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421A -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421A
KR20110016421A KR1020100076895A KR20100076895A KR20110016421A KR 20110016421 A KR20110016421 A KR 20110016421A KR 1020100076895 A KR1020100076895 A KR 1020100076895A KR 20100076895 A KR20100076895 A KR 20100076895A KR 20110016421 A KR20110016421 A KR 2011001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ver
release device
end compon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나 에렌베르거
로만 자우어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1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B60J7/223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b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Abstract

1. 차량용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2.1. 본 발명은 차량용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특히 컨버터블 (convertible) 차량의 윈드 스크린 (wind scree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베이스 (10), 휴지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10)로부터 벗어나서 이탈 장치 (2)에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한 직물 (20), 상기 베이스 (10)에 적용되어 (apply) 상기 직물 (20)의 말단 단부에 마련된, 상기 직물 (20)에 고정된 강성의 (rigid) 단부 구성요소 (30), 및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 (10)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장치 (50a, 50b)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장치 (50a, 50b)는 구동 수단 (14)에 의한 기계적 임팩트 (impact)에 의해, 상기 직물 (20),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각각 휴지 위치에 존재하는 휴지 상태에서 상기 직물 (20),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각각 동작 위치에 존재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을 야기하기 위해 형성된다.
2.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에 힌지된 (hinged) 커버 실트 (cover profile: 60a, 60b)이 제 1 피보팅 (pivoting) 위치에서 피보팅 가능한데,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실트는 동작 위치의 상기 이탈 장치 (50a, 50b)에 피팅 (fitting)되거나 최소한 일부 상기 이탈 장치를 둘러싼다.
2.3. 특히 차량 스크린 시스템의 미적인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Roller blind system for aus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버터블 (convertible) 차의 윈드 스크린 (wind scree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타입의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은 베이스, 휴지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벗어나서 이탈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한 직물, 상기 직물에 고정된, 상기 직물의 말단 단부에 상기 베이스를 덮으며 마련된 강성의 단부 구성요소 및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고정된 이탈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 장치는 기계적 임팩트 (impact)에 의해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직물, 상기 단부 구성요소 및 상기 이탈 장치가 각각 휴지 위치에 존재하는 휴지 상태로부터 상기 직물, 상기 단부 구성요소 및 상기 이탈 장치가 각각 동작 위치에 존재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을 야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타입의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들은 차량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차광 시스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창문 영역에 배열되며 동작 위치에서 빛의 입사가 감소되도록 차량을 덮는다. 보호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들은 예컨대 차량의 화물실을 탑승자 영역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이렇게 해서 직물인 분리 망에 의해 사고 시에 짐이 차량의 탑승자 영역으로 미끄러져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히 관련이 있는 것은 윈드 스크린 시스템으로 형성되고 컨버터블 차의 좌석 뒤에 배열된, 컨버터블 지붕 (convertible top)이 열린 경우 바람이 차량의 탑승자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보호 장치들이다.
이 타입의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은 예컨대 US 6,763,874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2개의 이탈 장치를 갖는데, 상기 장치들은 각각 2개의 상호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및 이탈 막대에 힌지되는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측의 레버의 운동에 의해, 상기 이탈 막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며 권취용 샤프트에 감겨 있는 직물을 벗긴다. 물론, 상기 이탈 장치를 형성하는 상기 레버들은 미적인 관점에서 좋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에서 이탈 장치 대신에 단부 구성요소의 안내를 위해 측면의 안내 레일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이것은 각 설치 상황 및 특히 동작 상태에서 자유롭게 존재하는 윈드 스크린 시스템에서 불가능하다.
윈드 스크린 시스템의 관점에서 DE 101 34 613 A1 및 DE 43 15 139 A1에 단부 구성요소가 상기 시스템을 동작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수동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마련된 시스템들이 개시되는데, 여기서 피보팅 가능한 측부가 휴지 상태에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를 덮으며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된 단부 구성요소의 위치를 보장한다. 나아가, DE 103 41 989 A1 및 DE 10 2005 029 692 A1에는 동작 상태로의 전환이 모토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윈드 스크린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직물 양측에 마련된 레버 요소가 상기 단부 구성요소를 동작 위치 방향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타입의 차량용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을 이것의 특별한 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베이스에 피보팅 (pivoting) 가능하게 힌지되는 (hinged) 커버 실트 (shield)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실트는 동작 위치의 이탈 장치에 피팅되거나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이탈 장치를 둘러싸는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피보팅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고정 배열된, 상기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의 부분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베이스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베이스가 휴지 상태에서 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데, 특히 상기 직물의 수용을 위한 권취용 샤프트가 마련된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 특히 이것을 위해 마련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기어, 상기 이탈 수단을 베이스 측에 고정하기 위한 조정 또는 세팅 수단도 포함한다.
