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370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370A
KR20110017370A KR1020107026735A KR20107026735A KR20110017370A KR 20110017370 A KR20110017370 A KR 20110017370A KR 1020107026735 A KR1020107026735 A KR 1020107026735A KR 20107026735 A KR20107026735 A KR 20107026735A KR 20110017370 A KR20110017370 A KR 2011001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sk
nonwoven fabric
fiber
fi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시가미
나오히토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 B03C3/30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in which electrostatic charge is generated by passage of the gases, i.e. tribo-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6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捕集性)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적어도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 본체부(10)와, 마스크 본체부(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한 쌍의 귀걸이부(20)를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부(10)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를 포함하며, 제1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 단위 중량이 1.5 g/㎡∼5 g/㎡인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고, 제2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이 모두 제1 섬유 시트를 상회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의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7737호 공보에는, 착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 특히 입체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입체 마스크에서는, 착용자의 숨막힘을 해소하면서 감기 등의 바이러스 대책으로서의 원하는 배리어 성능을 얻기 위해서,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捕集性)에 주목하여, 일렉트릿화된 일렉트릿 섬유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이들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일렉트릿 섬유 시트를 이용한 이러한 종류의 입체 마스크의 설계시에는, 상반되는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서로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기 위해서 한층 더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로서, 마스크 본체부, 한 쌍의 귀걸이부, 및 피착부재를 적어도 구비한다. 마스크는, 일회 사용 내지 수회 사용을 목표로 한 일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후에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마스크 본체부는, 착용자의 적어도 입 및 코를 덮는 부위로 되어 있고, 한 쌍의 귀걸이부는,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부위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귀걸이부는, 귀에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마스크 본체부는, 촉감이 좋고 착용감이 좋은 감촉의 것이며, 또한 얼굴에 피착되었을 때의 형상이 유지되기 쉬운, 귀걸이부보다 저신축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마스크 본체부는, 평면 형상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입체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입체 형상의 경우에는, 적어도 마스크 착용시에 마스크 본체부가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마스크 착용시 뿐만 아니라 마스크 착용 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또는 마스크 착용시에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마스크 본체부가, 마스크 착용 전에는 소정의 형태로 접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마스크 본체부를 형성하는 시트편은, 전형적으로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해 섬유를 고착하거나 얽히게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 형상의 구성물이고,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된다.
이 마스크 본체부는, 특히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를 포함하고, 마스크 착용시에 제2 섬유 시트의 착용자측에 제1 섬유 시트가 배치되는 적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대해서는, 마스크 본체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에 의한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양태나,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에 더하여 또한 섬유 시트가 적층 형상으로 배치된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양태 등이 널리 포함된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란, 폴리올레핀계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또 다른 섬유가 혼합된 부직포 시트도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로서,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 1-부텐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일렉트릿화」란, 기지(旣知)의 일렉트릿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섬유 표면에 소정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부여하여 분극시킨 유전(誘電) 상태로서 규정된다. 즉,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에 대해서 원하는 일렉트릿화가 가능해진다.
특히 이 마스크 본체부에서, 제1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 단위 중량이 1.5 g/㎡∼5 g/㎡인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고, 제2 섬유 시트는, 그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이 모두 제1 섬유 시트를 상회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된다. 특히 일렉트릿화되는 제1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억제함으로써 마스크 포집성(捕集性)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일렉트릿화되는 제2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상대적으로 올림으로써 마스크 통기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 제2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15 ㎛∼30 ㎛, 단위 중량이 18 g/㎡∼50 g/㎡인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또한 일렉트릿화되는 제2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에 대해서 한층 더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마스크 본체부는, 제1 섬유 시트를 사이에 두고 제2 섬유 시트와 반대측에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3 섬유 시트를 구비하고, 또한 이 제3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50 ㎛, 단위 중량이 20 g/㎡∼40 g/㎡로 된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안면(피부)에 직접 닿는 이러한 구성의 제3 섬유 시트는, 촉감이 좋은 부직포 시트로서 적합해진다. 또한, 이 제3 섬유 시트는, 제1 및 제2 섬유 시트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섬유 시트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섬유 시트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특히 마스크 본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적층 형상의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이들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를 일렉트릿화된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하고, 각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킨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마스크 본체부(1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評價片)의 통기도 및 포집 효율의 각 측정값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의 통기도와 포집 효율의 상관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단위 중량[g/㎡]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단위 중량[g/㎡]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크(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마스크(1)는, 1회 내지 수회의 사용을 상정(想定)한 일회용 마스크로서 구성되고, 감기 등의 바이러스 대책으로서의 배리어 기능을 갖는 마스크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꽃가루 대책 등의 마스크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이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부(10) 및 귀걸이부(20)로 크게 나뉜다.
