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734A -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734A
KR20220017734A KR1020200098082A KR20200098082A KR20220017734A KR 20220017734 A KR20220017734 A KR 20220017734A KR 1020200098082 A KR1020200098082 A KR 1020200098082A KR 20200098082 A KR20200098082 A KR 20200098082A KR 20220017734 A KR20220017734 A KR 2022001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ir
mask holder
bl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우
Original Assignee
임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우 filed Critical 임용우
Priority to KR102020009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734A/ko
Publication of KR2022001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덮개부를 가지되, 상기 회동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홀이 형성된 케이스 하우징;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접힌 상태로 마스크를 거치하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통로홀과 연통되는 공기 이동 경로부가 형성된 마스크 거치부; 및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공기 이동 경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발생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PORTABLE MASK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의 살균 처리 및 마스크 내 습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는 포장지에 포장된 상태로 판매가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을 위해서는 포장지를 뜯은 후 마스크를 착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스크는 포장지가 개봉된 시점으로부터는 외부로 노출되기에,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은 마스크를 한 번 사용한 후, 새로운 마스크를 재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경제적 부담 발생이 높아지게 되고, 마스크를 한번만 쓰고 버리기에 자원 낭비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벗어서 잠시 보관할 때에 바이러스 등이 마스크에 묻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하고, 더 나아가 보관하는 동안 살균 및 건조가 이뤄질 수 있는 마스크 보관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2124719호(2020.06.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마스크의 살균 처리 및 마스크 내 습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덮개부를 가지되, 상기 회동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홀이 형성된 케이스 하우징;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접힌 상태로 마스크를 거치하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통로홀과 연통되는 공기 이동 경로부가 형성된 마스크 거치부; 및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공기 이동 경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발생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는, 상기 공기 통로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제1 송풍부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풍부와 제2 송풍부는 상기 공기 이동 경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시키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부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제1 송풍팬; 상기 제1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개방홀에 설치되는 제1 보호망; 및 상기 제1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개방홀에 설치되는 제2 보호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방홀과 제2 개방홀은 상기 제1 송풍팬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개방홀과 제2 개방홀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과 제2 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 거치되는 마스크의 내측면과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는 제습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보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습 카트리지는 상기 마스크 거치부와 탈착 가능한 탈착부재를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과 마스크 거치부에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배터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 발생부가 구비됨에 따라,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는 습기 제거 및 탈취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에는 자외선 살균부가 구비됨에 따라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는 살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하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부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거치부에 마스크가 거치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하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에서 바라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부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거치부에 마스크가 거치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는 케이스 하우징(100), 마스크 거치부(200) 및 송풍 발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 하우징(100)은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케이스 하우징(100)은 본체부(110)와 덮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는 본체부(110)의 외면에 형성된 USB 단자부(111)를 통해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부는 USB 단자부(111)를 통한 충전이외에 무선 충전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에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원 인가부(112)의 누름을 통해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120)에는 회동부(121)가 구비되어, 본체부(1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회동부(121)는 본체부(110)와 힌지 결합되어, 본체부(110)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와 함께 내부에 수용 공간부(10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부(110)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회동부(121)에는 외부로부터 수용 공간부(101)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수용 공간부(10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121)에 형성된 공기 통로홀(122)의 높이는 마스크 거치부(2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는, 외부로부터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마스크 거치부(200)에 형성된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짐은 물론, 송풍 발생부(300)를 통해 수용 공간부(101)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케이스 