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64B1 -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64B1
KR102279364B1 KR1020200136761A KR20200136761A KR102279364B1 KR 102279364 B1 KR102279364 B1 KR 102279364B1 KR 1020200136761 A KR1020200136761 A KR 1020200136761A KR 20200136761 A KR20200136761 A KR 20200136761A KR 102279364 B1 KR102279364 B1 KR 10227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ousing
unit
lower cover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Priority to KR102020013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64B1/ko
Priority to PCT/KR2021/000113 priority patent/WO20220858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소독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는 서로 체결가능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부 커버와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내측 관통구를 포함하는 작용부, 하부 커버와 작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부, 유동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동조절부 및 상부 커버와 연결되고 유동조절부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독 장치{DISINFECTION DEVICE}
아래의 설명은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 바이러스와 세균등의 병원체에 의한 전염병 확산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병원체는 사람 사이에서 사람의 비말과 신체접촉을 통해 주로 확산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이 착용하는 물건 중 하나가 마스크이다. 마스크란 보건위생상 병균과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착용하는 물건을 의미한다. 다만, 병원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마스크이더라도, 마스크에 병원체가 잔존하여 마스크의 기능이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에 잔존하는 병원체를 제거하는 소독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소독 장치는 UV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을 통해 마스크에 잔존하는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및 외부의 공기유동이 없어 마스크가 건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독 장치의 내부 구조에 의해 마스크가 구겨진 형태로 보관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구김없이 마스크를 보관하고 내부 순환 구조를 통해 마스크를 건조하며 자외선을 발광하는 소독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9168호는 마스크 보관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목적은, 마스크를 구김없이 보관하는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목적은, 내부 순환 구조를 구비하여 마스크를 건조시키는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는, 서로 체결가능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내측 관통구를 포함하는 작용부, 상기 하부커버와 작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부, 상기 유동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동조절부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조절부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하부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부는 상기 하부 관통구 및 내측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부 및 상기 유동조절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발생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간극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상부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간극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부는 상기 작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커버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방향으로 돌출형성하는 원반부재 및 상기 원반부재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하부 커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내측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반부재는 원반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홈은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부는 반투과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유동조절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유동조절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돌출부재의 외면에 위치하여 발광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커버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는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에 대한 동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에 따르면, 마스크를 구김없이 보관하여 마스크의 건조 및 소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에 따르면, 내부 순환 구조를 구비하여 마스크를 건조시킴으로써 마스크의 건조 및 소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을 조사하는 소독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을 조사하는 소독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 장치의 블록도이다.
소독 장치(1)는 병원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제품을 소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 장치(1)는 내부에 구비된 소독 공간에 마스크를 위치시켜 마스크를 소독할 수 있다.
소독 장치(1)는 하우징(10), 작용부(11), 유동발생부(12), 유동조절부(13), 고정부(14), 제어부(15), 측정부(16) 및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소독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서로 체결가능한 상부 커버(100) 및 하부 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00) 및 하부 커버(101)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상부 커버(100)가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0)의 일측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마스크는 개방된 하우징(10)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일측이 폐쇄되어 소독중인 마스크를 외부공간과 차단할 수 있다.
상부커버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상부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관통구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커버(100)는 측면에 굴곡진 모서리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 관통구는 굴곡진 모서리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01)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하부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관통구를 통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커버(101)의 타면에는 유동발생부(12)가 연결되고, 하부 커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일면의 중앙부분에 하부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작용부(11)는 마스크의 소독을 위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부(11)는 병원체 제거를 위한 광을 조사하고, 입력정보 및 측정정보에 따라 발광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작용부(11)는 하부 커버(101)와 연결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된 내측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하부 