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719B1 -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719B1
KR102124719B1 KR1020187033070A KR20187033070A KR102124719B1 KR 102124719 B1 KR102124719 B1 KR 102124719B1 KR 1020187033070 A KR1020187033070 A KR 1020187033070A KR 20187033070 A KR20187033070 A KR 20187033070A KR 102124719 B1 KR102124719 B1 KR 10212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lter
base layer
end edge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975A (ko
Inventor
츠요시 나카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Publication of KR2018012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에 대비하는 동시에, 날벌레의 기피 효과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하고, 해당 마스크의 전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마스크(A)는, 복수의 필터를 적층해서 이루어지고, 적어도,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카본 얀이 짜넣어진 정전방지 필터와,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와,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가 적층되어 있다. 마스크 케이스(7)는, 두 부분으로 분기된 밑면부(71, 72)와, 그 중앙에 세워설치한 정상부(73)를 구비하고, 밑면부(71, 72)의 한쪽으로부터 정상부(73)에 이르는 부분에 개구 단부 가장자리(74)를 설치해서 개구시켜, 정상부(73)로부터 상기 개구 단부 가장자리(74)를 덮는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본 발명은, 복수의 필터가 적층되어서 구성되는 마스크 및 전용의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한 입자 등의 침입을 억제하거나, 또는 호흡에 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와 전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꽃가루나 분진의 기관지에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용으로서 사용되는 것, 또는, 기침이나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비말(飛沫)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자기방위적으로 방어하는 수단으로서도 마스크를 장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목적의 마스크에는, 1매의 부직포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1회용 타입과, 거즈 등의 시트재를 적층시켜 구성되는 반복 사용 가능한 타입이 존재하고 있었다.
1회용 타입의 마스크는, 오로지 부직포만 사용한 것으로, 마스크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기성과 입자의 포착성의 균형을 고려해서, 섬유 직경 및 평량이 설정되어 있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분진이나 비말 등의 입경이 비교적 큰 입자는,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포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보다 입경이 작은 미립자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포착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미립자의 침입을 방지하는 입자의 포착성을 향상시키려고 하면, 통기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되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인 통기성 저하를 해소하고자, 각 부분을 파트(part)마다 구성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포개는 동시에, 해당 적층부분의 일부를 접합시켜 이루어진 접합부와, 그 이외의 부분을 접합시키지 않는 비접합부를 구성해서 이루어진 것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이러한 구성의 마스크에 있어서는, 흡인 시에 있어서는 기압의 영향에 의해 비접합부가 밀착되고, 호기의 배출 시에는, 비접합부가 개방되므로, 통기성(특히 호기의 배출)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 한편에 있어서, 반복 사용 가능한 타입의 마스크에 있어서는, 오로지 거즈와 같은 다공질의 시트재에 의해서 형성된 필터를 적층시킨 것으로서, 세탁에 의해서 부착물을 제거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주지이다. 이 종류의 마스크는, 비교적 입경이 큰 입자의 포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미립자나 인플루엔자 등의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사용하는 것은 맞지 않았다. 그래서, 필터를 적층시키는 타입의 마스크에 있어서도 바이러스 등의 감염 예방 효과를 얻기 위하여, 마스크에 부착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 시트재를 적층시키는 것이 개발되어 있고, 예를 들어, 최외층 및 최내층의 필터에 바이러스 불활성화 미립자를 담지시킨 것이 있었다(특허문헌 3 참조).
전술한 특허문헌에 있어서는, 그 사용법의 장점으로부터 1회용 타입이 보급되어 있지만, 마스크에 의해서 포착해야 할 물질에 따라서, 포착성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즉, 포착해야 할 물질의 입경이 작아지면, 포착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마스크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섬유의 직경이나 평량에 의해서 포착성을 조정하는 것이지만, 포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동시에 통기성이 저하되는 결과가 되고, 무제한으로 포착성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되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파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적층시키고, 접합부와 비접합부를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호기의 배출 시에는 비접합부의 간극을 이용하고, 흡기 시에는 비접합부는 개구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흡기 시에는, 마스크의 내측 공간의 기압이 저하되므로, 비접합부가 겹친 상태에서 닫혀 합쳐지는 것이므로, 비접합부의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지 않아, 마스크 본체를 통과한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지만, 마스크 본체에 잔주름 등을 생기게 해서 장착할 경우에는, 해당 비접합부의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된다는 우려가 생길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1회용 타입의 마스크를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입자가 큰 비말물질의 포착은 가능하다고 상정되지만, 마스크 표면(특히 외측 표면)에는 포착된 감염력이 있는 바이러스 등을 함유하는 비말 등이 부착되는 것으로 되어, 부주의하게 해당 표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할 경우에는, 감염력이 저하되어 있지 않은 비말물질에 의해서 감염될 일이 염려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사용 후에 있어서는, 마스크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안면으로부터 떼어내, 마스크 표면을 내측으로 접도록 하고, 또한, 공기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로 폐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다른 한편, 특허문헌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복 사용 가능한 타입의 마스크에 있어서는, 마스크의 표면에 부착된 비말 등에 함유되는 바이러스 등을 바이러스 불활성화 미립자에 의해서 불활성화시키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마스크에 의해서 포착된(마스크 표면에 부착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인플루엔자 등의 감염 예방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바람직한 것이라고 하지만, 해당 마스크에 있어서는, 포착성 및 통기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술이 이용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바이러스를 갖는 비말물질 등의 포착성의 여하에 따라서는, 충분한 감염 예방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될 수 없을 가능성을 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입자 형상 물질(PM) 중 입경이 작은 미립자(예를 들어, PM 2.5), 또는, 인플루엔자 등의 미소 바이러스에 의해서 건강피해가 확대된다는 보도가 되어, 미립자를 충분히 포착할 수 있는 마스크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원의 출원인에 있어서, 대전 필터와, 개구 길이가 작은 메쉬 필터(mesh filter)와, 항균 필터를 적층시킨 마스크를 개발하였다(특허문헌 4).
JP 2009-273726 A JP 2012-254272 A WO 2011040035 A JP 2015-029568 A
전술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마스크는, 입자 형상 물질(PM) 중 입경이 작은 미립자(예를 들어, PM 2.5), 또는, 인플루엔자 등의 미소 바이러스에 대비하기 위한 마스크로서는 바람직했다. 이것은, 대전 필터에 의해서 흡착시켜, 이것을 항균 필터에 의해서 불활화시키는 것이었지만, 바이러스 등이 대전 필터에 머물게 되므로, 바이러스 등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최근 보도되고 있는 지카열의 발생 원인인 모기의 기피 등, 날벌레의 접근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적층되는 모든 필터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교환을 할 수 없고, 마스크 전체를 세탁해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 횟수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방어해야 할 대상물에 따라서 필터를 교환할 수 있는 마스크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에 대비하는 동시에, 날벌레의 기피 효과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해당 마스크의 전용 케이스의 제공이다.
