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785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785A
KR20110018785A KR1020090076415A KR20090076415A KR20110018785A KR 20110018785 A KR20110018785 A KR 20110018785A KR 1020090076415 A KR1020090076415 A KR 1020090076415A KR 20090076415 A KR20090076415 A KR 20090076415A KR 20110018785 A KR20110018785 A KR 2011001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ayer
emitting di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298B1 (ko
Inventor
이동규
김건식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298B1/ko
Priority to US12/844,179 priority patent/US8648361B2/en
Publication of KR2011001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에 각각 대응 배치된 복수의 컬러 필터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 내부에 각각 산포된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을 포함한다.
산란 입자, 광취출 효율, 외광 반사 억제, 미세 공동,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취출 효율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갖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과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된 빛을 반사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밝은 곳에서 사용될 때 외광 반사로 인해 검은색의 표현 및 콘트라스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하여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통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종래의 방법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도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거쳐 외부로 방출될 때 상당 부분 함께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동시에 유기 발광 소자가 방출한 빛의 광취출 효율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에 각각 대응 배치된 복수의 컬러 필터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 내부에 각각 산포(散布)된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 필터는 바인더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광산란 입자는 상기 바인더 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광산란 입자는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들 주변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으로 구분된 기판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들마다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본체의 비화소 영역 상에 대응 배치된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컬러 필터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반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공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red)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1 유기 발광 소자와, 녹색(green)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2 유기 발광 소자, 그리고 청색(blue)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3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유기 발광 소자는 각각 공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기 발광 소자가 갖는 공진층의 두께가 상기 제2 유기 발광 소자가 갖는 공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방출하는 빛의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 상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표시 기판과 합착된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상기 봉지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컬러 필터 사이를 메우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 중에서 상기 무기막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동시에 유기 발광 소자가 방출한 빛의 광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표시 기판(110) 및 표시 기판(110)과 합착 밀봉된 봉지 기판(210)을 포함한다.
표시 기판(110)은 제1 기판 본체(111), 구동 회로부(DC), 및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70)들을 포함한다.
제1 기판 본체(111)는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기판 본체(111)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판 본체(111)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과 복수의 화소 영역들 주변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으로 구분된다.
구동 회로부(DC)는 제1 기판 본체(111) 상에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DC)는 박막 트랜지스터(10, 20)(도 2에 도시)를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70)를 구동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70)는 구동 회로부(DC)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구동 회로부(DC)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회로부(DC)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70)들이 복수의 화소 영역들마다 각각 형성되어 구동 회로부(DC)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한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애노드(anode)인 제1 전극(710)과, 캐소드(cathode)인 제2 전극(730), 그리고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720)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전극(710)이 캐소드 전극이되고, 제2 전극(730)이 애노드 전극이 될 수도 있다.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은 제1 기판 본체(111)의 화소 영역 위에서 차례로 적층된다.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70)의 구성 중 제2 전극(730)이 후술할 컬러 필터(23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제1 전극(710)은 반사막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730)은 반투과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720)에서 발생된 빛은 제2 전극(730)을 통과해 방출된 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전면 발광형의 구조를 갖는다.
반사막 및 반투과막은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및 알루미늄(Al) 중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반사막과 반투과막은 두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반투과막은 200n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반투과막은 두께가 얇아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낮아진다.
또한, 제1 전극(710)은 투명 도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710)은 반사막과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투명 도전막은 상대적으로 높은 일함수를 가지며, 반사막과 유기 발광층(7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o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인 제1 전극(710)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70)은 둘 이상의 색상 중에서 어느 한 색상의 빛을 각각 방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70)은 적색(red)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1 유기 발광 소자(71)와, 녹색(green)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2 유기 발광 소자(72), 그리고 청색(blue)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3 유기 발광 소자(73)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70)는 전술한 바와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기 발광 소자(71)와 제2 유기 발광 소자(72)는 각각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사이에 배치된 공진층(751, 752)을 더 포함한다. 즉, 제1 유기 발광 소자(71) 및 제2 유기 발광 소자(72)는 각각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공진층(751, 752), 및 제2 전극(730)을 포함하고, 제3 유기 발광 소자(73)는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만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유기 발광 소자(71)가 갖는 공진층(751)의 두께는 제2 유기 발광 소자(72)가 갖는 공진층(75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3 유기 발광 소자(73)도 상대적으로 가장 얇은 두께의 공진층을 가질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미세 공진(microcavity) 효과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방출하는 빛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세 공진 효과는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미세 공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사이의 거리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방출하는 빛의 색상마다 달라 진다.