하우징(1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마스크 거치부(200)는 케이스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마스크 거치부(200)의 일단부는 회동부(121)에 결합되어, 회동부(121)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스크 거치부(200)는 마스크(10)를 거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마스크 거치부(200)에 거치되는 마스크(10)는 마스크(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마스크 거치부(2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거치부(200)의 내부에는 공기 이동 경로부(20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 이동 경로부(201)는 공기 통로홀(122)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거치부(200)의 상면인 제1 면(210)과 하면인 제2 면(220)은 물결 무늬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과 제2 면(220)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물결 무늬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과 제2 면(220)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반드시 수직한 방향으로만 연속적인 물결 무늬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선 형태로 연속적인 물결 무늬가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물결 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면(210)과 제2 면(220)이 마스크 거치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물결 무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은 하나의 예일 뿐,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과 제2 면(220)은 연속적인 요철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원호 및 요철 등의 다양한 형상이 조합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마스크(10)의 내측면과, 제1 면(210) 및 제2 면(220)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부(202)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면(210) 및 제2 면(22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과 제2 면(220)이 물결 무늬를 이룸에 따라 마스크 거치부(200)에 접혀진 상태로 거치되는 마스크(10)의 내측면과, 제1 면(210) 및 제2 면(220)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마스크(10)의 내측면과, 제1 면(210) 및 제2 면(220)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부(202)로는 공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마스크(10)의 살균, 탈취 및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송풍 발생부(300)는 마스크 거치부(2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송풍 발생부(300)는 마스크 거치부(20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즉, 송풍 발생부(300)는 회동부(121)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풍 발생부(300)는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며,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유입된 공기를 수용 공간부(101)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 발생부(300)는 한 쌍을 이루는 제1 송풍부(310)와 제2 송풍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부(310)와 제2 송풍부(320)는 마스크 거치부(200)의 타단부측에 구비되되,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송풍부(310)와 제2 송풍부(320)는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용 공간부(101) 측으로 배출시키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송풍부(310)는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면, 제2 송풍부(320)는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2 면(220)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송풍부(310)와 제2 송풍부(32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과 마주보는 마스크(10)의 내측면과,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2 면(220)과 마주보는 마스크(10)의 내측면이 송풍 발생부(3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습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송풍부(310)와 제2 송풍부(320)는 공기 배출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됨에 따라 마스크 거치부(200)에 거치된 마스크(10)의 제습 및 탈취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풍부(310)는 제1 송풍팬(311), 제1 보호망(312) 및 제2 보호망(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팬(311)은 공기 이동을 위한 제1 송풍부(310)의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송풍팬(311)의 작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는 공기 통로홀(122)로 유입되고,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안내된 공기는 수용 공간부(101)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호망(312)과 제2 보호망(313)은 제1 송풍팬(311)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보호망(312)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에 형성된 제1 개방홀(2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호망(313)은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2 면(220)에 형성된 제2 개방홀(2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보호망(312)과 제2 보호망(313)이 설치된 제1 개방홀(211)과 제2 개방홀(221)은 제1 송풍팬(311)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개방홀(211)과 제2 개방홀(221)은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제1 송풍팬(311)으로부터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1 면(210) 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 제1 송풍팬(311)은 공기 통로홀(122)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 공간부(101)로 배출함과 동시에, 제2 개방홀(221)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부(201)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 공간부(101)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개방홀(221)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2 면(220)측으로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마스크 거치부(200)의 제2 면(220)에 배치되는 마스크(10) 부위는 마스크 거치부(2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풍부(320)는 제1 송풍부(3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마스크 거치부(200)에는 제습 카트리지(400)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보관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습 카트리지(400)는 마스크 거치부(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탈착부재(230)를 통해 카트리지 보관부(203)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탈착부재(230)를 통해 제습 카트리지(400)를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보관부(203)를 