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584A - 재사용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재사용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584A
KR20210086584A KR1020210079686A KR20210079686A KR20210086584A KR 20210086584 A KR20210086584 A KR 20210086584A KR 1020210079686 A KR1020210079686 A KR 1020210079686A KR 20210079686 A KR20210079686 A KR 20210079686A KR 20210086584 A KR20210086584 A KR 20210086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lter
frame member
support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690B1 (ko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이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용 filed Critical 이대용
Priority to KR102021007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90B1/ko
Priority to PCT/KR2022/008664 priority patent/WO20222708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통하지 않고 착용시에 상기 마스크 본체 상부, 하부에 각 3개의 요철 결합부를 생성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부 마스크와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 하도록 하는
안면의 코 부분과 입 부분이 분리되는 형상을 갖는 마스크부와; 일단이 착용시 안면의 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 통공에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좌우의 공기유통관과; 상기 공기유통관을 삽입하여 착용시 마스크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 시 귀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스트랩을 뒷목에 고정할 수 있게 이동조절이 가능한 걸이부재와; 아치형으로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갖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하부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의 공기유통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대응하는 직경과 길이를 갖고 표면에 다수의 육각형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에 덧씌워지는 필터커버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내면에 헤파필터를 부착, 삽입하고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를 덧씌운 상태에서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전면 2개의 개구부가 착용자의 호흡 시 개폐되어 배기기능을 갖는 배기판막보호덮개를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재사용형 마스크{Reusable Face Mask}
본 발명은 분리 구조를 갖는 재 사용형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사람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을 차단하고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고 본인 및 외부로부터의 호흡 시 발생되는 비말차단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살균시켜 정화된 공기만을 흡입 및 필터를 통해 발산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 호흡 부분과 입 호흡 부분을 분리하여 입 호흡 부분의 세균에 의한 마스크 필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마스크 필터를 재 사용할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 부분과 필터부분을 분리하여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분리 구조를 갖는 재사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의료용, 산업용, 환절기의 호흡기 보호용 및 미세먼지 방지용 등으로 사용하던 마스크가 최근에는 신종 바이러스의 창궐로 인해 그 착용의 중요성이 더 높아진 상태이다.
마스크의 기능과 형태에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그 소재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마스크 자체 또는 마스크에 삽입되는 다양한 용도의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 되면서 직물로 이루어진 마스크의 얼굴 가림, 장 시간 마스크 착용에 의한 귀 통증유발, 하절기용 마스크 필터링의 저조한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마스크의 입 가림으로 인한 농아 장애인의 대화 소통이 불가하여 투명마스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바이러스의 입출 방지에 다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여 마스크 제조 및 사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사용 후 폐기되는 일회용 마스크로 인해 환경오염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90117호(등록일: 2020년03월11일)의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의 발명이 특허 등록되어 공개되었다.
상기 특허 발명은, 마스크의 내부 공간이 영역차단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은 착용자의 코를 포함하여 흡기필터가 연결되는 들숨부가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영역; 및 착용자의 입을 포함하며 배기필터가 연결되는 날숨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포함하는 영역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중앙부에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흡기영역의 공기는 배기영역으로 이동하여 구강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배기영역의 공기는 흡기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호흡판막;이 구성되며, 상기 배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흡기필터가 분리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들숨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날숨부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날숨유도팬;이 구성된다.
상기 영역차단부는, 내측면 상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노우즈캡(Nose cap);을 형성하며, 구강 내부로 연장되어 마우스튜브를 이용해 산소를 공급받는 영역분리구조를 갖는다.
상기 특허발명은 전원과 날숨 유도팬을 구비한 공기청정기를 구동시켜 마스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공기청정기의 전원 및 모터 팬이 사용으로 열과 소음의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외부 산소공급부의 중량으로 장시간 착용시 신체에 무리가 가고, 기존의 마스크와 같이 마스크 본체와 필터가 결합이 된 구조로 투명하게 가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24175호(등록일: 2020년06월11일)의 마스크형 공기청정시스템의 발명이 특허 등록되어 공개되었다.