이탈 수단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운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부 구성요소까지 다양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이탈 장치는 예컨대, 상호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할 수 있는 (telescopic) 부재들을 갖는 텔레스코프 (telescope)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피보팅 동작에 의해 상기 단부 구성요소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움직이는, 상기 베이스 및/또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이탈 장치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레버를 갖는 가능한 형상들이 계속해서 설명된다. 상기 이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 장치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최소한 상기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직물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도록, 즉, 최소한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로부터 30mm 이상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동작 상태에서 상기 직물은 이에 의해 상기 이탈 장치의 중심 영역에서 심미적으로 추하지 않게 커버된다.
계속해서, 각각 하나의 이탈 장치 및 하나의 이탈 장치만이 관련된다. 하지만, 거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동작 상태에서 상기 직물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열되는 2개의 이탈 장치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2개의 이탈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이탈 장치들에 의해 상기 이탈 장치를 지나 상기 직물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힘들이 상호 보상되어 (compensate) 결과적으로 오직 하나의 이탈 장치 안에 또는 상기 이탈 장치에 반하여서 힘이 가해지는 일이 발생한다. 하나의 이탈 장치에 대한 모든 언급은 이하의 설명에서 2개의 이탈 장치에 대해서도 유효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단부 구성요소는 최소한 상기 직물의 휘지 않는 (rigid) 마감 부(closing)이며, 휴지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직물을 안내하여 상기 직물에 동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직물은 그 자체가 바람직하게는 휴지 위치에서 권취용 샤프트에 감겨 있는데, 이 샤프트는 권취 방향의 권취용 스프링에 의해 단부들 주위에 충돌된다 (impinge).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커버 실트가 마련되는데, 이 실트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피보팅 가능하다. 2개의 이탈 장치를 갖는 시스템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커버 실트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 실트는 그것의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동작 위치에 있는 이탈 장치에 피팅되거나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이탈 장치를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상기 커버 실트는 이에 의해 상기 이탈 장치의 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들을 커버하여 동작 상태에서 상기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의 미적인 인상을 개선한다. 가장 간단하게는 상기 커버 실트가 특정 시점 (viewing direction)과 관련해서만, 예컨대 차량에 앉아 있는 사람들의 시점의 관점에서만 상기 이탈 장치를 가린다.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이탈 장치를 둘러싸서 상기 이탈 장치가 동작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탈 장치의 공동 (cavity) 안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매우 특별히 바람직한 것은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이탈 장치를 적어도 일부를 감쌀 뿐 아니라, 2개의 마스크 (mask) 부를 이용하여 상기 직물의 마주보는 측면들에서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를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상기 커버 실트는 미적인 과제 외에 고정 (fix)하는 역할도 맡게 되는데, 상기 실트는 예컨대 상기 직물이 차량의 바람에 의해 동작 위치에서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고정 역할을 맡게 된다.
상기 커버 실트는 피보팅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힌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 장치의 피봇 축으로부터 이격된 피봇 축 주위를 피보팅한다. 상기 실트는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동작 위치의 단부 구성요소까지 연장되며, 여기서 상기 실트는 20 mm 미만의 거리를 갖는다. 상기 커버 실트가 이와 같이 연장되는 경우, 상기 이탈 장치는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상기 커버 실트에 의해 감춰진다. 상기 커버 실트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되어 (elongated) 형성되며, 상기 커버 실트의 상기 피봇 축으로부터 말단 단부에 이르는 상기 커버 실트의 주 연장 축이 최소한 실질적으로 (±5°)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와 정렬되도록, 제 1 위치에 정렬된다. 상기 커버 실트의 상기 피봇 축은 바람직하게는 동작 위치에서 상기 직물의 평면에 직교하도록 정렬되어,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직물에 평행한 평면에서 피보팅 가능하게 움직인다.
상기 이탈 장치가 2개의 레버 부재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여기서 제 1 레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되며 제 2 레버 부재는 상기 제 1 레버 부재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된다. 상기 이탈 장치가 이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특히 신뢰할만 하다. 물론 이와 같은 이탈 장치에서는 상기 레버 부재들의 피봇 포인트들이 미적으로는 보기 좋지 않은데,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실트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상호 정렬된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부 구성요소 내지 상기 베이스에 힌지된다. 상기 레버 부재의 피봇 축들은 계속적 개선에서 예외 없이, 동작 위치의 직물의 평면에 직교하도록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레버 부재를 갖는 이탈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레버 부재들 중의 하나, 특히 상기 베이스에 힌지된 레버 부재가 상기 이탈 장치의 동작 위치에서 다른 레버 부재를 적어도 대부분 커버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 실트가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피보팅 가능한데,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는 상기 커버 실트가 휴지 위치의 상기 단부 구성요소를 적어도 일부 이탈 방향으로 커버하며, 상기 단부 구성요소의 중간부와 정렬되고/되거나 상기 직물을 위해 마련된 상기 베이스의 이탈 개구를 적어도 일부 커버한다. 상기 커버 실트의 이 제 2 피보팅 위치는 상기 시스템의 휴지 상태에 할당된다. 상기 커버 실트는 상기 커버 실트의 주 연장 방향이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이탈 장치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물의 말단 단부에서 상기 직물 및/또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의 전방 에지가 상기 커버 실트를 통해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 커버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말단 단부의 중간부는 상기 커버 실트 또는 커버 실트들에 의해 휴지 상태에서 커버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말단 단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직물을 갖는 시스템에서 이 제 2 피보팅 위치가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말단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이탈 개구보다 가늘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 실트 내지 상기 커버 실트들은 상기 단부 구성요소에 의해 닫히지 않는 상기 이탈 개구의 가장 자리 영역들은 커버하며, 그래서 상기 시스템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이탈 개구는 완전하게 닫힌다.
