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533A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533A
KR20110013533A KR1020107029394A KR20107029394A KR20110013533A KR 20110013533 A KR20110013533 A KR 20110013533A KR 1020107029394 A KR1020107029394 A KR 1020107029394A KR 20107029394 A KR20107029394 A KR 20107029394A KR 20110013533 A KR20110013533 A KR 20110013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region
absorber
sheet
hea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노다
겐이치로 구로다
신페이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26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metallic sa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40)와, 상기 표면 시트(10) 및 상기 이면 시트(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30)를 갖는 흡수성 물품(100)으로서, 흡열재(50)는, 상기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10)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본 발명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05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
그런데,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경혈 등의 체액은,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배설되면 바로 증산(蒸散)을 시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여,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낀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에는, 체액의 부착에 의해 흡열 반응하는 흡열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로부터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원리적으로는 가능하게 되지만,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아이의 화장실 훈련용 기저귀를 목적으로 하여, 흡열재에 의해 온도 저하된 체액을 적극적으로 역복귀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체액의 배설을 착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의 답답함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흡열재에 의해 온도 저하된 체액을 적극적으로 역복귀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예컨대 생리대로서 이용한 경우, 착용자에게 냉감 등의 불쾌감을 부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하고, 온도 저하된 체액의 역복귀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서의 단위 중량은, 상기 오목부에서의 섬유 밀도보다 커도 좋다.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부직포인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트에 있어서, 제1 밀도 영역과 제2 밀도 영역이 평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는, 상기 제1 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보다 낮아도 좋다.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의 이면 시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생리대로서,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열재는, 상기 생리대의 중앙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으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의 영역이어도 좋다.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부에서, 엠보싱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 홈은, 상기 생리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으며,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싱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하고, 온도 저하된 체액의 역복귀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중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흡수성 물품(100)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00)은, 예컨대 생리대에 적용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은, 개별 포장 용기 등에 수납할 때는, 내면을 향해 3번이나 4번 접힌 상태로 봉입된다. 흡수성 물품(100)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등이어도 좋고, 착용자의 몸 및 속옷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의 외형 치수로서, 길이 방향의 치수는 "100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0 ㎜∼35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의 치수는, "30 ㎜∼2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0 ㎜∼18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100)에는, 전방 영역(210)과 중앙 영역(220)과 후방 영역(230)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영역(210)은, 착용자의 배측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영역이고,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영역이며, 후방 영역(230)은, 착용자의 엉덩이측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장착했을 때에, 경혈 등의 체액이 가장 많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중앙 영역(220)은,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 영역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을 가랑이부에 바싹 붙기 쉽게 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100)에 가랑이 형상을 모사한 엠보싱 홈(70a 내지 70b)(후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중앙 영역(22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홈(70a 내지 70b)(후술)의 가랑이 형상 부분(80)을, 중앙 영역(220)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는, 흡수성 물품(100)을 속옷에 고정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윙(20a 내지 20b)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윙(20a 내지 20b)이 설치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20a 내지 20b)이 설치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으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40)와, 상기 표면 시트(10) 및 상기 이면 시트(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30)를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고, 이면 시트(40)는 속옷면에 접촉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와, 이면 시트(40)는 각각의 층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체(30)의 주연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를 접합하고, 흡수체(30)가 안쪽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싱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에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에 대하여, 엠보싱 홈(70a 내지 70b)(소위 힌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엠보싱 홈(70a 내지 70b)은, 흡수성 물품(100)이 가랑이부에 대하여 바싹 붙기 쉽게 하도록, 가랑이부의 형상을 모사한 패턴(엠보싱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홈(70a 내지 70b)은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폭방향의 간격을 W로 하면, 흡수체(30)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을 향해 간격 W1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예컨대 간격 W1을 "10 ㎜"로 하면, 양측부는, 흡수체(30)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을 향해 "10 ㎜"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또한, 양측부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간격 W1과 간격 W2와의 비를 "1:1"이나 "2:1"로 하고, 이러한 비에 대응하는 간격 W2의 영역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엠보싱 홈 70a와 엠보싱 홈 70b와의 폭방향의 간격은, "2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은, 경혈 등의 체액의 측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 등의 엘라스틱재를 이용한 개더(도시 생략)를,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시트(10)는, 표면 시트(10)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10)에는,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0)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이란, 표면 시트(1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표면 시트(10)의 오목부(10a)는,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 방향으로 오목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표면 시트(10)의 볼록부(10b)는,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표면 시트(10)는,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10)의 소재는 직포, 