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592B1 -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 Google Patents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592B1
KR102460592B1 KR1020200057664A KR20200057664A KR102460592B1 KR 102460592 B1 KR102460592 B1 KR 102460592B1 KR 1020200057664 A KR1020200057664 A KR 1020200057664A KR 20200057664 A KR20200057664 A KR 20200057664A KR 102460592 B1 KR102460592 B1 KR 10246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air
unit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910A (ko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102020005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5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투명 재질로 귀에 걸어서 지지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호흡 중에 날숨을 외부로 필터링 한 상태에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를 일차로 필터링된 상태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상태에서 복수로 권회된 투명소재로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이 권회된 위치로 유도되면서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되는 살균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처리부에 연결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를 광촉매 물질로 도포되고, 하부에는 살균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살균공기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Transparent Mask have a Sterilization Function using Photocatalyst}
본 발명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소재로 구비된 마스크의 안쪽면에 광촉매물질을 도포하여 투과되는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살균효과를 가지는 광촉매 성분을 발산함에 따라 마스크 내부에 살균을 실시함에 따라 호흡기 질환과 전염병을 예방하고,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말하는 것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화분(花粉) 등의 미세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유해 세균이나 질병에 감염된 환자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염병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런, 통상적인 마스크는 착용자의 호흡이 가능하면서 미세먼지, 다른 사람의 비말, 환경적인 불순물을 차단하기 위해서 섬유 또는 펄프 재질로 제조하고 있다.
이렇게, 펄프재질로 제작되는 통상의 마스크는 대표적으로 필터를 교체하면서 복수회 사용되는 필터교체방식과 일회용으로 펄프 자체 재질의 공극으로 유해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안면부여과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된 필터교체방식은 필터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세균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터에 활성탄, 은나노 물질등이 함유된 충진제를 더 부가할 수 있어 세균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필터를 지지하는 마스크본체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고, 필터의 교체 주기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어려움에 따라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안면부여과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마스크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화분(花粉) 등의 미세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유해 세균이나 질병에 감염된 환자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염병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랜시간 착용시, 마스크 안면부 내부에서 체온과 습도로 세균 등이 증식되어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회용 마스크는 호흡시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특히, 흡기(吸氣)시 마스크 안면부가 밀착하게 되어 호흡에 방해가 되어 답답하고 마스크 안면부 내부에 흡착된 유해 물질이 다시 흡입되거나 피부에 접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로 일회용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주 마스크를 벗거나 가급적 마스크 착용을 회피하여 오염물질에 노출시키는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회용 마스크는 섬유 또는 펄프 재질의 공극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균을 걸러주는 방식을 취하게 됨에 따라 공극이 작을수록 여과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공극의 축소에 따른 원료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스크는 재질의 종류 및 구성상의 구분과 관계없이 모두 인체의 코와 입에 근접하여 접촉하므로 마스크의 청결은 중요한 위생관리 인자이다.
따라서, 마스크는 철저한 위생환경에서 생산·포장되어야 하고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하기까지에도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사용과정이나 사용 후에도 마스크에 잔류하는 유해물질에 주의해야 한다.
