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315A - 컨트롤 유닛 - Google Patents

컨트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315A
KR20110018315A KR1020107025942A KR20107025942A KR20110018315A KR 20110018315 A KR20110018315 A KR 20110018315A KR 1020107025942 A KR1020107025942 A KR 1020107025942A KR 20107025942 A KR20107025942 A KR 20107025942A KR 20110018315 A KR20110018315 A KR 2011001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nductor
control unit
strip
conductors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스텐 크레머
미하엘 크노릅프
외르크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1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throttle position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지금까지 공지된 컨트롤 유닛에서는, 전기 접속 시 고객이 다른 전기 배선을 원하는 경우 공정이 매우 복잡했다. 여기에 제안된 컨트롤 유닛(2)은 전기 접속부(14) 상의 간단한 조치에 의해 커넥터 핀(26.1 내지 26.6)의 각각의 임의의 전기 배선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특수한 고객 요구에 용이하게 부합되게 한다. 제안된 컨트롤 유닛은 특히 차량용 내연기관을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컨트롤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개공보 DE 195 25 510 호, 특허 US 5,672, 818 호 및 특허 JP 38 42 336 B2 호에는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컨트롤 유닛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컨트롤 유닛에서 전기 접속부는 플러그 접속부로 형성된다. 플러그 접속부들 중에 다수의 스트립 도체를 가진 스트립 도체 연결부가 있다. 스트립 도체의 일부분은 컨트롤 유닛 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스로틀 플랩의 각각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안내된다. 스트립 도체의 다른 부분은 스로틀 플랩의 각각의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전기 액추에이터로 안내된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스트립 도체들은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몰딩되고 이로 인해 제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 설정된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모든 개별 스트립 도체는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의 접속부를 전기 접속부의 플러그 인 커넥터의 특수한 커넥터 핀에 연결한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센서의 특정 접속부는 플러그 인 커넥터의 특정 커넥터 핀에 전기 접속될 수 있다. 고객의 요구가 변할 경우, 플러그 인 커넥터의 핀과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의 각각의 접속부들 간의 연결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
DE 195 40 323 A1 호에는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스로틀 플랩 형태의 바디 및 외부 전기 장치에 컨트롤 유닛을 접속시키는 플러그 인 커넥터 형태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컨트롤 유닛이 공지되어 있고, 이 경우 전기 장치는 예컨대 전기 제어장치 또는 전압 공급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접속부의 전기 배선이 각각의 고객이 원하는 전기 배선에 맞게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는 컨트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유닛은, 간단한 조치에 의해 전기 접속부의 전기 배선이 고객이 원하는 전기 배선에 맞게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간단하게, 각각의 소정 전기 배선은 컨트롤 유닛의 전기 접속된 부품들에 할당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의 접속된 부품들의 전기 접속부의 전기 배선 시 간단하게 할당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컨트롤 유닛의 제조 시 상당한 융통성이 얻어지므로, 부품 개수가 적은 경우에도 고객의 개별 요구에 대해 적절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장점은, 전기 접속부와, 접속된 하나 또는 다수의 부품 사이의 간격 변동 시 복잡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와 개선이 가능하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가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다수의 교차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것은 바람직하게 전기 접속부의 전기 배선 시 융통성을 현저히 높인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가 적어도 하나의 교차 영역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의 방향으로 또는 스트립 도체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경우에, 이 지점에서 스트립 도체가 대응 스트립 도체와 매우 간단하게 전기 접속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가 교차 영역에서 서로 약간 이격 배치된 면들 내로 연장되는 경우에, 융통성 및 부품들의 상호 공간적 할당 배치에 있어 큰 장점이 얻어진다.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교차 영역에 스트립 도체를 대응 스트립 도체에 전기 접속시키는 중간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에, 중간 부재의 제공 또는 생략에 의해 전기 접속부와 전기 접속된 부품들 사이의 전기 접촉이 각각의 요구에 따라 매우 융통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중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매우 간단하게 각각의 소정의 교차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성형공구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게 선택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에 간단하게 도시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컨트롤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플랩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에서 컨트롤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컨트롤 유닛 내부에 있는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4는 컨트롤 유닛 내부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사시도.