그래서,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제1 양상으로서, 복수의 필터를 적층시켜 이루어진 마스크로서, 적어도,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카본 얀(carbon yarn)이 짜넣어진 정전방지 필터와,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와,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정전방지 필터의 존재에 의해,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은, 일차적으로는 필터에 의해서 방호되고, 부차적으로,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을 필터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머물게 하는 일 없이,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벌레 기피 필터에 의해, 날벌레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방취 필터에 의해, 모기 등의 날벌레를 유인하는 냄새 성분이나 이산화탄소의 확산을 제한하고, 날벌레의 기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방취 필터에는,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입된 레이온 섬유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호기에 포함되는 습기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의 수화성에 의해, 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각 필터가, 가장 내측에 적층되는 기부층(基部層)과, 가장 외측에 적층되는 메쉬 형태의 나일론제 메쉬 원단(生地)에 의한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기부층과 표면층이 비봉착(非縫着)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縫着)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각 필터에 의한 필터 구성부가 상기 기부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기부층으로서 거즈 등을 사용함으로써, 피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면서, 나일론제 메쉬 원단에 의한 형상의 안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형상의 안정화란, 자유롭게 형상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 그 복원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 형상을 고정화시킨다고 하는 의미는 아니다. 또한, 필터 구성부가 복수의 필터의 집합체일 경우, 이들을 일체적으로 적층시킨 상태인 경우 이외에, 복수의 필터가 분리 가능한 상태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부가, 가장 내측에 적층되는 기부층과, 가장 외측에 적층되는 메쉬 형태의 나일론제 메쉬 원단에 의한 표면층이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임의의 필터가 기부층 또는 표면층에 적층되고, 나머지의 필터에 의한 필터 구성부가 상기 기부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용도·목적에 관계 없이, 마스크에 공통되는 필터에 대해서는, 기부층 또는 표면층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특히, 자루체가 형성되고, 그 자루체의 내부에 필터를 삽입하는 형태의 경우에는, 사용 목적 등과 합치하는 필터를 삽입해서 사용한다고 해도, 마스크로서 기능시켜야 할 최저한도의 필터를 구비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봉착"이라는 용어는, 봉합해서(즉, 꿰매어) 일체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일반적인 마스크의 제조 방법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직접 봉합할 경우 이외에, 시접을 피복해서 봉합할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봉합해서 일체화시킬 경우의 꿰매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실의 종류 등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재료에 따라서는 용착이 가능할 경우가 있고, 특수한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이 가능할 경우 등에서는, "봉착"이라는 단어는 "용착" 또는 "접착"이라는 의미로서 이해되는 것이다. 봉착의 용어에 관해서는 이하에 있어서 마찬가지이다.
또한,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으로서는, 내측에 배치되는 기부층 및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시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비봉착 영역으로부터 본체부에 출납 가능한 필터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구성부는,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카본 얀이 짜넣어진 정전방지 필터,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 및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본체부를 사용하면서, 적당히 다른 구성에 의한 필터 구성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용도에 따른 마스크로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여름철에 있어서의 해충이 날아다님이 많은 시기에는 벌레 기피 필터를 구비한 필터 구성부를 사용하고, 겨울철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등의 배제를 위하여 정전방지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구성부를 사용하는 등과 같이, 계절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필터를 모두 구비하는 필터 구성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3 양상으로서는, 내측에 배치되는 기부층 및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시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비봉착 영역으로부터 본체부에 출납 가능한 필터 구성부를 포함하되,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카본 얀이 짜넣어진 정전방지 필터,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 및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필터가, 상기 기부층, 표면층 혹은 필터 구성부 중 어느 하나에 통합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특정한 효과를 갖는 필터를 필수의 필터로서, 기부층 또는 표면층에 미리 적층시킨 후에, 다른 효과를 갖는 필터를 필터 구성부로서 추가적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 필터는 다른 효과인 것일 필요는 없고, 특정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동종의 필터를 필터 구성부로서 추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표면층에 메쉬 형태의 나일론제 메쉬 원단을 사용해도 되지만, 표면층을 다른 소재 또는 필터에 의해 구성하고, 해당 나일론제 메쉬 원단을 기부층의 일부에 사용해도 된다. 이 나일론제 메쉬 원단은 형상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일체화되는 기부층과 표면이 일체화되는 것에 의해, 전체로서 형상의 안정화가 실현되면 되고, 어느 쪽인가 한쪽에 사용되는 것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나일론제 메쉬 원단을 기부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기부층의 가장 내측에 거즈 등을 사용함으로써, 피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각 발명 중, 기부층과 표면층을 형성하는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2개의 층이, 하단 가장자리 및 좌우 양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봉착되어,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필터 구성부를 해당 개구부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해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기부층과 표면층이 자루체를 형성하는 것이 되고, 개구부로부터 자루체의 내부에 필터 구성부를 삽입하거나, 또는 꺼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터 구성부를 형성하는 각 필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필터 구성부를 형성하는 필터를 교환할 수 있는데다가, 필터를 꺼낸 상태에서 (즉, 자루체만을) 세탁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출납 가능한 필터 구성부를 상기 각 필터의 일부로 할 경우에는, 다른 필수적인 필터는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에 봉착 등 되어서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자유롭게 출납되는 필터 구성부가, 복수의 필터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봉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터 구성부를 형성할 때에, 임의의 필터를 적당한 순서로 자루체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필요한 필터를 바람직한 순서로 적층시킨 일체형의 적층체를 필터 구성부로서 삽입함으로써, 바람직한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특히, 필터 구성부를 형성해야 할 모든 필터가 일체적인 적층체로 구성될 경우에는, 용도·목적에 따라서, 미리 적층된 필터의 적층체를 가지고 필터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적층체를 단위로 해서 필터 구성부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복수의 필터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적층체는, 해당 적층체를 단위로 해서 필터 구성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적층체를 더욱 복수 적층시킴으로써 필터 구성부를 형성시켜도 된다. 이 경우, 단층의 필터와 적층체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은 2매의 기부재료 필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방취 필터가 상기 2매의 기부재료 필터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가에 접하는 기부층은, 농후한 호기나 타액의 비말을 받는 것이 되지만, 이 기부층에 방취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이들을 원인으로 하는 냄새를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시킨다. 특히, 해당 방취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입된 레이온 섬유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호기에 포함되는 습기를 흡수하고, 수화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억제하므로, 냄새의 예방이나 날벌레를 기피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기부층을 구성하는 2매의 기부재료 필터는, 동일 소재의 필터일 필요는 없고, 입가에 접하는 쪽에는, 예를 들면, 거즈로 구성한 필터를 사용하고, 반대쪽에는, 예를 들면, 항균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방취 필터보다도 내측의 층에, 적당한 두께의 솜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입가에서 소취 필터까지의 사이에 적지 않게 공극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되고, 이 공극부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숨참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극부에 의해서 타액의 비말 등을 체류시킴으로써, 냄새의 원인 물질 등을 소취 필터보다도 바깥쪽으로 방출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된다.