한편, 세균을 사멸하기 위한 소독방법으로는 화학성분의 항균제나 광선에 의한 소독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마스크는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소독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화학물질에 의한 소독방법에서는 알콜 또는 염소계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나, 이러한 물질은 일정 시간 외기에 노출되면 소독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마스크는 소독에 의해 다회 사용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사용되고 폐기는 하는 것을 권장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며, 마스크 부족 현상이 발생되거나, 오염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마스크는 소재나 구성상 불투명하게 제조되었는데, 사람의 의사나 감정의 소통, 즉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구어(口語)와 문어(文語)는 물론 몸짓, 자세, 표정, 억양 등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들 중, '표정'에 제약을 줌으로써 불완전한 소통으로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하고 특히, 손동작뿐만 아니라 표정이나 입모양이 중요시되는 수화에서는 불완전한 소통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회 사용이 가능하고,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소통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의 조사로 인해 지속적인 살균을 실시하는 광촉매물질을 사용하면서 단순한 구조의 마스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소재로 내부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되고, 흡기와 배기를 분리하여 흡기되는 공기를 광촉매물질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확대하면서 살균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마스크를 제시함으로써, 도포된 광촉매물질에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흡수되면서 살균효과를 가지는 광촉매성분이 발산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고, 투명소재로 사용자의 표정과 얼굴이 외부로 드러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함에 따라 호흡기 질환과 전염병을 예방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투명 재질로 귀에 걸어서 지지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호흡 중에 날숨을 외부로 필터링 한 상태에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를 일차로 필터링된 상태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상태에서 복수로 권회된 투명소재로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이 권회된 위치로 유도되면서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되는 살균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처리부에 연결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를 광촉매 물질로 도포되고, 하부에는 살균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살균공기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 살균되는 광촉매 작용이 발현하도록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광촉매부를 가지고,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투명소재로 구비된 안면하우징몸체; 및 상기 안면하우징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착용 시 귀에 걸어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의 호흡 중에서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를 관통하는 흡입구를 가지도록 개방된 배출공간이 형성된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을 필터링하도록 설치된 배출필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가 호흡 중 들숨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외기를 흡입되도록 양측에 각각 관통된 흡입구를 가지도록 개방된 흡입공간이 형성된 흡입몸체; 및 상기 흡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들숨에 의해 외기 흡입 시 외기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된 흡입필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살균처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시광선이 조사되는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살균되는 살균몸체공간을 가지는 살균몸체; 상기 살균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코일 형상으로 복수로 권회된 투명 튜브 형태로 상기 살균몸체공간 내에 위치하여 안쪽면으로 광촉매 물질이 도포되는 내부에 흡입되는 공기가 복수로 권회된 코일 형태의 투명 튜브로 유도되면서 광촉매 물질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되면서 광촉매 작용으로 흡입공기를 살균하는 권회유도공간을 가지는 살균권회유도체; 및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와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에서 유도되면서 살균된 공기를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로 공급하는 관 형태의 살균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는 살균주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처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살균처리부에서 살균처리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착용자의 코와 입에 공급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공급공을 가지는 공급공간이 형성된 공급몸체; 및 상기 공급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는 상부공급주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독의 실시를 위해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살균처리부를 감싸도록 장착하는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안쪽면에 투명 소재의 상기 살균처리부로 살균되는 광이 조사되어 광촉매 작용의 활성화로 소독을 실시하는 탈착식광소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탈착식광소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한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한 상태에서 소독 시에 상기 살균처리부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폐쇄되며, 양측면이 상기 살균처리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클립 형태가 되는 광소독공간을 가지는 광소독몸체; 상기 광소독몸체의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소재로 구비된 상기 살균처리부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을 실시하는 UV소독광발광체; 및 상기 광소독몸체의 전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엘이디소독광발광체가 설치되어 상기 살균처리부와 상기 흡입부에 엘이디광을 조사하여 소독하도록 상기 광소독몸체의 전면으로 연장된 광소독연장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소재로 내부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되고, 흡기와 배기를 분리하여 흡기되는 공기를 광촉매물질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확대하면서 살균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마스크를 제시함으로써, 도포된 광촉매물질에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흡수되면서 살균효과를 가지는 광촉매성분이 발산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고, 투명소재로 사용자의 표정과 얼굴이 외부로 드러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함에 따라 호흡기 질환과 전염병을 예방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져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소재로 가시광선의 조사로 광촉매물질에서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손접촉에 의한 오염문제를 해소하여 위생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착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주요 구성인 살균처리부에 살균권회유도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 상태도이다.
도 5은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주요 구성인 살균공급부의 공급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에 따른 탈착식광소독부가 한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에 주요구성인 탈착식소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착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주요 구성인 살균처리부에 살균권회유도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 상태도이며, 도 5은 도 1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의 주요 구성인 살균공급부의 공급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100)는 투명소재로 안면의 인식이 가능하고, 외부광의 조사로 인한 광촉매 작용으로 각종 세균을 제거하며,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하여 소독을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위생적이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런,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100)는 하우징부(110), 배출부(120), 흡입부(130), 살균처리부(140), 및 살균공기공급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투명 재질로 귀에 걸어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하우징부(110)는 안면하우징몸체(111), 및 귀걸이끈(113)을 포함한다.
