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529A -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 Google Patents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529A
KR20110011529A KR1020100052230A KR20100052230A KR20110011529A KR 20110011529 A KR20110011529 A KR 20110011529A KR 1020100052230 A KR1020100052230 A KR 1020100052230A KR 20100052230 A KR20100052230 A KR 20100052230A KR 20110011529 A KR20110011529 A KR 2011001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exhaust
heat storage
burner
treatmen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995B1 (ko
Inventor
가즈야 기타무라
유사쿠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0002Cleaning burner parts, e.g. burner t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Suppl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Gas Burner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收容)시킨 축열실과, 축열실을 통해 급배기구(給排氣口)로부터 열처리로(熱處理爐) 내에의 급배기를 실행하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연료 분사 노즐(210)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21)와, 축열재(220)를 수용시킨 축열실(22)과, 급배기구(230)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열처리로(10) 내에의 급배기를 실행하는 급배기 통로(23)를 갖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 급배기구와 축열실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에 유지 보수용 문(24)을 설치하고, 이 유지 보수용 문을 열고 청소 부재(30)에 의해 급배기구에 부착된 부착물(X)을 청소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REGENERATIVE BURNER AND HEAT TREAT FURNACE}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收容)시킨 축열실과,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給排氣口)로부터 열처리로(熱處理爐)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 및 이러한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 의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용융시키거나, 피(被)처리재를 가열 처리시킬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축열식 버너에서의 급배기구 부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피처리재로부터 발생한 각종의 불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물이 부착하였을 경우에, 이러한 부착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근년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용융시키거나, 각종의 피처리재를 가열 처리시키는 열처리로에서는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과,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로부터 열처리로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를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서, 이러한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서는 상기와 같은 축열식 버너를 쌍으로 해서 사용하고,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 급배기 통로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로부터 열처리로 내에 인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한 버너부에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급배기 통로를 통해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로 인도하고, 이 축열실에서의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킨 후, 상기한 급배기 통로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조작을 한 쌍의 축열식 버너로 서로 교대해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용융시키거나, 각종의 피처리재를 가열 처리시키는 열처리로에서, 상기와 같이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급배기 통로를 통해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로 인도하도록 하였을 경우, 연소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피처리재로부터 발생한 각종의 불순물 등이 상기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되어 서서히 축적되고, 이것에 의해 축열식 버너에서의 연소 능력이 서서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금속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종래에서는 상기한 축열식 버너에 의한 연소를 정지시키고, 열처리로 내의 온도를 충분히 저하시켜서, 작업원이 열처리로 내에 들어가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하거나, 또한 상기한 축열식 버너에서의 배관 등을 분해해서 청소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해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금속 등의 부착물을 제거할 경우, 축열식 버너에 의한 연소를 정지시켜서, 열처리로 내의 온도를 충분히 저하시키는데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작업 효율이 매우 나빠지는 것과 더불어, 다시 연소시켜서 열처리로 내의 온도를 충분히 높이는 경우에도 긴 시간을 필요로 하며,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JPH7-113579 A JPH9-222223 A JP2002-295812 A JP2007-24335 A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과,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로부터 열처리로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용융시키거나, 피처리재를 가열 처리시킬 경우에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축열식 버너를 열처리로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급배기구 부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피처리재로부터 발생한 각종의 불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물이 부착되어도, 이러한 부착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과, 이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로부터 열처리로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 상기한 급배기구와 축열실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에 유지 보수용 문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배기구와 축열실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에 유지 보수용 문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는, 급배기구와 유지 보수용 문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를 직선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유지 보수용 문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화염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화염 감시용 창문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축열식 버너에서는, 상기한 버너부를 상기한 급배기 통로의 외부로 설치하고, 이 버너부에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상기한 급배기구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공기를 향해 분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본 발명의 열처리로에서는, 상기한 유지 보수용 문을 열어서 청소 부재를 급배기 통로 내에 인도하고, 이 청소 부재에 의해 상기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청소 부재에 의해 청소시키도록 한다. 