[마스크 본체부(10)의 구성]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1)의 각 부위 중 착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이 마스크 본체부(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 본체부」에 해당한다. 이 마스크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우측 안면을 덮는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안면을 덮는 좌측 시트편(10b)이 열용착에 의해 서로 연접(連接) 형상으로 접합되고, 착용자측의 착용면이 오목 형상으로 된 입체 형상(입체 구조)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의 접합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합 가장자리(10c)가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부(10)가 이 접합 가장자리(10c)를 경계로 하여 좌우로 이분된다.
이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 착용시에,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이 서로 이격된 확개(擴開) 상태로 설정되어 입체 형상으로 설정되는 한편, 마스크 수납시 내지 마스크 미사용시에 있어서는,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이 서로 접촉한 접힘 상태(평면 형상)로 설정된다. 또한, 이 마스크 본체부(10)는, 적어도 마스크 착용시에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마스크 착용시 뿐만 아니라 마스크 착용 전에도 마찬가지로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마스크 본체부(10)는, 촉감이 좋고 착용감이 좋은 감촉의 것이며, 또한 얼굴에 피착되었을 때에 입체 구조가 유지되기 쉬워지도록 귀걸이부(3)보다 저신축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 본체부(10), 즉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의 단면 구조에 대해서는, 도 2가 참조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10)는, 제1 섬유 시트(13), 마스크 착용시에 마스크 외표면(11)을 형성하는 제2 섬유 시트(14), 마스크 착용시에 착용자를 향하는 마스크 내표면(착용면)(12)을 형성하는 제3 섬유 시트(15)가 서로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어 접합된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 섬유 시트(13), 제2 섬유 시트(14) 및 제3 섬유 시트(15)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로 되어 있고, 이음매 등이 없는 한 장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된 것이어도 되며, 또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를 중첩시켜 적층하거나 또는 맞대어 접합한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제1 섬유 시트(13)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일렉트릿 처리)된 시트체로서 구성된다. 이 일렉트릿화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섬유 표면에 소정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부여하여 분극시킨 유전 상태가 형성되게 된다. 즉,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에 대해서 원하는 일렉트릿화가 가능해진다. 이 제1 섬유 시트(13)로서, 전형적으로는 멜트블로우법(「멜트블로운법」이라고도 함)에 의해 제조된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라고도 함)를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 단위 중량이 1.5 g/㎡∼5 g/㎡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제1 섬유 시트(13)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것이며, 상기 부직포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해서만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더하여 추가적인 섬유,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가 부가된 것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1 섬유 시트(13)가, 본 발명에서의 「제1 섬유 시트」에 해당한다.
제2 섬유 시트(14)는, 제1 섬유 시트(13)와 마찬가지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시트체로서 구성된다. 이 제2 섬유 시트(14)의 일렉트릿화 처리는, 제1 섬유 시트(13)와 아울러, 또는 제1 섬유 시트(13)와 독립적으로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2 섬유 시트(14)로서, 전형적으로는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 에어스루법에 의해 제조된 에어스루 부직포 시트,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 시트, 또는 니들펀치법에 의해 제조된 니들펀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이 15 ㎛∼30 ㎛, 단위 중량이 18 g/㎡∼50 g/㎡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제2 섬유 시트(14)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것이며, 상기 부직포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해서만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더하여 추가적인 섬유,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가 부가된 것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2 섬유 시트(14)가, 본 발명에서의 「제2 섬유 시트」에 해당한다.