구체적으로, 미세 공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간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적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1 유기 발광 소자(71)가 가장 크고, 청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3 유기 발광 소자(73)가 가장 작다.
따라서, 제1 유기 발광 소자(71) 및 제2 유기 발광 소자(72)의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진층(751, 752)을 각각 배치하여 각각의 유기 발광 소자들(70)다 전력 대비 휘도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발광 소자(71) 및 제2 유기 발광 소자(72)의 유기 발광층(720)이 갖는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중 하나 이상의 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공진층으로 삼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유기 발광 소자(71) 및 제2 유기 발광 소자(72)의 제1 전극(710)이 갖는 투명 도전막을 두껍게 형성하여 공진층으로 삼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소자(70)의 구조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기판(110)은 화소 정의막(190)을 더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190)은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을 드러내는 개구부를 갖는다. 즉, 화소 정의막(190)은 제1 기판 본체(111)의 비화소 영역과 대응하고, 화소 정의 막(190)의 개구부는 제1 기판 본체(111)의 화소 영역과 대응한다.
봉지 기판(210)은 제2 기판 본체(211), 차광 부재(220),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 및 광산란 입자(235)를 포함한다.
제2 기판 본체(211)는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 본체(211)는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이격 배치된다.
차광 부재(220)는 제2 기판 본체(211) 상에 형성되며, 제1 기판 본체(111)의 비화소 영역에 대응 배치된다. 즉, 차광 부재(220)는 표시 기판(110)의 화소 정의막(190)과 대향한다.
차광 부재(220)는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속은 크롬(Cr) 등을 포함하고, 금속 화합물은 산화 크롬(CrOx), 질화 크롬(CrN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불투명한 감광성 유기물을 도포한 후 사진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불투명한 감광성 유기물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안료 혼합물, 또는 염료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은 제2 기판 본체(211) 상에 형성되며, 제1 기판 본체(111)의 화소 영역에 대응 배치된다. 즉,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70)과 각각 대향한다. 그리고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은 각각 대응하는 유기 발광 소자들(70)이 방출하는 빛의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은 제1 유기 발광 소자(71)와 대향하는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유기 발광 소자(72)와 대향하는 제2 컬러 필터(232), 그리고 제3 유기 발광 소자(73)와 대향하는 제3 컬러 필터(2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컬러 필터(231)는 적색(red) 계열의 색상을 가지고, 제2 컬러 필터(232)는 녹색(green) 계열의 색상을 가지며, 제3 컬러 필터(233)는 청색(blue) 계열의 색상을 갖는다.
이러한 컬러 필터(230)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방출하는 빛에 외광이 섞여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외부의 빛이 불필요하게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컬러 필터(230)는 컬러 필터(230)가 갖는 색상 이외의 불필요한 빛을 흡수한다. 따라서, 전면 발광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컬러 필터(230)와 차광 부재(220)를 통해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필터(230)는 차광 부재(220)와 동일한 층에 형성된다. 도 1에서, 컬러 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는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는 제2 기판 본체(211)의 일면에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컬러 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는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컬러 필터(230)는 바인더(binder) 및 안료를 포함한다. 즉, 컬러 필터(230)는 바인더와 안료 등이 혼합된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235)이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 내부에 각각 산포(散布)된다. 여기서, 광산 란 입자(235)는 컬러 필터(230)의 바인더 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광산란 입자(235)는 저굴절율을 갖는 산화 규소(SiO2)와 같은 무기 입자일 수 있다.
광산란 입자(235)는 컬러 필터(230) 내에서 빛을 산란시켜 전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광산란 입자(235)는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방출된 빛이 컬러 필터(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반사로 인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취출율을 향상시킨다.