특히,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용융시키는 열처리로에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열처리로에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급배기구와 축열실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에 유지 보수용 문을 설치한 축열식 버너를 열처리로에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축열식을 통해 열처리로 내에의 급배기를 실행하는 급배기구 부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피처리재로부터 발생한 각종의 불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물이 부착되었을 경우, 유지 보수용 문을 열고,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청소 부재에 의해 청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열처리로 내의 온도를 충분히 저하시킨 후, 작업원이 열처리로 내에 들어가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하거나, 또한 축열식 버너에서의 배관 등을 분해해서 청소하는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열처리로 내의 온도가 어느 정도 저하된 시점에서, 기계 등을 사용해서 청소 부재에 의해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효율적으로 청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축열식 버너의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종래와 같이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길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축열식 버너에서의 버너부를 상기한 급배기로 외부에 설치하고, 이 버너부에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상기한 급배기구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공기를 향해 분출시켜서 연소시키도록 하였을 경우, 상기와 같이 유지 보수용 문을 열고,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청소 부재에 의해 청소시킬 때에 버너부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더욱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처리로에서, 쌍으로 된 축열식 버너를 사용해서 연소 및 축열을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의 열처리로에서, 각 축열식 버너에서의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물이 부착되어 축적된 경우에, 각 축열식 버너에서의 연소를 정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의 열처리로에서, 축열식 버너에서의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되어 축적된 부착물을 청소 부재에 의해 청소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의 열처리로에서, 축열식 버너에서의 버너부를 변경시킨 변경 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는, 특히, 하기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로(10)의 대향하는 벽면(11)에, 한 쌍의 축열식 버너(20A, 20B)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각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는, 각각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21A, 21B)와, 축열재(220A, 220B)를 수용시킨 축열실(22A, 22B)과, 축열실(22A, 22B)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230A, 230B)로부터 열처리로(10)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10)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230A, 230B)로부터 열처리실(22A, 22B)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23A, 2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는, 각각 버너부(21A, 21B)가 상기한 급배기 통로(23A, 23B)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각 버너부(21A, 21B)에서는, 각각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 211B)의 내부에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을 설치하고,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의 선단부를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 211B)의 선단부에 설치된 안정기(stabilizer)(212A, 212B)를 통과해서 돌출시키는 것과 더불어, 이와 같이 돌출된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 선단부의 근방에 착화 플러그(213A, 21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버너부(21A, 21B)에서 연소를 실행하는데 있어서는, 상기한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 211B)에 1차 공기 공급관(214A, 214B)을 통해 1차 공기를 공급하는 것과 더불어,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에 연료 공급관(215A, 215B)을 통해 연료를 공급한다. 그리고,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 211B)에 공급된 1차 공기를 상기한 안정기(212A, 212B)에 설치된 다수의 관통구멍(216A, 216B)을 통해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 211B)의 선단부에 인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한 연료 분사 노즐(210A, 210B)로부터 연료를 분사시켜고, 상기한 착화 플러그(213A, 213B)에 의해 착화시켜서, 상기한 연료를 1차로 연소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각 급배기 통로(23A, 23B)에서는, 열처리로(10) 내에의 급배기를 실행하는 급배기구(230A, 230B)와 축열실(22A, 22B)과의 사이에, 힌지(hinge)(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개폐되는 유지 보수용 문(24A, 24B)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보수용 문(24A, 24B)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상기한 급배기구(230A, 230B)와 유지 보수용 문(24A, 24B)과의 사이에서의 급배기 통로(23A, 23B) 부분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더불어, 각 유지 보수용 문(24A, 24B)에 각각 열처리로(10) 내에서의 화염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화염 감시용 창문(25A, 25B)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열처리로(10)에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처리재(도시하지 않음)를 용융시키거나, 또한 다른 피처리재(도시하지 않음)를 가열 처리시킬 경우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한쪽의 축열식 버너(20A)에서는, 그 버너부(21A)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1차 공기 공급관(214A)으로부터 1차 공기 공급 노즐(211A)에 1차 공기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연료 공급관(215A)으로부터 연료 분사 노즐(210A)에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한 급배기구(230A)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공기를 향해 연료를 1차로 연소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급배기 통로(23A)를 통해 연소용 공기를 축열재(220A)가 수용된 축열실(22A)로 인도하고, 이 연소용 공기를 축열재(220A)에 축열된 열에 의해 가열시키고, 이와 같이 가열된 연소용 공기를 상기한 급배기구(230A)를 통해 상기한 버너부(21A)의 근방으로부터 열처리로(10) 내에 분출시켜서, 상기한 연료를 2차로 연소시키도록 한다.