상기 특허발명은, 사용자의 목을 통하여 지지되는 공기청정기하우징; 입 또는 코를 가리도록 착용되면서 내측에 공간을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공간에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면서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공간에 강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마스크는, 일정 형상을 유지하는 보강편과 피부와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공기주머니를 갖는 형상이면서 본체가 피부와 밀착토록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기하우징은, 내측으로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하나 이상의 급기팬이 장착되고, 급기팬에 공급되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그릴과 급기된 공기를 마스크에 공급하는 배기관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공기청정기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턱이 구비되어 복수의 필터가 각각 밀착되고, 상기 필터는, 프리필터, 카본필터, 헤파필터의 조합이면서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되는 브라켓부재를 통하여 복수개가 동시에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부재는, 내경에 지지홀을 갖는 필터가 장착되는 암수결합구조인 하나 이상의 제1,2결합편을 통하여 복수개가 동시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스크형 공기청정 시스템이다.
상기 특허발명은 전원과 모터 팬을 구비한 공기청정기를 배기관을 통하여 마스크에 연결하고 공기청정기를 구동시켜 마스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전원 및 모터 팬을 포함한 케이스 등의 중량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고, 모터팬의 열과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30621호(등록일: 2012년03월20일)의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는 2겹층 구조를 이루어, 귀에 거는 걸이부재를 통해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에 착용되는 몸체; 및 제1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몸체의 외피와 내피를 가로질러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1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살균하도록 한 공기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 먼지를 몸체에 의해 1차로 걸러주며,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착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1차로 걸러진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세균을 2차로 살균하여 착용자를 유해 먼지 및 유해 세균으로부터 보호하는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의 발명이다.
상기 특허발명은 마스크 자체에 살균용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내장시키는 구조로 마스크 착용에 불편함이 따를 수 있고, 마스크의 필터부분이 살균램프 등의 설치로 가려져 공기의 필터링 기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공기 필터 기능을 분리하고 공기 필터 기능을 하는 부분이 무동력으로 작용을 하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제조하여 착용자가 불편해 하지 않는 구조와, 공기 필터 기능에 오염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소형 살균 램프를 설치하고, 공기 필터 기능과 분리된 마스크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구성하여, 외부 공기를 마스크로 직접 필터링하지 않고 흡입 및 배출하는 공기가 살균될 수 있는 재 사용형 마스크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90117호(등록일: 2020년03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24175호(등록일: 2020년06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30621호(등록일: 2012년03월20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필터 기능과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공기 노출 차단 기능이 코 호흡 부분과 입 호흡 부분을 분리하여 입 호흡으로 인한 마스크 필터 오염을 방지하여 마스크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형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에 UV-C LED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으로 통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재사용형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차단 기능 부분이 투명한 가벼운 소재의 사용으로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을 외부 시선에 노출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차단될 수 있는 형상의 재사용형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투명한 합성수지의 소재로 안면 형상이고, 코 부분을 감싸는 상부와 입 부분을 감싸는 하부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는 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저면에 설치되어 입으로 내쉬는 공기를 비말 차단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부재와, 각각 코 부분을 감싸는 상부의 양측 소정 위치에 공기유통관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좌우의 마스크측 통공이 형성된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상부 일부와 하부를 마스크부의 표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투명한 마스크부로부터 착용자의 입과 코 부분이 외부 시선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얇고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스킨부재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 마스크측 통공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좌우의 공기유통관과; 양측에 상기 좌우의 공기유통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필터측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갖고 아치형 형상이되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에 대응하는 넓이와 길이를 갖고 아치형이되 다수의 통기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의 필터커버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안쪽 표면에 박형의 헤파필터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로 헤파 필터와 필터받침프레임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를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전면에 2개의 개구부에 착용자의 호흡 시 개폐되는 배기판막이 형성되고 배기판막보호덮개;를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충전식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으로 점등되는 UV-C LED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필터 기능과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공기 노출 차단 기능이 분리되어 마스크를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오염된 공기, 미세먼지 또는 바이러스 등이 마스크 내로 직접 들어오지 않고,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에 UV-C LED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으로 통하는 공기를 살균하여 더욱 정화시킬 수 있고, 상기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차단 기능 부분이 투명한 가벼운 소재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외부 공기에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이므로 마스크를 착용해도 안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마스크 본체의 코 호흡부분과 입 호흡부분으로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어 있고 코 호흡으로만 할 수 있어 일반적인 마스크의 입 호흡으로 인한 세균으로부터 마스크 필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마스크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주요부인 필터받침프레임부재에 UV-C LED 살균램프가 설치된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 본체의 상부와 하부의 결합 및 분리의 실시 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걸이부재의 실시 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사용되는 표현 또는 용어들은 