상기 각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에는, 위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를 형성하고, 해당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단부 가장자리부를 설치하여, 이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가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리는 동시에, 장착용의 끈부재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가, 면 형상부의 좌우 양측부와 함께 장착용의 끈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가까이 끌어당겨서, 마스크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에 의해, 마스크 주변에서 누출되는 호기 중, 눈매 방향으로 새는 호기가, 눈매(특히 안경의 렌즈)에 내뿜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용의 끈부재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가 집중적으로 잡아당겨져, 코 주변의 간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끈부재는, 신축성이 없는 것이어도 되지만, 고무줄 등의 신축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해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은, 위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가 형성되고, 해당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며, 이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리고, 장착용의 신축끈이 상기 단부 가장자리부 내에 삽입 통과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에 있어서 좌우로 연속하는 단부 가장자리부에, 장착용의 신축끈이 삽입 통과되고 있으므로, 신축끈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마스크를 장착할 때,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는, 신축끈의 복원력에 의해 두부 중심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신축끈의 형상에 일치시켜, 안면의 기복에 대하여 유연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에는, 그 내부 또는 표면에 소성변형 가능한 재질에 의한 긴 와이어 부재를 해당 단부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설치하고, 또한, 상기 기부층의 상부에는, 적당히 간격을 갖는 2개소에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와이어 부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마스크를 장착할 때에 해당 단부 가장자리부를 코 주변의 기복에 맞춰서 미리 형상을 조정한 후, 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된다. 또한, 간격을 갖는 2개소의 완충부재에 의해, 적당히 변형 가능한 완충부재가 코의 양측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제2 면 형상부가 형성되고, 해당 제2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며, 이 제2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리고, 장착용의 신축끈이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부에 삽입 통과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2 면 형상부가, 턱의 주변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되고, 게다가, 그 단부 가장자리부에 신축끈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턱 주변의 형상에 맞춰서 단부 가장자리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 특히, 회화 등을 위하여 입을 움직일 경우이어도, 턱 주변에 있어서의 마스크 주변과 안면 사이의 간극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호흡부하형 마스크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의 마스크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 중 어느 1개 혹은 복수의 필터, 또는 이들과는 다른 개별의 필터가, 개구 길이를 60㎚ 이하의 미세한 메쉬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굳이 마스크의 착용에 의해, 다소의 숨이 막히는 상태로 함으로써, 호흡에 부하를 거는 것이 되어, 횡격막 이외의 호흡근을 단련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호흡은, 횡격막 및 늑간근이 작용한다고 되어 있지만, 이들 이외에도 흉쇄유돌근, 복직근 또는 사각근(斜角筋) 등이 호흡 동작에 작용하므로, 이들 근육을 단련시킴으로써, 호흡 동작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에 의해, 대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호흡 동작의 개선이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호흡에 사용되는 근육이 단련됨으로써, 호흡의 정지 시간이 짧아지고, 호흡의 정지 횟수도 감소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호흡 동작의 개선에 의해, 수면 시 무호흡 증후군의 발증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구성의 마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전용 마스크 케이스로서는, 두 부분으로 분기된 밑면부와, 그 중앙에 세워설치한 정상부를 구비하고, 밑면부의 한쪽으로부터 정상부에 이르는 부분에 개구 단부 가장자리를 설치해서 개구시켜서, 정상부에서부터 상기 개구 단부 가장자리를 덮는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마스크 케이스는, 밑면부가 두 부분으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의 좌우측 양단부를 해당 분기된 두 개의 밑 부분에 합치시킴으로써,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마스크 전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가, 서로 파스너(fastener) 또는 면 파스너에 의해 폐구(閉口) 자유롭게 구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케이스 내에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 용이하게 개구되어 마스크의 표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마스크를 전용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마스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를 세탁할 때에는 전용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 세탁조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세탁조 안에서 교반 등이 작용할 경우이더라도, 상기 구성에 의해, 마스크가 전용 케이스 내에 들어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마스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마스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마스크의 기부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마스크의 필터 구성부(내삽용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마스크 케이스의 사용 양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마스크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마스크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마스크 본체(1)와 필터 구성부(내삽용 필터)(2)로 구성되는 것이며, 마스크 본체(1)에는, 상단 가장자리만이 개구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1)로부터 내삽용 필터(2)를 삽입함으로써, 소정의 효과를 갖는 마스크(A)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마스크 본체(1)는, 일부의 필터 소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있어, 상기 내삽용 필터(2)와 함께, 소정의 물질의 침입을 방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필터 구성부"란, 1개 또는 복수의 필터에 의해 구성되고, 마스크 본체(1)와는 구별해서 설치된 부재이며, 오로지 필터 기능을 발휘시킬 목적을 갖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같이 일체화한 단일부재로서 구성될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복수로 분할되어서 구성될 경우도 있고, 또한 분리된 단독 필터에 의해서 구성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마스크 본체(1)에 내삽하는 구성이므로, 이하에 있어서 "내삽용 필터"라 칭할 경우가 있다.
마스크 본체(1)는, 기부층(3)과 표면층(4)이, 주변을 봉착시킴으로써 일체화된 것이다. 단, 개구부(11)를 형성해야 할 상단 가장자리는 봉착되어 있지 않은 비봉착 영역으로 하고 있다. 또, 기부층(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직물을 해당 단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차양 형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면 형상부(31)가 설치되고, 기부층(3)보다도 내측(사용자의 얼굴측)의 적절한 범위를 피복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면 형상부(31)의 선단 가장자리(32)에는, 띠상태의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소성변형 가능한(탄성력이 비교적 작은) 수지제(폴리에틸렌제) 또는 금속제의 와이어 부재가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내삽되어 있고, 사용자의 얼굴 표면의 기복에 따라서 변형시켜, 해당 단부 가장자리를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의 좌우 양측에는, 귀걸이용으로서 신축성을 갖는 고무줄(5, 6)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 고무줄(5, 6)은,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31)의 선단 가장자리(32)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것이며, 해당 양단부분은, 후술과 같이 표면층(4)의 일부에 걸리는 것이다. 또, 이 고무줄(5, 6)은, 신축성이 없는 끈 재료로 구성해도 되고,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 도구를 설치해도 된다.
그런데, 마스크 본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층(3)과 표면층(4)이 개별의 다른 필터층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것을 봉착시켜 일체화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부층(3)은 폴리에스터제의 실을 메리야스 편성한 거즈 등의 유연한 소재를 주로 사용하고, 표면층(4)은 나일론 메쉬 소재 등의 형상이 안정화되는 바와 같은 소재(형상 안정화 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기부층(3)의 거즈 소재는, 촉감이 좋기 때문이며, 이 외에 냉감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냉감 소재로서는, 접촉 냉감 재료나 흡습 속건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형상 안정 재료로서는, 나일론제의 메쉬 구조 재료를 사용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쉬의 개구 길이가 비교적 큰 것(1.5㎜ 내지 2.0㎜)을 2매 적층시키고 있다. 이것은 형상의 안정화를 우선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이 경우의 표면층(4)은, 마스크에 있어서의 필터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지니게 하고 있지 않다.