상기 단부 구성요소가 상기 중간부에 이어지면서 감소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고려되는데, 여기서 상기 커버 실트는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소된 측부만을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와 상기 측부 사이에는 계단이 마련되며, 그래서 상기 커버 실트는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중간부와 정렬된 시각적 인상을 남긴다. 상기 측부가 휘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부의 외측 단부가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와 정렬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을 통해 상기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서 이 단부가 상기 이탈 장치 및/또는 상기 커버 실트과 정렬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직물 둘레에 통일된 프레임이 남는 것이 달성된다.
상기 이탈 장치 및 상기 커버 실트가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공통의 제어 부재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공통의 구동 수단, 특히 상기 시스템의 전기 모터를 통해 상기 직물의 이탈 방향 운동 및 상기 커버 실트의 피보팅 운동이 야기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이탈 장치 및 상기 커버 실트를 움직이기 위해 하나의 공통 구동 수단으로 족하다. 2개의 분리된 구동 수단들을 갖는 해법에 비하여, 상기 기계적 작용 결합에 의해 이미 상기 운동의 튜닝 주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통의 구동 수단에 의해 야기된 시스템의 휴지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의 운동이 상기 커버 실트의 피보팅 운동의 시작 이후에 개시되도록 상기 기계적인 작용 결합이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단부 구성요소의 동작 위치로의 전환이 시작되면,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제 2 및 제 1 피보팅 위치 사이의 길 (way)의 일부를 다시 제자리로 되돌리는 (put back) 것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 장치가 긴 구멍과 그 내부에 돌출된 볼트에 의해 상기 제어 부재에 결합됨에 의해 이것이 구조적으로 달성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로 전환시 우선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를 너머로 움직이고 이어서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공통의 수동 수단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 수단의 하나의 통일된 구동 방향이 두 개의 서로 이어진 단계에서 상기 커버 실트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기계적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를 넘어서는 상기 커버 실트의 운동에 의해 상기 커버 실트가 그것의 제 1 피보팅 위치로 되돌아오기 전에 우선 상기 이탈 장치가 그것의 동작 위치를 최소한 인접시키는 것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의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의 방향으로 모멘텀을 가하도록 배열되고/되거나 형성된 스프링 수단이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커버 실트의 상기 구동 수단에의 특히 간단한 결합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이 기계적 결합은 오직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로의 전환을 야기하도록, 상기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커버 실트에 충돌 (impinge)하기 위해서만 형성되기 때문이다. 반대 방향으로의 탄성력의 부가는 최소한 단계별로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해서만 야기된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이탈 장치와 상기 커버 실트는 협력을 위해, 이들이 공통으로 상기 이탈 장치의 동작 위치 및 상기 커버 실트의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고정 효과를 상기 직물에 작용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탈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휴지 위치에서 상기 동작 위치로의 전환 중에, 상기 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탈 장치는 또 다른 목적에 따라,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고정 작용이 달성되도록 상기 커버 실트과 함께 작용한다. 이 고정 작용은 특히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가 클램핑 (clamping)되는 것에 그 본질이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상기 이탈 장치의 상기 직물의 방대 편에 배열된 부분 구성 요소들이 상기 커버 실트에 의해 그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서로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직물을 클램핑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대안으로, 상기 직물이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 실트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이탈 장치 사이에서 클램핑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타 관점 및 장점들이 청구항 및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제공될텐데, 실시예는 이하에서 도면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서
도 1a 및 1b는 동작 상태 및 휴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보호 내지 차광 시스템이며,
도 2a 및 2b는 상기 휴지 상태에서 상기 동작 상태로의 전환시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매커니즘이고,
