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165A -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165A
KR20220031165A KR1020200112751A KR20200112751A KR20220031165A KR 20220031165 A KR20220031165 A KR 20220031165A KR 1020200112751 A KR1020200112751 A KR 1020200112751A KR 20200112751 A KR20200112751 A KR 20200112751A KR 20220031165 A KR20220031165 A KR 20220031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earer
mask
face
fac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강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보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보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보레이
Priority to KR102020011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165A/ko
Publication of KR2022003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면에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리고 착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면체공간을 갖도록 면체부가 형성되고, 착용자가 흡기할 때 외부의 공기가 제1흡기구를 통해 빨려 들어와 내부의 공간에서 돌다가 제2흡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나오도록 내부 공간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격벽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면체부의 하부에 착용자가 호기할 때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된 공기살균통, 상기 공기살균통에 내장되고, 전원 공급 시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부 공간을 도는 공기 중에 UVC를 조사하기 위해 기판 위에 여러 개의 LED 칩이 탑재된 LED 모듈, 상기 제1흡기구에 장착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살균통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는 흡기밸브,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 주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배기밸브, 상기 면체부에 장착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과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Air sterilization mask using UVC radiation}
본 발명은 에어로졸상의 바이러스, 병균이나 미세먼지 등의 호흡기 내 흡입을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감싸서 가리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비말 등의 호흡기 침투를 차단하는 동시에 UVC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흡입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황사와 미세먼지의 발생이 잦아지고,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같은 전염병의 대유행으로 인하여 보건용 마스크는 실생활에서 필수용품이 되었다.
이러한 보건용 마스크 가운데 안면부 여과형 마스크는 황사와 미세먼지를 비롯하여 바이러스의 호흡기 침투를 차단하고 비말(침방울)을 통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주로 부직포 성상의 SB(스펀본드) 겉감 사이에 MB(Melt Blown) 필터를 끼워넣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입과 코가 가려지도록 밀착시키고 양쪽에 달린 끈을 귀에 걸어 착용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는 장시간 착용 시 흡기저항으로 인해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하여 상당히 답답하고 불편함은 물론 입과 턱 주변 등 직접 닿는 부분에 자극을 주어 피부 트러블과 같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10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MB 필터 등에서 차단되는 바이러스는 착용자의 호흡기 주변에 존재하다가 자칫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거나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특히 바이러스 입자는 보통 세균보다 1/100 정도 작은 0.02-0.3㎛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마스크에 헤파필터와 같이 고성능 필터를 내장하더라도 차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에 약 100~280nm 범위의 단파장 자외선(UVC)을 조사하여 호흡기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는 방식을 적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마스크 본체의 한쪽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흡기를 살균하고 정화하는 흡기살균/정화부(10), 상기 흡기살균/정화부(10)에 내장되어 UVC를 조사하여 흡기를 살균하는 UVC LED(18), 상기 마스크 본체의 다른 쪽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마스크 내측의 공기를 여과하여 마스크 외측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부(20), 상기 배기부(20)에 장착되고 UVC를 조사하여 흡기를 살균하는 UVC LED(28) 및 상기 흡기살균/정화부(10)의 UVC LED(18)와 상기 배기부(20)의 배기팬(25) 및 UVC LED(2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는, UVC LED를 이용한 살균기능과 정화기능을 갖추고 재생가능한 위생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마스크 전체의 체적에서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는 영역이 일부로 한정되어 있어 착용자의 호흡 시 공기가 흡기살균/정화부(10)를 통과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 살균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40)가 마스크 본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여서 착용 시 전원공급부(40)를 손으로 들거나 주머니 등에 넣고 다녀야 하고, 이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케이스의 내면에 은막(Ag)을 코팅하고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는 구조의 공기살균기형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은막(Ag)은 280nm 이하의 UVC 파장대역에서는 반사율이 20% 정도로 매우 낮아 오히려 살균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2139446 B1(2020.07.23) KR 10-1130621 B1(2012.03.20) KR 10-1568648 B1(2015.11.06) KR 10-2017-0002761 A(2017.01.09) KR 10-2085302 B1(2020.02.