또, 기부층(3) 및 표면층(4)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 상단 부근 중앙부 및 하단 부근 중앙부를 죈 상태로 봉착시키고 있다. 또한,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31)는, 기부층(3)에 설치되고, 기부층(3)과 함께 사용자의 얼굴에 용이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1)는, 개별로 설치된 기부층(3)과 표면층(4)이, 하단 가장자리 및 좌우 양단 가장자리가 봉착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것이므로, 봉착된 상태는, 간이한 자루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된다. 이 상태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a)는 마스크 본체부(1)의 사시도이며, (b)는 IIIB-IIIB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층(3)과 표면층(4) 사이에 있어서, 봉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마스크 본체(1)의 상단 가장자리의 봉착되어 있지 않은 단부 가장자리(비봉착 영역)는 개구부(11)가 되고, 양자(3, 4)의 중간은 중공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공부분에, 전술한 내삽용 필터(2)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31)는, 마스크 본체(1)(기부층(3))의 상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차양 형상으로 내뻗는 상태로 되어있고, 그 선단 가장자리(32)의 띠 형상 부분 내부에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와이어 부재(33)가 피복되면서 내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와이어 부재(33)는, 탄성력이 작은 것이며, 용이하게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으로 (얼굴의 기복에 맞춰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면 형상부(31)의 선단 가장자리(32)에 형성되는 띠 형상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부재(33)를 피복하기 위해서 직물이 적층되어서 소정의 강도를 지니고 있다. 이 선단 가장자리(32)의 양단부(32a, 32b)는, 표면층(4)의 좌우 양측부(41, 42)의 상단부(41a, 42a)의 근방에 걸려 있고, 또한 귀걸이용의 고무줄(5, 6)의 상단부(51, 61)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4)에 의해 상기 띠 형상 부분 양단부(32a, 32b)를 걸기 위해서, 표면층(4)의 양측부(41, 42)에는, 해당 양측부(41, 42)를 봉착시키기 위한 바대의 선단부를 되접어 꺾고, 상기 띠 형상 부분 양단부(32a, 32b)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 되접어 꺾은 부분에 띠 형상 부분 양단부(32a, 32b)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걸림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고,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걸리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고무줄(5, 6)의 상단부(51, 61)는, 띠 형상 부분 양단부(32a, 32b)에 봉착되어 있고, 다른 쪽의 하단부(52, 62)는 표면층의 양측 하단부(4lb, 42b)에 봉착시키는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면 형상부(31)의 선단 가장자리(32)에 형성되는 띠 형상 부분 양단부(32a, 32b)가, 귀걸이용의 고무줄(5, 6)에 연결됨으로써, 해당 고무줄(5, 6)에 의해, 마스크(1)를 사용자의 안면에 가까이 끌어당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스크(1)의 장착 상태가 안정화되는 동시에,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무줄(5, 6)의 상단부(51, 61)의 근방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면 형상부(31)의 해당 띠 형상 부분을 집중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어, 해당 띠 형상 부분을 코 주변의 기복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부층(3)은, 촉감이 좋은 거즈 소재로 구성되지만, 1매의 소재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복수의 필터를 적층시켜 구성해도 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가장 내측(얼굴면 쪽)에 거즈 소재(또는 냉감 소재 등)의 시트재(34)를 배치하고, 외측(표면층측)에는 다른 재질의 필터(35)로 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양쪽(34, 35)의 중간에 다른 필터(3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외측(표면층측)의 필터(35)에는,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로 구성된 직물을 사용한 소취 필터로 하고, 내부에 적층시키는 필터(36)에는 적당한 두께의 솜으로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방법에 의한 경우, 적당한 두께의 솜이 중간에 설치됨으로써, 숨막힘을 경감시키고 있다. 솜의 두께는 10㎜ 이하이며, 중간에 적층됨으로써, 압축되어서 약 5㎜의 두께로 되지만, 솜에 의한 중공층의 존재에 의해 해당 5㎜ 정도로도 편안히 호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외측에 적층되는 소취 필터(35)는,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솜의 내부에 토해내지는 호기에 포함되는 습기나 타액의 비말 등을 흡수시켜,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내층의 시트재(34)와 솜에 의한 필터(36)의 중간에, 2개의 완충부재(37a, 37b)를 배치해도 된다. 이 완충부재(37a, 37b)는 탄성재료가 이용되며, 솜이나 스펀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완충부재(37a, 37b)는, 사용자의 코의 양측 근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며, 사용 시에 코의 양측에 생기기 쉬운 간극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해소시키는 것이다. 또, 이 완충부재(37a, 37b)는, 이들 필터나 시트재(34 내지 36)를 봉착시킬 때에, 상단 가장자리를 동시에 봉착시킴으로써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봉착 후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31)의 단부 가장자리가 봉착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내삽용 필터(2)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내삽용 필터(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21 내지 25)가 적층되어 있다. 이들 필터(21 내지 25)는, 동일한 형상으로 커팅되고, 적층시킨 상태에서 주위를 봉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고 있다. 이들 필터(21 내지 25) 중, 최외층(표면층측)의 필터(21)는 정전방지 필터이다. 이 정전방지 필터는,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의 표면에, 도전성 카본에 의한 카본 얀을 짜넣은 것이며, 종횡으로 2㎜ 정도의 간격으로 격자 형상으로 짜넣어져 있다. 이렇게 카본 얀을 짜넣음으로써,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대전하는 전하를 방전하고, 정전기에 의한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의 흡인·흡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바이러스 등을 필터에 흡착시켜서 제거하는 것은 아니고, 부착되는 바이러스 등을 필터에 체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바이러스의 침입은, 원단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터계의 직물에 의해서 배제시키고 있다. 즉, 정전방지 필터(21)의 원단은, 개구 길이를 20㎚ 정도의 미세한 메쉬 형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한 메쉬 형태의 원단에 의해, 미립자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을 억제한 후에, 해당 필터(21)의 표면에 체류하는 일이 없도록 정전방지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마스크 그 자체가 비위생적인 것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내삽용 필터(2)는 다른 필터(22 내지 25)를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벌레 기피 필터(22)를 적층시킴으로써, 날벌레의 접근으로부터 방호할 수 있다. 벌레 기피 필터(22)로서는,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를 사용할 수 있다.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은, 날벌레(특히 모기 등)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으므로, 이것을 면포에 체류시킴으로써, 모기의 접근을 방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소취 필터(23)로서 입상의 활성탄을 부착시킨 것을 적층시켜도 되고, 또한, 항균 필터(24)를 적층시켜도 된다.