도 3a 및 3b는 동작 상태에서 도 1a 및 1b에 따른 시스템의 이탈 장치와 커버 실트 사이의 협력 관계이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내지 차광 시스템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특히 컨버터블 (convertible) 자동차를 위한 윈드 스크린 (wind screen) 시스템이 문제되는데, 상기 윈드 스크린 시스템은 자동차 좌석 뒤 영역에 배열되며, 도 1a의 동작 상태에서 자동차 탑승자 영역의 난기류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자동차에 고정 배열된 베이스 (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10)의 상부 면에는 이탈 슬릿 (12)이 마련되는데, 이 이탈 슬릿 (12)을 통해 직물 (fabric:20), 예컨대 섬유 직물 또는 망이 상기 베이스 (1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상기 섬유 직물 또는 망의 말단 전방 단부에 단부 구성요소 (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10) 내에 도 1a 및 1b에 도시되지 않은 권취용 샤프트 (winding shaft:22)가 배열되는데, 이 샤프트는 도 1b의 휴지 상태에서 직물 (20)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직물 (20)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를 도 1b의 휴지 d위치에서 도 1a의 동작 위치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는 전기 모터 (14)에 의해 공급되는데, 상기 모터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기어 (16)에 의해 2개의 제어 막대들 (18a, 18b)에 작용한다. 이 제어 막대들 (18a, 18b)은 아래에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a에 점선으로 표시된 이탈 장치 (50a, 50b)와 결합하여 작용하는데, 상기 이탈 장치 (50a, 50b)는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 (10)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힌지된다.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외관상 보기 좋지 않기 때문에 U자 형태의 커버 실트 (60a, 60b)가 마련되는데, 상기 커버 실트 (60a, 60b)는 도 1a의 동작 위치에서 상기 직물의 측면 가장자리 (20a, 20b)에 배열되는 이탈 장치들 (50a, 50b)을 밖에서 둘러싸며 이를 통해 상기 이탈 장치들 (50a, 50b)이 보이지 않게 한다.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피봇 축 (1a, 1b) 둘레를 피보팅 (pivoting)할 수 있으며,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도 1a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까지 닿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동작 상태에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커버된다.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는 중간부 (32) 및 상기 중간부 (32) 옆으로 이어지는 측부 (34a, 34b)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직경은 상기 중간부 (32) 영역 및 활 모양으로 아래 쪽으로 휜 상기 측부 (34a, 34b)의 단부에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외부 직경에 대략 상응한다. 상기 측부 (34a, 34b)는 밖에서 안으로 갈수록 줄어들며, 따라서 상기 중간부 (32)의 외측 단부와 상기 측부 (34a, 34b)의 내측 단부 사이에 층계 (36a, 36b)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 실트 (60a, 60b)과 상기 측부 (34a, 34b)의 외측 단부의 직경이 일치함으로써, 도 1a의 동작 상태에서 특히 심미적인 인상을 주게 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말단 단부와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상기 측부 (34a, 34b)의 바깥쪽 단부 사이에 직경 차가 없기 때문이다.
도 1b의 휴지 상태에서는 상기 직물 (20)과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가 완전히 상기 베이스 (10) 안에 수용된다.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이 휴지 상태에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상기 중간부 (32)와 정렬되도록 피보팅된다. 이 때, 상기 커버 실트 (60a, 60b)가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상기 측부 (34a, 34b)를 덮는다. 이것은 상기 측부 (34a, 34b)의 적어도 일부 수평 영역이 상기 중간부 (32)에 비하여 축소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1b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위치는 이탈 슬릿 (12)의 측면 일부 영역들 (12a, 12b)가 미적으로 바람직하게 커버되게 하는데, 상기 측면 일부 영역들은 상기 이탈 슬릿 (12)의 폭 (width)에 비하여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폭이 좁아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전술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과 상기 측부 (34a, 34b)의 외측 단부의 직경의 일치로 인해, 휴지 상태에서도 미적으로 특별히 좋은 인상을 주게 된다.
도 2a에서 도 2d는 도 1b의 휴지 상태에서 도 1a의 동작 상태로 시스템의 전환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여 먼저 모터를 한편으로는 단부 구성요소 (30)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 실트 (60a, 60b)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다. 여기서 도 2a에서 도 2d는 각각 상기 이탈 장치 (50b)와 상기 커버 실트 (60b)에 할당된 우측 매커니즘만을 도시한다. 반대편 좌측은 제어 막대 (18a, 18b)의 운동의 관점에서 특히 관련되지 않는 한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물 (20)의 말단 단부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고정된다. 상기 직물 (20)의 반대쪽 단부는 도 2a의 휴지 위치에서 권취용 샤프트 (22) 상에 감겨있는데, 상기 권취용 샤프트 (22)에는 도시되지 않은 권취용 스프링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모멘텀이 가해진다.