도 5는 스트립 도체 연결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후속 제조 단계에서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상세도.
도 7은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다른 상세도.
도 8은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스트립 도체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컨트롤 유닛은 내연기관의 출력이 컨트롤 유닛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든 내연기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에 의해 예컨대 내연기관에 공급된 공기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컨트롤 유닛은 일반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스로틀 플랩을 포함하는 스로틀 플랩 접속부이다. 컨트롤 유닛은 배기가스 및/또는 측면 공기 채널의 제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면들 중 하나를 참고로 언급된 것과 도시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언급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면, 도면들 중 하나를 참고로 언급된 것과 도시된 것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설명에서 달리 표현되지 않으면, 상이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바디(4)를 가진 컨트롤 유닛(2)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컨트롤 유닛(2)은 스로틀 플랩 접속부(2a)이고,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바디(4)는 스로틀 플랩(4a)이다. 가스 채널(6)이 스로틀 플랩 접속부(2a)를 관통한다. 스로틀 플랩 샤프트(4b)는 컨트롤 유닛(2) 내에, 더 정확히 말하면 스로틀 플랩 접속부(2a) 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디(4), 정확히는 스로틀 플랩(4a)은 스로틀 플랩 샤프트(4b)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충 살펴보면, 컨트롤 유닛(2) 또는 스로틀 플랩 접속부(2a)는 플랩 하우징(8), 접속 부재(10) 및 기어 하우징(12)으로 세분된다. 접속 부재(10)에 전기 접속부(14)가 배치된다.
도 2는 플랩 하우징(8)이 제거된 상태에서 컨트롤 유닛(2)을 도시하고, 도 3은 플랩 하우징(8)이 제거되고 기어 하우징(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컨트롤 유닛(2)을 도시한다.
전기 접속부(14)를 통해 컨트롤 유닛(2)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16)이 전기 접속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부품(16)은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바디(4)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확히는 스로틀 플랩(4a)이 고정된 스로틀 플랩 샤프트(4b)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6a;도 2 참조)이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실시예에서, 컨트롤 유닛(2)의 기어 하우징(12) 내에 다른 전기 부품(18)이 있다. 실시예에서, 다른 전기 부품(18)은 전기 액추에이터(18a)이다. 액추에이터(18a)는 기어 하우징(12) 내에 배치된 기어장치를 통해 스로틀 플랩 샤프트(4b)와 스로틀 플랩(4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컨트롤 유닛(2)은 접속 부재(10)의 전기 접속부(14)를 통해 예컨대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전기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전기 장치는 예컨대 전기 또는 전자 제어장치 및/또는 전류 또는 전압 공급 장치이다. 전기 접속부(14)는 외부 전기 장치에 컨트롤 유닛(2)을 접속시키는 플러그 인 커넥터의 부분이다. 접속 부재(10)의 전기 접속부(14)는 플러그인 커플링으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컨트롤 유닛(2)은 도시되지 않은 대응 플러그인 커플링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에 의해 전기 접속부(14)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전기 장치에 매우 간단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도 4는 제조 중간 단계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를 도시한다.
완성된 컨트롤 유닛(2)에서,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컨트롤 유닛(2)의 기어 하우징(12)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접속 부재(10)에 포함된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6개의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 및 4개의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6개의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은 6개의 커넥터 핀(26.1, 26.2, 26.3, 26.4, 26.5, 26.6)으로 안내되고, 상기 커넥터 핀들은 전기 접속부(14)에 배치된다. 2개의 스트립 도체들(22.5, 22.6)은 접속부(14)의 2개의 커넥터 핀(26.5, 26.6)을 2개의 모터 플러그 콘택(28.5, 28.6)에 연결한다.