또는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로,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를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섬유의 예로서는, 분쇄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코어-시스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부직포의 웨브 포밍의 방법으로서는,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론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 또는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본딩, 니들펀치, 케미컬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수류 체결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부직포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부직포에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성형된 부직포를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를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 엠보싱 롤에 부직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복수의 도트형의 볼록부(10b)를 복수 갖는 롤과 플랫 롤과의 조합, 복수의 도트형의 볼록부(10b)를 복수 갖는 롤과 홈을 갖는 롤과의 조합 등,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볼록부(10b)의 높이(오목부 바닥면부터 볼록부 정상면까지)는, 0.3 ㎜∼15 ㎜, 구체적으로는 0.5 ㎜∼5 ㎜의 높이가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볼록부(10b)간의 피치는 0.5 ㎜∼30 ㎜, 구체적으로는 1 ㎜∼10 ㎜의 피치이다. 또한,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지그재그형 등의 간헐적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40)는, 속옷측의 면에, 착용자의 속옷에 접착시키는 어긋남 방지용 접착부(6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긋남 방지용 접착부(60)의 외면에는, 박리 시트(도시 생략)가 접착에 의해 배치된다. 이면 시트(40)는, 소재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나, SMS의 복수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40)는,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단위 중량이 "15 g/㎡∼30 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나 고분자(폴리머)를 피복재로 덮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물로 성형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좋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상 폴리머, 섬유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폴리머)의 예로서는, 일반적으로, 흡수성이나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가 이용된다. 또한, 다른 특성을 얻기 위해 은·구리·아연·실리카·활성탄·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제올라이트 등의 입상 소취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피복재의 예로서는, 액투과성으로 고분자 흡수체나 흡열재(후술)가 빠져나가지 않는 정도의 배리어성이 있으면 좋고, 직포, 부직포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포,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섬유의 예로서는, 분쇄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저비용과 배리어성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면, 분쇄펄프를 주재료로 하여 습식법으로 성형되는 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30)로서, 에어레이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0.3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레이드 시트의 예로서는, 섬유와 입자상 폴리머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자상 폴리머는, 에어레이드 시트에 있어서, 층상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30)에는, 착용중의 형태 붕괴나 꼬임의 방지, 또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의 엠보싱은, 패터닝된 엠보싱 롤과 플랫 롤 사이에, 흡수체를 통지(通紙)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엠보싱 롤의 패턴은 격자형·도트형·파상 등이 이용되지만, 두께를 조정하기 쉬운 격자형 패턴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90 ㎜∼49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40 ㎜∼34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의 치수는 "25∼1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5 ㎜∼8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에는, 흡열재(50)가 배치되어 있다. 흡열재(50)는 체액 등의 액체에 접촉하면, 흡열 반응을 발현하고,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수용성 물질이다. 흡열재(50)의 예로서는,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질산칼륨, 요소, 탄산수소나트륨, 크실리톨, 트레할로스 등, 수화에 의해 흡열 반응을 나타내는 수용성 물질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해 시의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나, 장기간 보존 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염화칼륨이 바람직하다.
(흡열재의 배치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의 흡열재(50)의 배치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설된 경혈에 의해, 흡열 반응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에 있어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상당한다. 또한,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평면 방향)에서, 엠보싱 홈 70a와 엠보싱 홈 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흡열재(50)의 평면 방향의 배치 영역(225)이, 메시 모양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이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220) 내의 영역이어도 좋고, 중앙 영역(220)의 일부 영역과, 중앙 영역(220)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1"로 하면,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L1"에 대하여 30%∼50%인 길이 "L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만약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 미만이면, 경혈의 양이 적은 경우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지 않는 경우 등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이 잘 발현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50% 이상이면, 흡열재(5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로부터 배설된 경혈 이외의 땀 등에 의해 흡열 반응되어 버리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냉감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50%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중앙 영역(220)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이란, 흡수성 물품(100) 전체를 기준으로 한 중심이어도 좋고, 윙(20a 내지 20b)을 길이 방향으로 등분하는 중심선상의 점이어도 좋으며, 흡수체(30)의 양측부가, 폭방향에서 내측을 향해 볼록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체(30)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이 길이 방향의 중앙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돌출하는 중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은, 이러한 중고부의 평면 방향의 중앙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중고부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흡수체(30)를 중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체(30)의 단위 중량을 다른 영역의 단위 중량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배치 영역(225)의 평면 방향에서의 흡열재(50)의 밀도는, 흡수체(30)의 전면에 있어서, 균일하여도 좋고, 중앙 영역(220)에서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열재(50)의 두께 방향의 위치는,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착용자에게 냉감 등의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나, 표면 시트 내부에 배치하여도 좋지만,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거나, 냉감을 부여하지 않기 위해서는, 흡수체(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50)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경혈 등의 체액의 배설량이 적어도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흡열재(50)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피부 표면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재의 입경)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입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에는,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흡열재(50)에는 입경이 150 ㎛∼850 ㎛의 범위이며,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흡열재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이물감의 관점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300 ㎛∼800 ㎛의 범위여도 좋고, 350 ㎛∼600 ㎛의 범위여도 좋다.