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공기살균형 마스크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바이러스, 미세먼지, 비말 등의 호흡기 침투를 차단하는 동시에 단파장 자외선(UVC)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흡입할 수 있고, 아울러 공기의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고, UVC의 전반사를 유도하여 광 밀도를 증가시켜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공기의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UVC의 광 밀도를 증가시켜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면에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리고 착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면체공간을 갖도록 면체부가 형성되고, 착용자가 흡기할 때 외부의 공기가 제1흡기구를 통해 빨려 들어와 내부의 공간에서 돌다가 제2흡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나오도록 내부 공간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격벽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면체부의 하부에 착용자가 호기할 때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된 공기살균통, 상기 공기살균통에 내장되고, 전원 공급 시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부 공간을 도는 공기 중에 UVC를 조사하기 위해 기판 위에 여러 개의 LED 칩이 탑재된 LED 모듈, 상기 제1흡기구에 장착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살균통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는 흡기밸브,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 주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배기밸브, 상기 면체부에 장착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과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해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부로 빨려 들어온 공기는 상기 격벽의 공기통로에 의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상기 LED 모듈의 LED 칩으로부터 최소 거리의 지점을 통과하여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미세먼지, 비말 등의 호흡기 침투를 차단하는 동시에 단파장 자외선(UVC)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흡입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의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벽과 상기 격벽에 알루미늄 증착층이 형성됨으로써 UVC의 전반사를 유도하여 광 밀도를 증가시켜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의 표면에 실리카(SiO2)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알루미늄 증착층의 산화를 방지하여 살균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공기살균통은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할되고, 상기 전면부의 격벽과 상기 후면부의 격벽이 맞닿는 면은 서로 대응되는 빗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격벽 간의 틈새를 차단하여 공기의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면체부의 테두리에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해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페이스피스(facepiece)가 구비됨으로써 미세먼지, 비말,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 및 오염 물질 등의 호흡기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공기살균통의 양쪽에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조임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면체부의 테두리가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린 상태로 안면에 밀착되도록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공기살균통의 가운데 부분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하기 위한 배터리장착홈 및 상기 면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 안의 배터리를 덮어씌워서 커버하는 배터리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체의 무게중심과 전력 배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면체부에 상기 필터를 탈장착하기 위한 메쉬형 필터홀더가 구비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사용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흡기 시 미세먼지, 비말 등의 호흡기 침투를 차단하는 동시에 단파장 자외선(UVC)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기살균통 내의 알루미늄 증착층에 의해 UVC가 전반사되면서 광 흡수 및 산란 현상이 줄고 결과적으로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광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켜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공기살균통의 후면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의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켜 입과 코가 가려지도록 한 후, 양쪽에 별도로 달린 조임끈을 귀에 걸어 착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주요 구성요소는 공기살균통(100), LED 모듈(130), 흡기밸브(140), 배기밸브(150), 필터(160), 필터홀더(170) 및 페이스피스(180)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살균통(100)은 공기 중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로 분할되는 케이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부(120) 중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면 가운데 부분에는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리고 착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면체공간을 갖도록 하는 면체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면부(120) 중 면체부(121)의 양쪽에는 착용자가 흡기할 때 외부의 공기가 빨려 들어오는 제1흡기구(122)가 형성되어 있고, 면체부(121)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제1흡기구(122)를 통해 빨려 들어와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돌다가 면체부(121)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제2흡기구(12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면체부(121)의 하부 가운데 부분에는 착용자가 호기할 때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격벽(114)(12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14)(124)에는 제1흡기구(122)를 통해 공기살균통(100)의 내부로 빨려 들어온 공기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기통로(115)(125)가 그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통로(115)(125)는 케이스형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와 그 각각의 격벽(114)(124)들 사이의 일부분이 인접하는 격벽(114)(124)들의 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부의 격벽(114)과 후면부의 격벽(124)이 맞닿는 면은 결합에 따른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빗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마주보는 내벽과 그 각각의 격벽(114)(124)에는 