도 1a에 도시된 방식으로 기어 (16)에 의해 상기 모터 (14)와 결합된 상기 제어 막대 (18b)는 그 반대편 단부에서 긴 점선으로 그려진 제어 부재 (70b)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 (hinge)된다. 상기 제어 부재 (70b)는 고정된 피봇 축 (3) 둘레에 피보팅 가능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이탈 장치 (50b)는 짧은 점선으로 그려진 제 1 레버 (51b)를 포함하는데, 이 레버도 역시 상기 고정된 피봇 축 (3) 둘레를 피보팅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힌지된다. 이 제 1 레버 (51b)에 점선으로 도시된 제 2 레버 (52b)가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되는데, 상기 제 2 레버 (52b)의 반대편 단부는 단부 구성요소 측면의 피봇 축 (4) 둘레를 피보팅 가능하게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힌지된다. 따라서, 제 1 레버 (51b)가 상기 축 (3) 둘레로 움직이면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탈 방향 (2)으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가 움직인다.
상기 제어 부재 (70b) 뿐 아니라 상기 제 1 레버 (51b)가 상기 축 (3) 둘레를 피보팅 가능하게 놓인다 하더라도, 상기 제어 부재 (70b) 및 상기 제 1 레버 (51b)는 언제가 동시에 함께 움직인다. 상기 제어 부재 (70b)와 상기 제 1 레버 (51b) 간의 결합은 긴 구멍 (72b) 및 제 1 레버 (51b)의 상기 볼트 (53b)에 의해 구현된다. 이 긴 구멍 (72b)에 의해 제 1 레버 (51b)가 피봇 운동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축 (3) 둘레를 상기 제어 부재 (70b)가 시계 방향으로 제한되게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커버 실트 (60b)은 상기 축 (3)으로부터 이격된, 그렇지만 역시 고정된 피봇 축 (1b) 둘레를 피보팅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놓인다. 상기 커버 실트 (60b)의 상기 제어 부재 (70b)에의 결합은 점선으로 도시된 중간 레버 (80b)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중간 레버 (80b) 역시 피봇 축 (3) 둘레를 피보팅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놓인다. 상기 중간 레버 (80b)는 제 1 레버부 (81b)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레버부의 단부에는 저널 (82b)이 마련되며, 상기 저널은 상기 커버 실트 (60b)에 마련된 긴 구멍 부재 (62b)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레버부 (81b)에 대향하여 상기 중간 레버 (80b)는 레버부 (83b)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레버부 (83b)는 피봇 축 (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제 2 레버부 (83b)는 한편으로는 나무 나사 스프링 (lag screw spring) 형태의 스프링 수단의 힌지 점인데, 여기서 상기 나무 나사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제 2 단부는 전술한 제 2 레버부 (83b)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레버부 (83b)는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어 부재 (70b)와의 협력 (cooperation)에 이용된다. 이 협력의 목적으로 상기 제어 부재 (70b)에 저널 (74b)가 마련되는데, 이 저널은 도 2a의 휴지 상태에서 상기 중간 레버 (80b)의 상기 레버부 (83b)에 인접한다.
상기 전기 모터 (14)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도 2a의 휴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동작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상기 제어 막대 (18b)가 화살표 (5) 방향으로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상기 제어 막대 (18b)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어 부재 (70b)가 상기 축 (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봇 운동하게 된다. 이 제어 부재 (70b)의 회전 운동은 처음에는 상기 이탈 장치 (50b)에 전혀 영향이 없는데, 왜냐하면 도 2b의 상태까지는 단지 상기 긴 구멍 (72b)의 이동이 있을 뿐이며 상기 긴 구멍 (72b) 내부의 볼트 (53b)는 이에 의해 힘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어 부재 (70b)와 함께 상기 축 (3)을 시계 방향으로 피보팅하는 볼트 (74b) 및 상기 중간 레버 (80b)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의 (90b)의 탄성력 때문에 이미 상기 제 1 운동 단계에서 상기 중간 레버 (80b)가 상기 축 (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보팅한다. 이것은 상기 커버 실트 (60b)이 상기 축 (1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보팅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중간 레버 (80b)와 상기 커버 실트 (60b) 사이는 상기 볼트 (82b) 및 상기 긴 구멍 (62b)를 통해 강제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 후, 도 2a의 휴지 상태와 도 2b의 제 1 중간 상태 사이의 제 1 운동 단계 중에는 오직 상기 커버 실트 (60a, 60b)만이 피보팅하며, 그래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직물 (20)의 운동이 시작될 수 있는 상태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 막대 (18b)가 화살표 (5) 방향으로 계속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어 부재 (70b)도 계속해서 피봇 축 (3)을 중심으로 피보팅한다. 도 2a 및 2b 사이의 전이에 대해 서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 부재 (70b)의 계속적인 피봇 운동은 상기 커버 실트 (60b)이 도 2c에 도시된 위치까지 계속 피보팅 되게 한다. 동시에 상기 이탈 장치 (50b)의 상기 제 1 레버 (51b)가 상기 제어 부재 (70b)와 동일한 정도로 상기 피봇 축 (3) 주위를 피보팅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볼트 (53b)가 도 2b의 상기 중간 상태에서부터 상기 긴 구멍 (72b)의 단부에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레버 (51b) 및 도시되지 않은 맞은 편의 대응하는 제 1 레버 (51a)의 이 피보팅은 상기 제 2 레버 (52a, 52b)를 통해 상기 이탈 방향 (2) 으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운동을 야기하며 또한 동시에 상기 직물 (20)이 상기 권취용 샤프트 (22)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상기 제어 부재 (70b)의 접촉 돌기 (76b)가 상기 커버 실트 (60b)의 대응하는 접촉면 (64b)과 접촉하자마자, 도 2c의 중간 상태에 도달된다.
