b)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상측지지부(13b)는 고정벽(12)의 상단(top end)에 연결부(12c)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서포트(13)의 상단에는 상측 평탄부(14)가 연결될 수 있고, 상측 평탄부(14)는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상측 평탄부(14)는 제1상측지지부(13a)의 상단, 제2상측지지부(13b)의 상단, 제3상측지지부(13c)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평탄부(14)는 차량의 인테리어 헤드라이닝(6) 및 루프 사이드 아웃터(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웨더스트립(31, first weatherstrip) 및 제2웨더스트립(32, second weatherstrip)이 상측 평탄부(14) 및 도어글래스(25)의 상단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웨더스트립(31)은 차량의 루프 사이드 아웃터(5, roof side outer)에 장착될 수 있고, 제2웨더스트립(32)은 상측 평탄부(1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웨더스트립(31, 32)이 도어글래스(25)의 상단가장자리(top edge)를 밀봉(sealing)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상측레일부(21c)는 제3상측지지부(13c)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글래스(25)는 차량의 실외측을 향해(화살표 EX 방향 참조) 면하는 외부 표면(25a) 및 차량의 실내측 공간을 향해(화살표 IN 방향 참조) 면하는 내부표면(25b)을 가질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가이드레일(43)이 도어글래스(25)의 내부표면(25b)에 부착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25)의 상단은 상측 가이드레일(21) 및 수직가이드레일(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측 가이드레일(21) 및 수직가이드레일(43) 사이에는 상측 가이드샤프트(45,upper guide shaft)가 연결될 수 있다.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일단에는 제1롤러(51)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1롤러(51)의 회전축선은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제1롤러(51)는 상측 가이드레일(21)을 따라 구를 수 있다(first roller rolls along top guide rail).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타단에는 제2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롤러(52)의 축선은 상단 가이드 제2롤러(52)의 축선과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제2롤러(52)는 수직 가이드레일(43)을 따라 구를 수 있다.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제1롤러(51)가 상측 가이드레일(21)의 곡률부(21f)을 따라 이동할 때,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제2롤러(52)가 수직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어글래스(25)는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 가이드샤프트(45)가 상측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직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측 가이드레일(21)의 곡률부(21f)의 곡률에 상관없이 도어글래스(25)는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벽(12)의 하단(bottom end)에는 하측 서포트(15, lower support)가 마련될 수 있고, 하측 서포트(15)는 하측 가이드레일(22)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측 가이드레일(22)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하측 서포트(15)에 결합됨으로써 하측 가이드레일(22)이 하측 서포트(15)에 지지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하측 가이드레일(22)은 고정벽(12)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하측레일부(22a)와, 제1하측레일부(22a)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하측레일부(22b)와, 제1하측레일부(22a) 및 제2하측레일부(22b)를 연결하는 제3하측레일부(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측레일부(22a)는 고정벽(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하측레일부(22b)는 제1하측레일부(22a)에 제3하측레일부(22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하측레일부(22c)은 제1하측레일부(22a) 및 제2하측레일부(22b) 사이에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측 서포트(15)는 제1하측레일부(22a)를 지지하는 제1하측지지부(15a)와, 제2하측레일부(22b)를 지지하는 제2하측지지부(15b)와, 제3하측레일부(22c)를 지지하는 제3하측지지부(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측지지부(15a)는 고정벽(12)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하측지지부(15b)는 제1하측지지부(15a)에 제3하측지지부(15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하측지지부(15c)는 제1하측지지부(15a) 및 제2하측지지부(15b) 사이에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측레일부(22a)는 고정벽(1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3하측레일부(22c)는 제1하측레일부(22a)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하측레일부(22b)는 제3하측레일부(22c)의 전방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3하측레일부(22c) 및 제2하측레일부(22b)는 고정벽(12)의 전방단(12g)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도 6의 화살표 FR 방향 참조) 돌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도어글래스(25)가 차량(1)의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폐쇄한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2하측레일부(22b)는 도어글래스(25)의 후방가장자리와 마주볼 수 있고, 도어글래스(25)의 외부표면(25a) 및 고정벽(12)의 외부표면(12a)은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하측레일부(22b)이 고정벽(12)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됨과 더불어 고정벽(1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함에 따라 단순한 플러쉬 글래스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측레일부(22a)는 제1하측 서포트(15a)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측레일부(22b)는 제2하측지지부(15b)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측지지부(15b)는 고정벽(12)의 하단(bottom end)에 연결부(12d)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측 서포트(15)의 하단에는 하측 평탄부(16)가 연결될 수 있고, 하측 평탄부(16)는 고정벽(12)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하측 평탄부(16)는 제1하측지지부(15a)의 하단, 제2하측지지부(15b)의 하단, 제3하측지지부(15c)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평탄부(16)는 도어 패널(11)의 아웃터패널(11a) 및 도어트림(11c)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웨더스트립(33) 및 제4웨더스트립(34)이 하측 평탄부(16) 및 도어글래스(25)의 하단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웨더스트립(33)은 차량 도어(11)의 외측패널(11a)에 장착될 수 있고, 제4웨더스트립(34)은 하측 평탄부(16)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웨더스트립(33, 34)은 도어글래스(25)의 하단가장자리(bottom edge)를 밀봉(sealing)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측레일부(22c)는 제3하측지지부(15c)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글래스(25)의 하단은 하측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하측 가이드레일(22) 및 도어 글래스(25)의 하단의 내부표면(25b) 사이에는 하측 가이드샤프트(46,lower guide shaft)가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일단에는 제3롤러(5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3롤러(53)의 회전축선은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제3롤러(53)는 하측 가이드레일(22)을 따라 구를 수 있다.