여기서, 흡열재의 성분이 동일하면, 입경이 큰 흡열재일수록 완전 용해하는 속도가 늦어진다. 이것은 흡열재가 수화에 의해 용해할 때, 입자의 최외측 표면으로부터 용해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입경이 큰, 즉 체적이 클수록 완전 용해하는 것에는 시간이 걸린다.
또한, 장시간 또는 반복 배설이라도 흡열 반응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입경이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입경이 큰 흡열재만이 흡수체(30)에 배합되어 있으면, 흡수체(30)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하여 이물감을 부여해 버린다.
따라서, 흡열재(50)에 있어서,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키고, 흡수체(30)의 강성을 과도히 높이지 않기 위해,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에서의 흡열재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열재(50)는 피복재에 의해, 흡열재(50)만을 피복한 시트를 흡수체(30)의 상면에 배치하여도 좋고, 펄프와 펄프 사이에 층상으로 흡열재(50)를 배치하어도 좋다. 또한,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여기서, 흡열재(50)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첫번째의 경혈의 배설에 의해, 예컨대 입경이 작은 영역의 흡열재(50)가 용해되어 버린 경우, 흡열재(50)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반복 경혈이 배설되면, 표면 시트(10)측으로부터 이면 시트(40)측으로 경혈이 잘 이행되지 않게 되고, 표면 시트(10)에 경혈이 체류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흡열재(50)는 펄프 등과 블렌드하여, 흡열재(50)가 어느 정도 분산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는 펄프를 60%∼98%의 범위, 입자상의 흡열재(50)를 40%∼2%의 범위, 입자상 폴리머를 20%∼0%의 범위로 혼합하고,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싱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단위 중량 100 g/㎡∼2000 g/㎡, 높이 1 ㎜∼50 ㎜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싱 가공은 흡수체의 형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엠보싱 면적률은 10%∼100%의 범위, 구체적으로는 3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는, 경혈 등의 체액에 의해 흡열재(50)를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는 구성이나, 냉감을 부여하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층재[표면 시트(10)측]에는, 펄프 50 gsm∼150 gsm과 염화칼륨 0.5 g∼3.0 g을 블렌드한다. 하층재[이면 시트(40)측]에는, 펄프 50 gsm∼200 gsm과 고분자 흡수체 0.1 g∼0.5 g을 블렌드한다. 그리고, 상층재와 하층재를 중첩시켜,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것을, 흡열재(50)로 하여도 좋다.
(흡열재의 혼입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의 혼입량에 대해 설명한다. 흡열재(50)의 혼입량은, 흡열재(50)의 종류에 의해 용해열이나 용해도가 상이한 것이나, 흡열재(50)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100)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시키는 점과, 착용자에게 냉감 등의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흡수성 물품(100)의 1장당 흡열재(50)의 중량은 0.1 g∼10 g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g∼5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100)을 생리대로서 이용하고, 염화칼륨을 흡열재(50)로서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생리 기간중의 경혈량이 많은 날(1∼3일째)에서의 생리대 1장당 평균 흡수량은, 일반적으로 약 6.0 ㎖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37℃±5℃로 조정한 실험액(생리 식염액)에 대해서는 약 27.0%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으로부터, 경혈량 6.0 ㎖에 대하여 용해 가능한 염화칼륨은 약 2.0 g이 되고, 2.0 g 이상 염화칼륨을 혼입하여도 그 이상으로는 흡열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염화칼륨을 경혈량이 많은 날용의 생리대로서 이용한 경우는, 염화칼륨의 혼입량은 0.5 g∼3.0 g의 범위, 또한, 1.0 g∼2.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흡수체(30)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경혈이나 소변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열재(50)로서 이용하는 수용성 물질이 혈액에 용해하면, 혈장중 용질의 농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혈장의 침투압이 높아지고, 적혈구내의 수분이 적혈구 밖으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적혈구는 수축하여,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한다.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하면, 혈액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 표면 시트(10)에 대한 혈액의 접촉각이 높아진다. 즉, 적혈구의 젖음성이 저감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수용성 물질이 용해하면, 혈액의 젖음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혈액은 표면 시트(10)를 재차 투과하여 피부측에 복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드라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에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10)의 볼록부(10b)에 대하여, 착용자의 피부 표면의 접촉에 의한 압력이 가해져도, 오목부(10a)가, 볼록부(10b)로부터 샌 체액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한 역복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에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 표면에 대한 표면 시트(10)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체액이 부착된 표면 시트(10)의 접촉에 의해,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하고, 온도 저하된 체액의 역복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영역(220)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상당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장착할 때에 윙 20a와 윙 20b 사이의 영역이 가랑이부에 접촉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하고, 이러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흡열재(50)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로부터의 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엠보싱 홈(70a 내지 70b)이 형성되고, 흡열재(50)는 엠보싱 홈 70a와 엠보싱 홈 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의 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엠보싱 홈 70a와 엠보싱 홈 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0)에 꼬임이 발생한 경우라도, 흡열재(50)가 흡수체(30) 밖으로 나와 버리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서는, 흡열재(50)는 흡수체(30) 내부의 이면 시트(40)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표면 시트(10)측의 흡열재(50)의 밀도가, 이면 시트(40)측의 흡열재(50)의 밀도보다 높다. 즉, 흡수체(30) 내부의 흡열재(50)의 밀도가,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상이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의 간격을 "t"로 한다. 또한, 이러한 간격 "t"의 절반을 "t1"로 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측의 면(32)으로부터 간격 "t1"에서의 흡수체(30) 내의 흡열재(50)의 밀도가, 흡수체(30)의 표면 시트(10)측의 면(31)으로부터 간격 "t1"에서의 흡수체(30) 내의 흡열재(50)의 밀도보다 높다.