커버(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내측 관통구를 통과하여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작용부(11)는 지지부재(110), 돌출부재(111) 및 발광부재(112) 및 전력공급부재가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하부 커버(10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10)의 측면은 하부 커버(101)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재는 지지부재(110)에 연결될 채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재(111)는 지지부재(110)에서 유동조절부(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11)는 원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재(111)는 원반의 형태로 유동조절부(13)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11)의 중앙부분에 내측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12)는 유동조절부(13)를 바라보도록 돌출부재(111)의 외면에 위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재(112)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재(112)는 UV-C계열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재(112)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소자는 돌출부재(11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발광부재(112)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확산하는 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재는 발광부재(112)의 발광동작을 위한 전력을 발광부재(112)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부재는 제어부(15)의 제어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부재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발생부(12)는 하부 커버(101)와 작용부(11)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발생부(12)는 하부 관통구 및 내측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유동발생부(12)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부(11) 및 유동조절부(1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유동발생부(12)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간극을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부(11)의 외측 및 유동조절부(13)의 외측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바라본 기준에서, 작용부(11) 및 공기조절부는 원의 형태를 포함하고, 각 원의 원주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간극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 관통구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동발생부(12)에 의해 외부 공기가 하부 관통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내부 관통구를 지나 돌출부재(1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재(111)를 통과한 공기는 간극을 통과하여 유동조절부(13) 및 고정부(14) 사이에 위치한 마스크과 접촉할 수 있다. 마스크와 접촉을 마친 공기는 상부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동조절부(13)는 유동발생부(12)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조절부(13)는 구조적 특징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유동조절부(13)는 원반부재(130) 및 내측 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원반부재(130)는 작용부(11)에 연결되어 하부 커버(101)에서 상부 커버(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원반부재(130)는 원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바라본 기준으로, 원반부재(130)는 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반부재(130)의 중심은 작용부(11) 및 고정부(14)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내측 홈(131)은 원반부재(130)의 중앙부분에서 하부 커버(101)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홈(131)이 형성됨으로써, 유동조절부(13)는 중앙부분이 파인 원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홈(131)은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바라본 기준으로, 내측 홈(131)은 원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반부재(130) 및 내측 홈(131)이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유동조정부와 고정부(14) 사이에서 위치하는 마스크는 구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유동조절부(13)는 반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부재(112)에서 조사된 빛은 유동조절부(13)를 통과하여 마스크에 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동조절부(13)의 일측에서 발광부재(112)에 의해 발광된 자외선은 유동조절부(13)를 통과하여 유동조절부(13)의 타측에 있는 마스크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는 자외선에 의해 소독될 수 있다.
고정부(14)는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된 병원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물건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4)는 상부 커버(100)와 연결되고 유동조절부(13)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4)는 상부 커버(100)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바라본 기준에서, 고정부(14)는 원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부(14)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측면을 바라본 기준에서, 고정부(14) 및 원반부재(13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부(14)와 원반부재(130) 사이의 간격은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간극부분 중 상대적으로 상부 관통구와 거리가 먼 간극부분에서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고 유동조절부(13) 및 고정부(14) 사이를 지나면서 다시 속도가 느려짐으로써, 유동조절부(13) 및 고정부(14) 사이에서 와류 현상이 발생하여 마스크의 미세먼지 및 병원체의 잔해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작용부(11) 및 유동발생부(12)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발광부재(112)의 발광정도 및 유동발생부(12)의 회전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측정부(16)는 하우징(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조절부(13) 및 고정부(14) 사이에 위치한 마스크의 비말 등에 따라 변화하는 하우징(10) 내부 습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의 건조현상에 따라서 변화하는 내부 습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7)는 사용자로부터 작용부(11) 및 유동발생부(12)의 동작에 대한 동작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7)는 작용부(11) 및 유동발생부(12)의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17)는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값을 입력받고,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7)는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7)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광세기 및 건조 단계와 같은 소독과 관련된 동작값을 입력받고, 소독 작업의 진행률 및 살균/건조의 시작/종료시간과 같은 소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5)는 측정부(16)에서 측정한 습도정보와 서비스 제공부(17)에서 입력받은 동작정보를 기준으로 발광부재(112)의 발광세기와 유동발생부(12)의 회전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의 마스크가 자동적으로 소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소독 장치
10: 하우징
11: 작용부
12: 유동발생부
13: 유동조절부
14: 고정부
15: 제어부
16: 측정부
17: 서비스 제공부
100: 상부 커버
101: 하부 커버
110: 지지부재
111: 돌출부재
112: 발광부재
130: 원반부재
131: 내측 홈