제3 섬유 시트(15)는, 상기한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와는 달리, 일렉트릿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시트체로서 구성된다. 이 제3 섬유 시트(15)로서,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하고, 가압롤에 의한 포인트 본드 가공이 이루어진 저밀도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예컨대, 평균 섬유 직경이 10 ㎛∼50 ㎛, 단위 중량이 20 g/㎡∼40 g/㎡이며, 두께 내지 부피가 0.20 ㎜ 이상, 통기도가 150 ㏄/㎠/sec인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안면(피부)에 직접 닿는 이러한 구성의 제3 섬유 시트(15)는, 촉감이 좋은 부직포 시트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3 섬유 시트(15)가 본 발명에서의 「제3 섬유 시트」에 해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 제3 섬유 시트(15)를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귀걸이부(20)의 구성]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좌우 양측, 즉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귀걸이부(20)가, 본 발명에서의 「귀걸이부」에 해당한다. 각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와는 별체(別體) 구조로 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부(10)에 부분적으로 중첩시켜 접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일부로서 마스크 본체부(10)와 일체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귀걸이부(20)는, 개구(21)를 구비하는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스크(1)의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얼굴, 특히 코 및 입을 마스크 본체부(10)에 의해 덮은 상태에서, 귀걸이부(20)의 개구(21)가 착용자의 귀에 걸린다. 이 귀걸이부(20)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부직포이며, 또한 귀에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비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장층(예컨대, 프로필렌 연속 섬유가 서로 용착된 부직포)과, 탄성 신축 가능한 탄성 신축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성층[예컨대,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엘라스토머나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한 부직포]이 서로 중첩되어 적층된 구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부(10)의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량적인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평가시에는, 이하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評價片)에 대해서, 통기성 평가에 관한 통기도[㏄/㎠/sec]와, 포집성 평가에 관한 포집 효율[%]을 측정하였다. 통기도의 측정에 대해서는, 기지의 프래절형 시험기를 이용하여, 미리 규정된 소정 조건하에서 각 평가편을 통과하는 공기량[㏄/㎠/sec]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집 효율의 측정에 대해서는, ASTM F2101에 규정되는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박테리아 비말(飛沫) 여과 효율(BFE)[%]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평가편)
실시예 1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2의 평가편)
실시예 2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3의 평가편)
실시예 3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에어스루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4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4의 평가편)
실시예 4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3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5의 평가편)
실시예 5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6의 평가편)
실시예 6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 ㎛, 단위 중량: 3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7의 평가편)
실시예 7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 ㎛, 단위 중량: 5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8의 평가편)
실시예 8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21.5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의 평가편)
실시예 9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24.8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0의 평가편)
실시예 10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1의 평가편)
비교예 1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2.5 ㎛, 단위 중량: 2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2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2의 평가편)
비교예 2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8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3의 평가편)
비교예 3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20 g/㎡)를 이용하였다. 또한, 제3 섬유 시트(15)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7.6 ㎛, 단위 중량: 30 g/㎡)를 이용하였다.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의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의 통기도 및 포집 효율의 각 측정값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도 4에는,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각 평가편의 통기도와 포집 효율의 상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실시예 1∼10을 ○플롯으로 나타내고, 비교예 1∼3을 ●플롯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통기성에 관여하는 통기도의 기준치를 70[㏄/㎠/sec] 이상으로 하고, 마스크 포집성에 관여하는 포집 효율의 기준치를 90[%] 이상으로 한 경우, 비교예 1∼3은 모두 이들 기준치에 의해 규정되는 기준 범위를 벗어난 데 비해서, 실시예 1∼10은 모두 이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기도의 기준치인 70[㏄/㎠/sec] 이상의 영역은, 마스크 본체부(1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극이 완전히 없어졌다고 해도, 착용자가 숨막힘을 전혀 느끼는 일이 없는 영역이 된다. 또한, 포집 효율의 기준치인 90[%] 이상의 영역은, 감기 등의 바이러스 대책으로서의 배리어 성능을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 된다.
비교예 1에서는, 통기도가 기준치를 대폭적으로 하회하기 때문에, 제1 섬유 시트(13)만을 일렉트릿화하는 것만으로는,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조정해도, 통기도 및 포집 효율 모두에 대해서 기준치를 만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 및 3을 비교해 본 경우,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를 일렉트릿화함으로써 통기도를 대폭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평가되는 한편, 비교예 2 및 3에서는 비교예 1에 비해서 포집 효율이 낮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를 일렉트릿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나서, 또한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의 각각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에 주목하여, 이들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실시예 1∼10의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적정하게 설정함으로써, 통기도 및 포집 효율 모두에 대해서 기준치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평가하였다.
제1 섬유 시트(13)에 대해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제2 섬유 시트(14)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는[제2 섬유 시트(14)에 대해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제1 섬유 시트(13)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함] 것이 유효해진다. 또한, 이들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에서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의 구체적인 설정시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한층 더 정량적인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성능 평가에서는,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 각각의 최적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설정하기 위해서, 각 섬유 시트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여러 가지로 변경했을 때의 통기도 및 포집 효율을, 전술한 측정 방법에 따라 각각 측정하였다.