또한, 흡수성 물품(110)에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의 표면 시트(10)측의 면(31)과 흡열재(50)와의 간격(제1 간격)과,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측의 면(32)과 흡열재(50)와의 간격(제2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면(31)과 흡열재(50)와의 간격이, 면(32)과 흡열재(50)와의 간격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흡열재(50)가 용해함으로써, 혈액의 젖음성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혈액은 표면측 시트(10)를 재차 투과하여 피부측에 복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드라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이면 시트(40)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온도 저하된 체액이, 표면 시트(10)에 역복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착용자에 대하여, 온도 저하된 체액이 역복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표면 시트(11)는, 표면 시트(11)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볼록부(11b)에서의 단위 중량은, 표면 시트(11)의 오목부(11a)에서의 단위 중량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1a)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3 g/㎡∼200 g/㎡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80 g/㎡까지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1b)의 단위 중량은 오목부(11a)의 단위 중량보다 크고, 예컨대 15 g/㎡∼250 g/㎡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120 g/㎡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1a)와 볼록부(11b)는 섬유 밀도가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볼록부(11b)의 섬유 밀도는 0.2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11a)의 섬유 밀도는 0.18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시트(11)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이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2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과 반대측의 면(12)이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이면 시트(40)측의 면은, 흡수성 물품(120)의 두께 방향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 13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은, 표면 시트(11)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12)에,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오목부(11a)는 흡수성 물품(12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의 방향으로 오목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볼록부(11b)는 흡수성 물품(12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측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는, 표면 시트(11)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는 표면 시트(11)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부직포를 성형할 때에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를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집합체인 웨브의 연속체에 대하여, 열풍을 폭방향(CD)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내뿜고, 길이 방향(MD)으로 연속하여 내뿜는다. 이 때, 웨브의 아래쪽으로부터 열풍을 흡인함으로써, 볼록부(11b)의 단위 중량이 오목부(11a)의 단위 중량보다 큰 요철 형상의 웨브를 성형할 수 있다. 그 후, 미리 정해진 온도로 설정된 오븐 안에 반송하여, 섬유끼리를 융착시켜, 표면 시트(11)의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가 성형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포인트본드 부직포 등의 섬유끼리를 융착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엠보싱으로, 미리 정해진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수축성이 낮은 섬유를 주체로 한 웨브(상층 웨브)와, 강열수축성 섬유를 주체로 한 웨브(하층 웨브)를 중첩시켜, 도트형 엠보싱으로 부분적으로 일체화시킨 후, 미리 정해진 온도로 설정된 오븐 안에 반송시킴 으로써, 하층 웨브를 열수축시키고 상층 웨브를 부분적으로 융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어느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볼록부(11b)의 단위 중량은 오목부(11a)의 단위 중량보다 커지도록 형성되고, 오목부(11a)와 볼록부(11b)는 섬유 밀도가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표면 시트(11)의 볼록부(11b)에서의 단위 중량은, 표면 시트(11)의 오목부(11a)에서의 단위 중량보다 크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20)의 표면 시트(11)에, 착용자의 피부 표면이 접촉되었을 때에, 표면 시트(11)에 대한 외압이 높아져도, 볼록부(11b)가 잘 찌부러지지 않게 되고, 표면 시트(11)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혈 등의 체액이 역복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 있어서, 오목부(11a)와 볼록부(11b)는, 섬유 밀도가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엠보싱 가공 등의 압축 처리에 의해서, 예컨대 오목부(11a)가 형성된 경우, 오목부(11a)의 섬유 밀도가, 볼록부(11b)의 섬유 밀도보다 대폭 높아진다. 즉, 표면 시트(11)에 있어서, 체액이 잘 이행되지 않는 섬유 밀도가 높은 영역[오목부(11a)]과, 체액이 이행되기 쉬운 섬유 밀도가 낮은 영역[볼록부(1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경혈 등의 체액은, 섬유 밀도가 높은 영역[오목부(11a)]에 체류하여, 착용자의 피부 표면이 표면 시트(11)에 접촉되었을 때에 역복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오목부(11a)와 볼록부(11b)는, 섬유 밀도가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 시트(11)에 있어서, 체액이 잘 이행되지 않는 섬유 밀도가 높은 영역[오목부(11a)]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저감하고, 이면 시트(40)측으로 원활히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에서는, 표면 시트(11)와 흡수체(30) 사이에, 부직포인 중간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은, 중간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과 같은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중간 