형성하는 마스크 거치부(200)와 탈착부재(230)에는 수용 공간부(101)와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연통홀(204)이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보관부(203)에 수용되는 제습 카트리지(400)는 마스크 거치부(200)에 거치된 마스크(10)를 비롯한 수용 공간부(101) 내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제습 카트리지(400)는 표면적이 넓어 물이나 알코올 등의 흡수력이 우수한 실리카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습 카트리지(400)는 반드시 실리카겔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습 효과가 뛰어나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1000)는 자외선 살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부(500)는 수용 공간부(101) 내에 수용된 마스크(10)를 살균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외선 살균부(500)는 예를 들어, UVC-LE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10)로 빛을 조사하여 다양한 균들을 살균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부(500)는 반드시 UVC-LED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 공간부(101)에 수용된 마스크(10)를 효과적으로 살균처리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부(500)는 마스크 거치부(200)와 덮개부(120)에 구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자외선 살균부(500)는 본체부(110)에도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자외선 살균부(500)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덮개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 등, 마스크(10)의 효과적인 살균 처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마스크
100: 케이스 하우징
101: 수용 공간부
110: 본체부
111: USB 단자부
112: 전원 인가부
120: 덮개부
121: 회동부
122: 공기 통로홀
200: 마스크 거치부
201: 공기 이동 경로부
202: 공기 유동 공간부
203: 카트리지 보관부
204: 연통홀
210: 제1 면
211: 제1 개방홀
220: 제2 면
221: 제2 개방홀
230: 탈착부재
300: 송풍 발생부
310: 제1 송풍부
311: 제1 송풍팬
312: 제1 보호망
313: 제2 보호망
320: 제2 송풍부
400: 제습 카트리지
500: 자외선 살균부
1000: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Claims (7)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덮개부를 가지되, 상기 회동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홀이 형성된 케이스 하우징;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접힌 상태로 마스크를 거치하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통로홀과 연통되는 공기 이동 경로부가 형성된 마스크 거치부; 및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공기 이동 경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발생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는,
    상기 공기 통로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제1 송풍부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풍부와 제2 송풍부는 상기 공기 이동 경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배출시키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부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제1 송풍팬;
    상기 제1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개방홀에 설치되는 제1 보호망; 및
    상기 제1 송풍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개방홀에 설치되는 제2 보호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방홀과 제2 개방홀은 상기 제1 송풍팬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개방홀과 제2 개방홀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과 제2 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 거치되는 마스크의 내측면과 상기 마스크 거치부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는 공기 유동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거치부에는 제습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보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습 카트리지는 상기 마스크 거치부와 탈착 가능한 탈착부재를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과 마스크 거치부에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배터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1020200098082A 2020-08-05 2020-08-05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20220017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82A KR20220017734A (ko) 2020-08-05 2020-08-05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82A KR20220017734A (ko) 2020-08-05 2020-08-05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34A true KR20220017734A (ko) 2022-02-14

Family

ID=8025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82A KR20220017734A (ko) 2020-08-05 2020-08-05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7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19B1 (ko) 2016-06-30 2020-06-18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19B1 (ko) 2016-06-30 2020-06-18 가부시키가이샤 클레버 마스크, 호흡부하형 마스크 및 마스크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622B1 (ko) 마스크 살균장치
KR101965064B1 (ko) 안전모를 포함한 모자의 살균/건조/탈취장치
KR10222295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KR102428900B1 (ko) 오토바이크용 헬멧 살균소독 장치
US20110293484A1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Items
JP4927199B2 (ja) イオン発生機
JP5511738B2 (ja) イオン供給ユニット
KR20130019522A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신발, 장갑 세척, 건조, 살균, 탈취기
KR20110002996U (ko) 캡이 구비된 전자 담배
KR20220017734A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102279364B1 (ko) 소독 장치
KR20140035465A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신발 및 장갑 세척건조살균탈취기
US20220176003A1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20220082471A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 장치
KR102431940B1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102540072B1 (ko)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102417978B1 (ko)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960406B2 (ja) 歯ブラシスタンド
JP7233143B1 (ja) ウィッグスタンドおよびウィッグスタンドセット
KR20220166142A (ko) 헬멧 스타일러 장치
JP3059329U (ja) 靴殺菌乾燥機
KR20220031165A (ko)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JPH0470022B2 (ko)
KR2022004914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건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