모터 플러그 콘택(28.5, 28.6)을 통해 액추에이터(18a;도 3 참조)는 전기 제어되고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은 각각의 단부에 각각 센서 접속부(36.1, 36.2, 36.3, 36.4)를 갖는다. 센서 접속부들(36.1, 36.2, 36.3, 36.4)에 전기 부품(16), 정확히는 각도 센서(16a;도 2 참조)가 접속된다.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을 향한 4개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의 단부들은 모두 실질적으로 하나의 공통 면에 놓인다. 상기 면은 하기에서 스트립 도체 면(30)이라고 한다.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을 향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의 단부들은 모두 실질적으로 공통의 면에 놓인다. 상기 면은 하기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이라고 한다. 스트립 도체 면(30)과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은 약간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면(30, 32)에 대해 수직으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와 교차한다. 대응 스트립 도체(24.1)와 스트립 도체(22.1)가 교차하는 지점은 하기에서 제 1 교차 영역(34.1)이라고 한다. 제 1 대응 스트립 도체(24.1)는 제 2 스트립 도체(22.2)와도 교차한다. 이 지점은 하기에서 제 2 교차 영역(34.2)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실시예에서, 4개의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은 4개의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와 교차한다. 이로써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와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사이의 총 16개의 교차 영역들(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4.10, 34.11, 34.12, 34.13, 34.14, 34.15, 34.16)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대응 스트립 도체(24.4)와 스트립 도체(22.4)가 교차하는 마지막 교차 영역은 하기에서 제 16 교차 영역(34.16)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은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과 직각, 즉 90˚로 교차한다. 90˚가 아닌 교차각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24.1)는 교차 영역(34.1)에서 스트립 도체(22.1)에 전기 접속된다. 교차 영역(34.6)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24.2)는 스트립 도체(22.2)에 전기 접속된다. 교차 영역(34.11)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24.3)는 스트립 도체(22.3)에 전기 접속된다. 교차 영역(34.16)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24.4)는 스트립 도체(22.4)에 전기 접속된다. 다른 교차 영역들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은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과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 사이에 총 16개의 교차 영역들(34.1 내지 34.16)이 제공된다. 각각의 개별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은 간단한 변형 또는 간단한 조치에 의해, 각각의 교차 영역에서 스트립 도체와 교차하는 대응 스트립 도체가 스트립 도체에 전기 접속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단하게, 간단한 변형 및 간단한 조치에 의해 예컨대 센서 접속부(36.1)를 각각의 임의의 커넥터 핀(26.1, 26.2, 26.3, 26.4)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내용이 다른 센서 접속부들(36.2, 36.3, 36.4)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는, 모든 고객이 개별 커넥터 핀(26.1, 26.2, 26.3, 26.4, 26.5, 26.6)의 원하는 전기 배선을 갖는 소정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컨트롤 유닛(2)의 제조 시 복잡한 개장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5는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를 포함하지 않는 접속 부재(10)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을 도시한다.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컨트롤 유닛(2)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이 전기 접속되는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의 단부들은, 스트립 도체 면(30)이라고 하는 공통 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완성된 상태에서 스트립 도체(22.1)가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 중 하나와 접촉해야 하는 지점에서, 교차 영역 내의 스트립 도체(22.1)는 스트립 도체 면(30)으로부터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의 방향으로 선회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22.1)는 대응 스트립 도체(24.1)와 전기 접촉해야 하는 교차 영역(34.1)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24.1)의 방향으로 스트립 도체 면(30)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므로, 대응 스트립 도체(24.1)의 추가 시 스트립 도체(22.1)는 대응 스트립 도체(24.1)와 전기 접촉한다. 동일한 내용이 스트립 도체들(22.2, 22.3, 22.4)에 대해서도 적용되고, 상기 스트립 도체들은 소정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와의 소정의 전기 접촉이 보장되도록, 소정의 교차 영역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펀칭된 또는 스탬핑된 선회부 또는 확장부 또는 비틀림부가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에 있는,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접촉을 위한 소정의 교차 영역에 제공된다. 컨트롤 유닛(2)은, 전기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는 교차 영역에서 선회부 또는 확장부 또는 비틀림부가 스트립 도체 및 대응 스트립 도체에 배치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2)은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에 선회부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전기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는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에만 선회부 또는 확장부 또는 비틀림부가 제공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들은 부분적으로 플라스틱(38a)으로 인서트 몰딩된다. 이로 인해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한 구조(38)가 얻어진다. 접촉을 위해 플라스틱(38a)으로부터 모터 플러그 콘택(28.5, 28.6)과 커넥터 핀들(26.1, 26.2, 26.3, 26.4, 26.5, 26.6)이 돌출한다.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과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는 교차 영역들(34.1, 34.6, 34.11, 34.16)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이 플라스틱(38a)으로부터 돌출한다. 전기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는 교차 영역에서만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이 플라스틱(38a)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나머지 교차 영역들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과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 간의 절연이 보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도 플라스틱(39a)으로 인서트 몰딩된다. 플라스틱(39a)으로부터 센서 접속부들(36.1, 36.2, 36.3, 36.4)과,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을 향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의 영역들이 돌출한다. 플라스틱(39a)으로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과 함께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한 구조(39)가 얻어진다. 플라스틱(38a, 39a)으로 인서트 몰딩된 2개의 구조들(38, 39)이 결합되고, 소정의 교차 영역에서, 예컨대 교차 영역(34.1, 34.6, 34.11, 34.16)에서 스트립 도체들은 대응 스트립 도체들에 전기 및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된다. 이로 인해,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하며 기어 하우징(12) 내로 매우 간단히 조립 가능한 접속 부재(10)가 얻어진다.