시트(90)의 소재로서, 에어스루 부직포(35 gsm)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에서, 중간 시트(90)의 평면 방향의 면적은, 표면 시트(11)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에서는, 표면 시트(11)와 흡수체(30) 사이에, 중간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 사이에서의 부직포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온도 저하된 체액이 표면 시트(11)로부터 역복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중간 시트(91)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30)에서는, 중간 시트(91)에 있어서, 고밀도 영역(제1 밀도 영역)과 저밀도 영역(제2 밀도 영역)이 평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고, 저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는, 고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보다 낮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중간 시트(91)에는,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과, 저밀도 영역(9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밀도 영역(91c)의 단위 중량은,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의 단위 중량보다 낮다.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과, 저밀도 영역(91c)은 평면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고밀도 영역(91a)의 면적은, 고밀도 영역(91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중간 시트(91)의 평면 방향에서,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으로서, 면적이 상이한 2종류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러한 영역의 면적은, 2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은 중간 시트(91)의 평면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중간 시트(91)에 있어서,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과 저밀도 영역(91c)을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약열수축성 섬유와 대략 열수축성이 없는 섬유를 블렌드한 웨브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설정된 오븐 안에 반송하고, 약열수축성 섬유 주변에서의 대략 열수축성이 없는 섬유를 감도록 열수축시켜, 불규칙한 오목부 형상과 볼록부 형상을 갖는 웨브를 성형한다. 그 직후, 이러한 웨브를 플랫 롤끼리의 사이를 통지시키고, 볼록부 형상을 찌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웨브의 양면이 대략 평탄형인 에어스루 부직포로 성형한다. 또한, 찌부러진 볼록부 형상의 영역이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서는, 중간 시트(91)에 있어서,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제1 밀도 영역)과 저밀도 영역(91c)(제2 밀도 영역)이, 평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30)에 대하여, 경혈 등의 체액이, 단기간에 다량 배설된 경우에는, 저밀도 영역(91c)이, 이러한 체액을 흡수체(30)에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체액이 표면 시트(11)의 넓은 범위에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은, 표면 시트(11)에 잔류하는 체액을, 중간 시트(91)의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과 표면 시트(11) 사이에서의 조밀(粗密) 구배에 의해, 표면 시트(11)로부터 흡수체(30)로 이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액이, 표면 시트(11)나 중간 시트(91)에 잘 잔류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체액을 흡수체(30) 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열재(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흡수성 물품(130)에서는,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을 발현을 재촉하여,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경혈이나 소변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혈에는, 자궁내막 등의 고형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흡열재(50)는 고형분을 부착했을 때, 거의 흡열 반응을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경혈을 표면 시트(11)로부터 흡수하여 흡열재(50)에 부착할 때까지, 고형분이 여과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91)의 고밀도 영역(91a 내지 91b)은, 섬유 사이에 경혈의 고형분을 여과하기 쉽기 때문에, 흡열재(50)의 흡열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를 예로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생리대에 한정되지 않고, 팬티라이너 등의 여성용 흡수성 물품이나, 실금 패드나 기저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험 장치>
우선, 피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을 재현하기 위해, 또한, 착용중의 체액 확산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도 7의 (a) 내지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도 7(a)는 실험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7(b)는 실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실험 장치에서는, 세로 90 ㎜, 가로 70 ㎜, 깊이 10 ㎜가 되는 밀폐 공간을 아크릴 용기(300)로 작성하였다. 실험 장치에는, 이러한 밀폐 공간의 온습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온습도 센서(350)를 설치하였다.
아크릴 용기(300)의 위쪽에는, 실험액이 세로 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시린지(340)를 세로 방향으로 2개 삽입할 수 있는 구멍과, 하나당 시린지(340)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2지점 적하되는 구멍(310∼320)을 형성한 아크릴 덮개를 설치하였다. 즉, 실험액은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4지점의 구멍으로부터 적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액의 조성은, 체액의 염농도와 맞추기 위해, 염화나트륨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화나트륨과 증류수를 혼합한 생리식염액을 이용하였다.
실험액의 온도는, 체액 온도와 맞추기 위해, 37℃±5℃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1>
흡열재를 배치한 흡수체를 갖는 샘플 1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흡수체의 상층재로서, 펄프 150 gsm과 염화칼륨 1.5 g을 블렌드하여, 길이 치수 100 ㎜, 폭 치수 30 ㎜로 성형하였다.