광산란 입자(235)의 크기 및 밀도는 컬러 필터(230)를 통과하는 빛의 파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레일리(Rayleigh) 산란은 광산란 입자(235)의 크기보다 빛의 파장이 작을 때 일어나며,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잘 일어난다. 일례로, 광산란 입자(235)의 크기가 100nm 일 경우, 컬러 필터(230) 내에서 대략 470nm의 파장을 갖는 적색 계열의 빛이 대략 600nm의 파장을 갖는 청색 계열의 빛 보다 더 많이 산란된다. 또한, 광산란 입자(235)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산란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광산란 입자(235)의 크기 및 밀도는 각 색상별로 유기 발광 소자들(70)의 효율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빛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며, 알파벳 대문자로 표시된 참조부호들(R, G, B)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가(70) 방출한 빛의 색상의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즉, R은 적색, G는 녹색, 그리고 B는 청색을 나타낸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표시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 기판(110, 210) 사이에 배치되어 양 기판(110, 210)을 서로 합착 밀봉시키는 실런트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전력 대비 향상된 휘도 효율로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광취출율을 향상시켜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발생된 빛이 컬러 필터(230)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빛의 이용 효율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표시 기판(110)을 중심으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라 표시 기판(110)과 봉지 기판(210)을 함께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70) 중에서 제3 유기 발광 소자(73)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후, 유기 발광 소자(70)라 함은 제3 유기 발광 소자(73)를 말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를 도 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각 화소 영역들 마다 배치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10)은 하나의 화소마다 각각 형성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및 축전 소자(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구동 회로부(DC)라 한다. 그리고 표시 기판(110)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다른 한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화소 전극(7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 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하게 된다.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발생된 빛은 봉지 기판(210)의 컬러 필터(2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컬러 필터(230) 내부에는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235)이 산포된다. 따라서, 컬러 필터(2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광취출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유기 발광 소자(70)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110)과, 표시 기판(110) 상에 형성된 박막 봉지층(310)과, 박막 봉지층(310)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그리고 다수의 광산란 입자(235)들을 포함한다.
차광 부재(220)는 제1 기판 본체(111)의 비화소 영역에 대응 배치된다. 즉, 차광 부재(220)는 표시 기판(110)의 화소 정의막(190)과 대향한다.
컬러 필터(230)는 제1 기판 본체(111)의 화소 영역에 대응 배치된다. 즉, 컬러 필터(230)는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한다. 그리고 컬러 필터(230)는 대응하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방출하는 빛의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컬러 필터(230)는 제1 유기 발광 소자(71)와 대향하는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유기 발광 소자(72)와 대향하는 제2 컬러 필터(232), 그리고 제3 유기 발광 소자(73)와 대향하는 제3 컬러 필터(2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컬러 필터(231)는 적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고, 제2 컬러 필터(232)는 녹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며, 제3 컬러 필터(233)는 청색 계열의 색상을 갖는다.
이러한 컬러 필터(230)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방출하는 빛에 외광이 섞여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광 부재(220)는 외부의 빛이 불필요하게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컬러 필터(230)는 컬러 필터(230)가 갖는 색상 이외의 불필요한 빛을 흡수한다. 따라서, 전면 발광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컬러 필터(230)와 차광 부재(220)를 통해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필터(230)는 바인더(binder) 및 안료를 포함한다. 즉, 컬러 필터(230)는 바인더와 안료 등이 혼합된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235)이 복수의 컬러 필터들(230) 내부에 각각 산포(散布)된다. 여기서, 광산란 입자(235)는 컬러 필터(230)의 바인더 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광산란 입자(235)는 컬러 필터(230) 내에서 빛을 산란시켜 전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광산란 입자(235)는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방출된 빛이 컬러 필터(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반사로 인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취출율을 향상시킨다.
박막 봉지층(31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311, 313, 315)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312, 314)을 포함한다. 또한, 박막 봉지층(310)은 무기막(311, 313, 315)과 유기막(312, 314)가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무기막(311)이 최하부에 배치된다. 즉, 무기막(311)이 유기 발광 소자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도 4에서 박막 봉지층(310)은 3개의 무기막(311, 313, 315)과 2개의 유기막(312, 314)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막(311, 313, 315)은 Al2O3, TiO2, ZrO, SiO2, AlON, AlN, SiON, Si3N4, ZnO, 및 Ta2O5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기막(311, 313, 315)은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tion, ALD)법을 통해 형성된다. 원자층 증착법은 유기 발광 소자(70)가 손상되지 않도록 섭씨 100도 이하의 온도에서 전술한 무기물들을 성장시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무기막(311, 313, 315)은 박막의 밀도가 치밀하여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기막(311, 313, 315)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312, 314)은 폴리머(polymer)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폴리머 계열의 소재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막(312, 314)은 열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막(312, 314)을 형성하기 위한 열증착 공정은 유기 발광 소자(70)를 손상시키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막(312, 314)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 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의 밀도가 치밀하게 형성된 무기막(311, 313, 315)이 주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억제한다. 대부분의 수분 및 산소는 무기막(311, 313, 315)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의 침투가 차단된다.