항균 필터(24)로서는, 솜 소재의 메쉬 필터에 바이러스 불활성 능력을 갖는 물질을 담지시킨 것이 있다. 해당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백금, 요오드화팔라듐, 요오드화은, 요오드화구리 및 티오사이안산구리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이 있다. 그것 이외에도, 섬유 구조물에 대해서, 2-하이드록시-1,3,5-트라이아진 나트륨, 다이아미노벤젠설폰산 나트륨 및 염화다이데실다이메틸암모늄을 공존시킨 용액을 함침시켜서 이루어진 것도 있다(특허 제4832573호). 이들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되는 물질에 접한 바이러스는 불활성화되고, 또한, 균류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또는 균류의 사멸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가장 내측에는 부직포에 의한 보조 필터(25)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복수의 필터(22 내지 24)를, 표면의 정전방지 필터(21)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부직포에 의한 보조 필터(25)의 존재에 의해, 중간에 끼운 필터(22 내지 24)를 보호할 수 있다. 즉, 표면이 스치는 것에 의해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내삽용 필터(2)를 구성하는 각종 필터(21 내지 25)에 부가해서, 또한 개구 길이가 작은 필터로서,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것을 추가해도 된다. 이것은 정전방지 필터(21)의 원단으로서 사용되는 것과 동질이지만, 이러한 미세한 메쉬 필터를 추가함으로써, 호흡에 부하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호흡에 부하를 거는 것은, 즉, 횡격막 이외의 호흡근을 단련시키는 것이 된다. 자연스러운 호흡에서는, 횡격막 및 늑간근 등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되지만, 숨이 찰 경우에는, 흉쇄유돌근, 복직근 또는 사각근 등도 사용하는 것이 되어, 이들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다. 이들 근육 강화에 의해, 호흡 동작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되고, 수면 시 무호흡 증후군의 발증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호흡에 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저산소운동과 마찬가지의 훈련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신체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것에 의한 다이어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굳이 숨이 차게 하여, 호흡에 부하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한 마스크를 본원에서는 호흡부하형 마스크라 칭하고 있다.
다음에, 마스크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기부층과 표면층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표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의 상태를, 도 7은 마스크 본체의 내측(이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101)는, 기본적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기부층(103)과 표면층(10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기부층(103)과 표면층(104)은,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봉착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제1 면 형상부)(108)가, 기부층(103)이 아니라, 표면층(10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표면층(104)의 상단 가장자리(143)에 있어서, 표면층(104)을 구성하는 부재와 함께 봉착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 표면층(104)의 하단 가장자리(144)에는, 마찬가지의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제2 면 형상부)(109)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면 형상부(108, 109)는, 모두 단부 가장자리부(181, 191)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양단부분이, 표면층(104)의 좌우 양단부의 상단부(141a, 142a)와, 하단부(14lb, 142b)에 설치되는 환상부분에 삽입 통과가능하며, 이 삽입 통과에 의해 해당 헌상 부분에 의해서 걸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단부 가장자리부(181, 191)는, 양쪽 모두 띠 형상이지만, 또한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중공 내부에 장착용 끈(신축끈)(105, 106)이 삽입 통과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장착용 끈(105, 106)은, 제1 면 형상부(108)의 단부 가장자리부(181)에는 삽입 통과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제2 면 형상부재(109)의 단부 가장자리부(191)에는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는 (105), (106)으로 나누어서 (좌우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전체가 연속하는 1개의 끈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장착용 끈(105, 106)은, 단부 가장자리부(181, 191)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며, 고무줄 등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므로, 그 신축 시에 있어서의 길이의 변화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 도구(150, 160)가 설치되어 있다.
기부층(103)은, 면 형상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부층(3)과 같은 구조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나일론제 메쉬 원단에 의한 형상 안정화 재료를 최외층(130)에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제1 및 제2)(108, 109)를 표면층(104)에 형성한 것이므로, 장착의 상태에 의해 표면층(104)의 형상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고, 마스크 전체의 형상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기부층(103)에 설치한 것이다. 또, 형상 안정화 재료를 기부층(103)에 설치한 것에 따라서, 표면층(104)의 최외층(140)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전술한 정전방지 필터(21)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부(101)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부층(103) 및 표면층(104)은, 하단 가장자리 및 좌우 양단 가장자리를 봉착시켜(상단 가장자리는 비봉착 영역으로서 개방시켜), 전체로서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 상태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다.
도 8(a)는 마스크 본체부(101)의 사시도, (b)는 VIIIB-VIIIB 단면도이며, 도 9는 장착 시에 있어서의 VIIIB-VIIIB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착되지 않는 상단 가장자리(비봉착 영역)는 개구부(111)로서 기능하고, 기부층(103)과 표면층(104)의 중간에 형성되는 중공부분에는, 전술의 내삽용 필터(2)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면 형상부(108)의 단부 가장자리부(18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와이어 부재(1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이어 부재(183)는, 용이하게 소성변형이 가능한(탄성력이 비교적 작은) 수지제(폴리에틸렌제) 또는 금속제이며, 1개 또는 복수개를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측면에 접착시키고 있다. 접착에는, 수지 필름 또는 천에 의해서 와이어 부재(183)를 피복시킨 상태에서 단부 가장자리부(181)에 봉착시킨 구성으로 해서 와이어 부재(183)가 표면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해당 단부 가장자리부(18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용 끈(105, 106)이 삽입 통과되므로, 이것과 간섭하지 않도록 측면에 접착한 것이지만, 와이어 부재(183)를 단부 가장자리부(181)에 내삽 가능하면, 단부 가장자리부(181)의 내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 종류의 와이어 부재(18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표면의 기복에 따라서 변형시켜, 해당 단부 가장자리부(181)를 안면(특히 코의 주변)에 밀착할 수 있게 하고 있다(도 9 참조). 이 밀착 상태는, 기복의 형상에 맞춘 후, 상기 장착용 끈(105, 106)에 의한 신축성(복원력)에 의해서 효과적인 것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2 면 형상부(109)의 단부 가장자리부(191)에는, 와이어 부재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해당 면 형상부재(109)가 턱의 주변을 덮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회화 등에 있어서 입(아랫턱)을 동작시킬 때, 그 형상이나 위치가 상시 변화되므로, 와이어 부재에 의한 형상의 고정화가 어려운 것에 의한다. 그래서, 이 와이어 부재 대신에, 단부 가장자리부(191)의 재료를 유연한 소재로 함으로써, 내부에 삽입 통과되는 신축성을 갖는 장착용 끈(105, 106)에 의해, 해당 단부 가장자리부(191)를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있는 것이다(도 9 참조). 또, 표면층(104)의 상하단 가장자리(143, 144)에는, 형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수지제 와이어(145, 146)를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삽입시켜도 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 형상부(1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104)에 설치되고, 장착 시에는 안면에 밀착되므로, 비봉착 영역에서 형성되는 개구부(111)는, 면 형상부(108)에 의해 폐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의 개구부(111)로부터 삽입된 내삽용 필터(102)는, 마스크의 사용 시에 있어서는,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내삽용 필터(10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삽용 필터(102)와 마찬가지이며, 적당한 기능을 갖는 재질의 필터가 선택적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이들 특정 기능을 갖는 필터는, 내삽용 필터에 일괄해서 적층시킬 경우도 있지만, 기부층(103) 또는 표면층(104)을 구성하기 위해서 특정 기능을 갖는 필터를 사용할 경우, 내삽용 필터로부터 해당 기능을 갖는 필터를 제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제1 면 형상부재(108) 및 제2 면 형상부재(109)에 의해, 마스크의 상하 양단부를 함께 안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물질(배제해야 할 물질)의 침입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삽용 필터(2)에 개구 길이가 작은 필터로서,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것을 추가하여, 호흡부하형 마스크로 할 경우에는, 외기의 침입 경로가 한층 제한되는 것이 되고, 호흡 시에 부여하는 부하를 크게 하는 것이 된다. 