또한, 염화칼륨(흡열재)의 평균 입경은 425 ㎛로 하고, 325 ㎛∼525 ㎛의 범위의 염화칼륨은 전체량에 대하여 42%로 하였다.
또한, 흡수체의 하층재로서, 펄프 130 gsm과 고분자 흡수체 0.3 g을 블렌드하여, 길이 치수 200 ㎜, 폭 치수 70 ㎜로 성형하였다.
성형 후, 상층재와 하층재를 중첩시키고, 티슈 14 gsm로 피복하였다. 피복 후, 엠보싱 가공에 의해 흡수체의 두께를 3.4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엠보싱 가공 후, 흡수체에는 에어스루 부직포 35 gsm을 표면 시트로서 위에 배치하고,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일체화하기 위해 양 사이드를 엠보싱 가공으로써 접합하였다.
엠보싱 가공으로써 접합 후,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실험 장치에 배치하기 위해, 세로 치수 90 ㎜, 가로 치수 70 ㎜로 커트하여 성형한 것을 샘플 1로 하였다.
샘플 2로서, 흡열재를 배치하지 않는 흡수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샘플 2는 흡수체의 상층재에 염화칼륨(흡열재)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샘플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 1)
제작한 샘플 1을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평가 실험은 35℃±5℃, 75 RH%±5 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우선, 전술한 실험 장치의 아크릴 덮개를 개방하고, 샘플 1을 아크릴 용기(300)에 설치하였다. 다음에 아크릴 덮개를 폐쇄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15분 방치하였다. 또한, 아크릴 덮개를 폐쇄한 시점에서, 밀폐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측정을 시작하였다.
측정 시작 15분 후(안정화 후), 37℃±5℃로 조정한 실험액 2 ㎖를 적하하였다. 그 30분 후, 같은 온도의 실험액 2 ㎖를 적하하였다. 이 공정을 5회 반복하여, 합계 10 ㎖의 실험액을 적하하였다. 또한, 측정 시작으로부터 합계 2시간 45분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샘플 2에 대해서도, 상기 평가 실험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평가 결과 1)
도 8의 (a) 내지 (b)는, 상기 평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도 8(a)는 습도의 측정 결과이고, 도 8(b)는 온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8의 (a) 내지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샘플 2에서는, 실험 장치의 밀폐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가, 실험액 2 ㎖를 적하한 직후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데 반하여,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고 있지 았았다. 또한, 실험액 2 ㎖를 반복하여(5회) 적하한 경우라도,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고 있지 않았다.
(평가 방법 2)
얻어진 샘플 1을 이용하여, 하기의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평가 실험은 35℃±5℃, 75 RH%±5 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우선, 전술한 실험 장치의 아크릴 덮개를 개방하고, 샘플 1을 아크릴 용기(300)에 설치하였다. 다음에 아크릴 덮개를 폐쇄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15분 방치하였다. 또한, 아크릴 덮개를 폐쇄한 시점에서, 밀폐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측정을 시작하였다.
측정 시작 15분 후(안정화 후), 37℃±5℃로 조정한 실험액 6 ㎖를 적하하였다. 그 후, 60분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샘플 2에 대해서도, 상기 평가 실험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평가 결과 2)
도 9의 (a) 내지 (b)는, 상기 평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도 9(a)는 습도의 측정 결과이고, 도 9(b)는 온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9의 (a) 내지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샘플 2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적하한 직후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데 반하여,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 1에 따른 고찰)
전술한 평가 실험 및 평가 결과로부터, 체액의 배설이 반복되는 경우나, 체액의 배설량이 많은 경우라도,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밀폐 공간의 온도가 블랭크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저하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착용자에 대하여 냉감 등의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는 정도인 것도 알 수 있다.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경혈이나 소변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표면 시트의 역복귀율에 대해서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실험액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험액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하였다. 또한, 흡수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흡수체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의 샘플 2의 흡수체와 마찬가지로 제작하였다.
다음에, 복수 종류의 표면 시트를 샘플로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엠보싱 가공에 의해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에어스루 부직포(30 gsm)를 샘플 A로서 제작하였다. 샘플 A에서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엠보싱 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성형하였다. 샘플 A에서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도 2에 도시하는 표면 시트(10)에서의 오목부(10a) 및 볼록부(10b)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샘플 A에서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폭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반복하도록 성형하였다. 또한, 샘플 A에서, 볼록부의 높이(오목부 바닥면부터 볼록부 정상면까지)는 1.3 ㎜이고, 폭방향에 인접하는 볼록부의 피치는 2.1 ㎜였다.