연결은 예컨대 스트립 도체들이 소정의 지점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과 용접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용접은, 스트립 도체 또는 대응 스트립 도체를 통해 서지(surge)가 송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트립 도체들과 대응 스트립 도체들은 이들이 접촉하는 지점에서 서로 용접된다. 용접 동안 스트립 도체를 적당한 힘으로 대응 스트립 도체에 대해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부재(10)에서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부는 부분적으로 플라스틱(38a, 39a)으로 인서트 몰딩된다. 이로써 안정적이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가 얻어진다. 접속 부재(10)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 센서 접속부(36.1, 36.2, 36.3, 36.4), 모터 플러그 콘택(28.5, 28.6) 및 커넥터 핀(26.1, 26.2, 26.3, 26.4, 26.5, 26.6)을 가진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와 플라스틱(38a, 39a)으로 이루어진다.
센서 접속부들(36.1, 36.2, 36.3, 36.4)에 간단하게 전기 부품(16), 정확히는 센서(16a)가 배치되고, 전기 접촉될 수 있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를 가진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한 접속 부재(10)는 간단하게 기어 하우징(1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기어 하우징(12) 자체에 변화를 주지 않고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다양한 접촉에 의해 커넥터 핀(26.1, 26.2, 26.3, 26.4, 26.5, 26.6)의 전기 배선이 각각의 고객의 요구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항상 동일하게 형성된 기어 하우징(12) 내에 고객의 요구에 맞춰진 접속 부재(10)가 장착되면 된다.
도 8은 컨트롤 유닛(2)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를 가진 접속 부재(10)의 변형 실시예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의 단부들은 스트립 도체 면(30)을 벗어나지 않는다. 스트립 도체 면(30) 영역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은 어떤 지점에서도 플라스틱(38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스트립 도체 면(30)에서, 완성된 상태에서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중 하나가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 중 하나와 교차하는 각각의 교차 영역(34.1 내지 34.16) 마다 하나의 홀이 배치된다. 홀은 예컨대 실린더형이므로, 각각의 홀에 도전 중간 부재(40), 예컨대 실린더 형태의 금속 핀이 삽입될 수 있다. 대개, 다수의, 예컨대 4개의 중간 부재들(40)이 사용된다.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의 어떤 홀에 중간 부재(40)가 삽입되는 지에 따라, 중간 부재(40)를 통해 대응 스트립 도체와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사이의 소정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4개의 교차 영역들(34.1, 34.6, 34.11, 34.16)의 홀들 내로 각각의 중간 부재(40)가 삽입되면,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에 도 4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촉이 이루어진다. 교차 영역들(34.1 내지 34.16)의 홀들의 일부에 중간 부재(40)의 삽입을 선택함으로써, 커넥터 핀들(26.1, 26.2, 26.3, 26.4)의 전기 배선의 모든 임의의 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대응 스트립 도체가 스트립 도체를 약간 가압하는 경우에 그리고 충분한 강도의 서지에 의해 중간 부재(40)는 스트립 도체 및 대응 스트립 도체와 용접된다. 이로써 컨트롤 유닛(2)의 접속 부재(10)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및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 사이의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확실한 결합이 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각각의 스트립 도체와 중간 부재(40) 사이의 용접 연결 및 각각의 대응 스트립 도체와 중간 부재(40) 사이의 용접 연결은 다수의 서지에 의한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 도체를 향한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의 단부들이 배치된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도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몰딩될 수 있고, 거기에도 상응하는 홀들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에서도 중간 부재(40)는 확실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소정의 지점에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접촉의 모든 임의의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컨트롤 유닛(2)의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를 포함하는 접속 부재(10)의 다른 변형 실시예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의 스트립 도체 면(30)과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이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시된다.