무기막(311, 313, 315)을 통과한 수분 및 산소는 유기막(312, 314)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유기막(312, 314)은 무기막(311, 313, 315)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습 방지 효과는 적다. 하지만, 유기막(312, 314)은 투습 억제 외에 무기막(311, 313, 315)과 무기막(311, 313, 315) 사이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줄여주는 완충층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즉, 유기막(312, 314)이 없이 무기막(311, 313, 315) 바로 위에 바로 무기막(311, 313, 315)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가 휘어짐에 따라 무기막(311, 313, 315)과 무기막(311, 313, 315) 사이에 응력이 발생되고, 이 응력으로 인해 무기막(311, 313, 315)이 손상되어 박막 봉지층(310)의 투습 방지 기능이 현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막(312, 314)은 투습 억제와 함께 완충층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여 박막 봉지층(310)이 안정적으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기막(312, 314)은 평탄화 특성을 가지므로, 박막 봉치층(310)의 최상부면이 평탄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박막 봉지층(310)은 10-6 g/m2/day 이하의 투습율(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WTR)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박막 봉지층(310)은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봉지 기판(210)(도 1에 도시)을 사용하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의 전체적인 두께를 상대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효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전력 대비 향상된 휘도 효율로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광취출율을 향상시켜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발생된 빛이 컬러 필터(230)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는 빛의 이용 효율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의 전체적인 두께를 효과적으로 슬림(slim)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Claims (17)

  1.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에 각각 대응 배치된 복수의 컬러 필터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 내부에 각각 산포(散布)된 다수의 광산란 입자들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컬러 필터는 바인더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광산란 입자는 상기 바인더 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만들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광산란 입자는 무기 입자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표시 기판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들 주변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으로 구분된 기판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들마다 각각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기판 본체의 비화소 영역 상에 대응 배치된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한 층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컬러 필터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반투과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공진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red)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1 유기 발광 소자와, 녹색(green)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2 유기 발광 소자, 그리고 청색(blue) 계열의 빛을 방출하는 제3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유기 발광 소자는 각각 공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기 발광 소자가 갖는 공진층의 두께가 상기 제2 유기 발광 소자가 갖는 공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방출하는 빛의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표시 기판 상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표시 기판과 합착된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컬러 필터들은 상기 봉지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컬러 필터 사이를 메우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봉지 박막은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 중에서 상기 무기막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90076415A 2009-08-18 2009-08-1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9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15A KR101094298B1 (ko) 2009-08-18 2009-08-1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2/844,179 US8648361B2 (en) 2009-08-18 2010-07-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15A KR101094298B1 (ko) 2009-08-18 2009-08-1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85A true KR20110018785A (ko) 2011-02-24
KR101094298B1 KR101094298B1 (ko) 2011-12-19

Family

ID=4360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415A KR101094298B1 (ko) 2009-08-18 2009-08-1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8361B2 (ko)
KR (1) KR10109429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55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43929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30134919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2633A (ko) * 2012-08-14 2014-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표시 장치
US8905806B2 (en) 2012-06-22 2014-12-0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optical shee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optical sheets
KR20150010228A (ko) * 2013-07-18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074826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260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24039A (ko) * 2014-08-22 2016-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887390B2 (en) 2014-09-23 2018-0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gray color filter
KR20180025081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80045887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US10181500B2 (en) 2016-08-31 2019-01-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68925A (ko) * 2017-12-11 2019-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698276B2 (en) 2016-06-03 2020-06-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925B1 (ko) 2007-04-19 2011-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US8884509B2 (en) * 2011-03-02 2014-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ptical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101858636B1 (ko) * 2011-06-14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21739B1 (ko) * 2011-08-25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2711B1 (ko) * 2011-12-28 2018-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00362B1 (ko) * 2012-01-16 2018-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WO2013115136A1 (ja) * 2012-02-01 2013-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30108027A (ko)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JP6238588B2 (ja) * 2012-06-29 2017-11-29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ハプティック表示装置
KR20140018548A (ko) * 2012-08-02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20333B1 (ko) 2012-11-19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상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5702859A (zh) * 2013-02-26 2016-06-22 韦利束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CN104218167A (zh) * 2013-05-30 2014-12-1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面板及其制备方法
TWI642170B (zh) 2013-10-18 2018-11-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KR20150106016A (ko) * 2014-03-10 2015-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16092B1 (ko) * 2014-11-28 2021-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205248279U (zh) * 2016-01-05 2016-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显示装置