또한, 볼록부(볼록부는 중실)의 단위 중량이, 오목부의 단위 중량보다 큰 에어스루 부직포(35 gsm)를 샘플 B로서 제작하였다. 샘플 B에서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도 4에 도시하는 표면 시트(11)에서의 오목부(11a) 및 볼록부(11b)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샘플 B와, 중간 시트(91)를 중첩시켜 샘플 C를 제작하였다. 중간 시트(9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밀도 영역과 저밀도 영역이 평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에어스루 부직포 38 gsm을 이용하였다. 고밀도 영역과 저밀도 영역을 성형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5 실시형태의 방법과 같다.
또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에어스루 부직포 35 gsm을 샘플 D로서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흡수체 위에, 샘플 A를 배치하고, 흡수체를 일체화하기 위해 양 사이드를 엠보싱 가공에 의해 접합하였다. 또한, 샘플 B 내지 D에 대해서도, 흡수체 위에 배치하고, 마찬가지로 접합하였다.
실험 장치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 덮개만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린지(340)를 2개 삽입한 아크릴 덮개를 이용하였다.
(평가 방법)
흡수체와 샘플 A를 접합한 것을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평가 실험은 35℃±5℃, 75 RH%±5 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우선, 2개의 시린지(340) 각각에 실험액 3 ㎖를 넣고, 아크릴 덮개에 설치하였다. 다음에, 흡수체와 샘플 A를 접합한 것 위에 아크릴 덮개를 배치하였다. 또한, 아크릴 덮개는 샘플 A의 평면 방향에서, 중앙에 배치하였다.
배치 후, 2개의 시린지(340)로부터, 대략 동시에 실험액을 적하하였다. 적하 시작으로부터 1분 후에, 아크릴 덮개를 철거하여, 샘플 A 위에, 여과지(세로 치수 50 ㎜, 폭 치수 35 ㎜) 10장을 배치하고, 추가로 그 위에 60 g/㎠로 조정한 추를 배치하였다.
추를 배치한 후 5분 후에 여과지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적하한 실험액 3 ㎖의 중량과, 여과지에 부착된 실험액의 중량에 기초하여, 샘플 A의 역복귀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적하한 실험액의 중량에 대한 여과지에 부착된 실험액의 중량의 비율을, 역복귀율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샘플 B 내지 D에 대해서도, 각각 상기 평가 실험을 마찬가지로 행하여, 샘플 B 내지 D 각각의 역복귀율을 산출하였다.
(평가 결과)
샘플 A 내지 D 각각의 역복귀율의 산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하기의 결과로부터, 샘플 A 내지 C는, 샘플 D와 비교하여 역복귀율이 낮았다.
샘플 A: 7.4%
샘플 B: 3.8%
샘플 C: 1.1%
샘플 D: 10.5%,
(실시예 2에 따른 고찰)
전술한 평가 실험 및 평가 결과로부터, 샘플 A 내지 C는 샘플 D와 비교하여 역복귀율이 낮다. 즉, 샘플 A 내지 C는 샘플 D와 비교하여, 역복귀하기 어려운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흡열재(염화칼륨)가 배치된 흡수체에서는, 밀폐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2에서는, 표면 시트에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없는 표면 시트에 비해, 흡열재에 의해 온도 저하된 체액(실험액)의 역복귀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40055호(2008년 5월 28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는, 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 착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억제하고, 온도 저하된 체액의 역복귀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의 제조 및 제공에 유용하다.

Claims (8)

  1.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서의 단위 중량은 상기 오목부에서의 단위 중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부직포인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트에 있어서 제1 밀도 영역과 제2 밀도 영역이 평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는 상기 제1 밀도 영역의 섬유 밀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의 이면 시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생리대로서,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신체에 면하는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흡열재는 상기 생리대의 중앙 영역 내의 영역 또는 중앙 영역의 일부의 영역과 중앙 영역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영역으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엠보싱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 홈은 상기 생리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으며,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싱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KR1020107029394A 2008-05-28 2009-05-25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20110013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0055 2008-05-28
JPJP-P-2008-140055 2008-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33A true KR20110013533A (ko) 2011-02-09

Family

ID=4137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394A KR20110013533A (ko) 2008-05-28 2009-05-25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02917B2 (ko)
EP (1) EP2281536A4 (ko)
JP (1) JP5165057B2 (ko)
KR (1) KR20110013533A (ko)
CN (1) CN102046122A (ko)
AR (1) AR071915A1 (ko)
AU (1) AU2009252424A1 (ko)
BR (1) BRPI0909533A8 (ko)
CL (1) CL2009001297A1 (ko)
MY (1) MY150440A (ko)
NZ (1) NZ589797A (ko)
TW (1) TW201008557A (ko)
WO (1) WO20091451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323A (ko) * 2014-01-10 2016-09-19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KR20170005493A (ko) * 2014-06-27 2017-01-13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9921B2 (ja) * 2009-02-02 2014-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483940B2 (ja) * 2009-07-13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5765900B2 (ja) 2010-08-31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JP5780731B2 (ja) * 2010-09-30 2015-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39737B2 (ja) 2011-03-02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62199B2 (ja) * 2012-09-28 2017-0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6219661B2 (ja) * 2013-10-07 