본원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그 표현이나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구성요소의 설명 내용에 더 의미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부분 및 입 부분을 덮고 투명한 합성수지의 소재로 안면 형상이고, 각각 상기 코 부분을 감싸는 상부(100)와 입 부분을 감싸는 하부(110)로 구성되며 상부의 양측 소정 위치에 공기유통관을 착 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좌우의 마스크측 통공(111)(112)이 형성된 마스크부(A)와; 상기 마스크부(A)의 상부 일부와 하부를 마스크부(A)의 표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투명한 마스크부(A)로부터 착용자의 입과 코 부분이 외부 시선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박형의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스킨부재(200)와; 상기 마스크부(A) 상부(100)의 양측 마스크측 통공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좌우의 공기유통관(400)(410)과; 일단이 상기 마스크측 통공(111)(112)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을 상기 마스크측 통공(111)(112)으로 연결시키는 좌우 연결관(300)(310)과; 양측에 상기 좌우의 공기유통관(400)(410)의 단부와 연결되는 필터 측 통공(511)(5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을 걸이부재(400a)(410a)에 삽입하고 걸이부재(400a)(410a)와 스트랩(4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트랩(420)을 뒷목에 고정하고 착용시 마스크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시 귀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안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안면으로 이동 조절이 가능한 양측의 걸이부재(400a)(410a)를 포함한다.
또한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갖고 아치형 형상이되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다수의 육각형의 통기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의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안쪽 표면에 미 도시한 박형의 헤파필터를 부착하고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로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를 덮은 상태에서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헤파필터와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를 고정시키고, 헤파필터의 교체 시에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를 분리시킬 수 있고 필터받침프레임부재 전면에는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에 배기판막프레임부재(700a)(710a)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호흡 시 개폐되는 배기판막(700)(710)이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배기판막 보호덮개(711)(71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좌우 연결관(300)(310),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 및 배기판막프레임부재(700a)(710a)와 배기판막(700)(710) 및 배기판막 보호덮개(711)(712)의 실시예의 구성은 도 3의 분해 구성도에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5(A)는 상기 마스크 본체 상부, 하부에 각 3개의 요철(凸,凹) 결합부를 생성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부 마스크와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부(100) 하단에 형성된 3개의 요철(凸) 결합부(120)(121)(122)와 상부 마스크와 결합하기 위해 마스크 하부(110) 상단에 3개의 요철(凹) 결합부(120a)(121a)(122a)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B)는 하부(110) 요철 결합부의 구성도이며 마스크 상부와 하부를 결합하기 위해 하부 정면 요철(凹) 결합부(121a)를 상부 정면 요철(凸) 결합부(121)에 걸고 마스크 하부 양측 요철(凹) 결합부(120a)(122a)를 마스크 안쪽으로 누른 후 삽입하여 마스크 상부 요철(凸) 결합부(120)(122)에 고정한다. 분리는 결합의 역순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는, 투명한 합성수지의 소재로 안면 형상이고, 코 부분을 감싸는 상부(100)와 입 부분을 감싸는 하부(110)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110)에는 저면(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의 저면(140)에 설치되어 입으로 내쉬는 공기를 비말차단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부재(141)와, 각각 상기 코 부분을 감싸는 상부(100)의 양측 소정 위치에 공기유통관을 착 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좌우의 마스크측 통공(111)(112)과; 상기 마스크부(A)의 상부(100) 일부와 하부(110)를 가리도록 마스크부(A)의 표면에 부착하는 상기 스킨부재(200)의 착 탈이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상기 마스크 하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킨체결구(131)(132)(133)(134)를 포함하는 마스크부(A)의 내부의 실시예의 구성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마스크부(A)의 내측 테두리에 착용감과 기밀성이 좋도록 부드러운 실리콘재질로 마감 처리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주요부인 필터받침프레임부재에 UV-C LED 살균램프가 설치된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치형 형상을 갖는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 실시예의 좌우 양측 하부에 형성된 필터측통공(511)(512)과, 아치형 형상을 갖는 소정의 폭의 필터고정프레임(520)들이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가장 자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필터고정프레임(520)의 내측 공간이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통기구(530)들의 구성이다. 미 도시한 헤파 필터는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필터고정프레임(520)에 부착, 위치하고, 상기 통기구(530)를 통하여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상기 소정 폭의 가장자리에 예를 들어 UV-C LED 램프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회로기판(8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810)과 전기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UV-C LED 살균램프(8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810)에는 충전식 전원공급기 또는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UV-C LED 살균램프의 온/오프 스위치, 등은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4,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실시 예에 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는 착용자의 소지가 용이하고 청결을 위하여 각 구성요소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자는 마스크부(A)의 마스크측통공(111)(112)에 연결관(300)(310)의 일측을 끼우고 타 측에 각각 공기유통관(400)(410)의 일단을 연결한다.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의 타 단에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필터측통공(511)(512)에 끼워서 연결한다.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은 그 길이를 선택 또는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준비된 새로운 헤파 필터를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필터고정프레임(520)에 고정,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파필터의 사이즈는 상기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 내부의 필터고정프레임(520)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파필터를 상기 필터고정프레임(520)에 고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를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에 끼워서 상기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 헤파 필터 및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를 일체화시킨다. 이어서 상기 배기판막프레임부재(700a)(710a)를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전면 2개의 개구부에 끼우고 배기판막(700)(710)을 배기판막프레임부재(700a)(710a) 중앙부에 삽입, 고정한 후 배기판막보호덮개(711)(712)를 끼워서 공기 필터 기능 부분의 결합을 완성시킨다.