도 2c에 도시된 중간 상태부터는 상기 제어 막대 (18b)에 의해 야기된 상기 피봇 축 (3) 둘레의 시계 방향의 계속적인 피봇 운동이 접촉 돌기 (76b)가 상기 커버 실트 (60b)의 접촉면 (64b)위를 따라 미끄러져서 상기 커버 실트 (60b)이 상기 피봇 축 (4)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즉 도 2a의 출발 피보팅 위치의 방향으로 모멘텀을 받게된다. 이것은 상기 중간 레버 (80b)의 연장부 (83b)가 상기 중간 부재 (70b)의 볼트 (74b)와의 접촉을 잃는 것을 동반한다.
도 2c의 상기 제 2 중간 상태로부터 계속된 상기 제어 부재 (80b)의 피봇 운동은 그 후, 상기 직물 (20)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가 상기 이탈 방향 (2)으로 계속 벗어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스프링 (90b)의 힘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과 반대되게 상기 커버 실트 (60b)이 역 피보팅되게 한다.
상기 이탈 장치 (50b)의 상기 레버 (51b, 52b)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놓이면, 즉 상호 정렬되면, 도 2d의 최종 상태에 도달된다. 상기 이탈 장치 (50b)의 동작 상태가 도달되면,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직물 (20)이 각각 동작 위치에 놓인다. 도 2d에 도시된 시스템의 이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실트 (60b)이 반 시계 방향으로 역 피보팅하여, 상기 커버 실트 (60b)가 상기 직물의 측면 에지 (lateral edge: 20b) 및 상기 레버들 (51b, 52b)들과 함께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측부 (34b)의 외측 단부와 정렬하여 조정된다. 도 1a의 도시로부터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실트 (60b)는 상기 레버 (51b, 52b)를 커버하여, 전체적 인상이 미적으로 바람직하게 된다.
도 2a의 출발 상태 및 도 2d의 동작 상태에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 실트를 수동으로 위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피보팅하는 것이 예방된다. 도 2a의 출발 상태에서는 이것이 상기 커버 실트 (60b)과 상기 중간 레버 (80b) 간의 강제 결합 및 상기 제어 부재 (70b)의 저널 (74b)에 상기 중간 레버 (80b)의 연장부 (83b)가 피팅 (fitting) 됨으로써 도달된다. 도 2d의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부재 (70b)의 상기 커버 실트 (60b)이 상기 접촉 돌기 (76b)에 피팅됨으로써 이것이 도달된다. 양 상태에서 상기 제어 부재 (70b)의 위치는 이렇게 해서 상기 커버 실트 (60b)의 피보팅 움직임은 위쪽으로 및 바깥쪽으로 제한한다.
도 3a,3b는 도 1a 및 도 2d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이탈 장치 (50b)와 상기 커버 실트 (60b)의 협력을 보여준다.
이것을 위해 우선 도 3a에서는 화살표 (8) 방향에서 도 2c 위치의 상기 레버의 (51b, 52b)의 간략 단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51b) 및 상기 레버 (52b)가 각각 상기 직물 (20)의 양 측에서 거울 상으로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 단면을 가지며, 이 단면들은 상기 직물 (20)에 대하여 상기 레버의 (51b, 52b)이 상대 운동이 방해받지 않고 가능하도록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의 도시는 상기 도 1a 및 도 2d의 동작 상태와 관련되며, 화살표 (9) 방향의 관찰 방향을 보여준다. 이 동작 상태에서, 상기 레버 (51b) 및 상기 레버 (52b)를 갖는 상기 이탈 장치 (50b)는 상기 커버 실트 (60b)의 상기 마스크 부 (68b)에 의해 형성된 공동 (66b) 내부에 배열된다. 상기 레버 (51b) 및 상기 레버 (52b)의 양 측 단면의 이 열쇠 모양의 직경에 의해 이 상태에서 겨울 형상으로 마주보는 상기 이탈 장치 (50b)의 상기 레버 (51b) 및 상기 레버 (52b)의 단면이 차례로 가압되어, 상기 레버들 사이에 놓인 직물 (20)이 클램핑 (clamping)된다. 도 3b의 상태에서는 이렇게 해서 상기 직물 (20)의 측면 가장자리 (20a, 20b)가 충분하게 고정되어, 이 가장자리들이 예컨대, 상기 직물에 가해지는 강한 바람의 힘에도 상기 이탈 장치 (50a, 50b)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Claims (13)

  1. 차량용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특히 컨버터블 (convertible) 차량의 윈드 스크린 (wind screen)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베이스 (10),
    -휴지 위치와 상기 베이스 (10)로부터 벗어나는 동작 위치 사이에서 이탈 방향 (2)으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한 직물 (20).