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타단에는 고정브라켓(55)이 마련되고, 고정브라켓(55)은 도어글래스(25)의 하단의 내부표면(25b)에 부착됨으로써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타단은 고정브라켓(55)을 통해 도어글래스(25)의 하단의 내부표면(25b)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제3롤러(53)가 하측 가이드레일(22)을 따라 구름에 따라 도어글래스(25)의 하단은 하측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글래스(25)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도어글래스(25)의 후방측 가장자리가 제1상측레일부(21a)와 마주하며, 도어글래스(25)의 외부 표면(25a)과 고정벽(12)의 외부 표면(12a)은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어글래스(25)와 고정벽(12)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벽(12)의 전방 가장자리의 내부표면에는 인테리어 트림(26)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테리어 트림(26)은 도어글래스(25)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제5웨더스트립(35) 및 제6웨더스트립(36)을 가질 수 있다. 도어글래스(25)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도어글래스(25)의 후방측 가장자리는 고정벽(12)의 전방측 가장자리와 근접하고, 인테리어 트림(26)은 도어글래스(25)의 후방측 가장자리 및 고정벽(12)의 전방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글래스(25)가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완전히 폐쇄할 때, 도 3과 같이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제1롤러(51)는 상측 가이드레일(21)의 제2상측레일부(21b)에 위치하고, 도 6과 같이 하측 가이드샤프트(46)의 제3롤러(53)는 하측 가이드레일(22)의 제2하측레일부(22b)에 위치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글래스(25)가 구동기구(50)에 의해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상측 가이드샤프트(45)의 제1롤러(51)가 상측 가이드레일(21)의 제3상측레일부(21c)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도어글래스(25)가 차량의 외측(화살표 EX 방향 참조)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글래스(25)가 도어 개구(2)의 일부 영역을 완전히 개방하는 완전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상측 가이드샤프트(25)의 제1롤러(51)는 상측 가이드레일(21)의 제1상측레일부(21c)를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도어글래스(25)는 고정벽(12)의 외부표면(1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글래스(25)가 상측 가이드레일(21), 수직가이드레일(43), 및 하측 가이드레일(22)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도어글래스(25)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미도시)가 도어 패널(11) 내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 패널(11)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증대할 수 있고, 도어 패널(11)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및 수납공간 등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 가이드레일(21)의 제2상측레일부(21b) 및 하측 가이드레일(22)의 제2하측레일부(22b)가 고정벽(12)으로부터 차량(1)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됨과 더불어 고정벽(12)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1)의 전방을 향해 돌출함에 따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플러쉬 글래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관미(exterior styling), 공력성능 및 NVH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도어 모듈, 도어 레귤레이터, 센터 필러(center pillar) 및 도어 프레임 등과 같은 구성부품을 대폭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2: 도어 개구
10: 도어글래스 조립체 11: 도어 패널
12: 고정벽 13; 상측 서포트
13a: 제1상측지지부 13b: 제2상측지지부
13c: 제3상측지지부 14: 상측 평탄부
15: 하측 서포트 15a: 제1하측지지부
15b: 제2하측지지부 15c: 제3하측지지부
16: 하측 평탄부
21: 상측 가이드레일 21a: 제1상측레일부
21b: 제2상측레일부 21c: 제3상측레일부
22: 하측 가이드레일 22a: 제1하측레일부
22b: 제2하측레일부 22c: 제3하측레일부
25: 도어글래스 45: 상측 가이드샤프트
46: 하측 가이드샤프트 51: 제1롤러
52: 제2롤러 53: 제3롤러

Claims (14)

  1. 도어패널;
    도어 패널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벽;
    상기 고정벽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레일;
    상기 고정벽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고정벽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고정벽에 의해 한정된 차량의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기 도어 개구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글래스의 외부표면 및 상기 고정벽의 외부표면은 동일면에 위치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은 상기 고정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상측레일부, 상기 제1상측레일부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1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2상측레일부를 연결하는 제3상측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은 상기 고정벽으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이격된 제1하측레일부, 상기 제1하측레일부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오프셋된 제2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1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2하측레일부를 연결하는 제3하측레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내부표면에 부착된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직가이드레일 사이에 연결된 상측 가이드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롤러 및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2롤러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의 내부표면 사이에 연결된 하측 가이드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3롤러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상측레일부는 상기 제1상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상측레일부는 상기 제3상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상측레일부 및 상기 제2상측레일부는 상기 고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하측레일부는 상기 제1하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측레일부는 상기 제3하측레일부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하측레일부 및 상기 제2하측레일부는 상기 고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상측 서포트; 및
    상기 고정벽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하측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측 서포트는 상기 제1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1상측지지부와, 상기 제2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2상측지지부와, 상기 제3상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3상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측 서포트의 상단에 연결된 상측 평탄부; 및