LED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UVC를 반사시켜 광 밀도를 3배 이상 높이기 위한 알루미늄 증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즉, LED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UVC는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인해 90% 이상의 전반사가 일어나 살균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층의 표면에는 알루미늄의 탈리(탈락) 및 산화방지를 위한 실리카(SiO2)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리카(SiO2) 코팅층은 LED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UVC를 90% 이상 투과시키면서 알루미늄의 탈리(탈락) 및 산화를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살균통(100)은 면체부(12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착용자의 입과 코, 턱 주위를 가리면서 감싸듯이 밀착되도록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부메랑과 같은 입체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면체부(121)는 착용자의 입과 코, 볼, 턱 주변을 들뜸 없이 편안하게 감싸서 가리도록 사람의 안면 곡선 및 형태에 맞게 인체 공학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면체부(121)는 마스크를 착용 시 안쪽의 공기소통이 원활하도록 착용 시 입과 코 주변에 면체공간(착용 시 면체부(121)와 안면과 사이의 용적)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면부(120) 중 면체부(121)의 가운데 부분 안쪽에는 LED 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하기 위한 배터리장착홈(127)이 형성되어 있고, 면체부(121)의 가운데 부분에는 배터리장착홈(127) 안의 배터리를 덮어씌워서 커버하는 배터리캡(128)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터리장착홈(127)은 상하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무게중심과 전력 배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캡(128)에는 착용자가 호기할 때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구(1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기구(126)는 후면부(120)의 가운데 부분 하부에 형성된 배기통로(126a)와 배터리캡(128)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126b)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면부(120)의 상부 안쪽에는 LED 모듈(130)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2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부(129)에는 LED 모듈(130)의 기판 위에 탑재된 여러 개의 LED 칩(133)에서 조사되는 UVC가 격벽(114)(124)들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는 조사구멍(129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LED 모듈(130)은 전원 공급 시 공기살균통(100)의 내부 공간을 도는 공기 중에 200~280nm 범위의 단파장 자외선(UVC)을 조사하기 위해 공기살균통(100)의 상부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LED 모듈(130)은 기판 위에 여러 개의 LED 칩(133)이 탑재되어 있고, 공기살균통(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스위치(131)가 전원공급을 위해 구비되어 있다.
즉, LED 모듈(130)은 공기살균통(100)의 상면에 노출되는 스위치(131)의 개폐에 따라 배터리장착홈(127)에 삽입되는 리튬이온전지 등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사구멍(129a)을 통해 공기살균통(100)의 내부 공간을 도는 공기 중에 UVC를 조사한다.
여기서 LED 모듈(130)은 마이크로 5핀 충전 방식 또는 USB 충전 방식의 충전커넥터(132)를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보조 배터리로도 간편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한 번 충전으로 최대 8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 모듈(1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동작 상태, 사용시간,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되고, 아울러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가 회로기판에 탑재된 단일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밸브(140)는 외부의 공기가 제1흡기구(122)를 통해 공기살균통(100) 안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제1흡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해 제1흡기구(122)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흡기밸브(140)는 착용자의 흡기와 호기에 맞추어 열리거나 닫히며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실리콘 막(판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밸브(150)는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배기구(126)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 주고, 외부의 공기가 배기구(126)를 통해 면체부(121) 내의 면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해 배기구(126)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배기밸브(150)는 착용자의 흡기와 호기에 맞추어 열리거나 닫히며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실리콘 막(판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160)는 면체공간 내 공기 중의 이물질과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내기 위해 면체부(121) 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160)는 피부에 자극이 없는 부드러운 안감을 부착한 MB(멜트블로운)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160)는 외부로부터의 입자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 기능이 있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멜트블로운(MB) 장비로 방사한 후, 포(布)상으로 만든 것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스펀본드(SMS) 장비로 방사한 섬유 웹층에 멜트블로운(MB) 장비로 방사하면서 정전기 처리한 섬유 웹층을 적층하고, 다시 스펀본드 장비로 방사한 섬유 웹층을 적층한 후 압력을 가하여 포(布)상으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투과도가 우수하여 들숨 시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하고 날숨 시 흡입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한 원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필터(160)는 에어로졸상의 바이러스, 병균이나 미세먼지, 황사, 비말 등의 호흡기 내 흡입을 차단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에 따른 가려움증이나 피부 트러블과 같은 접촉성 피부염의 발생을 예방하고, 자외선 차단과 살균 및 항균 기능은 물론 세탁 후 재사용이 가능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항균성이 뛰어나며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통기성 및 복원력 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PU) 소재로 만들 수도 있다.