    - 상기 베이스 (10)를 덮으면서 상기 직물 (20)의 말단 단부에 마련된, 상기 직물 (20)에 고정된 강성의 (rigid) 단부 구성요소 (30), 및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 (10)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장치 (50a, 50b)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장치 (50a, 50b)는 구동 수단 (14)에 의한 기계적 임팩트 (impact)에 의해, 상기 직물 (20),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각각 휴지 위치에 존재하는 휴지 상태에서 상기 직물 (20),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및 상기 이탈 장치 (50a, 50b)가 각각 동작 위치에 존재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을 야기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 힌지된 (hinged) 커버 실트 (cover shield: 60a, 60b)는 제 1 피보팅 (pivoting) 위치에서 피보팅 가능한데,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커버 실트는 동작 위치의 상기 이탈 장치 (50a, 50b)에 피팅 (fitting)되거나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이탈 장치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는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각각 상기 직물의 양 측에 각 하나의 마스크 부 (6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는 2개의 레버 부재 (51b, 52b)를 포함하며, 제 1 레버 부재 (51a)는 상기 베이스 (10)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되며 (hinged) 제 2 레버 부재 (52b)는 제 1 레버 부재 (51b) 및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에 피보팅 가능하게 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피보팅 가능한데, 이 위치에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 휴지 위치의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를 적어도 일부 이탈 방향에서 커버하며,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의 중간부 (32)와 정렬하여 조정되고/되거나
    - 상기 직물 (20)을 위해 마련된 이탈 개구 (12)를 상기 베이스 (10)에서 적어도 일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는 상기 중간부 (32)의 측면으로 이어지며 감소되는 측부 (34a, 3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감소된 측부 (34a, 34b)만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 및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되거나
    -하나의 공통의 제어 부재 (70b)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공통의 구동 수단 (14)에 의해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직물 (20)의 이탈 방향 (2)의 운동 및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피보팅 운동이 야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구동 수단은 상기 시스템의 전기 모터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결합은 상기 공통의 구동 수단 (14)에 의해 야기된 상기 시스템의 휴지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단부 구성요소 (30) 의 운동이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피보팅 운동의 시작 이후에 개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봇 위치로의 전환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이 우선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 너머로 움직이고 이어서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커버 실트가 상기 공통의 구동 수단 (14)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이 상기 제 2 피보팅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 방향으로 모멘텀을 가하도록 배열되고/되거나 형성된 스프링 수단 (90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와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은 협력을 위해, 이들이 공통으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의 상기 동작 위치 및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의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고정하는 효과 (fixing effect)를 상기 직물 (20)에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장치 (50a, 50b)는 상기 직물 (20)의 양 측에각각 하나의 이탈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장치부들은 상기 고정하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커버 실트 (60a, 60b)에 의해 상기 제 1 피보팅 위치에서 가압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또는 차광 시스템.
KR1020100076895A 2009-08-10 2010-08-10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KR20110016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7824A DE102009037824A1 (de) 2009-08-10 2009-08-10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37824.3 2009-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421A true KR20110016421A (ko) 2011-02-17

Family

ID=4334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895A KR20110016421A (ko) 2009-08-10 2010-08-10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6643B2 (ko)
EP (1) EP2287029B1 (ko)
JP (1) JP2011037432A (ko)
KR (1) KR20110016421A (ko)
CN (1) CN101992672B (ko)
DE (1) DE102009037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7824A1 (de) * 2009-08-10 2011-02-17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5340891B2 (ja) * 2009-11-18 2013-11-13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JP5600484B2 (ja) * 2010-06-09 2014-10-0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DE102012204669B4 (de) 2012-03-22 2014-05-22 Bos Gmbh & Co. Kg Windschot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Cabriofahrzeug mit einem solchen Windschottsystem
DE102012112105A1 (de) * 2012-12-11 2014-06-12 Scambia Holdings Cyprus Ltd. Windstopeinrichtung
DE102013207954B4 (de) 2013-04-30 2015-12-31 Bos Gmbh & Co. Kg Windschottsystem für ein Cabriolet