특히, 장착용 끈(신축끈)(105, 106)에 의한 인장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밀착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저산소 운동과 마찬가지의 훈련 효과를 얻을 목적의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에 따른 밀착 상태로 조정한 후에, 훈련을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에,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케이스(7)는, 밑면부(71, 72)가 두 부분으로 분기되어 있고, 양자(71, 72)의 중앙에는, 세워설치된 정상부(73)가 설치되고, 전체로서 거의 삼각기둥을 옆으로 향하게 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부(71 내지 73)는, 1매 또는 수 매의 직물을 봉착시켜 구성되고, 이들 각 부(71 내지 73)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이 직물은, 나일론제 또는 폴리에스터제의 메쉬 소재로 구성되어, 통기성이 좋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밑면부(72)로부터 정상부(73)에 이르는 도중에는, 전후 방향(상기 삼각기둥의 모선방향)으로 절단된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가 설치되고, 이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에 의해서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는, 정상부(73)의 형상에 맞춰서 반달 모양으로 형성되고, 밑면부(72)로부터 정상부(73)에 연속하는 직물은, 그 단부 가장자리부(75)가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단부 가장자리부(75)의 적절한 범위를 해당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의 내측에 적층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74)를 폐구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마스크 케이스(7)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면부(72)로부터 정상부(73)에 도달하는 단부 가장자리부(75)를 정상부(73)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개구부(74)가 크게 개구되는 것이다. 이 개구부(74)로부터 마스크(A)를 삽입함으로써, 내부에 수용시키는 것이 된다. 이때, 마스크(A)의 표면측(Aa)을 상향으로 함(정상부(73) 쪽을 향함)으로써, 마스크(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Ab, Ac)의 한쪽을 개구부(74)로부터 침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의 중공으로 되어 있는 마스크 케이스(7)(도 12(a) 참조)의 내부에 있어서, 마스크(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Ab, Ac)가 각각 두 부분의 밑면부(71, 72)의 내측에 배치되어, 마스크(A)의 표면측(Aa)을 상향으로 해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마스크 케이스(7)는, 기본적으로 밑면부(71, 72)와, 정상부(73)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마스크(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Ab, Ac)는, 한쪽의 밑면부(71)와 정상부(73)에 맞닿도록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마스크(A)를 케이스(7)의 내부에 삽입하기 쉬운 방법에 의해서, 마스크(A)의 수용 상태를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마스크 케이스(7)는, 또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개구부(74)는, 밑면부(72)로부터 정상부(73)에 도달하는 직물의 단부 가장자리부(75)와, 정상부(73)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76) 사이에 구성되므로, 이 양자를 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77)(도 13(a) 참조) 또는 면 파스너(78)(도 13(b) 참조)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파스너(77) 또는 면 파스너(78)에 의해, 개구부(74)를 폐구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게, 개구부(74)를 폐구시킴으로써, 내부에 수납한 마스크가 케이스(7)로부터 부주의하게 비어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것은 세탁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다. 즉, 마스크를 세탁할 경우에는, 그 형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스(7)에 수납한 상태에서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케이스(7) 그 자체는, 액체 및 기체가 통과하기 쉬운 비교적 유연한 소재이지만, 마스크 단체를 세탁기에 의해서 세탁할 경우와 비교해서, 케이스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세탁에서는, 형태 붕괴의 정도가 다르고, 또한, 그 세탁 시에, 마스크를 케이스 내에 안정적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이들 실시형태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A)는, 마스크 본체(1)와 내삽용 필터(2)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양자(1, 2)는 분리시킨 것이 아니라 일체화시킨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1)는, 기부층(3)과 표면층(4)으로 구성되어, 각각이 필터를 적층시킨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나일론 메쉬에 의한 형상 안정화 재료를 최외층으로 하고, 거즈 소재를 최내층으로 하는 자루 형상 구조의 마스크 본체(1)를 구성하는 것이면 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나일론 메쉬에 의한 형상 안정화 재료는, 기부층(103)의 최외층으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마스크 전체의 형상이 안정화되는 상태이면, 최외층이 없어도 된다.
또한, 마스크(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Ab, Ac)(특히 기부층(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에, 수지제의 와이어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마스크(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볼 근방에 맞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해당 단부 가장자리의 형상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간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부층(3)의 상단부(면 형상부(31)가 설치되는 기단부)의 가장자리부에도 마찬가지의 와이어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마스크(A)를 장착했을 때, 마스크(A)(특히 기부층(3))의 주변이 사용자의 안면에 간극 없이 맞닿는 것으로 되고, 필터를 경유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의 외기의 흡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삽용 필터(2)를 구성하는 각종 필터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에 방취 필터(35)를 적층시키지 않은 구성의 경우에는, 내삽용 필터(2)를 구성하는 필터에 상기 방취 필터(35)를 적층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호흡부하형 마스크의 경우에는, 기부층(3)에 적층되는 솜(36)을 적층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31) 및 완충부재(37a, 37b)는 필수적인 부재가 아니고, 적당히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면 형상부재(31)를 기부층(3)에 설치했지만,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층(4)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른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면 형상부재(108) 및 제2 면 형상부재(109)를 모두 표면층(104)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어느 쪽인가 한쪽 또는 양쪽을 기부층(10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101: 마스크 본체 2, 102: 내삽용 필터
3, 103: 기부층 4, 104: 표면층
5, 6, 105, 106: 고무줄 7: 마스크 케이스
11, 111: 마스크 본체의 개구부 21: 정전방지 필터
22: 벌레 기피 필터 23: 제2 소취 필터
24: 항균 필터 25: 보조 필터(부직포 필터)
31, 108, 109: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
32, 181, 191: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단부 가장자리부)
32a, 32b, 182a, 182b, 192a, 192b: 면 형상부의 띠 형상 부분 양단부(단부 가장자리부 양단부)
33, 183: 와이어 부재
34: 최내층의 시트재(거즈 소재 등의 시트재)
35: 소취 필터 36: 솜
37a, 37b: 완충부재 41, 42: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
41a, 42a, 141a, 142a: 좌우 양측부의 상단부
4lb, 42b, 14lb, 142b: 좌우 양측부의 하단부
51, 61: 고무줄의 상단부 52, 62: 고무줄의 하단부
71, 72: 마스크 케이스의 밑면부 73: 마스크 케이스의 정상부
74: 마스크 케이스의 개구부 75: 마스크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부
76: 마스크 케이스의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
77: 파스너 78: 면 파스너
130: 기부층의 최외층 140: 표면층의 최외층
143: 표면층의 상단 가장자리 144: 표면층의 하단 가장자리
145, 146: 수지제 와이어 150, 160: 장착 끈의 길이 조정 도구
A: 마스크 Aa: 마스크의 표면측
Ab, Ac: 마스크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

Claims (17)

  1. 복수의 필터를 적층시켜 이루어진 마스크로서,
    적어도, 폴리에스터계 섬유에 의한 직물에 카본 얀(carbon yarn)이 짜넣어진 정전방지 필터와,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와,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가, 가장 내측에 적층되는 기부층(基部層)과, 가장 외측에 적층되는 메쉬(mesh) 형태의 나일론제 메쉬 원단(生地)에 의한 표면층이 비봉착(非縫着)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縫着)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필터에 의한 필터 구성부가 상기 기부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가, 가장 내측에 적층되는 기부층과, 가장 외측에 적층되는 메쉬 형태의 나일론제 메쉬 원단에 의한 표면층이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임의의 필터가 기부층 또는 표면층에 적층되고, 나머지의 필터에 의한 필터 구성부가 상기 기부층과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크.