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20B)에서는, 그 버너부(21B)에 있어서, 1차 공기 공급관(214B)으로부터 1차 공기 공급 노즐(211B)에의 1차 공기의 공급 및 연료 공급관(215B)로부터 연료 분사 노즐(210B)에의 연료의 공급을 정지해서 연소를 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열처리로(10)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상기한 급배기구(230B)로부터 급배기 통로(23B)를 통해 축열재(220B)가 수용된 축열실(22B)로 인도하고,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이 축열실(22B)에 수용된 축열재(220B)에 축열시킨 후, 이 연소 배기 가스를 상기한 급배기 통로(23B)를 통해 외부에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쌍으로 된 상기한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 상기와 같이 연료를 열처리로(10) 내에서 연소시키는 조작과, 열처리로(10)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흡인해서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키는 조작을 교대로 서로 바꾸어서 실행하고, 열처리로(10) 내에서 상기한 피처리재를 가열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쌍으로 된 상기한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 상기와 같이 연료를 열처리로(10) 내에서 연소시키는 조작과, 열처리로(10)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흡인해서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키는 조작을 교대로 서로 바꾸어서 실행하였을 경우, 각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의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있어서, 연소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증발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피처리재로부터 발생한 불순물 등이 냉각되어서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각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의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상기와 같은 부착물(X)이 부착되어 축적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각 버너부(21A, 21B)에서의 연료의 연소를 정지시켜서, 열처리로(10) 내의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열처리로(10) 내의 온도가 어느 정도 저하된 시점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유지 보수용 문(24A, 24B)을 열고, 안내 봉(31)의 선단에 톱니 형상으로 된 제거부(32)가 만들어진 청소 부재(30)를 유지 보수용 문(24A, 24B)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된 급배기 통로(23A, 23B) 부분에 도입시킨다. 그리고, 이 청소 부재(3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톱니 형상으로 된 제거부(32)에 의해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제거시키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청소 부재(30)에 의해 제거시킬 경우, 청소 부재(30)의 제거부(32)가 급배기 통로(23A, 23B)를 따라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적절하게 인도되는 것과 더불어, 이 제거부(32)에 의해 부착물(X)이 효율적으로 급배기구(230A, 230B)로부터 제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제거부(32)의 지름을, 급배기구(230A, 230B)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된 급배기로(23A, 23B)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지름 혹은 약간 작은 지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의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청소 부재(30)를 사용해서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종래와 같이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제거하는 작업에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의 버너부(21A, 21B)를 급배기 통로(23A, 23B)의 외부에 설치하도록 하였을 경우, 상기와 같이 유지 보수용 문(24A, 24B)을 열고, 각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청소 부재(30)에 의해 청소시킬 때에, 각 버너부(21A, 21B)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각 급배기구(230A, 230B)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더욱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축열식 버너(20A, 20B)에서는, 상기와 같이 버너부(21A, 21B)를 급배기 통로(23A, 23B) 외부에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버너부(21A, 21B)의 구성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부(21)에서의 연료 분사 노즐(210)로서, 연료를 급배기 통로(23) 내에 분출시키는 제1연료 분사 노즐(2101)과, 연료를 곱배기구(230)의 근방에서 열처리로(10) 내에 분출시키는 제2연료 분사 노즐(2102)을 설치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한 제1연료 분사 노즐(2101)로부터 분출된 연료를 급배기 통로(23) 내에서 착화시키는 착화 플러그(213)가 설치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버너부(21)를 사용해서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있어서는, 열처리로(10) 내의 온도가 연료의 착화 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한 제1연료 분사 노즐(2101)로부터 연료를 급배기 통로(23) 내에 분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급배기 통로(23)를 통해 연소용 공기를 인도하고, 상기한 착화 플러그(213)에 의해 착화시켜서 연료를 1차로 연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급배기구(230)의 근방에 설치된 제2연료 분사 노즐(2102)로부터 연료를 열처리로(10) 내에 분출시켜서, 이 연료를 2차로 연소시키도록 한다. 한편, 열처리로(10) 내의 온도가 연료의 착화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한 제2연료 분사 노즐(2102)만으로부터 연료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너부(21)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도, 급배기구(230)와 축열실(22)과의 사이에서의 직선 형상으로 된 급배기 통로(23) 부분에서, 급배기구(230)와 반대 측에 힌지 등에 의해 개폐되는 유지 보수용 문(24)을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급배기구(230)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X)을 청소 부재(30)에 의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10: 열처리로 11: 벽