    상기 상측 평탄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은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측 서포트는 상기 제1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1하측지지부와, 상기 제2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2하측지지부와, 상기 제3하측레일부를 지지하는 제3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측 서포트의 상단에 연결된 하측 평탄부; 및
    상기 하측 평탄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은 상기 도어글래스의 하단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의 전방 가장자리의 내부표면에는 인테리어 트림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테리어 트림은 도어글래스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하나 이상의 웨더스트립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KR1020180120002A 2018-10-08 2018-10-08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KR10257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02A KR102575721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US16/196,346 US10876338B2 (en) 2018-10-08 2018-11-20 Door glass assembly for vehicle
CN201811408850.XA CN111002800A (zh) 2018-10-08 2018-11-23 用于车辆的门玻璃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02A KR102575721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19A true KR20200040119A (ko) 2020-04-17
KR102575721B1 KR102575721B1 (ko) 2023-09-07

Family

ID=7005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002A KR102575721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76338B2 (ko)
KR (1) KR102575721B1 (ko)
CN (1) CN111002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68382A1 (en) * 2016-08-31 2018-06-21 Karen Goelst Cubicle Privacy Curtain Assembly
US11317753B1 (en) 2021-02-04 2022-05-03 Kleenedge, Llc Partition curtain track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50B1 (ko) * 2006-08-07 2008-03-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창 자동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US20090217595A1 (en) * 2008-02-28 2009-09-03 Rainer Grimm Sliding window assembly
KR20130065106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2422A (en) * 1937-03-01 1938-10-11 Kannel Charles Vehicle ventilating means
FR2380402A1 (fr) * 1977-02-11 1978-09-08 Renault Dispositif d'entrainement en translation de panneaux, notamment des vitres a coulissement horizontal d'un vehicule automobile
FR2381160A1 (fr) * 1977-02-22 1978-09-15 Renault Dispositif d'entrainement en translation de panneaux notamment des vitres a coulissement horizontal d'un vehicule automobile
DE4220600A1 (de) * 1992-06-24 1994-01-13 Josef Weis Plastic Gmbh & Co K Schiebefenst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Flugzeugkanzeln
JP3900167B2 (ja) * 2003-07-09 2007-04-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スライド窓
GB0611328D0 (en) * 2006-06-09 2006-07-19 Pilkington Automotive Finland Vehicle glazing
US7963070B2 (en) * 2006-09-11 2011-06-21 Guardian Industries Corp. Slider window for pick-up truck,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641265B2 (en) * 2006-10-30 2010-01-05 Pilkington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horizontal slider
FR2924739B1 (fr) * 2007-12-10 2009-11-20 Wagon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 element de guidage et coulisseau formant navette, et vehicule correspondant
US7900993B2 (en) * 2008-01-31 2011-03-08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sash structure
EP2277729B1 (fr) * 2009-06-19 2014-11-19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énagée dans la carrosserie d'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équilibrage,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US9233734B2 (en) * 2013-05-29 2016-01-12 Taylor Made Group, Llc Windshield sliding door/window assembly
CN104608601A (zh) * 2014-11-17 2015-05-13 中国北车集团大同电力机车有限责任公司 一种机车司机室活动侧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50B1 (ko) * 2006-08-07 2008-03-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창 자동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US20090217595A1 (en) * 2008-02-28 2009-09-03 Rainer Grimm Sliding window assembly
KR20130065106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02800A (zh) 2020-04-14
US20200109585A1 (en) 2020-04-09
KR102575721B1 (ko) 2023-09-07
US10876338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827B1 (en) A-pillar and roof side section housing a seal for vehicle of sash-less door type
RU2608989C2 (ru) Система на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стекла
RU2608198C2 (ru) Узел гладкого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RU2608785C2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узла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JP6839106B2 (ja) 車両ドア用フラッシュ窓ガラス装置、ドア、自動車、気密装置、及び対応する製造方法
JPH0248221A (ja) 車両のドア構造
US20050166460A1 (en) Door for vehicle
US4409756A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guiding window panes of vehicle bodies
US20140075848A1 (en) Assembly structure of weather strip
KR102575721B1 (ko)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US20100164248A1 (en) Body seal and inner trim module
KR20190068656A (ko) 차량용 도어
JP2021172185A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US20100095600A1 (en) Automotive window assembly
KR20100047943A (ko) 대형 버스용 사이드 윈도우 및 장착방법
JP5077763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200107801A (ko) 자동차
JP2007176193A (ja) 補助サッシュ組み付け構造
JP5402895B2 (ja) 固定窓用ウエザストリップの組付け構造及び組付け方法
KR100405810B1 (ko) 승합차의 슬라이드형 사이드윈도우
JP5486453B2 (ja) 車両用ドアサッシュ構造
JPH0517292Y2 (ko)
JP5401974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2019142280A (ja) 車両のドア
JPH03278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