필터홀더(170)는 필터(160)가 면체부(121) 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필터(160)의 탈장착을 용이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메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페이스피스(180)는 면체부(121)의 테두리 부분이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해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즉, 면체부(121)의 테두리 부분에는 탄성과 신축성이 있는 페이스피스(180)가 장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 시 착용자의 얼굴과 밀착력이 자연스럽게 높아져서 들뜨거나 벌어지는 틈의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스피스(180)는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성을 높이고 안면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피부 자극 없이 완벽한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의료용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끈(200)은 공기살균통(100)을 착용자의 얼굴(안면)에 밀착하여 입과 코 부위를 가린 상태로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리 모양으로 공기살균통(100)의 좌우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즉, 조임끈(200)은 착용자의 귀에 걸어 면체부(121)의 테두리가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린 상태로 착용자의 안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임끈(200)은 귀에 안정적으로 걸리고 장시간 착용 시에도 귀가 아프지 않도록 신축성 및 탄성이 있고 견고한 재질의 가늘고 긴 끝 형태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임끈(200)은 귀에 걸기 위해 인장 시 신축성 있게 늘어나면서 귀에 인가되는 힘의 증가를 억제하여 통증을 최소화하고, 또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여 늘어난 상태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하며, 마스크를 반복해서 착용할 경우에도 늘어난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임끈(200)은 도 5에서는 착용자의 귀에 걸어 사용하는 귀걸이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착용자의 귀 이외에도 착용자의 두부 뒤쪽에 걸치는 밴드형이나 두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착용하는 캡형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춰 조임끈(200)을 이용하여 페이스피스(180)가 안면과 빈틈없이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들숨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흡기밸브(140)는 개방되고 배기밸브(150)는 폐쇄되어 제1흡기구(12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살균통(100)의 내부로 빨려 들어오고, 날숨 시에는 흡기밸브(14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제1흡기구(122)를 폐쇄하고, 공기압에 의해 배기밸브(150)가 개방되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기구(122)를 통해 공기살균통(100)의 내부로 빨려 들어온 공기는 격벽(114)(124) 및 공기통로(115)(125)의 안내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제2흡기구(123)를 통해 면체부(121)로 이동하는데, 이때 LED 모듈(130)의 스위치(131) 온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격벽(114)(124)들 사이 공간으로 LED 모듈(130)의 LED 칩(133)으로부터 단파장 자외선이 조사되고, 이렇게 되면 공기살균통(100) 내의 공기는 LED 모듈(130)의 LED 칩(133)으로부터 최소 거리의 지점을 통과하여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된 상태로 면체부(121)로 이동하게 된다.
즉, LED 모듈(130)에 의한 살균효과를 높여 공기 중의 미세 바이러스(0.3㎛ 이하)를 비롯한 각종 세균을 멸균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흡입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공기살균통(100)의 내벽과 격벽(114)(124))들에 증착된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인한 UVC의 전반사가 일어나면서 광 밀도를 0.1~1.0 mJ/㎠ 범위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단시간에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살균형 마스크는 UVC를 조사하여 착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 세균 등을 살균 및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황사·미세먼지 마스크, 방역 마스크, 비말차단 마스크 등과 같은 보건용 마스크 등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공기살균통 110: 전면부
114: 격벽 115: 공기통로
120: 후면부 121: 면체부
122: 제1흡기구 123: 제2흡기구
124: 격벽 125: 공기통로
126: 배기구 127: 배터리장착홈
128: 배터리캡 129: 장착부
130: LED 모듈 131: 스위치
132: 충전커넥터 133: LED 칩
140: 흡기밸브 150: 배기밸브
160: 필터 170: 필터홀더
180: 페이스피스 200: 조임끈

Claims (8)

  1.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면에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리고 착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면체공간을 갖도록 면체부가 형성되고, 착용자가 흡기할 때 외부의 공기가 제1흡기구를 통해 빨려 들어와 내부의 공간에서 돌다가 제2흡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나오도록 내부 공간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격벽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면체부의 하부에 착용자가 호기할 때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된 공기살균통;
    상기 공기살균통에 내장되고, 전원 공급 시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부 공간을 도는 공기 중에 UVC를 조사하기 위해 기판 위에 여러 개의 LED 칩이 탑재된 LED 모듈;
    상기 제1흡기구에 장착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살균통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아 주는 흡기밸브;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 주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면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는 배기밸브;