도 9A는 단면에 교차 영역들(34.1, 34.2, 34.3, 34.4)이 배치되도록 구현된, 접속 부재(10)의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화살표 IXB 방향에서 본 스트립 도체 면(30)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립 도체 면(30)의 영역에 있는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은 플라스틱(38a) 내에 완전히 매립된다.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에 있는 대응 스트립 도체(24.1)에 플라스틱(39a)이 사출된다. 정확히는, 플라스틱(39a)이 나머지 대응 스트립 도체들(24.2, 24.3, 24.4)에도 사출될 수 있다.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은 플라스틱(39a) 내에도 매립될 수 있다.
스트립 도체 면(30)에서 플라스틱(38a)에 홀(42)이 제공된다. 스트립 도체(22.1)에는 홀(44)이 제공된다.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 내의 플라스틱(39a)에 홀(46)이 제공된다. 대응 스트립 도체(24.1)에도 홀(48)이 제공된다. 홀들(42, 44, 46, 48)은 서로 동심이고, 상기 홀들(42, 44, 46, 48)의 축들은 면(30, 32)에 대해 수직이고, 교차 영역(34.1)에 배치된다.
면들(30, 32) 사이에 커넥터 핀(50)이 배치된다.
도 9A에는 2개의 화살표들(52a, 52b)이 도시된다. 스트립 도체 연결부(20)가 조립되는 동안, 스트립 도체 면(30)과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은 화살표(52a, 52b)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커넥터 핀(50)은 홀(42, 46) 내로 삽입된다. 2개의 면(30, 32)이 충분한 크기의 힘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에, 커넥터 핀(50)은 홀(44, 48) 내로 압입되거나 또는 박아 넣어진다. 따라서 커넥터 핀(50)은 램 핀(ram pin)이라고도 할 수 있다.
커넥터 핀(50)과 홀들(42, 46)은 예컨대 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홀들(44, 48)은 예컨대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횡단면들은, 커넥터 핀(50)이 힘을 들이지 않고 홀들(42, 46)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매칭되고, 홀들(33, 38)은, 많은 힘을 들여야만 커넥터 핀(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확실하고 영구적인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압입된 커넥터 핀(50)은 소정의 교차 영역에서 스트립 도체(21.1)와 대응 스트립 도체(24.1) 사이의 확실한 결합이 보장된다. 나머지 교차 영역들은 교차 영역(34.1)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 접촉이 요구되는 교차 영역에만 다른 커넥터 핀(50)이 배치된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컨트롤 유닛(2) 내에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4;도 1 참조)는 상이한 크기이다. 정확히 말하면, 스로틀 플랩(4a)의 직경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특히 바디(4)가 크거나 작은 경우에, 스로틀 플랩 샤프트(4b)와 전기 접속부(14) 사이의 간격은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안된 컨트롤 유닛(2)에서, 예컨대 플라스틱(39a) 위로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의 방향으로 돌출한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의 돌출 영역(56)이 소정의 간격에 따라 다소 길게 형성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플라스틱(39a)의 형태 및/또는 플라스틱(38a)의 형태를 변형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도체 면(30) 영역에 있는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은 플라스틱(38a)으로 인서트 몰딩되고,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의 개별 영역만 플라스틱(38a)을 지나 돌출하므로, 예상치 않은 지점에서 단락 및 접촉이 발생할 수 없다. 컨트롤 유닛(2)의 접속 부재(10)는,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스트립 도체가 플라스틱(38a)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것이 아니라,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 영역에 있는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가 플라스틱(39a)으로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예상치 않은 지점에서 접촉이 저지되고 단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18a)가 전기 접속된 모터 플러그 콘택(28.5)은 비가변적으로 커넥터 핀(26.5)에 전기 접속된다. 다른 모터 플러그 콘택(28.6)도 비가변적으로 커넥터 핀(26.6)에 전기 접속된다. 즉, 컨트롤 유닛(2)은, 모터 플러그 콘택들(28.5, 28.6)이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전기 접촉 후에도 전기 접속부(14)의 각각의 임의의 커넥터 핀이 모터 플러그 콘택들(28.5, 28.6)에 전기적으로 할당 배치될 수 있도록 접속되고 스트립 도체 연결부(20)에 통합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응 스트립 도체들과 스트립 도체들은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수직으로 교차한다. 무조건 수직일 필요는 없고, 수직이 아닌 교차각도 가능하다.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은 예컨대 박판 패널로부터 펀칭될 수 있으므로 펀칭 그리드라고도 할 수 있다.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도 펀칭 그리드라고 할 수 있다. 제안된 컨트롤 유닛(2)에서 2개의 펀칭 그리드 사이에 매트릭스 방식의 접속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영역에서 하나의 펀칭 그리드와 다른 펀칭 그리드 사이에 임의의 모든 극성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펀칭 그리드의 매트릭스 영역만 변경되면, 제조 공구의 많은 부품들은 변동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와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의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접속 부재(10)의 전기 접속부(14)에서의 소정의 전기 배선에 따라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와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 사이의 전기 접속이 결정되는 컨트롤 유닛(2)의 제조 방법도 제안된다.