착용자는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의 내부에 설치된 UV-C LED 살균램프를 점등시킨 후, 상기 마스크부(A)를 안면에 착용하고 상기 공기유통관(400)(410)과 결합된 걸이부재(400a)(410a)와 스트랩(4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트랩(420)과 공기 필터부를 목걸이를 패용할 때처럼 뒷목 부분에 고정하고, 상기 유통관(400)(410)에 연결된 연결관(300)(310)을 마스크 상부(100) 마스크측통공(111)(112)양측에 삽입한 후 걸이부재(400a)(410a)를 안면부로 이동 조절하여 마스크부(A)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면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착용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UV-C LED 살균램프(800)의 점등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고, 상기 UV-C LED 살균램프(800)의 온/오프 제어기구가 착용자가 별도로 소지하도록 구성된 경우는 착용을 완성한 후에 필요할 때 UV-C LED 살균램프(8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착용 후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는, 착용자가 호흡을 하면 들숨 때에는,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의 다수의 육각형의 통기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여과 필터를 거쳐서 오염,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이 여과된 공기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600)의 헤파필터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1차 정화된 공기가 상기 UV-C LED 살균램프(800)의 살균작용으로 잔여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여 2차 정화되어 상기 공기유통관(400)(410)을 통해 상기 마스크부(A)의 상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착용자가 정화된 공기를 코로 흡입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100)와 하부(110)로 분리된 구조로 상부 코 부분에 연결된 공기 유통관과 헤파필터를 통해 호흡할 수 있어 입 호흡으로 인한 마스크 필터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여 헤파필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하부 저면(140)의 밸브부재(141)는 비말 차단필터를 삽입한 후 고정링으로 고정하여 사용자의 비말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사용형 마스크의 착용 후, 공기여과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공기 필터 기능 부분의 조립의 역순으로,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600)를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50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헤파필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 판막보호덮개(711)(712)에는 안쪽으로 배기 판막(700)(7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착용자의 호흡을 함에 따라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때에는 닫히고 내부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열리도록 하는 배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기의 필터 기능과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공기 노출 차단 기능이 분리된 구성과,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에 UV-C LED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 필터 기능 부분으로 통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고, 상기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의 외부 차단 기능 부분이 투명한 가벼운 소재이고 안면의 눈 아래 부분을 외부 공기에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의 재사용형 마스크에 관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A: 마스크부
100: 상부
110: 하부
120,121,122: 상부요철결합부
120a,121a,122a: 하부요철결합부
200: 스킨부재
300, 310: 연결관
400, 410: 공기유통관
400a, 410a: 걸이부재
420: 스트랩
500: 필터받침프레임부재
520: 필터고정프레임
600: 필터커버프레임부재
700, 710: 배기판막
700a,710a: 배기판막고정프레임부재
711, 712: 배기판막보호덮개
800: UV-C LED 살균램프
810: 회로기판

Claims (7)

  1. 공기가 통하지 않고 착용시에 안면의 코 부분과 입 부분을 분리되는 형상을 갖는 마스크부와; 일단이 착용시 안면의 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 통공에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좌우의 공기유통관과;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갖고 안쪽 내면에 필터고정프레임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하부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의 공기유통관의 타 단에 연결되는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대응하는 넓이와 길이를 갖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에 덧씌워지는 필터커버프레임부재와;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안쪽 필터고정프레임에 헤파필터를 부착, 삽입하고 상기 필터커버프레임부재를 덧씌운 상태에서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전면 2개의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되고 착용자의 호흡 시 개폐되어 배기기능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용시 마스크 본체를 상부와 하부의 분리된 구조로 상부 코 부분에 연결된 공기 유통관과 헤파필터를 통해 호흡할 수 있어 입 호흡으로 인한 마스크 필터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여 헤파필터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형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부 마스크와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 하도록 상기 마스크 상부와 하부에 각 3개의 요철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형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투명한 박형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용시 마스크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시 귀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스트랩을 뒷목에 고정할 수 있게 이동조절이 가능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기부가 형성된 필터받침프레임부재와 필터커버프레임부재의 형상이 필터의 탈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아치형으로 형성된 재사용형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받침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UV-C LED 살균램프를 더 포함하는 재사용형 마스크.