CN106129265B (zh) * 2016-09-09 2018-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611794B1 (ko) * 2016-11-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6885055B2 (ja) 2016-12-26 2021-06-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充填材、樹脂組成物、パッケージ、発光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10935842B2 (en) * 2017-08-25 2021-03-02 Nanosys, Inc. Nanostructure based display devices
US11029559B2 (en) * 2017-08-25 2021-06-08 Nanosys, Inc. Nanostructure based display devices
WO2019041128A1 (en) * 2017-08-29 2019-03-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ISPLAY SUBSTR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ISPLAY SUBSTRATE
JP7037034B2 (ja) * 2017-08-31 2022-03-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充填材、樹脂組成物、パッケージ、発光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7768410B (zh) * 2017-10-24 2020-04-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623429B1 (ko) * 2017-12-27 2024-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971557B2 (en) * 2018-08-28 2021-04-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with scattering agent
KR102561299B1 (ko) * 2018-08-28 2023-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65929B2 (en) * 2019-06-13 2023-05-30 Intel Corporation Micro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US11895855B2 (en) * 2019-08-29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N110957348B (zh) * 2019-12-18 2022-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864105A (zh) * 2020-07-09 2020-10-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2038369A (zh) * 2020-08-20 2020-12-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436097B (zh) * 2020-11-19 2023-03-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3629206A (zh) * 2021-07-20 2021-11-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6033807A (zh) * 2021-10-22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742A (ja) * 1998-05-18 1999-11-30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装置
US7094814B2 (en) * 2000-09-01 2006-08-22 Toda Kogyo Corporation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ntaining colorant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KR100428447B1 (ko) 2001-06-07 2004-04-27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이엘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CN101336020A (zh) * 2002-02-12 2008-12-31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7030553B2 (en) * 2003-08-19 2006-04-1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microcavity gamut subpixels and a within gamut subpixel
US7023013B2 (en) * 2004-06-16 2006-04-04 Eastman Kodak Company Array of light-emitting OLED microcavity pixels
KR20060021602A (ko) 2004-09-03 200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75B1 (ko) * 2004-11-17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 칼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569B1 (ko) * 2004-12-10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필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US7245065B2 (en) * 2005-03-31 2007-07-17 Eastman Kodak Company Reducing angular dependency in microcavity color OLEDs
US20070077349A1 (en) * 2005-09-30 2007-04-05 Eastman Kodak Company Patterning OLED device electrodes and optical material
JP2007265869A (ja) 2006-03-29 2007-10-11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100797529B1 (ko) 2006-07-27 2008-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백색 오엘이디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396464B (zh) * 2007-01-22 2013-05-11 Innolux Corp 有機電致發光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JP4899929B2 (ja) 2007-02-28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9007560A (ja) * 2007-05-28 2009-0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4545780B2 (ja) * 2007-07-09 2010-09-1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063552B2 (en) * 2007-10-22 2011-11-22 Global Oled Technology Llc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55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43929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878979B1 (ko) * 2011-10-21 2018-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30134919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905806B2 (en) 2012-06-22 2014-12-0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optical shee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optical sheets
KR20140022633A (ko) * 2012-08-14 2014-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표시 장치
KR20150010228A (ko) * 2013-07-18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074826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260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24039A (ko) * 2014-08-22 2016-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887390B2 (en) 2014-09-23 2018-0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gray color filter
US10698276B2 (en) 2016-06-03 2020-06-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80025081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US10181500B2 (en) 2016-08-31 2019-01-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5887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8925A (ko) * 2017-12-11 2019-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2697A1 (en) 2011-02-24
US8648361B2 (en) 2014-02-11
KR101094298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2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553827B2 (en) Display device
KR1010942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9373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EP221684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12556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5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845735B9 (zh) 包括薄膜包封层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18000577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1355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026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81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2471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068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0002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0842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6540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652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8650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83323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776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8278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84214B1 (ko) 회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668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6207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