4, 4a 바디
14 접속부
20 스트립 도체 연결부
22.1 - 22.6 스트립 도체
24.1 - 24.4 대응 스트립 도체
34.1 - 34.16 교차 영역

Claims (19)

  1.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바디(4, 4a), 전기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16, 16a, 18, 18a), 전기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16, 16a, 18, 18a)을 전기 장치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14) 및 상기 전기 접속부(14)에 상기 전기 접속된 부품(16, 16a, 18, 18a)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 및 적어도 하나의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다수의 교차 영역들(34.1 내지 3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다수의 스트립 도체들(22.1, 22.2, 22.3, 22.4, 22.5, 2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 연결부(20)는 다수의 대응 스트립 도체들(24.1, 24.2, 24.3, 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서로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2)은 전기 접속된 부품(16, 16a, 18, 18a)으로서,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바디(4, 4a)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2)은 전기 접속된 부품(16, 16a, 18, 18a)으로서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바디(4, 4a)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18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는 상기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는 상기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상기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도체와 대응 스트립 도체 사이의 상기 교차 영역(34.1 내지 34. 16)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도체 면(30)에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는 실질적으로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에서 연장되고, 2개의 면들(30, 32)은 서로 약간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는 상기 교차 영역에서 상기 스트립 도체 면(30)으로부터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는 상기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 면(32)으로부터 상기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 22.6)와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 사이에 상기 스트립 도체(22.1, 22.2, 22.3, 22.4, 22.5)를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24.1, 24.2, 24.3, 24.4)와 전기 접속시키는 중간 부재(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38a)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39a)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14)는 접속 부재(10)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4)는 다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는 다수의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와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가 교차하는 교차 영역(34.1 내지 34.16)에서 상기 스트립 도체(22.1 내지 22.6)와 상기 대응 스트립 도체(24.1 내지 24.4) 사이의 전기 접속이 전기 접속부(14)에서의 소정의 전기 배선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07025942A 2008-05-21 2009-03-25 컨트롤 유닛 KR20110018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1915A DE102008001915A1 (de) 2008-05-21 2008-05-21 Stelleinheit
DE102008001915.1 2008-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315A true KR20110018315A (ko) 2011-02-23

Family

ID=4084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42A KR20110018315A (ko) 2008-05-21 2009-03-25 컨트롤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120768A1 (ko)
EP (1) EP2291581A1 (ko)
JP (1) JP2011521160A (ko)
KR (1) KR20110018315A (ko)
CN (1) CN102037222A (ko)
BR (1) BRPI0912991A2 (ko)
DE (1) DE102008001915A1 (ko)