Claims (13)

  1. 서로 체결가능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고,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내측 관통구를 포함하며, 소독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작용부;
    상기 하부 커버와 작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부;
    상기 유동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동조절부; 및
    상기 상부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조절부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조절부는
    상기 작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커버에서 상기 상부 커버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는 원반부재; 및
    상기 원반부재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하부 커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내측 홈을 포함하는, 소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하부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부는 상기 하부 관통구 및 내측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동시키는, 소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 및 상기 유동조절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발생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간극을 통과하는, 소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일면에 관통 형성된 상부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간극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소독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부재는 원반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홈은 절곡면을 포함하는, 소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부는 반투과성재질을 포함하는, 소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하부 커버와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유동조절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유동조절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돌출부재의 외면에 위치하여 발광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소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소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커버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 및 폐쇄되는, 소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에 대한 동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작용부 및 유동발생부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 장치.

KR1020200136761A 2020-10-21 2020-10-21 소독 장치 KR10227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61A KR102279364B1 (ko) 2020-10-21 2020-10-21 소독 장치
PCT/KR2021/000113 WO2022085867A1 (ko) 2020-10-21 2021-01-06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61A KR102279364B1 (ko) 2020-10-21 2020-10-21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64B1 true KR102279364B1 (ko) 2021-07-21

Family

ID=7714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61A KR102279364B1 (ko) 2020-10-21 2020-10-21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9364B1 (ko)
WO (1) WO2022085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7A1 (ko) * 2022-08-26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22019A (zh) * 2024-04-12 2024-05-14 山东省聚成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口罩消毒灭菌装置及其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120Y2 (ja) * 1990-10-13 1997-07-02 光葉スチール株式会社 防塵保護具保管庫
KR970069128A (ko) * 1996-04-25 1997-11-07 박동규 산업용 에어라인 마스크의 공기정화장치
KR101773325B1 (ko) * 2017-04-11 2017-08-31 박정민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KR20190036512A (ko) * 2019-03-17 2019-04-04 구정민 미세먼지 마스크 자동 관리 장치
KR101978807B1 (ko) * 2017-11-29 2019-05-15 옥진우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KR20190098573A (ko)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KR102023974B1 (ko) * 2017-02-07 2019-09-23 주식회사 미코 화장도구 건조장치
KR102044622B1 (ko) * 2018-02-21 2019-11-14 (주)아이담테크 마스크 살균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0044A (ja) * 2011-03-29 2012-02-16 Koji Shimizu マスクと衛生用品収納ケース
KR102065360B1 (ko) * 2018-09-27 2020-02-11 김성관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KR102146866B1 (ko) * 2020-03-05 2020-08-21 (주)이노타임 마스크 살균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120Y2 (ja) * 1990-10-13 1997-07-02 光葉スチール株式会社 防塵保護具保管庫
KR970069128A (ko) * 1996-04-25 1997-11-07 박동규 산업용 에어라인 마스크의 공기정화장치
KR102023974B1 (ko) * 2017-02-07 2019-09-23 주식회사 미코 화장도구 건조장치
KR101773325B1 (ko) * 2017-04-11 2017-08-31 박정민 신선도 유지기능이 개선된 용기
KR101978807B1 (ko) * 2017-11-29 2019-05-15 옥진우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KR20190098573A (ko)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KR102044622B1 (ko) * 2018-02-21 2019-11-14 (주)아이담테크 마스크 살균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6512A (ko) * 2019-03-17 2019-04-04 구정민 미세먼지 마스크 자동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7A1 (ko) * 2022-08-26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67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364B1 (ko) 소독 장치
KR102365350B1 (ko) 하나 이상의 반사기를 갖는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및 살균기기의 동작 파라미터와 소독 스케줄을 결정하는 시스템
KR20130095462A (ko) 책 소독장치
JP2011001820A (ja) 送風機
TW202002805A (zh) 紫外線照射裝置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KR20220109870A (ko) 신발관리기
KR101222473B1 (ko) 도서 소독기
JP2012152330A (ja) 靴乾燥装置
Hollaender Ultra-violet Irradiation as a Means of Disinfection of Air
CN212973665U (zh) 一种便携式消毒器
JP2022525181A (ja) 補綴アクセサリ滅菌器
CN107715136A (zh) 一种消毒杯
JP3232206U (ja) 室内履き殺菌装置
CN209236922U (zh) 一种消毒杯
US202303385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or eliminating pathogens
BR102021007678A2 (pt) Câmara de desinfecção para patógenos
JP7189459B1 (ja) 加湿装置
CN211751221U (zh) 防护用品的紫外线辐射灭菌装置
GB2407038A (en) Hand drier with auxiliary continuous flow of sterile air
JP2023056891A (ja) 菌ウイルス低減装置
JP6903838B1 (ja) 紫外線殺菌装置
KR20120053133A (ko) 책 소독장치
JP5774937B2 (ja) 空調機
JP2022127420A (ja) 床面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