안면하우징몸체(111)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 살균되는 광촉매 작용이 발현하도록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광촉매부(112)를 가지고,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투명소재로 구비된다.
즉, 안면하우징몸체(111)는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안면의 표정과 인상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의 가시광선이 투과되어 광촉매부(112)에 조사되면 광촉매물질이 발산되면서 안면부분에 살균을 실시한다.
귀걸이끈(113)은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착용 시 귀에 걸어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귀걸이끈(113)은 통상적으로 마스크에 사용되는 것으로, 하기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부(120)는 하우징부(110)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호흡 중에 날숨을 외부로 필터링 한 상태에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배출부(120)는 배출몸체(121), 및 배출필터체(124)를 포함한다.
배출몸체(12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의 호흡 중에서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를 관통하는 배출구(123)를 가지도록 개방된 배출공간(122)이 형성된다.
배출필터체(124)는 배출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을 필터링하도록 설치된다.
즉, 배출필터체(12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필터가 사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을 필터링하도록 구비된다.
흡입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를 일차로 필터링된 상태로 흡입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흡입부(130)는 흡입몸체(131), 및 흡입필터체(134)를 포함한다.
흡입몸체(13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가 호흡 중 들숨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외기를 흡입되도록 양측에 각각 관통된 흡입구(133)를 가지도록 개방된 흡입공간(132)이 형성된다.
흡입필터체(134)는 흡입몸체(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들숨에 의해 외기 흡입 시 외기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된다.
즉, 흡입필터체(13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필터가 사용되어 들숨의 흡입력에 따라 흡입되는 외기를 일차로 필터링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배출필터체(124)와 흡입필터체(134)는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통상적인 섬유필터를 이용하여도 기설정된 기간마다 교체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살균처리부(140)는 하우징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흡입부(13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상태에서 복수로 권회된 투명소재로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이 권회된 위치로 유도되면서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살균처리부(140)는 살균몸체(141), 살균권회유도체(143), 살균배출관(145), 및 살균주름체(146)를 포함한다.
살균몸체(14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흡입몸체(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시광선이 조사되는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살균되는 살균몸체공간(14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살균몸체(14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양측에 위치한 흡입몸체(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의 가시광선이 내부로 조사되도록 투명소재로 구비된다.
살균권회유도체(143)는 살균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입몸체(131)와 연결되어 코일 형상으로 복수로 권회된 투명 튜브 형태로 살균몸체공간(142) 내에 위치하고, 안쪽면으로 광촉매물질이 도포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비하되, 복수로 권회된 코일 형상을 통과하면서 광촉매물질과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광촉매 작용으로 흡입공기를 살균하는 권회유도공간(144)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살균배출관(145)은 살균권회유도체(143)와 살균공기공급부(150)를 연결하고 있으며, 살균권회유도체(143)에서 유도되면서 살균된 공기를 살균공기공급부(150)로 공급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살균주름체(146)는 살균권회유도체(14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도록 구비된다.
살균공기공급부(150)는 하우징부(110)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살균처리부(140)에 연결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를 광촉매 물질로 도포되고, 하부에는 살균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살균공기공급부(150)는 공급몸체(151), 및 상부공급주름체(153)를 포함한다.
공급몸체(15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살균배출관(145)과 연결되어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하부에는 살균권회유도체(143)에서 살균처리된 공기가 안면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착용자의 코와 입에 공급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공급공(154)을 가지는 공급공간(152)이 형성된다.