    상기 면체부에 장착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과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내는 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해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부로 빨려 들어온 공기는 상기 격벽의 공기통로에 의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상기 LED 모듈의 LED 칩으로부터 최소 거리의 지점을 통과하여 UVC 노출 거리를 최소화 및 노출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통의 내벽과 상기 격벽에 상기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UVC를 반사시켜 광밀도를 높이기 위한 알루미늄 증착층이 형성된, 공기살균형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의 표면에 산화방지를 위한 실리카(SiO2)코팅층이 형성된, 공기살균형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통은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할되고, 상기 전면부의 격벽과 상기 후면부의 격벽이 맞닿는 면은 틈새를 차단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빗면으로 형성된, 공기살균형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부의 테두리에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해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페이스피스(facepiece)가 구비된, 공기살균형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통의 양쪽에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면체부의 테두리가 착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가린 상태로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끈;
    을 더 포함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통의 가운데 부분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하기 위한 배터리장착홈; 및
    상기 면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장착홈 안의 배터리를 덮어 씌워서 커버하는 배터리캡;
    을 더 포함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부에 상기 필터를 탈장착하기 위한 메쉬형 필터홀더;
    를 더 포함하는, 공기살균형 마스크.
KR1020200112751A 2020-09-04 2020-09-04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KR20220031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51A KR20220031165A (ko) 2020-09-04 2020-09-04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51A KR20220031165A (ko) 2020-09-04 2020-09-04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65A true KR20220031165A (ko) 2022-03-11

Family

ID=8081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751A KR20220031165A (ko) 2020-09-04 2020-09-04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16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21B1 (ko) 2009-11-30 2012-04-02 기창도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
KR101568648B1 (ko) 2015-04-14 2015-11-12 주식회사 크리벨류스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170002761A (ko) 2015-06-29 2017-01-09 기창도 공기멸균통이 별도 구성된 마스크
KR102085302B1 (ko) 2018-03-28 2020-03-06 김성권 미세먼지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139446B1 (ko) 2020-04-27 2020-07-29 윤성현 Uv-c led를 이용한 살균기능과 정화기능을 갖추고 재생가능한 위생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21B1 (ko) 2009-11-30 2012-04-02 기창도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
KR101568648B1 (ko) 2015-04-14 2015-11-12 주식회사 크리벨류스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170002761A (ko) 2015-06-29 2017-01-09 기창도 공기멸균통이 별도 구성된 마스크
KR102085302B1 (ko) 2018-03-28 2020-03-06 김성권 미세먼지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139446B1 (ko) 2020-04-27 2020-07-29 윤성현 Uv-c led를 이용한 살균기능과 정화기능을 갖추고 재생가능한 위생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56958A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маска с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ой воздуха
JP7406577B2 (ja) 呼吸器ウイルス遮断のためのポータブル防護装置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US20210274861A1 (en) Filter mask
KR20210086584A (ko) 재사용형 마스크
KR20220031165A (ko)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살균형 마스크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469328B1 (ko) 들숨 날숨 구분형 마스크
US20210275840A1 (en) Filter mask
KR102260020B1 (ko) 투 트랙 투명 마스크
CN212814404U (zh) 口罩
KR20170000318U (ko) 마스크
KR20210125876A (ko) 필터 튜브를 구비한 마스크
CN212185267U (zh) 一种防护口罩
KR102460592B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KR102528269B1 (ko) 휴대용 공기 살균 마스크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N211861897U (zh) 一种口罩
CN212787531U (zh) 一种口罩
CN213045324U (zh) 防护面罩
CN218391907U (zh) 一种可穿戴式的呼吸防护设备
US11992710B2 (en) Filter mask
KR102479268B1 (ko) 쾌적한 안면 인식 구조를 포함하는 위생용 투명마스크
US20210275841A1 (en) Filter mask
CN212185209U (zh) 一种多通道硅胶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