WO (1) WO2009141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5048A1 (de) 2011-10-21 2013-04-25 Robert Bosch Gmbh Drosselvorrichtung
JP6217019B2 (ja) 2013-10-25 2017-10-25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動式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US9681571B2 (en) * 2014-02-21 2017-06-13 Wells Manufacturing, L.P.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pparatus
DE102014207566A1 (de) 2014-04-22 2015-10-22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KFZ-Luftklappenanordnung mit sensorischer Stellungserfassung
EP3381620B1 (de) * 2017-03-31 2019-08-28 Andreas Stihl AG & Co. KG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7672A (en) * 1958-12-12 1961-04-04 Gen Electric Method of making bonded wire circuit
JPH02219413A (ja) * 1989-02-16 1990-09-03 Yazaki Corp 電気接続箱
DE19525510B4 (de) 1995-07-13 2008-05-08 Robert Bosch Gmbh Drosselklappenstelleinheit
DE19540323B4 (de) 1995-10-28 2008-06-05 Robert Bosch Gmbh Drosselklappenstutzen
US6560527B1 (en) * 1999-10-18 2003-05-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peed control method
JP3694200B2 (ja) * 1999-10-29 2005-09-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の接続構造
JP3501078B2 (ja) * 2000-03-09 2004-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02233032A (ja) * 2001-02-05 2002-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形成した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2315153A (ja) * 2001-04-12 2002-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DE10137454A1 (de) * 2001-08-02 2003-02-20 Siemens Ag Drosselklappenstutzen
JP4001788B2 (ja) * 2002-07-03 2007-10-31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体アセンブリ及び電気接続箱
DE10246113A1 (de) * 2002-10-02 2004-04-22 Siemens Ag Deckel
DE10341394A1 (de) * 2003-09-05 2005-04-28 Pierburg Gmbh Stellvorrichtung
DE102004059171A1 (de) * 2004-12-08 2006-06-14 Siemens Ag Teileinheit zur Betätigung einer drehbar gelagerten Welle, deren aktueller Drehwinkel kontinuierlich zu erfassen ist
JP4635924B2 (ja) * 2006-03-22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吸気モジュール
CN200989246Y (zh) * 2006-11-27 2007-12-12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小型发动机节气门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2991A2 (pt) 2019-09-24
DE102008001915A1 (de) 2009-11-26
WO2009141190A1 (de) 2009-11-26
CN102037222A (zh) 2011-04-27
US20110120768A1 (en) 2011-05-26
EP2291581A1 (de) 2011-03-09
JP2011521160A (ja)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3999B1 (en) Electrical press-fit pin for a semiconductor module
KR20110018315A (ko) 컨트롤 유닛
US6465748B2 (en) Wiring unit
JP5970555B2 (ja) センサ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センサ
US8858271B2 (en) Speaker interconnect
CN102696167B (zh) 机动车的电气部件
JP5700026B2 (ja) 電装品機器の端子装置
KR20130105598A (ko)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US20160079825A1 (en) Power feed section structure of electric power assisting motor apparatus
CN103875131A (zh) 具有插头壳体的用于机动车的控制器
JP6471149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とモータとの間の電送を確立するための電送器具
US20140141661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JP2020098666A (ja) コネクタ嵌合体
US7193347B2 (en) Motor-sensor system
US6259184B1 (en) Load shifting device
US11205865B2 (en) Multi-part wire terminal with sealing member
JP2010507910A (ja) 組立体
JP5528584B2 (ja) 電気および/または電子モジュールと回路支持体とを有する装置
KR20010034014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010013600A (ko) 플러그-인 전기 접속부
EP2291902A1 (de) Haltevorrichtung sowie damit ausgestatteter elektromotor
JP739543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US20230402769A1 (en) Sensor contacting element, cell connector terminal and cell connector plate
WO2022138597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6827563B2 (ja) 接続アセンブリ、パワーモジュール及び板状電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