상부공급주름체(153)는 공급몸체(15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도록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에 따른 탈착식광소독부가 한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에 주요구성인 탈착식소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100)는 하우징부(110), 배출부(120), 흡입부(130), 살균처리부(140), 살균공기공급부(150), 및 탈착식광소독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부(110), 배출부(120), 흡입부(130), 살균처리부(140), 및 살균공기공급부(1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100)와 동일함에 따라 추가된 탈착식광소독부(160)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탈착식광소독부(160)는 하우징부(110)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독의 실시를 위해서 양측에 위치한 살균처리부(140)를 감싸도록 장착하는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안쪽면에 투명 소재의 살균처리부(140)로 살균되는 광이 조사되어 광촉매 작용의 활성화로 소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탈착식광소독부(160)는 광소독몸체(161), UV소독광발광체(163), 및 광소독연장몸체(164)를 포함한다.
광소독몸체(161)는 안면하우징몸체(111)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한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한 상태에서 소독 시에 살균몸체(141)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폐쇄되며, 양측면이 살균몸체(141)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클립 형태가 되는 광소독공간(16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UV소독광발광체(163)는 광소독몸체(161)의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소재로 구비된 살균몸체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을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즉, UV소독광발광체(163)는 UV광이 투명소재인 살균몸체(141)에 조사되어 내부에 권회된 투명튜브 형태의 살균권회유도체(143)의 상부와 공급몸체에 연결된 살균배출관(145)을 살균하도록 구비된다.
광소독연장몸체(164)는 광소독몸체(161)의 전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엘이디소독광발광체(164)가 설치되어 살균몸체(141)와 흡입몸체(131)에 엘이디광을 조사하여 소독하도록 광소독몸체(161)의 전면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스크 110 : 하우징부
111 : 안면하우징몸체 112 : 광촉매부
113 : 귀걸이끈 120 : 배출부
121 : 배출몸체 122 : 배출공간
123 : 배출구 124 : 배출필터체
130 : 흡입부 131 : 흡입몸체
132 : 흡입공간 133 : 흡입구
134 : 흡입필터체 140 : 살균처리부
141 : 살균몸체 142 : 살균몸체공간
143 : 살균권회유도체 144 : 권회유도공간
145 : 살균배출관 146 : 살균주름체
150 : 살균공기공급부 151 : 공급몸체
152 : 공급공간 153 : 상부공급주름체
154 : 하부공급공 160 : 탈착식광소독부
161 : 광소독몸체 162 : 광소독공간
163 : UV소독광발광체 163 : 광소독연장몸체
164 : 엘이디소독광발광체

Claims (9)

  1.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투명 재질로 귀에 걸어서 지지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호흡 중에 날숨을 외부로 필터링 한 상태에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외기를 일차로 필터링된 상태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상태에서 복수로 권회된 투명소재로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이 권회된 위치로 유도되면서 광촉매 작용에 의해 살균되는 살균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처리부에 연결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를 광촉매 물질로 도포되고, 하부에는 살균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살균공기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착용자가 착용 시 코와 입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면에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 살균되는 광촉매 작용이 발현하도록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광촉매부를 가지고,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투명소재로 구비된 안면하우징몸체; 및
    상기 안면하우징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착용 시 귀에 걸어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처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살균처리부에서 살균처리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착용자의 코와 입에 공급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공급공을 가지는 공급공간이 형성된 공급몸체; 및
    상기 공급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는 상부공급주름체;를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의 호흡 중에서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를 관통하는 배출구를 가지도록 개방된 배출공간이 형성된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을 필터링하도록 설치된 배출필터체;를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착용자가 호흡 중 들숨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외기를 흡입되도록 양측에 각각 관통된 흡입구를 가지도록 개방된 흡입공간이 형성된 흡입몸체; 및