2017-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938438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60927B2 (ja) * 2014-06-27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57764B2 (ja) * 2014-09-01 2019-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285873B2 (en) 2014-09-30 2019-05-1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9999554B2 (en) 2014-09-30 2018-06-1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9968496B2 (en) 2014-09-30 2018-05-1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10265224B2 (en) 2014-09-30 2019-04-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10307308B2 (en) 2014-09-30 2019-06-0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JP6091569B1 (ja) * 2015-09-07 2017-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902343A (zh) * 2016-05-25 2016-08-31 太仓市报艺商务调查有限公司 一种低温保健卫生巾及其加工方法
CN106620820A (zh) * 2016-12-20 2017-05-10 山东益母妇女用品有限公司 具有缓解痔疮疼痛作用的卫生用品
WO2019131323A1 (ja) * 2017-12-28 2019-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200397629A1 (en) * 2019-06-19 2020-1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WI776219B (zh) * 2020-08-31 2022-09-01 財團法人塑膠工業技術發展中心 一種具梯度濃度結構之材料的配方、結構及其應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661C2 (sv) 1993-03-01 1995-12-04 Moelnlycke Ab Ytmaterial för absorberande artiklar, innefattande styva utskott och mellan utskotten genomgående perforationer samt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ytmaterialet
US5681298A (en) 1994-12-22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US5649914A (en) * 1994-12-22 1997-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Toilet training aid
JP3833034B2 (ja) 2000-01-06 2006-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の吸収性物品
US7537586B2 (en) * 2000-02-15 2009-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change aids for external articles
DE60301802T2 (de) * 2002-02-25 2006-05-11 Kao Corp. Deckschicht für absorbierenden Artikel
JP4152760B2 (ja) 2003-01-29 2008-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6833B2 (ja) 2003-09-19 2011-08-10 大王製紙株式会社 女性用失禁パッド
WO2006014693A1 (en) * 2004-07-23 2006-02-09 Femaceuticals, Llc Mini pad for reducing inflammation of the vulv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142713A1 (en) * 2004-12-29 2006-06-29 Long Andrew M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JP4870365B2 (ja) * 2005-02-23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70049888A1 (en) * 2005-08-31 2007-03-01 Soerens Dave A Absorbent core comprising a multi-microlayer film
US7297835B2 (en) * 2005-10-07 2007-1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JP4791327B2 (ja) * 2006-01-27 2011-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5154048B2 (ja) * 2006-06-23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JP5123512B2 (ja) 2006-06-23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JP5123505B2 (ja) 2006-06-23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EP2083874A4 (en) * 2006-11-17 2012-02-15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ARTICLE
JP4745206B2 (ja) 2006-11-30 2011-08-1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20090287172A1 (en) * 2008-05-16 2009-11-19 William Lowe Absorbent article with leakage warning systems and method of use thereof
NZ589783A (en) * 2008-05-28 2012-09-28 Uni Charm Corp 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with endothermic cooling p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323A (ko) * 2014-01-10 2016-09-19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KR20170005493A (ko) * 2014-06-27 2017-01-13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45138A1 (ja) 2011-10-13
TW201008557A (en) 2010-03-01
WO2009145138A1 (ja) 2009-12-03
CN102046122A (zh) 2011-05-04
BRPI0909533A8 (pt) 2018-12-18
US20110144605A1 (en) 2011-06-16
MY150440A (en) 2014-01-30
AU2009252424A1 (en) 2009-12-03
US8802917B2 (en) 2014-08-12
BRPI0909533A2 (pt) 2018-10-23
EP2281536A1 (en) 2011-02-09
EP2281536A4 (en) 2013-01-02
NZ589797A (en) 2012-09-28
JP5165057B2 (ja) 2013-03-21
AR071915A1 (es) 2010-07-21
CL2009001297A1 (es)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3533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101724762B1 (ko) 흡수성 물품
JP5261483B2 (ja)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KR101709801B1 (ko) 흡수성 물품
KR100810545B1 (ko) 체액 흡수성 패널
KR20110021955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JP6169338B2 (ja) 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074734B2 (ja) 吸収性物品
US10646384B2 (en) 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JP5318747B2 (ja) 吸収性物品
JP2010068954A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11136078A (ja) 吸収性物品
CN114206289B (zh) 吸收性物品
US20230165736A1 (en) Embossed absorbent syste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CN114206288B (zh) 吸收性物品
CN115066222A (zh) 吸收性物品
KR20110107379A (ko) 흡수성 물품
KR20100126271A (ko) 일회용 기저귀
CN114206290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