  4. 마스크로서,
    내측에 배치되는 기부층 및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시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비봉착 영역으로부터 본체부에 출납 가능한 필터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구성부는,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 및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마스크로서,
    내측에 배치되는 기부층 및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비봉착 영역을 형성하면서 부분적으로 봉착시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비봉착 영역으로부터 본체부에 출납 가능한 필터 구성부를 포함하되,
    톨루아마이드계 복합 화합물을 함침시킨 면포에 의한 벌레 기피 필터, 및 수용성의 양성 이온성 고분자가 혼합된 레이온 섬유에 의한 직물에 의한 방취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필터가, 상기 기부층, 표면층 혹은 필터 구성부 중 어느 하나로 통합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부층과 상기 표면층이, 하단 가장자리 및 좌우 양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봉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필터 구성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해서 이루어진, 마스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봉착 영역으로부터 자유롭게 출납되는 필터 구성부는,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상태로 봉착에 의해 일체화된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은, 2매의 기부재료 필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방취 필터가 상기 2매의 기부재료 필터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는,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취 필터보다도 내측의 층에는, 적당한 두께의 솜이 적층되어 있는, 마스크.
  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은, 위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려 있으며, 그리고 장착용의 끈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크.
  11.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은, 위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며, 상기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려 있고, 장착용의 신축끈이 상기 단부 가장자리부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마스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상기 표면층 중 어느 한쪽은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면 형상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면 형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에는, 그 내부 또는 표면에 소성변형 가능한 재질에 의한 긴 와이어 부재가 상기 단부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마스크.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 중 어느 한쪽은,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차양 형상의 제2 면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면 형상부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단부 가장자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기부층 또는 표면층의 좌우 양측부에 걸려 있고, 장착용의 신축끈이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마스크.
  14.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층의 상부에는, 적당히 간격을 갖는 2개소에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마스크.
  15. 호흡부하형 마스크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스크로서, 상기 각 필터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의 필터, 또는 이들과는 다른 개별의 필터가, 개구를 60㎚ 이하의 미세한 메쉬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부하형 마스크.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마스크 케이스로서,
    두 부분으로 분기된 밑면부와, 상기 밑면부의 중앙에 세워설치한 정상부를 포함하되, 밑면부의 한쪽으로부터 정상부에 이르는 부분에 개구 단부 가장자리를 설치해서 개구시키고, 정상부에서 상기 개구 단부 가장자리를 덮는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차양 형상 단부 가장자리부는, 서로 파스너(fastener) 또는 면 파스너에 의해서 폐구(閉口)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마스크 케이스.
KR1020187033070A 2016-06-30 2017-06-28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KR102124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9640 2016-06-30
JP2016129640 2016-06-30
PCT/JP2017/023689 WO2018003831A1 (ja) 2016-06-30 2017-06-28 マスク、呼吸負荷型マスクおよびマスク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975A KR20180128975A (ko) 2018-12-04
KR102124719B1 true KR102124719B1 (ko) 2020-06-18

Family

ID=6078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70A KR102124719B1 (ko) 2016-06-30 2017-06-28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48010B2 (ko)
KR (1) KR102124719B1 (ko)
CN (1) CN109310166A (ko)
WO (1) WO201800383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005B1 (ko) * 2020-07-27 2021-03-19 이정안 목화필터 마스크
KR20220005254A (ko) 2020-07-06 2022-01-13 (주)글로버앤머슬 보조 마스크 구조체
KR20220017734A (ko) 2020-08-05 2022-02-14 임용우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US20220105369A1 (en) * 2020-10-06 2022-04-07 Kristine Erive Lee Adjustable facemask
KR20220082471A (ko) 2020-12-10 2022-06-17 임용우 휴대용 마스크 보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8939B2 (en) 2016-09-21 2022-07-19 Marleen Myers Bergman Earless filter mask
KR200492402Y1 (ko) * 2018-12-13 2020-10-06 오세군 기능 가변형 마스크
WO2020163064A1 (en) * 2019-02-06 2020-08-13 Bergman Marleen Earless filter mask
KR102351708B1 (ko) * 2019-05-27 2022-01-14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KR102094480B1 (ko) *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EP4090435A4 (en) * 2020-01-17 2024-02-21 Kuhn, Phyllis J. MASK AND REMOVABLE INSERT MADE OF METAL OR METAL ALLOY WITH BACTERICIDAL EFFECT
CN113950266A (zh) * 2020-02-28 2022-01-18 医疗援助株式会社 口罩用片材以及口罩
KR102428119B1 (ko) * 2020-03-06 2022-08-03 이성학 다기능 마스크
KR102238801B1 (ko) * 2020-04-01 2021-04-15 하상균 전염병 예방용 지능형 가압마스크
KR102379055B1 (ko) * 2020-04-16 2022-03-28 정유석 필터 타입 마스크
WO2021211070A1 (en) * 2020-04-16 2021-10-21 Karaman Kerem A filter replaceable mask
IT202000008542A1 (it) * 2020-04-21 2021-10-21 Paola Maltese Designer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delle vie respiratorie”
USD962420S1 (en) * 2020-04-21 2022-08-30 Bilio LLC Face mask
KR102152324B1 (ko) * 2020-05-08 2020-09-04 신승봉 기능성 인견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4262B1 (ko) * 2020-05-22 2022-09-15 조병주 마스크