제1 섬유 시트(13)의 최적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여기서 도 5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제1 섬유 시트(13)의 단위 중량[g/㎡]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경우,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0.5 ㎛∼4 ㎛, 단위 중량: 1 g/㎡∼6 g/㎡)를 이용하는 한편,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20 ㎛, 단위 중량: 40 g/㎡)를 이용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결과에 기초해 보면, 제1 섬유 시트(13)에 대해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을 제2 섬유 시트(14)보다 작은 0.5 ㎛∼3 ㎛로 하고, 또한 그 단위 중량을 제2 섬유 시트(14)보다 작은 1.5 g/㎡∼5 g/㎡로 함으로써, 통기도가 70[㏄/㎠/sec]이 되는 레벨까지 마스크 통기성을 높이고, 또한 포집 효율의 기준치가 90[%]이 되는 레벨까지 마스크 포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1 섬유 시트(13)에 관한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의 이러한 최적 범위는, 제2 섬유 시트(14)의 평균 섬유 직경을 20 ㎛ 전후로 변경하고, 또한 단위 중량을 40 g/㎡ 전후로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경향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제2 섬유 시트(14)의 최적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여기서 도 7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8은 제2 섬유 시트(14)의 단위 중량[g/㎡]과 포집 효율[%] 및 통기도[㏄/㎠/sec]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경우,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0 ㎛∼40 ㎛, 단위 중량: 20 g/㎡∼60 g/㎡)를 이용하는 한편,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일렉트릿화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 직경: 1.5 ㎛, 단위 중량: 2 g/㎡)를 이용하였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결과에 기초해 보면, 제2 섬유 시트(14)에 대해서는, 그 평균 섬유 직경을 제1 섬유 시트(13)보다 큰 15 ㎛∼30 ㎛로 하고, 또한 그 단위 중량을 제1 섬유 시트(13)보다 큰 18 g/㎡∼50 g/㎡로 함으로써, 통기도가 70[㏄/㎠/sec]이 되는 레벨까지 마스크 통기성을 높이고, 또한 포집 효율의 기준치가 90[%]이 되는 레벨까지 마스크 포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2 섬유 시트(14)에 관한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의 이러한 최적 범위는, 제1 섬유 시트(13)의 평균 섬유 직경을 1.5 ㎛ 전후로 변경하고, 또한 단위 중량을 2 g/㎡ 전후로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경향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일렉트릿화된 부직포 시트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마스크 본체부(10)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대폭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신규의 마스크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며, 특히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 단위 중량이 1.5 g/㎡∼5 g/㎡인 일렉트릿화된 부직포 시트를 제1 섬유 시트(13)로서 이용하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15 ㎛∼30 ㎛, 단위 중량이 18 g/㎡∼50 g/㎡인 일렉트릿화된 부직포 시트를 제2 섬유 시트(14)로서 이용함으로써, 마스크 통기성 및 마스크 포집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킨 마스크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이고, 단위 중량이 1.5 g/㎡∼5 g/㎡인 일렉트릿화된 부직포 시트를 제1 섬유 시트(13)로 하고 나서, 그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이 모두 상기한 수치 범위(평균 섬유 직경: 0.5 ㎛∼3 ㎛, 단위 중량: 1.5 g/㎡∼5 g/㎡)를 상회하는 일렉트릿화된 부직포 시트를 제2 섬유 시트(14)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일렉트릿화되는 제1 섬유 시트(13)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억제함으로써 마스크 포집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일렉트릿화되는 제2 섬유 시트(14)의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을 상대적으로 올림으로써, 마스크 통기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의 부직포 시트를, 폴리올레핀계 섬유 중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일렉트릿화 처리를 특히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용면에서 우수한 저렴한 마스크가 제공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 1-부텐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1 섬유 시트(13) 및 제2 섬유 시트(14)의 부직포 시트를 구성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응용이나 변형이 고려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섬유 시트(13), 제2 섬유 시트(14) 및 제3 섬유 시트(15)가 서로 적층 형상으로 배치된 3층 구조의 마스크 본체부(10)를 구비하는 마스크에 대해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본체부가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구성이면 되고, 마스크 본체부로서 2층 이상의 구조를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에 다른 섬유 시트가 부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섬유 시트의 수나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가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는 부위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섬유 시트(13)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와, 제2 섬유 시트(14)에 해당하는 부직포 시트는, 원하는 일렉트릿화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이면 되고,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또 다른 섬유가 혼합된 부직포 