20, 20A, 20B: 축열식 버너 21, 21A, 21B: 버너부
22, 22A, 22B: 축열실 23, 23A, 23B: 급배기 통로
24, 24A, 24B: 유지 보수용 문 25, 25A, 25B: 화염 감시용 창문
30: 청소 부재 31: 안내 봉
32: 제거부 210, 210A, 210B: 연료 분사 노즐
211A, 211B: 1차 공기 공급 노즐 212A, 212B: 안정기
213, 213A, 213B: 착화 플러그 214A, 214B: 1차 공기 공급관
215A, 215B: 연료 공급관 216A, 216B: 관통구멍
220, 220A, 220B: 축열재 230, 230A, 230B: 급배기구
2101: 제1연료 분사 노즐 2102: 제2연료 분사 노즐
X: 부착물

Claims (6)

  1.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출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收容)시킨 축열실과, 상기 축열실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급배기구(給排氣口)로부터 열처리로(熱處理爐) 내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열처리로 내에서의 연소 배기 가스를 급배기구로부터 축열실을 통해 배기시키는 급배기 통로를 갖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
    상기한 급배기구와 축열실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에 유지 보수용 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급배기구와 유지 보수용 문과의 사이의 급배기 통로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버너부가 상기한 급배기 통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버너부에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가 상기한 급배기구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공기를 향해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지 보수용 문에 화염 감시용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열식 버너를 사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상기한 유지 보수용 문을 열고 청소 부재를 급배기 통로 내에 인도하고, 상기 청소 부재에 의해 상기한 급배기구 부분에 부착된 부착물을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서 금속을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KR1020100052230A 2009-07-28 2010-06-03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KR101140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4856 2009-07-28
JP2009174856A JP4841655B2 (ja) 2009-07-28 2009-07-28 蓄熱式バーナ及び熱処理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29A true KR20110011529A (ko) 2011-02-08
KR101140995B1 KR101140995B1 (ko) 2012-05-02

Family

ID=4363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230A KR101140995B1 (ko) 2009-07-28 2010-06-03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41655B2 (ko)
KR (1) KR101140995B1 (ko)
CN (1) CN101986033B (ko)
TW (1) TWI3799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5804B (zh) * 2012-04-24 2016-02-17 邯郸派瑞节能控制技术有限公司 蓄热式烧嘴脉冲蓄热体自清洁系统及方法
CN102829623B (zh) * 2012-09-24 2014-12-03 溧阳市超强链条制造有限公司 可倾滚筒式电阻回转炉炉盖出气管的防堵塞杆
JP6242453B1 (ja) * 2016-08-25 2017-12-06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加熱炉の冷却装置
JP2019015439A (ja) * 2017-07-06 2019-01-31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式燃焼設備
JP7029277B2 (ja) * 2017-11-06 2022-03-03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工業炉及び焼成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7762A1 (de) * 1980-12-15 1982-07-15 Gerb Gesellschaft für Isolierung mbH & Co KG, 1000 Berlin "schwingungsisolierung zur erdbebensicherung"
CN2175363Y (zh) * 1993-03-26 1994-08-24 朱文明 低耗高效燃油气多用灶具
JP3503906B2 (ja) * 1993-10-15 2004-03-08 東京瓦斯株式会社 半間接加熱式溶融炉
CN2285427Y (zh) * 1996-11-23 1998-07-01 刘云汗 多功能火焰封闭炉灶
CN2293791Y (zh) * 1997-04-15 1998-10-07 丁德宝 可易清灰的直排管式锅炉
CN1548809A (zh) * 2003-05-22 2004-11-24 刘长群 柴草锅灶清扫用具
CN2714968Y (zh) * 2004-03-15 2005-08-03 董为民 可在线维护蓄热式燃烧器
CN2842217Y (zh) * 2005-05-10 2006-11-29 李淑琴 自蓄热烧嘴
JP4602858B2 (ja) * 2005-07-12 2010-12-22 中外炉工業株式会社 燃焼装置
JP2007309597A (ja) * 2006-05-19 2007-11-29 Nippon Steel Corp 蓄熱式バーナーの蓄熱体の清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86033A (zh) 2011-03-16
CN101986033B (zh) 2013-07-17
JP2011027353A (ja) 2011-02-10
TWI379976B (en) 2012-12-21
JP4841655B2 (ja) 2011-12-21
KR101140995B1 (ko) 2012-05-02
TW201104175A (en)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995B1 (ko)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JP6151945B2 (ja) 除害機能付真空ポンプ
RU2010139010A (ru) Способ обжига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печь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969923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019367B1 (ko) 축열 연소식 가열로의 연소 제어 방법
JP6022270B2 (ja) 排ガス設備
RU25038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есгораемыми остатками в рекуперативных горелках, включающих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61765B1 (ko) 축열식 무화염 혼합연소장치
KR20100067608A (ko)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US11920786B2 (en) Regenerative burner, industrial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red article
JP5459836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炉の燃焼室の助燃バーナ用のバーナタイル
JP2008214670A (ja) 連続加熱炉
KR100915700B1 (ko) 소각로용 클링커제거장치
JP4916922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方法および燃焼装置
JP7091012B2 (ja) 蓄熱燃焼式工業炉の燃焼制御方法
JP3817513B2 (ja) 焼却炉及び焼却炉用助燃装置
KR200442203Y1 (ko) 보일러의 공기송풍장치
KR200276033Y1 (ko)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KR200305011Y1 (ko) 다목적 보일러 장치
JP2007051860A (ja) 火葬設備
KR200182364Y1 (ko) 폐타이어 소각장치
JP2001235131A (ja) 熱分解式ガス化焼却炉
TW200635675A (en) Method of processing waste circuit board and recycling thermal energy and the apparatus for the same
KR101488887B1 (ko) 고효율 대용량 버너
CN103471108A (zh) 笑气焚烧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