KR1020210079686A 2021-06-20 2021-06-20 재사용형 마스크 KR10239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86A KR102393690B1 (ko) 2021-06-20 2021-06-20 재사용형 마스크
PCT/KR2022/008664 WO2022270834A1 (ko) 2021-06-20 2022-06-20 재사용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86A KR102393690B1 (ko) 2021-06-20 2021-06-20 재사용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84A true KR20210086584A (ko) 2021-07-08
KR102393690B1 KR102393690B1 (ko) 2022-05-02

Family

ID=7689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86A KR102393690B1 (ko) 2021-06-20 2021-06-20 재사용형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690B1 (ko)
WO (1) WO20222708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34A1 (ko) * 2021-06-20 2022-12-29 이대용 재사용형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8079A (zh) * 2020-04-27 2020-07-14 张一鸣 一种防护消毒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21B1 (ko) 2009-11-30 2012-04-02 기창도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
KR101797071B1 (ko) * 2017-02-16 2017-12-12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70225B1 (ko) * 2017-01-18 2018-06-22 (주)바이오융합기술 스마트 마스크
KR102090117B1 (ko) 2018-08-07 2020-03-17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KR102124175B1 (ko) 2018-04-11 2020-06-17 김진향 마스크형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0056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크리자인 기능성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6296A2 (pt) * 2008-04-04 2015-07-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ositivo de filtração de ar.
KR20160127637A (ko) * 2015-04-27 2016-11-04 이운경 온기공급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KR102393690B1 (ko) * 2021-06-20 2022-05-02 이대용 재사용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21B1 (ko) 2009-11-30 2012-04-02 기창도 발광다이오드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살균기형 마스크
KR101870225B1 (ko) * 2017-01-18 2018-06-22 (주)바이오융합기술 스마트 마스크
KR101797071B1 (ko) * 2017-02-16 2017-12-12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KR102124175B1 (ko) 2018-04-11 2020-06-17 김진향 마스크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90117B1 (ko) 2018-08-07 2020-03-17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KR2021000056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크리자인 기능성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34A1 (ko) * 2021-06-20 2022-12-29 이대용 재사용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834A1 (ko) 2022-12-29
KR102393690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393690B1 (ko) 재사용형 마스크
CN108136236A (zh) 具有风扇呼吸辅助的微粒过滤面罩
US20210308496A1 (en) Respiratory mask
KR101812681B1 (ko) 공기청정 마스크
KR101574021B1 (ko)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JP2013528464A (ja) Papr用フルフェイスマスク
CN215270749U (zh) 杀菌防护罩
US20210368877A1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ES2778000A1 (es) Mascarilla reutilizable antimicrobiana con sistemas de proteccion facial y sistemas de auto desinfeccion, circulacion y purificacion de aire, que permite ingerir liquidos.
US20220240604A1 (en) Portable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respiratory viruses
KR200495691Y1 (ko) 미세 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20015195A (ko) 공기 정화형 마스크
KR102365565B1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KR20210125876A (ko) 필터 튜브를 구비한 마스크
JP2023541111A (ja) 呼吸保護マスク
US20220023680A1 (en) Face shield
CN212185267U (zh) 一种防护口罩
KR102358720B1 (ko) 전면형 호흡용 보호구
CN215531837U (zh) 一种防护罩
KR102460592B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투명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