TWM475366U (en) * 2013-11-15 2014-04-01 Macauto Industrial Co Ltd Buckling structure and vehicle roller blind
US9352638B2 (en) * 2014-07-25 2016-05-31 Gheorghe Barna Extendable sun visor assembly
DE102015211293A1 (de) * 2015-06-18 2016-12-22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20180178634A1 (en) * 2015-06-19 2018-06-28 Bos Gmbh & Co. Kg Shad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1491A (en) * 1921-02-08 1924-01-22 Vineberg Joseph Hirsch Windshield attachment
US3050075A (en) * 1960-07-05 1962-08-21 Kaplan Rose Retractable vehicle covering device
DE4037705C1 (ko) * 1990-11-27 1991-10-24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9206644U1 (ko) 1992-05-15 1992-07-23 Oris-Metallbau Kg Hans Riehle, 7141 Moeglingen, De
DE4430672C1 (de) * 1994-08-29 1995-12-14 Robin Bennett Windschutz für ein Cabriolet
DE19536552C2 (de) * 1995-09-29 2000-05-25 Daimler Chrysler Ag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mit mindestens einem Überrollbügel
DE19728453A1 (de) * 1997-07-03 1999-01-07 Oris Fahrzeugteile Riehle H Windstop-Einrichtung
US6191886B1 (en) * 1998-08-24 2001-02-20 Vutec Corp. Video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6216762B1 (en) * 2000-06-05 2001-04-17 Paul Lin Sun-shade device
US6763874B1 (en) 2001-03-08 2004-07-20 Tung-Hsing Chen Movable blind
DE10134613A1 (de) 2001-07-17 2003-02-06 Volkswagen Ag Hinter Vordersitzen eines cabrioartigen Fahrzeugs aufspannbares Windschott
DE10239200C5 (de) * 2002-08-21 2008-10-09 Webasto Ag Windschutzanordnung mit einem Teleskopelement sowie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Windschutzanordnung
DE10341989A1 (de) 2003-09-09 2005-04-21 Oris Fahrzeugteile Riehle H Cabriofahrzeug
CN2661472Y (zh) * 2003-12-04 2004-12-08 汕头高新区威龙电子科技有限公司 汽车后窗隐藏式电动遮阳帘
EP1718486B1 (en) * 2004-02-17 2013-06-26 Wilhelm Karmann GmbH Windscreen deflector for automotive vehicles
DE102004009482B4 (de) * 2004-02-27 2008-04-03 Bos Gmbh & Co. Kg Führungsloses Fensterrollo mit verbesserten Gleitern
JP2005335484A (ja) * 2004-05-25 2005-12-08 Nhk Spring Co Ltd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05029692A1 (de) 2005-06-24 2006-12-28 Wilhelm Karmann Gmbh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02006046445A1 (de) * 2006-09-29 2008-04-03 Wilhelm Karmann Gmbh Seitliche Windschott-Ergänzung
FR2917014A1 (fr) * 2007-06-08 2008-12-12 Wagon Sas Dispositif d'occult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pieds de biellette solidarises par cable, et vehicule correspondant
DE102007032435A1 (de) * 2007-07-10 2009-01-15 Bos Gmbh & Co. Kg Hebelrollo mit Anschlagdämpfer
DE102007051987A1 (de) * 2007-10-31 2009-05-20 Daimler Ag Windschottanordnung
DE102008006157A1 (de) * 2008-01-26 2008-10-23 Daimler Ag Windschottanordnung
US7686375B1 (en) * 2008-11-13 2010-03-30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sunshade assembly
DE102009037824A1 (de) * 2009-08-10 2011-02-17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37824A1 (de) 2011-02-17
US20110030905A1 (en) 2011-02-10
CN101992672A (zh) 2011-03-30
CN101992672B (zh) 2014-08-13
EP2287029B1 (de) 2013-09-04
EP2287029A1 (de) 2011-02-23
US8276643B2 (en) 2012-10-02
JP2011037432A (ja)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6421A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JP4503978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KR101605841B1 (ko) 롤러 블라인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차양 롤러 블라인드
US8308217B2 (en) Automobile sun visor with electromechanical sun sha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111988B1 (ko) 윤곽 부분이 있는 사이드 윈도우 셰이드
EP1886857B1 (en) Sun shade apparatus
JP200118027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JP6401206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1383009B1 (ko) 롤러형 바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장치
US20090079222A1 (en) Cover means for a displaceably mounted vehicle window pane
GB2331320A (en) A covering device for a vehicle part, comprising two roller mounted panels that are mechanically coupled together
WO2013116943A1 (en) Retractable latch bumper
CN107471973B (zh) 用于机动车的遮蔽系统
US7946648B2 (en) Panel device for a sliding roof arrangement of a vehicle
CN102079234B (zh) 滑动顶棚遮阳组件
US20180178634A1 (en) Shad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ndow
US8789878B2 (en) Sunshade with automatic closing
JPH0930264A (ja) 傾斜スライド屋根、及び該傾斜スライド屋根を備える車両
US20200290437A1 (en) Shade apparatus for use with vehicles
US20110120020A1 (en) Device for closing off a window made in a motor vehicle, corresponding roof and corresponding vehicle
KR101219396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연동형 롤블라인드 장치
KR100595843B1 (ko) 차량용 비 차단장치
JP2008062674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23519122A (ja) 遮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