    상기 흡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가 들숨에 의해 외기 흡입 시 외기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된 흡입필터체;를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시광선이 조사되는 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내부에 흡입된 공기가 살균되는 살균몸체공간을 가지는 살균몸체;
    상기 살균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코일 형상으로 복수로 권회된 투명 튜브 형태로 살균몸체공간 내에 위치하고, 안쪽면으로 광촉매물질이 도포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비하되, 복수로 권회된 코일 형상을 통과하면서 광촉매물질과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광촉매 작용으로 흡입공기를 살균하는 권회유도공간을 가지는 살균권회유도체;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와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에서 유도되면서 살균된 공기를 상기 살균공기공급부로 공급하는 관 형태의 살균배출관;을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권회유도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원추형 돌기가 돌출되는 주름 형상으로 구비되어 살균되는 공기의 접촉되는 면적의 확대에 의해 광촉매 물질과의 접촉 확대에 따른 살균력이 향상되는 살균주름체;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독의 실시를 위해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살균처리부를 감싸도록 장착하는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안쪽면에 투명 소재의 상기 살균처리부로 살균되는 광이 조사되어 광촉매 작용의 활성화로 소독을 실시하는 탈착식광소독부;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광소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탈착이 가능한 클립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한 상태에서 소독 시에 상기 살균처리부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폐쇄되며, 양측면이 상기 살균처리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클립 형태가 되는 광소독공간을 가지는 광소독몸체;
    상기 광소독몸체의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투명소재로 구비된 상기 살균처리부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을 실시하는 UV소독광발광체; 및
    상기 광소독몸체의 전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엘이디소독광발광체가 설치되어 상기 살균처리부와 상기 흡입부에 엘이디광을 조사하여 소독하도록 상기 광소독몸체의 전면으로 연장된 광소독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KR1020200057664A 2020-05-14 2020-05-14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KR10246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64A KR102460592B1 (ko) 2020-05-14 2020-05-14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64A KR102460592B1 (ko) 2020-05-14 2020-05-14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10A KR20210140910A (ko) 2021-11-23
KR102460592B1 true KR102460592B1 (ko) 2022-10-27

Family

ID=7869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64A KR102460592B1 (ko) 2020-05-14 2020-05-14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11A (ja) * 1998-12-31 2000-07-18 Tm Adotekku:Kk マスク及びマスクカバ―
JP2016036706A (ja) * 2014-08-08 2016-03-22 道子 山本 掌用光触媒殺菌ライト
KR101783804B1 (ko)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KR102028304B1 (ko) 2019-05-10 2019-10-02 신윤익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503B1 (ko) * 2004-11-08 2006-08-02 주식회사 젠트로 광촉매 폭기장치
KR100642287B1 (ko) * 2005-02-28 2006-11-10 이세찬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711A (ja) * 1998-12-31 2000-07-18 Tm Adotekku:Kk マスク及びマスクカバ―
JP2016036706A (ja) * 2014-08-08 2016-03-22 道子 山本 掌用光触媒殺菌ライト
KR101783804B1 (ko)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KR102028304B1 (ko) 2019-05-10 2019-10-02 신윤익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10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189B2 (en) Anti-microbial, disinfection chamber respiratory face mask/shield
CN111165940A (zh) 一种基于紫外及光触媒杀菌的口罩
KR20110032725A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CN215024359U (zh) 呼吸装置
KR102460592B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CN111165954A (zh) 一种函道式眼镜口罩及其工作方法
EP4126257B1 (en) Ultraviolet decontaminating mask
CN212814404U (zh) 口罩
CN112494835A (zh) 医务人员用的肩携复用式吸入气体消毒、呼出气体过滤器
JP2021186627A (ja) 紫外線マスク
KR20210125876A (ko) 필터 튜브를 구비한 마스크
CN213045324U (zh) 防护面罩
JP2004337562A (ja) マスク
CN212185267U (zh) 一种防护口罩
CN215840670U (zh) 一种设置有氧化铜和光触媒的顶吸装置
CN212814474U (zh) 一种医用防护口罩
JP6931957B1 (ja) エア導入マスク
JP2022083945A (ja) 紫外線マスク
JP6931955B1 (ja) マスクとエアマスク
CN113796600A (zh) 防护面罩及其应用方法
CN111296958A (zh) 一种防护口罩
JP2022040418A (ja) マスク
JP2022077475A (ja) 紫外線マスク
TW202143871A (zh) 防護面罩及其應用方法
KR20240000703A (ko) Uv필터를 구비한 살균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