시트를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의 열용착 접합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10)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용착을 비롯한 각종의 접합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시트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접합하여, 마스크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회 사용 내지 수회 사용을 목표로 한 일회용 타입의 마스크에 대해서 기재하였으나, 마스크 본체부나 귀걸이부의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세탁 등을 행한 후에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마스크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가 입체 형상인 경우에 대해서 기재하였으나, 마스크 본체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마스크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마스크
10: 마스크 본체부
10a: 우측 시트편
10b: 좌측 시트편
10c: 접합 가장자리
11: 마스크 외표면
12: 마스크 내표면
13: 제1 섬유 시트
14: 제2 섬유 시트
15: 제3 섬유 시트
20: 귀걸이부
21: 개구

Claims (3)

  1. 착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한 쌍의 귀걸이부
    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가 일렉트릿화된 제1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를 포함하고, 마스크 착용시에 상기 제2 섬유 시트의 착용자측에 상기 제1 섬유 시트가 배치되는 적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0.5 ㎛∼3 ㎛, 단위 중량이 1.5 g/㎡∼5 g/㎡인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2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 및 단위 중량이 모두 상기 제1 섬유 시트를 상회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15 ㎛∼30 ㎛, 단위 중량이 18 g/㎡∼50 g/㎡인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제1 섬유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섬유 시트와 반대측에 적층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3 섬유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섬유 시트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50 ㎛, 단위 중량이 20 g/㎡∼40 g/㎡로 된 부직포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07026735A 2008-05-15 2009-05-14 마스크 KR20110017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8869 2008-05-15
JP2008128869A JP5072708B2 (ja) 2008-05-15 2008-05-15 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70A true KR20110017370A (ko) 2011-02-21

Family

ID=4131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35A KR20110017370A (ko) 2008-05-15 2009-05-14 마스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03593A1 (ko)
EP (1) EP2286878A4 (ko)
JP (1) JP5072708B2 (ko)
KR (1) KR20110017370A (ko)
CN (1) CN102046242B (ko)
TW (1) TWI457156B (ko)
WO (1) WO2009139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588A (ja) * 2011-05-18 2012-12-10 Ikari Shodoku Kk マスク
JP5944716B2 (ja) * 2012-03-30 2016-07-05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マスク
JP2014073358A (ja) * 2012-09-13 2014-04-24 Japan Environment Research Co Ltd 放射性有機ヨウ素を捕集・吸着可能な使い捨てマスク
JP6322910B2 (ja) * 2012-12-27 2018-05-16 東洋紡株式会社 防護服
US20140272359A1 (en) *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substrates
JP2015089465A (ja) * 2013-11-07 2015-05-11 東レ株式会社 アンモニア消臭マスク
USD767754S1 (en) * 2015-11-02 2016-09-27 Trainingmask, Llc Resistance and filtration breathing device
KR102124719B1 (ko) 2016-06-30 2020-06-18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USD821568S1 (en) * 2016-07-20 2018-06-26 Blueair Ab Face mask
JP6877102B2 (ja) * 2016-07-28 2021-05-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ルス除去用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マスク
RU2661272C2 (ru) 2016-09-09 2018-07-13 Трейнингмаск Л.Л.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ыхания с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USD820974S1 (en) 2016-09-30 2018-06-19 TrainingMask L.L.C. Resistance breathing device
CN112971238B (zh) * 2017-02-14 2023-01-3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口罩
AU201712054S (en) * 2017-04-06 2017-05-02 Healthy Breath Ltd A Mask
USD822195S1 (en) * 2017-05-30 2018-07-03 Ascend Eagle Incorporated Medical mask
JP6293340B1 (ja) * 2017-07-27 2018-03-1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マスク
USD844253S1 (en) * 2018-03-12 2019-03-26 Makrite Industries Inc. Face mask
US10322312B1 (en) 2018-06-01 2019-06-18 TrainingMask L.L.C. Resistance and filtration breathing device
USD949325S1 (en) * 2018-07-11 2022-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USD885677S1 (en) * 2019-03-05 2020-05-26 Beard Blanket Llc Facial covering
USD870390S1 (en) * 2019-08-12 2019-12-17 Jianghua Mao Mask
USD912240S1 (en) * 2020-04-03 2021-03-02 Jake Butler Face mask