JP6923970B1 (ja) * 2020-06-02 2021-08-25 株式会社スワニー 立体マスク
JP6886210B1 (ja) * 2020-06-04 2021-06-16 ストライブ株式会社 フェイスカバー
JP6821286B1 (ja) * 2020-06-12 2021-01-27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マスク
WO2021255526A1 (en) 2020-06-17 2021-12-23 William Zolentroff Bubble seal facemask
KR102467941B1 (ko) * 2020-07-14 2022-11-16 이건희 형상 유지 마스크
JP6933759B1 (ja) * 2020-07-14 2021-09-08 セーレン株式会社 マスク
KR102450728B1 (ko) * 2020-07-15 2022-10-05 김재규 살균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0216U (ko) * 2020-07-17 2022-01-25 엄경미 와이어가 내장된 마스크
KR102305477B1 (ko) * 2020-08-06 2021-09-27 무 연 김 복합 기능성 마스크
CN112127037B (zh) * 2020-08-14 2021-09-03 烟台舒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一次成型立体口罩编织方法
KR102196645B1 (ko) * 2020-08-14 2020-12-30 김미경 마스크
JP2022061527A (ja) * 2020-10-07 2022-04-19 明子 工藤 立体マスク保管ケース
RU2738184C1 (ru) * 2020-10-21 2020-12-09 Игнат Игоревич Иванов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угольным фильтром
KR102538214B1 (ko) * 2020-11-20 2023-05-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러스 포집용 마스크
BR102021002756B1 (pt) * 2021-02-12 2022-04-19 Srs Serviços Relacionados A Saude Ltda Dispositivo para guarda facilitada e segura de máscara, máscara e estojo para guarda de suporte de máscara
KR102592343B1 (ko) * 2021-03-19 2023-10-19 손미라 호흡이 편안한 프레임형 마스크
JP6974891B2 (ja) * 2021-05-07 2021-12-01 メディカル・エイド株式会社 マスク用シート及びマスク
WO2023095941A1 (ko) * 2021-11-24 2023-06-01 김태준 필터 교체형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79Y1 (ko) * 2005-03-26 2005-06-16 권영아 방향제 항균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은 니트 마스크
JP2005245835A (ja) * 2004-03-05 2005-09-15 Kurebaa:Kk マスク
JP2015029568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くればぁ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852B2 (ja) * 1990-10-17 1994-11-02 ベステクス株式会社 フィルタ材の製造方法
CN2639195Y (zh) * 2003-05-07 2004-09-08 邢增瑶 口罩盒或袋
JP4570536B2 (ja) 2005-08-24 2010-10-27 白十字株式会社 立体型マスク
US20080271739A1 (en) * 2007-05-03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respirator that has concave portions on opposing sides of mask top section
JP4976916B2 (ja) * 2007-05-11 2012-07-18 優 今泉 眼鏡を掛けた人用マスク
CN201171943Y (zh) * 2007-09-25 2008-12-31 上海华成针刺材料有限公司 聚酯纤维超密面层防静电过滤毡
TWM333909U (en) * 2007-09-27 2008-06-11 Ct Healthcare Technology Co Ltd Gauze mask structure
JP5072708B2 (ja) 2008-05-15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CN101438860A (zh) * 2008-09-26 2009-05-27 宣德医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口罩结构
JP5436001B2 (ja) 2009-03-27 2014-03-05 小林製薬株式会社 含浸製品、及び該製品に使用される基布含浸液
JP5624735B2 (ja) 2009-07-22 2014-11-12 国立大学法人岡山大学 フィルター
BR112012006914B1 (pt) 2009-09-30 2021-06-01 Nbc Meshtec, Inc Máscara
JP2011104553A (ja) 2009-11-20 2011-06-02 Mitsufuji Seni Kogyo Kk 殺菌フィルター及び当該フィルターを用いたマスク
JP5670114B2 (ja) * 2010-08-02 2015-02-18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臭気成分捕集用繊維状吸着材
CN102059034A (zh) * 2010-11-23 2011-05-18 邯郸派瑞电器有限公司 一种卫生间除味包及其制备方法
JP2012254272A (ja) 2011-05-18 2012-12-27 Ikari Shodoku Kk マスクおよびマスク封入体
JP3171251U (ja) 2011-08-10 2011-10-20 クラレリビング株式会社 防虫保護衣料
US9247775B2 (en) * 2012-01-23 2016-02-02 Daio Paper Corporation Mask
JP5811270B2 (ja) * 2012-03-07 2015-11-11 東亞合成株式会社 消臭マスク
JP5463481B1 (ja) 2013-07-24 2014-04-09 一恵 漆原 マスク
KR101651727B1 (ko) * 2014-05-20 2016-08-26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CN104305591B (zh) * 2014-09-23 2016-07-2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纳米结构具有过滤和吸附双重功能的防雾霾口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835A (ja) * 2004-03-05 2005-09-15 Kurebaa:Kk マスク
KR200386879Y1 (ko) * 2005-03-26 2005-06-16 권영아 방향제 항균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은 니트 마스크
JP2015029568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くればぁ マス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254A (ko) 2020-07-06 2022-01-13 (주)글로버앤머슬 보조 마스크 구조체
KR102230005B1 (ko) * 2020-07-27 2021-03-19 이정안 목화필터 마스크
KR20220017734A (ko) 2020-08-05 2022-02-14 임용우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US20220105369A1 (en) * 2020-10-06 2022-04-07 Kristine Erive Lee Adjustable facemask
KR20220082471A (ko) 2020-12-10 2022-06-17 임용우 휴대용 마스크 보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6816B2 (ja) 2023-03-28
JP7048010B2 (ja) 2022-04-05
JP2022075791A (ja) 2022-05-18
WO2018003831A1 (ja) 2018-01-04
JPWO2018003831A1 (ja) 2019-04-18
KR20180128975A (ko) 2018-12-04
CN109310166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719B1 (ko)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US8905034B2 (en) Ergonomic protective air filt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101148B (zh) 具有鼻部缓冲构件的过滤式面罩呼吸器
US10238158B2 (en)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darted mask body
JP2022050697A (ja) 呼気弁を備える折り畳み可能なフェイスピース呼吸マスク
US20170106217A1 (en) Cidal Metal or Cidal Metal Alloy Mask
US10136687B2 (en)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nose notch
ES2929388T3 (es) Respirador doblado de forma plana sin mantenimiento que incluye una lengüeta de sujeción
KR101764269B1 (ko) 일회용 방제 마스크의 제조방법
JP2015029568A (ja) マスク
CN109922868A (zh) 包括加强元件的呼吸器
JP2016073444A (ja) マスク
EP3884804A1 (en) Protective clothing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KR102369634B1 (ko) 신축복원성과 호흡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패브릭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GB2596535A (en) Foldable filter face-mask
JP2022119129A (ja) 積層構造の衛生マスク
JP2022076212A (ja) 就寝用頭部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