JP6795235B1 (ja) * 2020-04-08 2020-12-02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マスク用濾材及びマスク
DE102020110057A1 (de) 2020-04-09 2021-10-14 Mondi Ag Atem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temmaske
DE102020111994A1 (de) 2020-05-04 2021-11-04 Mondi Ag Atem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temmasken
EP3906972A1 (de) * 2020-05-07 2021-11-10 W. Pelz GmbH & Co. KG Schutzmaske zur vermeidung von tröpfcheninfektionen
CN111743240A (zh) * 2020-06-24 2020-10-09 北京倍舒特妇幼用品有限公司 一种口罩及制作工艺和装置
USD961762S1 (en) * 2020-07-28 2022-08-23 U-Earth Biotech Ltd Protective face mask
FR3114484A3 (fr) 2020-09-29 2022-04-01 Kao Corporation Feuille de masque et masque la comportant
USD933309S1 (en) * 2020-12-04 2021-10-12 Yong Zhang 3D mask bracket
USD936906S1 (en) * 2020-12-21 2021-11-23 Xie Xin Face mask
USD994875S1 (en) * 2020-12-21 2023-08-08 United One America, Inc. Face mas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013A (en) * 1979-05-04 1981-03-07 Nitta Kk Structure of air filter element
JPS61272063A (ja) * 1985-05-29 1986-12-02 東レ株式会社 マスク
DE3731575A1 (de) * 1987-09-19 1989-03-30 Freudenberg Carl Fa Filterpack
JPH02268773A (ja) * 1989-04-11 1990-11-02 Asahi Chem Ind Co Ltd 不織シートよりなる成型マスク
JP2574670Y2 (ja) * 1990-06-13 1998-06-1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ー
JPH07241349A (ja) * 1994-03-04 1995-09-19 Japan Vilene Co Ltd 成形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AU2095895A (en) * 1995-03-09 1996-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ld flat respirator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US5804512A (en) * 1995-06-07 1998-09-08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laminate fabric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US5620785A (en) * 1995-06-07 1997-04-15 Fiberweb North America, Inc. Meltblown barrier web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JP3769674B2 (ja) * 1995-11-30 2006-04-2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ット化成形マスク
US7028689B2 (en) * 2001-11-21 2006-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 mask that uses an exhalation valve that has a multi-layered flexible flap
US20030203696A1 (en) * 2002-04-30 2003-10-30 Healey David Thomas High efficiency ashrae filter media
CN1286542C (zh) * 2003-06-13 2006-11-29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高效滤材及其制造方法及用其制作的医用防护口罩
TWI274595B (en) * 2004-11-15 2007-03-01 Chun-Liang Chiu Mask
JP4938260B2 (ja) 2005-08-02 2012-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4783707B2 (ja) * 2006-10-04 2011-09-28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マスク用フィルタ
EP1953286A1 (en) * 2007-02-01 2008-08-06 Nisshinbo Industries, Inc. Fabric and mask
US20080271739A1 (en) * 2007-05-03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respirator that has concave portions on opposing sides of mask top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2708B2 (ja) 2012-11-14
TWI457156B (zh) 2014-10-21
JP2009273726A (ja) 2009-11-26
TW201010754A (en) 2010-03-16
US20110203593A1 (en) 2011-08-25
CN102046242A (zh) 2011-05-04
EP2286878A4 (en) 2014-03-12
CN102046242B (zh) 2012-11-07
EP2286878A1 (en) 2011-02-23
WO2009139176A1 (ja)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370A (ko) 마스크
JP4594182B2 (ja) 立体マスク
JP3609361B2 (ja) 立体シート材料
JP4895710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JP4938260B2 (ja) 使い捨てマスク
EP2473660B1 (en) Two-sided hydrophilic/hydrophobic nonwov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078070B1 (ko) 마스크
EP2554729A1 (en) Sheet of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1283518B1 (ko) 마스크
JP2007021031A5 (ko)
JP7066426B2 (ja) マスク
JP6730677B2 (ja) 積層不織布シート
JP4594181B2 (ja) マスク
JP6001247B2 (ja) マスク
JP2005007188A (ja) 使い捨て生理用ショーツ
JP5944716B2 (ja) マスク
JP3190510U (ja) 複合シート
KR102574568B1 (ko) 마스크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마스크
RU210758U1 (ru) Масочный лист
JP5225449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70262A (ja) マスク用材料
JP2022174632A (ja) 不織布及びこれを構成部材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JP2024007281A (ja) 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A3195532A1 (en) Disposable, compostable surgical/medical mask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for
CN115969120A (zh) 医疗用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